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이건희 회장 기증 명품전' 꼭 알아야 할 미술 작품 17점!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44

  • @허우영-b5m
    @허우영-b5m Рік тому +1

    많이 배우고 갑니다
    소중한국보를 나라에 기증하신것
    탁월한 선택입니다

  • @다다-b3n
    @다다-b3n 3 роки тому +11

    가치있는 우리 문화재 수집과 이건희 회장의 경영철학을 엮는 건 참 애매하다는 생각에 동감 !!

  • @별을쏘다-f6p
    @별을쏘다-f6p 4 місяці тому +1

    놓쳤던 영상을 이제야 봅니다~~ 지앙님 덕분에~ 추천해주셔서요. 감사합니다~!!!

    • @bluff_museum
      @bluff_museum  4 місяці тому

      늦게라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optionlink2
    @optionlink2 3 роки тому +8

    '가치가 있다면 가격을 논하지 않는다' 라는게 이건희회장 경영철학을 가장 잘 표방하는 것 같습니다. 인력채용할 때 보면 능력있는 사람들은 나이와 상관없이 정말 파격적인 조건으로 채용하고, 성과보상도 확실하죠. 좋은 미술품을 갖고 있는 딜러들이 스스로 이건희회장을 찾아간 것 처럼, 실력있는 인재들이 스스로 삼성을 찾아 갑니다. 삼성엔 연봉 10억 넘는 인재들 상당히 많습니다.

    • @optionlink2
      @optionlink2 3 роки тому +2

      @@다다-b3n 노조가 있는 대다수의 많은 기업들 보다 훨씬 좋은 복지와 고연봉을 제공하죠. 노조없는 삼성에 입사하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공부하면서 오죽하면 삼성고시란 말이 생겨났겠습니까?.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중 노조없는 회사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그럼에도 입사경쟁율이 치열하죠. 저 역시 노조가 있는 기업에서도 근무했었고, 노조가 없는 빅테크 기업에서도 일해봤는데(삼성아님) , 노조없는 곳이 연봉이 훨씬 높았습니다. 노조는 상황에 따라서 필요할 수도, 필요없을 수도 있는 가치중립적인 수단입니다. 단순히 노조가 있다 없다를 기준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은 적절치 않습니다. 여긴 미술에 관한 유투브이니 만큼, 논쟁은 이 정도선에서 멈추는게 좋을 듯 합니다.

    • @다다-b3n
      @다다-b3n 3 роки тому

      @@optionlink2 상위 5% 고액연봉자만이 삼성이란 기업을 키운건 아니죠. 95% 노동자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살아계실때 수집 문화재를 좀 베풀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 @자녀교육최경선-m3p
    @자녀교육최경선-m3p 3 роки тому +2

    좋은 정보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미술관이나 전시회는 미리 공부하고 가면 더 좋은 것 같아요 이번 이건희회장 기증 컬렉션에 대해 알려주셔서 감사드려요

  • @happyg3771
    @happyg3771 3 роки тому +3

    덕분에 전시회 보면서도 다 이해 못한 부분을 많이 배웠어요 감사합니다

    • @bluff_museum
      @bluff_museum  3 роки тому

      가볍지만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juyeonkim1430
    @juyeonkim1430 3 роки тому +10

    다음달 백신 맞고 코로나 좀 좋아지면 꼭 보러가고 싶네요. 매진이라 갈 수 있을지... ㅠㅠ. 귀중한 유물들을 최대한 국내에 보전하려 했다니 고 이건희 회장님의 그런 마인드는 높이 평가해야 할 것 같습니다. ^^

    • @bluff_museum
      @bluff_museum  3 роки тому +1

      기증 작품이니까 전시회 지나도 기회는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몇몇 회화 제외하고는 본래부터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한 유물 겹치는 것도 좀 있는 거 같습니다

  • @hondini
    @hondini 2 роки тому +1

    소신있고 비판적인 리뷰 감사합니다 ㅎㅎ 전시 보러갈 때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 @bluff_museum
      @bluff_museum  2 роки тому

      오늘 방송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jiang5233
    @jiang5233 3 роки тому +5

