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부터 발로란트 최적화 설정에 대한 영상들이 전부 다 다른 설정을 소개해주고 심지어 이 설정 저 설정에 대한 세부설정을 제대로 안 다뤄주는데.. 역시 미호님 대박 👍 👍 외부설정에 참 난관을 많이 겪었는데 많이 해소됐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유익한 정보, 빠르고 이해하기 쉬운 영상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7
FPS 제한 해제하고 고성능은 이해가 안 가네요 FPS제한 해제 같은 경우 예를 들어 해당 모니터가 최대 주사율 지원이 60HZ,144HZ 이라면 아무리 FPS가 높게 나와도 해당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에 맞춰 출력을 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부드러운 화면이 나올 수가 없습니다. 제한 해제를 하시면 지원하는 모니터 주사율보다 출력하는 장면이 많아지므로 지연,전력 소모 등 발생되므로 해당 모니터 최대 주사율에 - 1~3 정도 인 게임에서만 FPS 제한 거는 걸 추천합니다. (FPS 한정 인-게임,라데온 제어판및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해당 프로그램 설정 시 수직 동기화 끄시고 각 제어판에서 프리 싱크 지 싱크 끄시는걸 추천합니다.) 고성능은 게임 기준으로 사용하는 PC마다 다를 수 있지만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고성능으로 설정을 하면 설정한 프로그램에서 CPU와 그래픽 카드가 100% 구동 되기 때문에 CPU,그래픽 카드가 오히려 온도가 올라가서 시스템 팬이나,그래픽 카드 팬 등(제품마다 다를 수 있음)이 적정 온도까지 못 내려가면 온도를 낮추기 위해 팬 속도를 올리면서 소음도 올라갑니다. 만약 온도가 계속 올라간다면 정상적인 작동을 못하고 PC가 위험을 감지하고 컴퓨터가 꺼지기 때문에 설정을 안 했으면 좋겠습니다. 고성능은 저 사양 PC 사용자들은 설정을 안 하는 걸 권장 고 사양 PC 사용자는 그래픽 카드 부하 또는 블루 스크린&오류 메세지 뜨시면 설정을 해제 하시기 바랍니다. FPS제한 설정 같은 경우에 이미 테스트를 나온 표가 있으니 해외 포럼에 검색하면 바로 나옵니다. 고성능 설정은 저 같은 경우 이와 같은 문제(그래픽 카드 제어판 설정및드라이버전,쿨링 ,윈도우,바이오스 셋팅 등 무슨 문제인지 모르겠지만)를 겪고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해 보았으나 결국엔 설정을 해제하여 해결했으며 FPS제한 같은 경우에는 글옵을 자주 하다 보니 FPS 게임 관련 세팅에 관심 있어 직접 테스트도 해보고 더 나은 세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우선 선호도는 저 사양PC에서는 건들지 마세요 그냥 놔두세요. (저 사양 PC사용자들 한에 해당 게임에 우선 선호도를 높일 경우에 마우스,키보드 등 입력 지연시간이 늘어 나서 냅두세요 . 그리고 높게 설정해도 성능은 미비합니다.) 결론은 고성능 설정은 끄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저 사양 PC사용자는 끔 권장 고 사양 PC사용자는 문제 없을 시 설정(고성능 설정해도 성능은 미비합니다.)고성능 설정 해제 시 전력 소모는 극히 소량이지만 제품에 따라 전기 세를 몇 천원 절약 할 수 있음 FPS제한 설정 해당 모니터 최대 주사율에 - 1~3 정도 설정(인 게임에서만) FPS 제한 설정, 해당 그래픽카드 제어판에서 수직동기화(인 게임 해당),프리 싱크,지 싱크 끄기 설정 하길 권장 드립니다.
물론 이 영상 유투버도 뭘 알고 올린건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이분도 어쭙잖게 아는분이네.. 거의 다 틀린말입니다.. 어디서부터 설명해줘야할지 감이안오네용. 하나 말해줄수 있는건 주사율과 프레임의 관계, 인풋렉이 영향받는 범위 등이 예전정보랑 지금정보랑 매커니즘 자체가 바뀐게 많습니다. 특히 해외애들도 제대로모르고 벤치분석하는애들이 수두룩 하니 손해보지마시고 잘 알아보시길
그리고 윈도우그래픽설정에서 프로그램 따로 고성능 놓는건.. 영상올린유투버도 틀렸고 님말도 틀렸어요.. 저건 그래픽카드 하나만 쓸때는 아무 의미자체가 없는 옵션이에요.. 뭐 글카가 저 프로그램에 다 집중해서 돌아가고 그런개념이아니에요. 퀘이사존,쿨엔 서칭이나 영어로 직접 구글링하거나 하셔도 쉽게 알 수 있을텐데.. 논리로 설명들면 이해 안가실까봐 예시로 쉽게 말하자면 본인이 내장,외장글카를 동시에 설정하여(보통은 하드웨어적으로 둘다 존재해도 외장만 활성화해서쓰지만 별도 설정으로 절전모드시 내장 고성능모드시 외장사용 등으로 사용도 가능은함. 물론 그 어떤 이점도 없기에 아무도 그렇게안함) 사용하는경우 저기서 고성능으로 하면 무조건 그 프로그램은 외장을 활성화하게 하는 그런 옵션입니다..
