파동의 발생 l 파동의 종류, 그래프, 속력, 주기, 파장, 진동수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 안녕하세요 :)
    화학1, 물리1 강의 영상과 통합과학 강의 영상을 주로 올리며 교육 & 공부에 대한 동영상도 올리는 "과학강의맛집"입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파동의 발생 l 파동의 종류, 그래프, 속력, 주기, 파장, 진동수 "에 대해 설명하는 강의를 하였습니다.
    가장 쉽고 최고의 강의를 항상 올리겠습니다.
    성실하게 최고의 강의를 올릴테니 관심있으시면 구독 눌러주세요^^
    컨텐츠에 대한 피드백, 혹은 질문 댓글 모두 환영입니다.
    인스타그램 : @delicious_science_
    ...
    문의 & 협업 : gudfuf0506@gmail.com

КОМЕНТАРІ • 14

  • @리락쿠마곰
    @리락쿠마곰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오투 풀면서 이해가 안된 부분이 있었는데, 이 영상보고 이해 됐어요! ㅎㅎ 감사합니다 😮🩷

  • @류정민-j1e
    @류정민-j1e 2 роки тому +6

    하이탑 최상의 못 풀었는데 한번에 이해되네요ㅎㅎㅎㅎ

  • @s0m.n11
    @s0m.n11 4 місяці тому

    감자합니다 🥔

  • @Draw73722
    @Draw73722 6 місяців тому

    이해잘되요!! 감사합니다 ^-^😄

    • @과학강의맛집
      @과학강의맛집  6 місяців тому

      방학에도 열심히 하시네요 화이팅입니다!!

  • @민수권-k3e
    @민수권-k3e 2 роки тому +7

    7:10 속도는 매질의 밀도가 높을 수록 빠른거 아닌가요? 그럼 온도랑 반비례 해야하지 않나요?
    빛이랑 속도랑 햇갈리신게 아닌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과학강의맛집
      @과학강의맛집  2 роки тому +6

      정확하게 말씀드리려면 “밀도가 높을수록 소리의 속력은 빨라진다”는 잘못되었네요
      고체, 액체, 기체 상태에 따라서 탄성이 달라져서 소리가 고체>액체>기체 순인거고,
      여기서 더 들어가서 기체일 때의 밀도 변화에 따른 소리는 밀도가 작을수록 빠른게 맞아요

    • @민수권-k3e
      @민수권-k3e 2 роки тому +1

      @@과학강의맛집 감사합니다!

  • @체리블라썸-r2r
    @체리블라썸-r2r 2 роки тому +1

    파장의 단위(nm)은 환산을 어떻게 하나요?
    갑오징어 낚시를 하다 보니 궁금증이 생겨서 문의 드립니다.갑오징어는 최대 508nm의 파장을 인식한다..라고 하더라구요.

  • @y0xgz
    @y0xgz 2 місяці тому

    기말 10일남앗어유ㅠㅠ

  • @user-uk7xx4mc8f
    @user-uk7xx4mc8f 2 місяці тому

    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