    우리 문화재에 대한 향유의 벽이 너무 높은 듯 해요~
    전편에 이어 18점을 정리해 보면서 불상과 불화 이야기가 재밌었어요^^
    요 영상에선 17점을 찾아 정리하고, 1점은 라방에서 찾았는데 맞는지 확인해 보세요~
    펄펄 끓는 뜨거운 여름이네요~^^ 불쑥 찾아올 시원한 라방을 기대하며~~🤗

    • @jiang5233
      @jiang5233 3 роки тому +1

      어째 중간에 목록 넣은 게 어디로 사라진거지??? 다시 한번~
      □ 불상
      1. , 6C 후반, 백제, 국보 제134호
      2. , 7C, 백제, 국보 제128호
      3. , 7C 후반, 보물 제780호
      4. , 8C, 통일신라시대, 보물 제779호
      □ 불화
      5. 14C, 고려
      6. , 14C, 고려, 보물 제2015호
      □ 조선 회화
      7. , 1751, 겸재 정선, 국보 제216호
      8. , 1805, 김홍도, 보물 제1393호
      9. , 19C, 조선
      □ 조선 자기
      10. , 15C, 보물 제1069호
      11. , 18C, 보물 제1390호
      12. , 18C, 국보 제258호
      □ 훈민정음
      13. 1459, 보물 제935호
      14. 15C, 보물 제523-3호
      □ 기타
      15. 청동기말~철기시대, 국보 제255호
      16. , 5-6C, 보물 제776호
      17. , 4-5C, 가야시대
      18. 국보 제234호 (from 라방)

    • @bluff_museum
      @bluff_museum  3 роки тому +1

      진짜 사라졌네요. 저는 그저 카피만해서 올렸습니다^^ 17점으로 수정했습니다. 항상 감사해요~

  • @estudionomada7494
    @estudionomada7494 3 роки тому +4

    금니, 은니, 배채법 처음 들어봐요. 한국미술 재밌어요~

  • @hyeinnam8654
    @hyeinnam8654 3 роки тому +7

    뉴질랜드입니다
    꼭 부탁드려요
    혹시 삼성 미술관에
    이 그림이 있는지 확인해주실수 있을까요 ?
    조선말기 화가 채용신
    께서 그리신
    "왕의 행차도' (제목은 확실치 않습니다)
    가 소장되어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참고로 채용신화백 그림으로는 운낭자가 국립 박물관에 소장 되어 있습니다
    채용신 화백은 저의 어머니의 고조 할인버지 이십니다
    꼭 부탁드려요
    자세한 사연은 나중에
    알고 싶으시면 말씀해 드리지요
    수고 하십시요
    꾀 부탁 드립니다

    • @bluff_museum
      @bluff_museum  3 роки тому +2

      글쎄요. 저도 외국에 있어서요. 미술관에서 직관 하신 분들 댓글 부탁드립니다.

    • @hyeinnam8654
      @hyeinnam8654 3 роки тому +5

      아 ㅡ
      그러세요
      원 래 외국 사십니까?
      제가 모르고 큰 견례를 했군요
      제가 대학교 다닐때
      부도로 집안 형편이 안좋아져서 작고하닌 어머니께서 채용신님의 (할아버지)
      그림을 인사동에 가져가서 등록금만 되면 팔고 하셨는데ᆢ
      그때 감정사들께서 아주 헐값에 작품 들을 사들이고 ᆢ
      골동품이 아직 대중에 알려지지 않았을때라서 ᆢ 그런데 그감정사께서
      삼성미술관에 직결 되어 있다는 말이지요
      알아도 어찌할수 없지만 그 평생도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매매되어서는 안된다는 글도 있답니다
      삼성 미술관에 들어갔다는 말을듣고
      어머니께서 기암하신것도 생각 납니다
      나도 지금 나이가 70이고 벌써 50년전 일이네요
      50년동안 항상 궁금했답니다
      그외에 고종의 초상화도 있고 정말 많은 그림들이 있었는데ᆢ
      아뭏든 답글 주셔서
      참 고맙습니다
      건강 하십시요