@@취미생활-v6b 전혀요.. 저분은 그래픽카드 가용률의 우선순위를 말한거고 실제론 그게 아니라 두개 이상의 vga가 가동되도록 설정한 pc에서 가장 좋은 성능의 vga로 가동되도록 해준다는거에요.. 이 말이 무슨말인지 이해하셨으면 그 어떤 의미도 없는 설정이라는걸 아실텐데... 어떤 일반적인 게이머가 그래픽카드를 두개 이상 달고 씁니까? 그리고 내장그래픽이 존재해도 외장그래픽이 있으면 기본적으로 비활성화입니다. 내장그래픽이 존재한다고 그게 돌아가고있는게 아니에요 아.. 기본적으로 바이오스 자체에서 없는거나 마찬가지로 설정돼있어요.. 그 어떤 바보도 외장그래픽 놔두고 일부러 내장그래픽을 따로 활성화 시키지 않습니다. 위에 제가 따로 말한건 억지스럽게 그 바보의경우를 말한거구요.여튼 그 말도안되는 경우에 대비해서 있는 설정이고 다시말해 유저들한테 아무 의미가 없는설정입니다.. 본인 그래픽카드 가용률에 그 어떤 영향도 끼치지 못하는 설정이에요.. 그래도 아직 이해 못하신게 있으시다면 기꺼이 알려드리겠습니다
@@mmki3343 님 말씀은그래픽 설정이 외장이 2개 있을 경우에 해당 프로그램에 사용하고자 하는 그래픽 카드로 우선적으로 잡아준 얘기고 저분은 고성능 설정 시 그래픽 카드가 우선으로 잡아주고 가용률을 해당 앱에서 우선 적으로 잡아준얘기인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말만 다르지 같은 말씀이신거 같은데 그리고 두 분다 고성능은 아무 의미가 없다는 말씀이시고 저분은 직접 테스트 해 보신거 같은데 님은 해보셨나요?
둘다 똑같습니다. 다만 차이점은 하드디스크 끄기 라는 하나 의 차이점 일 뿐 프레임 차이 는 없고요. 궁금중 은 마이크로소프트 에서 이 기능을 만든거냐 인데 , 사실상 마이크로소프트 에서 숨겨둔겁니다. 고성능 만 으로도 충분하니까요. 뭐 심리적으로 하실거면 최고의성능 쓰시고요
정보) 절전모드 설정란에 고성능 옵션이 없는 사람들은 대개 노트북일 가능성이 높은데, 저전력 노트북인 경우다. 이는 락이 걸려있는건데 사실 뚫을수가 있다. 개인적으로 구글링해서 해결하긴 했는데 과정이 썩 간단하지는 않은데 따라가기만 하면 해결되는 수준이다. 혹시 자신이 정보검색에 취약하다면...🤔
이방성필터링 이랑 그래픽 다 높음해도 프레임이 240이상 고정유지라면 딱히 할 필요가 없는 설정인건가요? 항상 궁금한게 모니터 주사율이 144 240 인 사람들이 많은데 프레임이 그 이상 특히 발로란트경우 400 500도 넘는 경우가 있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 설정을 하는것이 좋은지 아니면 굳이 할 필요없는 설정인지 궁금하네요
아니 와 이걸 이제 알려주시면 어떡해요.. 19 i7 그램으로 평소에 발로란트를 돌리면 거의 최저 해상도에 낮출꺼 다 낮추고 해도 30~50프레임을 왔다갔다 거렸는데, 이거 따라하고 해상도 한단계 위에껄로 바꾸고 나서도 평소 30프레임 나올꺼 50까지 끌어올리고 프레임 한 4-50 정도는 올라간듯.. 와ㅋㅋㅋㅋㅋ.. 감사합니다 진짜 ㄷㄷ...
