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4 셔먼(Sherman) part 2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5
  • 2차대전 미군의 주력전차

КОМЕНТАРІ • 109

  • @whateverittakes8968
    @whateverittakes8968 4 роки тому +37

    유럽에선 최약체였던 내가 태평양에선 세계최강?!

    • @tainlessolivine5782
      @tainlessolivine5782 4 роки тому +10

      일번애들상대로는 그시절 유럽에 굴러다니던 전차 뭘가져가도 양학이었죠...
      근데 준수한성능의 셔먼이니...

    • @salut3719
      @salut3719 4 роки тому +2

      셔먼은 유럽에서도 티거 판터 빼면 최강.

    • @어에-r7y
      @어에-r7y 4 роки тому +2

      @@salut3719 티거 판터 IS 처칠 퍼싱 얘들 빼면 셔먼이 좋음

    • @whatever-it-takes
      @whatever-it-takes 4 роки тому +2

      @@tainlessolivine5782 셔먼이 저평가되는게 좀 있어서ㅠ

    • @hwhsjsiwjsjwhjw
      @hwhsjsiwjsjwhjw 4 роки тому +1

      @@tainlessolivine5782 호랑이를 너무 잘만들어 버림

  • @블로킹잘했던사람
    @블로킹잘했던사람 4 роки тому +18

    최고의 정비성, 넉넉한 엔진 스팩과 서스팬션, 여유로운 설계구조가 2차세계대전 이후에도 셔먼전차는 전장에서 살아남았죠.

    • @salut3719
      @salut3719 4 роки тому +3

      2차대전 최고의 전차인듯요. 단지 운용의 장점을 떠나 수퍼셔먼 등등으로 개량되면 킹타이거랑를 능가할 정도의 업글유연성도 지녔으니 ...
      무엇보다 저렇게 오랜기간 여러나라에서 많이 활약한다는 자체가 명품.

    • @13무명씨
      @13무명씨 4 роки тому

      6.25초반 저 전차라도 제대로 운용할 능력이 있었다면 처할아버지가 그렇게 돌아가셨겠나?

    • @포카포-q1y
      @포카포-q1y 4 роки тому

      나만 저말이해 안되는건거 처할아버지가 누구야

    • @G80G70
      @G80G70 4 роки тому

      @@salut3719 최고라고 하기엔 쫌... 걍 미국판 t34라고 하는게 적합할듯. 유럽전선에서 적당한 가격에 적당하지만 아슬아슬한 성능이었지 않을까여?
      물론 태평양 전선에선 무적이었지만서도..

    • @salut3719
      @salut3719 4 роки тому

      ​@@G80G70 판터랑은 몰라도 t34랑은 급은 같지만 모든 면에서 셔먼이 좋습니다. 또 최고라는 의미는 1:1 최강이라는 의미가 전혀 아닙니다...판터가 1:1의 성능이야 가장 좋지만 아무도 최고라고는 안하지요.

  • @dugo7119
    @dugo7119 Рік тому

    솔직히 대전기만 아니라면 m4셔먼은 충분한 개량인게 맞는말이죠. 다만
    노르망디 이후 라인강까지... 주력인 3기갑사단 셔먼편제가 230대즈음인데... 완전터진거 + 못쓸만큼 터진게 1300대라던가? 노르망디때 상륙했던 기갑대 인원은 다죽었단 소리임.
    후반기 판처슈렉 성형작약탄 t34 케이스봐도 겉엔 엄지손가락만한 구멍이 뚤렸는데 안엔 파편으로 무조건 다죽는다던..
    또 당시 미군 전차 정비인원.. 구난전차로 창에 끌고오면(살릴수 있는거) 일단 맨첨하는게 안에 시체꺼내고 안에 닦는건데. 무조건 다죽는거고 파편이 워낙튀어 아무리 닦아도 전차 안에 살점이 있었다던.. 워낙 전차병이 많이죽어서 고치고 현장 부대로갈때 정비인원이 운전해서 넘겨졌다더군요.
    태평양전쟁은 막바지 이오지마 대전차지뢰나 오키나와 때 희생정도가 좀 희생 다머진 대학살수준 털고다녔다던..막판 88미리ㅡ90미리?대공포개량한걸 그제서야 사용했다던

