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의 기능적 조절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15

  • @블랙홀로다이빙
    @블랙홀로다이빙 2 роки тому +4

    감사합니다!!
    전도계 (conduction system) - 신경세포
    굴심방결절 (동방결절, sinoatrial, SA node)
    방실결절 (atrioventricular, AV node)
    bundle of his (방실다발, 심방간 중격 내의 방실결절(房室結節)에서 시작하여, 방실연결부를 통과하고, 심실중격의 막성부(膜性部) 상부의 우심실 심내막의 하방을 주행하는 심근섬유의 비정형적 소대(小帶).심실간중격의 근성부(筋性部) 상단에서 좌우분지로 갈라져, 좌우심실의 중격부 내를 하강하여 각기 좌우심실에 분포한다.)
    심장전도근육섬유 (푸르킨예섬유, purkinje fiber) - 심실수축

  • @cpt9350
    @cpt9350 3 роки тому +5

    아직 공부 전이지만 꼭 볼터니 계속해주세요~^^

  • @MANGCHI2-q7q
    @MANGCHI2-q7q 2 роки тому

    요가 공부하는 학생인데요 해부학 공부하는데 아주 큰 도움이 됩니다
    명쾌한 강의 정말 고맙습니다!!

  • @hkkim6115
    @hkkim6115 3 роки тому +2

    와...교수님.....사랑합니다!!! 강의 너무 좋아요!!!!!!

  • @dldlOejej20374w
    @dldlOejej20374w Рік тому +2

    교수님 그러면 굴심방 결절이 스스로 심장의 박동을 만들고 자율신경계가 굴심방결절을 통해 박동의 속도를 조절하는것인가요?
    교재에는 굴심방결절이 심방 활동의 속도를 결정하는 박동조율기 역할을 한다는데 그러면 교감신경과 부교감 신경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 @bobaetv
      @bobaetv  Рік тому

      자율신경이 굴심방결절의 주기를 결정하는거죠.
      교감신경이 흥분되면 굴심방결절을 더 자주 자극 되게 하겠죠?
      부교감신경은 반대고요~

    • @dldlOejej20374w
      @dldlOejej20374w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교수님! 헷갈렸던 부분이 해결되었습니다

  • @babo7979
    @babo7979 2 роки тому

    교수님, 감사합니다 혹시 저 프로그램 이름과 얻는 방법을 알려주실수 있으신지요?

  • @루힐블
    @루힐블 Рік тому

    감사!

  • @poodle.youngae-lee
    @poodle.youngae-lee 3 роки тому +3

    넘나이해가잘더ㅟ요 곧기말인데 참고로보고잇어요!

    • @bobaetv
      @bobaetv  3 роки тому +1

      기말도 대박나세요~^^

  • @poodle.youngae-lee
    @poodle.youngae-lee 3 роки тому +2

    선생님 지금 헷갈리는게
    심실확장기(심실이완) 에 방실판막열리고 반달판막 닫히는것 맞나요?

    • @bobaetv
      @bobaetv  3 роки тому +1

      네 맞습니다.
      그래야 심방에서 혈액이 심실에 전달되고
      동맥으로 나간 혈액이 역류되지 않겠죠~

    • @poodle.youngae-lee
      @poodle.youngae-lee 3 роки тому +1

      @@bobaetv 네 감사합니다 ㅜㅜ 그럼 마지막으로 심장전체가이완될때는 방실이랑 반달판막 모두 닫히는건가요?

    • @사민주의
      @사민주의 10 місяців тому

      ​@@poodle.youngae-lee꼭지근이 이완되어 방실판막(삼첨판,이첨판(승모판)은 열려있게 되고, 심실에 혈액이 채워지지만 반월판막을 밀어낼정도의 압력은 되지않기때문에 다음 사출기가 오기전까지 반월판막은 닫혀있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