한 시간만에 좋아요 500개라니 믿기지가 않아 형들 늘 고마워 형들
항상 좋은 영상들 올려줘서 우리가 더 고마워!
땡큐
하.. 잔말말고 좋아요나 받으시오~
저만 멀티스 렌더링 안 뜨나요?
난 요괴형이 형이얌
발로란트 최적화 영상중에서 가장 전문적인거 같습니다!! 처음 보는데 믿음이 확 가네요!
이게 전문적이라니 모르는사람들은 어려운말하면서 말하는게 전문적이라 느끼지 이영상도 카더라 영상 입니다
@@잉-s2w 이걸 반드시 카더라라고 확신할 수 있는 너도 참 전문적이네요~ㅋ
진짜 감사합니다 fps가 10까지 가서 너무 힘들었는데 이 영상 보고 원래대로 고쳐졌네여 진짜 감사합ㄴ다ㅠㅜ
굳
이런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덕분에 프레임이 높아졌어요😊
형 항상 너무 좋은영상 고마웡 좋아요 센스~^^
노트북으로 게임해서 30프레임으로 맞춰두고 겜하는데도 20언저리로 왔다갔다 거려서 엄청 끊기거든요..얼른 안티밸런싱 끄러가야겠네요ㅜㅜ 영혼까지 프레임 끌어모아서 겜해야겠어요 감사합니당
아... 갑자기 렉걸리는 이유가 전체화면 창모드 였군요 감사합니당
구독 좋아요~
고맙습니다 형님!
아 진짜 목소리 개좋으시네요
ㅋㅋ 텐즈가 최적화하는 영상 보고 오셨나 보네 아 참고로 전체화면 최적화 사용 중지는 윈도우 최신버전부터는 키면 오히려 안좋아지는걸로 알고 저거 활성화 하면 알트 탭 하면 검은색 화면 뜨면서 바탕화면으로 늦게 나와지니까 참고 하세요 ㅎㅎ
엄청난 꿀팀이네요.. 현재 rtx 3060 쓰는데. 평균 프레임 450에서 안떨어집니다 난전을해도 400가까이네요!!
그전엔 300대였는데 너무 감사합니다ㅠㅠ
구우웃
저도 3060인데 왜 180에서220이 나올까요 😢
와 진짜 좋다
그저 감사할 따름입니다
!멀티스레드 렌더링, 반사 낮은 지연 시간 뜨지 않는 분들은 cpu, 글카가 지원을 하지않는 제품입니다 그만물어보세요
저 프레임 50에다가 해외살아서 핑 140이에요....조금이나마 실력이 올라가겠네요 감사합니다 ㅎㅎ
해외 섭으로 하세연
해외섭으로 하시면 되는 걸 꾸역꾸역 한국섭에거 하세요…?
@@HS-iu3qi 팀원이 피해받잖아요..
그럼 한국에서 아시아섭 하는 사람들은 뭐가 됨?ㅋㅋ 걍 신경쓰지 말고 니들이 열심히 하셈 ㄹㅇㅋㅋ
@@황민준-x9u 한국 아시아섭도 핑이 150 되는 줄 알겠다 나도 아시아섭 들어가먄 기본 60이라 일부러 한국섭 하는데 ㅎㅎ ;
좋은영상이네요!
형 너무 고마워
목소리 개좋아요
평균 프레임이 무려 35나 올라갔네요! 감사합니다!
Valorant.exe를 고성능으로 해야되는건가요 아니면 valorant shipping를 고성능으로 해야되는건가요? 다른분은 exe를 고성능으로 하길래 뭐가 맞는건지 모르겠어서;;
둘다하면됩니다.
둘 다 하시면 됩니다 :)
구미호님 궁금한게 우선순위 높음 설정할때 win64말고 일반 발로란트exe는 우선순위 설정 안해도 되는건가요?? 그리고 그래픽 설정에서 게임 고성능할때도 win64만 고성능하는데 live에 있는 exe파일은 고성능 안해도 되는건가요?? 좋아요 박았습니다~~
넹 제기억으론 그거 두개 있을텐데 영상에 나온대로 하나만 하면 됩니당
예전부터 발로란트 최적화 설정에 대한 영상들이 전부 다 다른 설정을 소개해주고 심지어 이 설정 저 설정에 대한 세부설정을 제대로 안 다뤄주는데.. 역시 미호님 대박 👍 👍 외부설정에 참 난관을 많이 겪었는데 많이 해소됐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유익한 정보, 빠르고 이해하기 쉬운 영상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7
감사합니다!