    • @SMC-v3p
      @SMC-v3p 7 місяців тому

      다 죽었다기보단 대부분 병원신세라고 하는게 정확함. 생각보다 "사망자" 수는 별로 없었음. 2차대전 전체 기간동안 미군 전차병 사망자 수는 비전투손실을 합쳐도 2천이 안됨

  • @Hodol_Brick
    @Hodol_Brick 4 роки тому +23

    셔먼전차 이야기 즐겁게 잘보았습니다. 독일의 티거전차와 판터가 BMW와 벤츠와 같이 고급승용차라면 셔먼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쉐보레 말리부를 대량으로 만든 느낌이네요. ㅎㅎ

  • @최세용-d7q
    @최세용-d7q Рік тому

    이지에잇에 대해서도 많이 다르신듯

  • @dugo7119
    @dugo7119 Рік тому

    2차대전(유럽+독소전)경우 초창기만 전차활극찍었지 중반지나면 어디서 뭐 날라올지몰라 항상 조심조심모드.. 일반보병이 남긴 일기인지봐도 얘들 엄청불쌍하다. 한발움직일때도 조심조심이고. 거의 안에 불타서 처참하게 죽는다. 대충 이런식 기술

  • @rlawjdan22
    @rlawjdan22 4 роки тому +14

    셔먼에다가 17파운드를 장착한 영국대체...

    • @El-of7bc
      @El-of7bc 4 роки тому +5

      유고슬라비아인들은 소련제 122mm포 달음ㅋㅋㅋㅋ

  • @Wüstenfuchs-x2b
    @Wüstenfuchs-x2b 4 роки тому +4

    티이거. 판터등 독일 명전차의 위용에 눌려 유럽에서 동네북이었지만 태평양 전쟁에서 종이짝같은 일본전차를 상대로 괴물으로 돌변한 녀석

  • @골드러쉬-e7n
    @골드러쉬-e7n 4 роки тому

    독일전차 당시에 그냥 깡패
    둥글이 셔먼의 고통의 시간
    퍼시픽에서 셔먼으로 쨉들 전차 뚜껑딸때 쾌감 끝내줬는데 8:28

  • @shinshin367
    @shinshin367 4 роки тому +2

    실전에서 최고전차를 만들필요가 없음 생산성이 탁월한 준수한 전차를 만들면 우수한 탱크를 다구리칠수있지 그 예로 소련의 T-34의 물량공세

    • @박희수-t8d
      @박희수-t8d Рік тому

      가장 좋은 게 최고의 전차를 대량생산해서 상대국전차를 다구리치는 거..가장 좋은 사례가 미국주도 중동연합국 소속 7군단이 쿠웨이트에서 이라크 전차사단을 격파한 거 인명피해가 1명전사 30명 부상 적 사단 2개 증발

  • @betman6145
    @betman6145 4 роки тому +1

    M4 firefly fury 에 나오죠 ㅎㅎ
    M4 A3 는 배우고 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날개달린닭다리
      @날개달린닭다리 4 роки тому

      퓨리는 미군 배경이라 firefly는 안나온거 같은데요 혹시 어떤 장면에서 보셨나요?

    • @betman6145
      @betman6145 4 роки тому

      @@날개달린닭다리 포신보면....firefly임..주인공이 타는탱크

    • @날개달린닭다리
      @날개달린닭다리 4 роки тому

      @@betman6145 머즐브레이크 보면 파이어플라이가 아니라 이지에잇 입니다. 그리고 영화 소개에도 퓨리를 m4a2e8로 했다고 적혀있습니다.

    • @stoner63a9
      @stoner63a9 3 роки тому

      @@betman6145 그건 17파운더 포가 아니라 M1 76MM 장포신 주포임.