    • @냥냐냐-q9j
      @냥냐냐-q9j 3 роки тому +4

      @@hyeinnam8654 안녕하세요. 현재 삼성미술관 리움 임시 휴관 중이라 온라인 전시로 말씀하신 작품 찾아봤습니다.
      아쉽게도 찾으시는 작품은 없었어요... 좋은 소식 못 전해드려서 어떡하죠. 나중에 다른곳에서 보게 된다면 꼭 댓글 남기겠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 @hyeinnam8654
      @hyeinnam8654 3 роки тому +4

      @@냥냐냐-q9j
      어머나 !!!!!
      이토록 성의를 보여주시다니 ᆢ
      정말 고맙습니다
      당시에 미대에 다니던
      나와 의대생이던 오빠의 학비가 벅찬던 어머니의 추억이 항상
      마음을 눌렀었고ᆢ
      인사동 감정가들의
      가격 횡포가 참 슬펏었어요
      그리고 대학졸업후 몇년후에 전북대학교에 소장되었던 채용신님의 국보급 미술품 열점이 국보로 상향 신청중인 상황에서 도난당했다는 신문 보도를 보고 집에있던 작품들의 진가를 알게되었지요
      지금은 오로지 마음속의 추억으로만 남아있네요
      ***
      일면식도 없는 나의 추억담에 이토록 상의있게 알아봐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세상이 좋아져서
      70넘은 나이에도
      이렇게 유튭으로
      지식을 공유하는 세상이 참 좋군요
      정말 감사드리고요
      코비드 19 세상살이 잘 이겨 내십시요
      건강 하세요

    • @jiang5233
      @jiang5233 3 роки тому +2

      고종의 어진을 그렸다는 채용신 화백을 알게 되어 감사합니다. 제가 검색을 해서 찾아보니 조선민화박물관(강원도 영월)에서 삼국지연의 작품을 주제로 지금 전시를 하고 있더라구요. ua-cam.com/video/DgWL2MmRhf8/v-deo.html
      혹시 여기에 문의해보시면 찾으시는 그림을 알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kangkang7404
    @kangkang7404 3 роки тому +2

    [망령 임나일본부 부활]
    소방관, 군인, 경찰관 은 우리의 삶을 지켜주는 영웅입니다. 임진왜란과 일제강점시기 수많은 영웅을 우리는 늘 감사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왜구를 존경하고 강도 일본인을 자랑스럽게 여겨야하는 참담한 일이 벌어 지고 말았습니다.
    대학교의 강단사학자는 일본서기의 왜구가 249년 신라를 정벌하고 가야를 멸망시키고 임나일본부를 설치하여 646년 임나가 없어지는 그 날 까지 한강 이남을 일본의 식민지로 통치하였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야마토왜의 임나소국의 수장이 합천 남원 김해 함안 등 한강 이남의 지역에 2,000 여기 이상의 고분에 묻혔다고 합니다. 전혀 근거 없는 사실 이지만 역사적 사실이라고 국민을 윽박 지르고 있습니다. 강단사학자 들은 역사를 왜곡하여 그 시체의 무덤을 영웅으로 모시고 가야를 침탈한 수장으로 그의 훌륭한 통치업적에 감사함을 영원히 잊지 않기 위하여 2021년 3월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에 1차 자료를 등록 하였습니다. 2021년 말 2022년 초 유네스코 실사단의 현장방문을 마치면 세계가 인정하는 세계문화유산 고분군이 됩니다.
    강단사학자는
    대한민국의 국민에게 자랑스러운 문화유산 무덤 앞에 정성과 존경의 뜻을 담아 한 잔의 술을 두 손 모아 왜구의 무덤에 바치라고 합니다.
    이렇게 참담한 일은 강단사학자가 역사의 권력을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강단사학자의 뒤를 좀비와 같이 따르는 자가 문화재청, 남원시, 합천군청 입니다.
    가야고분군은 우리의 조상 무덤입니다. 왜구의 수장층 무덤이 아닙니다. 일본서기의 기록은 일본열도에서 일어난 사건이고 허구의 기사입니다.
    우리가 독도의 이름 대신 일본이 주장 하는 죽도(다케시마)를 유네스코에 등재하는 것과 다를바 없습니다.
    임나일본부는 정한론의 명분으로 내세우는 일본제국의 논리 입니다. 임진왜란과 일제강점35년을 정당화 시키고 가야의 영토를 침탈 하려는 것입니다.
    국민 여러분 우리의 가야를 지켜 주십시오.
    역사의 권력을 장악한
    강단사학자는 일본서기를 신봉하고 무서워하지만, 역사의 주권을 가진 국민을 개돼지와 같이 무시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토착왜구가 아닙니다. 토착왜구의 자손이 아닙니다.
    강단사학자와 맞서 싸워 주십시오. 유네스코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남원의 기문국, 합천의 다라국을 삭제하여 주십시요ㆍㆍㅇㆍㅇㆍ