구하구하 2일이나 늦었네요 ㅠㅠ 그래픽설정 잘 참고해갑니당
진짜 감사합니다
매번 집컴 똥컴이라고 생각하고
피방 갔었는데 설정하고 보니 차이가 거의 없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굿
최적화후 obs 프로그램 써도 되나요?
obs 사용하시면 사용하시는 만큼 CPU를 할애하기 때문에 프레임이 떨어질 수 있습니당
cmd를 작업관리자로 키고 powercfg -duplicatescheme e9a42b02-d5df-448d-aa00-03f14749eb61 를 입력하면 전원옵션에 최고의성능이 나타납니다 고성능보단 좋겠죠?
응 프레임 차이 없어
아유.. 효과가 야무지네..
시간나면 해볼께여 감사합니다
형 사랑합니다 덕분에 300FPS나와 ㅠㅠ
노트북 유저도 물질품질, UI품질 높음으로 설정해도 되나요?
갠적으로 그림자는 오멘 피해망상같은거 맞았을때 적 바닥에 있는 동그란 그림자로 확인 가능합니다!
바로해봐야징!
멀티스레드 렌더링이 없는데 이건 어떻게 킬수 있나요? 이건 컴퓨터 설정 건드려야 하나요?
요괴님 궁금한게있는데 왼쪽위에 fps어떻게 뜨게하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인게임 설정에 있어요!
@@9miho 감사합니다ㅠㅠ
FPS 제한 해제하고 고성능은 이해가 안 가네요
FPS제한 해제 같은 경우 예를 들어 해당 모니터가 최대 주사율 지원이 60HZ,144HZ 이라면
아무리 FPS가 높게 나와도 해당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에 맞춰 출력을 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부드러운 화면이 나올 수가 없습니다.
제한 해제를 하시면 지원하는 모니터 주사율보다 출력하는 장면이 많아지므로 지연,전력 소모 등 발생되므로
해당 모니터 최대 주사율에 - 1~3 정도 인 게임에서만 FPS 제한 거는 걸 추천합니다.
(FPS 한정 인-게임,라데온 제어판및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해당 프로그램 설정 시 수직 동기화 끄시고 각 제어판에서 프리 싱크 지 싱크 끄시는걸 추천합니다.)
고성능은 게임 기준으로 사용하는 PC마다 다를 수 있지만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고성능으로 설정을 하면 설정한 프로그램에서 CPU와 그래픽 카드가 100% 구동 되기 때문에
CPU,그래픽 카드가 오히려 온도가 올라가서 시스템 팬이나,그래픽 카드 팬 등(제품마다 다를 수 있음)이 적정 온도까지 못 내려가면 온도를 낮추기 위해 팬 속도를 올리면서 소음도 올라갑니다.
만약 온도가 계속 올라간다면 정상적인 작동을 못하고 PC가 위험을 감지하고 컴퓨터가 꺼지기 때문에 설정을 안 했으면 좋겠습니다.
고성능은 저 사양 PC 사용자들은 설정을 안 하는 걸 권장 고 사양 PC 사용자는 그래픽 카드 부하 또는 블루 스크린&오류 메세지 뜨시면 설정을 해제 하시기 바랍니다.
FPS제한 설정 같은 경우에 이미 테스트를 나온 표가 있으니 해외 포럼에 검색하면 바로 나옵니다.
고성능 설정은 저 같은 경우 이와 같은 문제(그래픽 카드 제어판 설정및드라이버전,쿨링 ,윈도우,바이오스 셋팅 등 무슨 문제인지 모르겠지만)를 겪고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해 보았으나
결국엔 설정을 해제하여 해결했으며
FPS제한 같은 경우에는 글옵을 자주 하다 보니 FPS 게임 관련 세팅에 관심 있어 직접 테스트도 해보고 더 나은 세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우선 선호도는 저 사양PC에서는 건들지 마세요 그냥 놔두세요.
(저 사양 PC사용자들 한에 해당 게임에 우선 선호도를 높일 경우에 마우스,키보드 등 입력 지연시간이 늘어 나서 냅두세요 . 그리고 높게 설정해도 성능은 미비합니다.)
결론은
고성능 설정은 끄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저 사양 PC사용자는 끔 권장 고 사양 PC사용자는 문제 없을 시 설정(고성능 설정해도 성능은 미비합니다.)고성능 설정 해제 시 전력 소모는 극히 소량이지만 제품에 따라 전기 세를
몇 천원 절약 할 수 있음
FPS제한 설정 해당 모니터 최대 주사율에 - 1~3 정도 설정(인 게임에서만) FPS 제한 설정, 해당 그래픽카드 제어판에서 수직동기화(인 게임 해당),프리 싱크,지 싱크 끄기 설정 하길 권장 드립니다.