  • @3000basara
    @3000basara 4 роки тому +23

    굳이 따지자면 동체급에선 우수한 전차죠. 맨날 티거, 판터 이런거랑 비교해서 부족하다고 하는거지..비교할만한 동체급전차는 4호전차죠. 실제로 동급인 4호전차보다 훨씬 뛰어나고 T-34와 비교해도 훨씬 준수한 성능을 갖췄죠.

    • @박성빈-x5z6e
      @박성빈-x5z6e 4 роки тому +5

      ㄹㅇㅋㅋ
      40톤따리 중형전차를 5~60톤 나가는 중전들이랑 붙여놓으니 구려보일수밖에

    • @풍류-o9f
      @풍류-o9f 4 роки тому +1

      미들급한테 헤비급하고 붙어보라고 하는자체가 말이안돼죠 ㅋㅋ

  • @Realbye1
    @Realbye1 4 роки тому

    와! 첨알았내요 이지에잇을 우리나라에서도 운용했었다니~

  • @SCREAMING_PIGGY
    @SCREAMING_PIGGY 4 роки тому +1

    애초에 티거, 판터를 상대할 만한 전차가 미군의 M26, 소련의 IS2 밖에 없었죠

  • @최세용-d7q
    @최세용-d7q Рік тому

    재밌게 봤는데 ㅠ. 구독자가 늘지않는이유가 있는듯하네요 이런 유트브 보시는 분들은 어느정도 지식이 있는데 막다른 부분이 너무많으시네요 전쟁끝나서 300대가 우리나라에 공유? 그래서 t34에 그렇게 당했나?? 좀더 알아보시고 프로그램을 만드신다면 더욱 구독자가 늘어나실듯하네요 틀린게 상단히 많으신듯 하네요

  • @questionmark.1266
    @questionmark.1266 4 роки тому +6

    셔먼이 그래도 좋은 전차입네 쓸만하네 얘기해봐야 전장에서 티거 판터 상대로 아무것도 못하고 죽어나갔을 전차승무원들을 생각하면 그다지 동의하지 못하겠음. 적당히 좋은 성능으로 많이 만들겠다는건 인력과 장비를 잃더라도 전쟁만 이기면 된다는건데 이건 어찌보면 인명경시라서...

    • @nyaong2391
      @nyaong2391 4 роки тому

      그래도 그건 현대식 전쟁에서의 생각임
      세계대전때의 총력전에서는 별로 큰의미가 없는 숫자임

    • @arnulfadler2380
      @arnulfadler2380 4 роки тому +2

      @@nyaong2391 독일은 시대를 앞서갔으며, 현대 시대를 만들었으며, 공산주의의 세계 지배를 향한 힘을 대폭 약화시켰다. 독소전쟁 이전과 이후의 1920년생의 소련 남성 인구를 비교한 경우만 보아도 70%가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15%는 중상을 당하거나 불구가 되었다. 소련의 20대 남성 계층은 절반 이상이 제거되었고 후에 참전 보상과 미국과의 영토 협상 차원에서 받은 땅 이상으로 소련이 더 이상 확장하지 못하고 몰락하는 데에도 지대한 역할을 했다. 독일이 독소전쟁에서 승리했다면 중국이 공산화 되지도 않았을 것이며 한국전쟁은 없었을 것이며 한반도가 분단되지도 않았을 것이다. 미국이 일본을 지원하는 대신 한국에 더 지원하였을 것이다. 현대 세상의 유대-볼셰비즘의 악마 같은 세계 지배 계획 역시 물거품이 되었을 것이다.