  • @윤진규-u2e
    @윤진규-u2e 3 роки тому +6

    2022년 4월에 대규모 전시회를 한답니다.
    기대합니다.

  • @포핀정월
    @포핀정월 3 роки тому +1

    이건희씨가 찐 애국자시네.
    좀 더 사셨어야..

  • @lettlemonsterh8201
    @lettlemonsterh8201 3 роки тому +6

    백신 못 맞은 20~40대중 방역 지키는 사람은 어쩌라고 9월 28일까지 하나요?
    백신으로 정치질도 지겨운데...
    83세 엄마랑 전시회 갈수 있게 제발 전시회를 연장 해주세요.

  • @uihunjung3975
    @uihunjung3975 3 роки тому +1

    나 같은 놈들이 재벌이었어야하는데

  • @kangkang7404
    @kangkang7404 3 роки тому +2

    [망령 임나일본부 부활]
    소방관, 군인, 경찰관 은 우리의 삶을 지켜주는 영웅입니다. 임진왜란과 일제강점시기 수많은 영웅을 우리는 늘 감사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왜구를 존경하고 강도 일본인을 자랑스럽게 여겨야하는 참담한 일이 벌어 지고 말았습니다.
    대학교의 강단사학자는 일본서기의 왜구가 249년 신라를 정벌하고 가야를 멸망시키고 임나일본부를 설치하여 646년 임나가 없어지는 그 날 까지 한강 이남을 일본의 식민지로 통치하였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야마토왜의 임나소국의 수장이 합천 남원 김해 함안 등 한강 이남의 지역에 2,000 여기 이상의 고분에 묻혔다고 합니다. 전혀 근거 없는 사실 이지만 역사적 사실이라고 국민을 윽박 지르고 있습니다. 강단사학자 들은 역사를 왜곡하여 그 시체의 무덤을 영웅으로 모시고 가야를 침탈한 수장으로 그의 훌륭한 통치업적에 감사함을 영원히 잊지 않기 위하여 2021년 3월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에 1차 자료를 등록 하였습니다. 2021년 말 2022년 초 유네스코 실사단의 현장방문을 마치면 세계가 인정하는 세계문화유산 고분군이 됩니다.
    강단사학자는
    대한민국의 국민에게 자랑스러운 문화유산 무덤 앞에 정성과 존경의 뜻을 담아 한 잔의 술을 두 손 모아 왜구의 무덤에 바치라고 합니다.
    이렇게 참담한 일은 강단사학자가 역사의 권력을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강단사학자의 뒤를 좀비와 같이 따르는 자가 문화재청, 남원시, 합천군청 입니다.
    가야고분군은 우리의 조상 무덤입니다. 왜구의 수장층 무덤이 아닙니다. 일본서기의 기록은 일본열도에서 일어난 사건이고 허구의 기사입니다.
    우리가 독도의 이름 대신 일본이 주장 하는 죽도(다케시마)를 유네스코에 등재하는 것과 다를바 없습니다.
    임나일본부는 정한론의 명분으로 내세우는 일본제국의 논리 입니다. 임진왜란과 일제강점35년을 정당화 시키고 가야의 영토를 침탈 하려는 것입니다.
    국민 여러분 우리의 가야를 지켜 주십시오.
    역사의 권력을 장악한
    강단사학자는 일본서기를 신봉하고 무서워하지만, 역사의 주권을 가진 국민을 개돼지와 같이 무시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토착왜구가 아닙니다. 토착왜구의 자손이 아닙니다.
    강단사학자와 맞서 싸워 주십시오. 유네스코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남원의 기문국, 합천의 다라국을 삭제하여 주십시요ㆍㆍㅇ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