물론 이 영상 유투버도 뭘 알고 올린건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이분도 어쭙잖게 아는분이네.. 거의 다 틀린말입니다.. 어디서부터 설명해줘야할지 감이안오네용. 하나 말해줄수 있는건 주사율과 프레임의 관계, 인풋렉이 영향받는 범위 등이 예전정보랑 지금정보랑 매커니즘 자체가 바뀐게 많습니다. 특히 해외애들도 제대로모르고 벤치분석하는애들이 수두룩 하니 손해보지마시고 잘 알아보시길
그리고 윈도우그래픽설정에서 프로그램 따로 고성능 놓는건.. 영상올린유투버도 틀렸고 님말도 틀렸어요.. 저건 그래픽카드 하나만 쓸때는 아무 의미자체가 없는 옵션이에요.. 뭐 글카가 저 프로그램에 다 집중해서 돌아가고 그런개념이아니에요. 퀘이사존,쿨엔 서칭이나 영어로 직접 구글링하거나 하셔도 쉽게 알 수 있을텐데.. 논리로 설명들면 이해 안가실까봐 예시로 쉽게 말하자면 본인이 내장,외장글카를 동시에 설정하여(보통은 하드웨어적으로 둘다 존재해도 외장만 활성화해서쓰지만 별도 설정으로 절전모드시 내장 고성능모드시 외장사용 등으로 사용도 가능은함. 물론 그 어떤 이점도 없기에 아무도 그렇게안함) 사용하는경우 저기서 고성능으로 하면 무조건 그 프로그램은 외장을 활성화하게 하는 그런 옵션입니다..
@@mmki3343 저분이랑 님이랑 같은 말 아님?
결론은 발로란트 우선으로 잡아준다는거 아님?
참 어렵게 말하시네...
@@취미생활-v6b 전혀요.. 저분은 그래픽카드 가용률의 우선순위를 말한거고 실제론 그게 아니라 두개 이상의 vga가 가동되도록 설정한 pc에서 가장 좋은 성능의 vga로 가동되도록 해준다는거에요.. 이 말이 무슨말인지 이해하셨으면 그 어떤 의미도 없는 설정이라는걸 아실텐데... 어떤 일반적인 게이머가 그래픽카드를 두개 이상 달고 씁니까? 그리고 내장그래픽이 존재해도 외장그래픽이 있으면 기본적으로 비활성화입니다. 내장그래픽이 존재한다고 그게 돌아가고있는게 아니에요 아.. 기본적으로 바이오스 자체에서 없는거나 마찬가지로 설정돼있어요.. 그 어떤 바보도 외장그래픽 놔두고 일부러 내장그래픽을 따로 활성화 시키지 않습니다. 위에 제가 따로 말한건 억지스럽게 그 바보의경우를 말한거구요.여튼 그 말도안되는 경우에 대비해서 있는 설정이고 다시말해 유저들한테 아무 의미가 없는설정입니다.. 본인 그래픽카드 가용률에 그 어떤 영향도 끼치지 못하는 설정이에요.. 그래도 아직 이해 못하신게 있으시다면 기꺼이 알려드리겠습니다
@@mmki3343 님 말씀은그래픽 설정이 외장이 2개 있을 경우에 해당 프로그램에 사용하고자 하는 그래픽 카드로 우선적으로 잡아준 얘기고
저분은 고성능 설정 시 그래픽 카드가 우선으로 잡아주고 가용률을 해당 앱에서 우선 적으로 잡아준얘기인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말만 다르지 같은 말씀이신거 같은데 그리고 두 분다 고성능은 아무 의미가 없다는 말씀이시고 저분은 직접 테스트 해 보신거 같은데 님은 해보셨나요?
그래픽 디자인용 컴퓨터라서 모니터 주사율이 60fps라면 큰 의미는 없을까요?
모니터 주사율이 60Hz여도 FPS가 높으면 높을 수록 무조건 좋습니다
60Hz면 60프레임밖에 안보이지 않나??
60프레임 고정
프레임이 60이상만 나오면 되죠 그이상은 어쩌피모니터가 못따라가는디
60이상만 나오신다면 굳이 의미는없습니다
구미호 요괴님 왜 저는 다른 해상도로 변경하면 무조건 30프레임이 될까요😢 원랜 60프레임으로 되있는데ㅠㅠ 도와주세요
ㅇㄴ 왤케 빨라
텐즈영상보고 만드셨나요?
저도 텐즈가 저렇게 해서 똑같이 했는데
딱봐도 텐즈영상 보고 만든거
30~60 이던게 120 까지 올라가네요 ㄷㄷ 이걸 이제 안게 너무 아쉽네 진짜 하 ㅋㅋ
제 설정에는 멀티스레드 렌더링이 없더라구요...
혹시 어떻게 해야 저 설정을 할 수 있을까요?
cpu의 쓰레드 갯수가 코어보다 2배여야합니다 ex) 4코어 8쓰레드 6코어 12쓰레드 등등 아마 본인이 사용하시는 cpu가 4코어 4쓰레드거나 6코어 6쓰레드이신거 같네요
@@xanK_vlrt cpu i5 - 8500에 그래픽 카드 RTX2060 쓰고 있거든요
이건 4코어 4쓰레드 같은 건가요?
@@Victor_9999 i5 -8500은 6코어 6쓰레드라서 멀티스레드 렌더링이 불가능합니당
제가 궁금한게있는데요.. 전원옵션에서 최고의 성능이 좋나요, 고성능이 좋나요?
둘다 똑같습니다. 다만 차이점은 하드디스크 끄기 라는 하나 의 차이점 일 뿐 프레임 차이 는 없고요. 궁금중 은 마이크로소프트 에서 이 기능을 만든거냐 인데 , 사실상 마이크로소프트 에서 숨겨둔겁니다. 고성능 만 으로도 충분하니까요. 뭐 심리적으로 하실거면 최고의성능 쓰시고요
@@xososxos 아 넵! 답변 감사합니다!~~
짜피 그 기능 프레임 상승에 별 도움 안되니까 암거나 써도 됨
원래 거기서 윈도우 옵션에서 고성능으로 놓는게 그 자체가 주목적이라기보다 바이오스에서 씨퓨 전력제한해제하려고 하는 옵션임. 자기 메인보드가 씹 저가형 보드가 아닌이상 전력제한해제 가능하니까 안하셨다면 알아보시길 성능차이 꽤많이남
최적화중에서도 실행파일 속성 최적화는 모든게임 통틀어 적용되는 중요한 설정입니다.
그거 건드리면 ㅈ되나요?
멀티슬레드 렌더링 없는 거는 무슨 상황인가요?
cpu 성능에 따라 보이지않는 옵션이기도 합니다 :)
정보) 절전모드 설정란에 고성능 옵션이 없는 사람들은 대개 노트북일 가능성이 높은데, 저전력 노트북인 경우다.
이는 락이 걸려있는건데 사실 뚫을수가 있다. 개인적으로 구글링해서 해결하긴 했는데 과정이 썩 간단하지는 않은데 따라가기만 하면 해결되는 수준이다.
혹시 자신이 정보검색에 취약하다면...🤔
락을 어케 뚫어요?
강의 영상이 누구 채널에 있는지 알려주세요
멀티스레드 렌더링이 없는대 뭔가요?
CPU 성능에따라 없을수도있어서 괜찮습니다 :)
혹시 발로란트 플레이어카드중에 mmxx에피소드1 카드 얻는법 아시나요?
이거 따라했다가 마우스 안되서 서렌쳐서 짐;;;;; 그리고 다시 다 원상복구 해놓음..
전 멀티스레드 렌더링이 없는데 어떻게해야하나요?
cpu의 쓰레드 갯수가 코어보다 2배여야합니다 ex) 4코어 8쓰레드 6코어 12쓰레드 등등 아마 본인이 사용하시는 cpu가 4코어 4쓰레드거나 6코어 6쓰레드이신거 같네요
@@xanK_vlrt i5-9600kf 인데 그럼 안 좋은건가요
혹시 저 반사 낮은 지연시간이 원래 있다가 갑자기 없어졌는데 혹시 이유가 있나요? 드라이버나 이런것도 항상 꾸준히 업뎃 했는데 갑자기 없어졌어요;
감사합니다. 덕분에 버벅거리던 발로란트가 매우 원할해졌습니다. 떡상 하세요
근데 프레임 끌어올려봤자 200헤르츠 안팎 모니터 쓸텐데 의미 없지 않나....?
잘 모르는사람들이 프레임이 주사율보다 높아지면 거기서부터 의미없는줄 아는데 전혀 아닙니다ㅋㅋ 알아보고 댓글다세요 좀.
이렇게 하고 난 뒤로 평소보다 알탭 했을 때 검은화면 나오는 시간이 길어졌는데 방법을 아시나요?
당연한거임 ㅇ 그게 잘 적용됐다는 증거에요. 전체화면최적화사용이 중지돼서 그럼. 컴퓨터 성능이 오직 발로란트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뜻
전체화면이라 그렇습니다
저는 멀티쓰레드렌더링이 없는데 어떻게해야하죠?
없어도 됩니당
저는 왜 멀티스레드 랜더링이 없는건가요? 총기 화면이깨지는데 이유를모르겠어요ㅜ
근데요. 그래픽카드 1660super인데 멀티스레드 렌더링이 안보이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원래는 있었는데..,
CPU 성능에따라 없을수도있어서 괜찮습니다 :)
모든 상황에서의 fps 제한 끄면 500쯤에서 컴터가 렉이걸리고 못버틸 경우는 어카죠
500fps가 나오는데 끊기면 워낙 fps가 높아 모니터가 감당못해서 프레임락이 걸리는겁니다.
멀티스레드 렌더링 안뜨는건뭐에요?
발로란트 그래픽 설정에서 멀티스레트 렌더링이 아예 없는데 그건 어떤 경우인가요 ㅠㅠ..
저는 멀리 뭐시기 랜더린 설정하는거 자체가 없는대 어케 만둘죠? 아님 사향따라 할수있ㄱㅎ없은건거요?
그거 컴마다 달라서 없는사람도있어요 정상입니다
@@9miho ㅇㅎ 감삼다 제 사향차이였군요 ㅋㅎ
저는 게임중에 알트+탭을 누르면 메뉴화면으로 나갔다가 다시 게임으로 돌아가면 렉이 걸리는데 이럴때는 어떻게 해야 되나요?
백그라운드 프레임 30에서 60으로 올려봐요
전체화면이라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당
근데 작업 관리자 세부정보에서 우선 순위할때 발로란트 실행 할때 마다 높음으로 바꿔야 하나요
제가 amd쓰는데 AMD High Performance를 써야하나요 고성능을 써야하나요?
5:07 여기서 발로란트exe는없고 그냥 발로란트라고만 써있는데 그거에 설정해놓으면 되나요
fps가 한자리수 까지 떨어졌는데 이거는 진짜 하고나니까 200까지 뛰네요 ㄳ
이방성필터링은 16x쓰는게 좋은게 16x써도 프레임 거의 인떨어지고 적이 더 잘 보인다 하네요😀😀
거의 안떨어지긴 하지만 프레임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기위해선 1을 쓰신걸꺼예요
멀리있는게 잘보이는거라 내려도 ㄱㅊ
그리고 이방성 16써야 텍스쳐가 안찌그러져요
1쓰면 소버린 고스트 찌그러지는것처럼
근데 발로란트는 워낙 저사양게임이라 적당한 게이밍 컴 성능만되면 쉽게 200프레임 이상 유지됨. 이마저도 모니터 사양이 안따라주면 어쩔 수 없고.
@@DDD-qt3fv 최적화가 잘 안돼있어서..
피시방에서 이 설정 고대로 다해봤는데 게임은 부드러워지는거같기도한데 오히려 프레임이 떨어지네요 이유가 뭘까요...
멀티스레드 렌더링이 안뜨는데 컴마다 다른가요?
CPU 성능에따라 없을수도있어서 괜찮습니다 :)
이방성필터링 이랑 그래픽 다 높음해도 프레임이 240이상 고정유지라면 딱히 할 필요가 없는 설정인건가요? 항상 궁금한게 모니터 주사율이 144 240 인 사람들이 많은데 프레임이 그 이상 특히 발로란트경우 400 500도 넘는 경우가 있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 설정을 하는것이 좋은지 아니면 굳이 할 필요없는 설정인지 궁금하네요
프레임이 높을수로 인풋렉도 줄어들기 때문에 저 설정해서 프레임 올리는게 낫지
모니터 최대주사율을 초과하는 프레임은 무용지물이라고 착각하는사람들이 있는데 실제로 게임해보면 144모니터로 150프레임나오는거랑 300프레임나오는거랑 인풋렉 정도 때문에 체감이 아예다름.
하드웨어 가속 GPU 일정 예약 꺼야하나요 켜야하나요?
평균 프레임이 40이나 올랐습니다 사랑해요
근데 해상도 낮추면 각독, 각폭, 각화살 같은 요소가 제대로 안됩니다..
남자는 샷발로 싸워야죠
ㅋㅋㅋㅋㅋㅋㅋ
요괴님 아직 스킨 정보는 유출된거 없죠?
벚꽃..
작업 관리자 할때 높음으로 설정하면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 수 도 있다고 뜨는데 이거 괜찮나요?
pc성능에 따라 천차만별이고 개인차도 큰 설정이라 정답은 없습니다!
그래픽 품질에서 '멀티스레드 랜더링'이라는게 뜨지않아서 그러는데 왜 안뜨는지 알수있을까요? 혹시라도 따로 보이게 하는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obo_e 저 RTX 3060 에 라이젠 3500x 쓰는데 왜 안되나요
FPS 70 -> FPS 240 사랑합니다
와... 구미호님 짱! 최적화 설정덕에 fps평균 수치가 60이상 올라갔네요 잘쓰겠습니다!
근데 요원 선택에서는 프레임이 200~300나오는데 인게임에서는 100안나와요 도와주실수 있나요?
2:18 이거 하신건가?
VALORANT.exe도 그래픽 설정 고성능으로 하나요?
네 그렇습니다
저 부계는 화질이 다른사람이랑 똑같게 선명하고 본계는 모든 설정을 건드리고 해상도도 높이고 해도 흐릿흐릿한데 왜이럴까요 모든 설정 다 똑같고 전혀 다른게 없는거 3번정도 체크했는데
멀티스랜더링 설정이없으면 어떻게 다시보이게하나요?
님 컴이 똥컴이라그럼
이설정이 핑한테도 영향이 있을까요...20을 넘을때가 너무 많고 끊기는게 체감이 심하게 되서
그건 인터넷 문제아님?
핑은 다른 창 다 끄고 발로만 남겨두면 어느정도는 해결 됩니다 안되면 랜선 끼셔야되고
@@kmiinh 맞아요 와이파이보다 랜선꼽는게 확실히 좋음
핑은 인터넷임 그리고 항상 20넘어도 실상 느끼는법은 14하고 별차이가 없었음 저는
발로란트 프레임이 원래 안그랬는데 어느순간부ㅡ터 90이 나오는데 컴터 문제인가요 발로란트 문제인가요./...?
진짜 감사합니다 ㅠㅠ 3080 성능을 풀로 쓸수 있게 되었어요
3080부럽다..
난 일체형컴터라 내장글칸디..
@@Behemoth565 정신연령이 잼인듯
와 3080 난 1080..ㅠ
@user-zq9hd2nr4w2080으로 해도 400프레임 나오던데
발로란트에 그래픽 들어갔는데 랜더링이 없는데 혹시 사라졌나요?
진짜 고마워ㅠㅠ이거 다하고 30프레임 얻었어 조금 더 원활하기 할수있겠네
찬
@@이태훈-p1j왈왈
구미호님? 그래픽은 어떻게 보는거에요?
인게임설정에있어요!
성능 좋은걸로 바꿔서 그래픽을 다 높음으로 올렸는데 스킨꼈을때 스킨 그래픽이 깨지던데 방법없나요?
스킨 관련 옵션은 없는거로 알고있습니당
2개월 전이라 도움이 될진 모르겠지만
아마 제가 생각하는 그래픽 깨지는거라면
인게임에서 이방성 필터링을 올려보시고 올렸는데 안된다면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이방성 필터링 설정을 건드려보세요
최신 2022 영상에선 게임외 설정 언급을 안 하시던데 더이상 필요 없는 건가요??
아니 와 이걸 이제 알려주시면 어떡해요..
19 i7 그램으로 평소에 발로란트를 돌리면 거의 최저 해상도에 낮출꺼 다 낮추고 해도 30~50프레임을 왔다갔다 거렸는데, 이거 따라하고 해상도 한단계 위에껄로 바꾸고 나서도 평소 30프레임 나올꺼 50까지 끌어올리고 프레임 한 4-50 정도는 올라간듯.. 와ㅋㅋㅋㅋㅋ.. 감사합니다 진짜 ㄷㄷ...
과장 아니라 갑자기 좋아짐 뭐지
저는 멀티스레드 렌더링이라는 설정이 뜨질 않네요
i5 6세대인데 좀 오래된 cpu라서 그런걸까요
근데 멀티스레드 렌더링이 없는 상항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멀티스레드 렌더링이 없는데...? 어떻해야 하나요?
CPU 성능에따라 없을수도있어서 괜찮습니다 :)
형ㅇㅇ 담스킨 뭐임’
지금 제핑이 1000이넘어가는데 똥컴은아닙니다. 핑어케 고치나요?
멀티스레드 랜더링이 없는건 뭐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