    • @YooHJun
      @YooHJun 4 роки тому

      그건 사실과 다른 얘기입니다. 티거가 장갑도 두껍고 화력이 좋았지만 교전비가 뛰어난건 소련전선에서 훈련 질이 떨어지는 소련 전차장과 질 나쁜 소련 전차 때문이고 티거는 실제로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처럼 2차대전 팔방미인이라기 보단 장갑과 화력을 위해서 많은걸 포기한 전차입니다. 무겁고 툭 하면 고장나서 아군의 인명손실을 단기간에 줄이는 전격전에 어울리지 않았고 시가전에서 보병과 합도 좋지 않았습니다. 티거안의 승무원만 볼게 아니라 티거를 지원해야했던 보급인력과 보병을 생각하면 셔면의 전술적 가치가 더 높습니다.

    • @남호양-m5z
      @남호양-m5z 2 роки тому

      과연 티거 판터 만나서 갈려나갔을 m4셔먼 승무원이 많았을까요 m4셔먼 만나서 갈려나갔을 장갑차 트럭 알보병 포병이 많았을까요? 그리 생각하면 답이 나오죠

  • @Skjdvdm
    @Skjdvdm 4 роки тому +10

    독일 기갑전력이 오버파워 였던거지 독일이 4호, 소련이 T-34 미국이 셔먼 이렇게 사용한다면 어느정도 위력을 발휘했을텐데 말이죠

    • @thebravegallade731
      @thebravegallade731 4 роки тому +2

      초기 4형은 대보병용이였고, 후기 대전차 4호로 가면은... 점셔 아님 그냥 뚤림

    • @박희수-m1q
      @박희수-m1q 4 роки тому

      근데 독일 입장에서는 양산량에서 처지니 오버스펙을 추구할 수밖에...적당한 무기 쥐어주고 적이 적당한 무기로 상대해주길 바라면 안되죠.

    • @3000basara
      @3000basara 4 роки тому +1

      실질적으로 주력은 4호전차가 맞죠. 티거, 판터 이런애들이 무용담이 많아서 그렇지 실제 생산댓수는 그리 많지도 않고 오히려 모든 전장에서 굴러다녔던 주력전차는 4호전차였죠.

    • @thebravegallade731
      @thebravegallade731 4 роки тому

      @@3000basara
      근데 초기형 4호와 후기형 4호와의 차이는 넘사벽이라... 초기형은 m3와 싸워도 힘든데 후기형은 75셔먼정도는 오히려 우위를 점함.
      76셔먼은 대적햐야 할 상대는 판터.

    • @3000basara
      @3000basara 4 роки тому +1

      ​@@thebravegallade731 기왕 비교할거면 양쪽다 후기형으로 76미리 셔먼이랑 4호G형정도로 비교해줘야 셔먼이 덜 억울하죠ㅎㅎ. 사실 판터, 티거는 퍼싱이 상대해줘야 되는데 배송이 늦어져서ㅜㅜ

  • @한대웅-h6q
    @한대웅-h6q 4 роки тому +1

    76mm장포신... 크고 아름다워

  • @kimwoojin7471
    @kimwoojin7471 4 роки тому +2

    아이고 셔붕아!

  • @rlawjdan22
    @rlawjdan22 4 роки тому +1

    태평양에서는 그리날아다녔는데 유럽에 도착하자마자 4호,티거 ㅋㅋ

  • @ncr117
    @ncr117 4 роки тому

    사실 76mm 포단 시점에도 독일 전차들이 개박살나 얼마 안있던 시점이어서 소용없었다는 셔먼의 슬픈전설......... 막판에는 독일도 거의 보병만 남아서 자국민들에게 엽총이나 영국의 생산력 오지는 스텐 기관단총 겨우 줬는데 셔먼이 관통력이 뛰어난 76mm 대전차용 포를 달고 있으니 욕을 많이 먹었다하죠 걍 차라리 75mm 고폭탄 계속 쓰지......

  • @징어와문어
    @징어와문어 4 роки тому +3

    치하는진짜 사람살도 관통을못함

  • @남자탁용삼
    @남자탁용삼 4 роки тому +3

    M4셔먼전차 장점과 단점은 뭘까요 ~*~?!

  • @whateverittakes8968
    @whateverittakes8968 4 роки тому +4

    셔먼,...제가 제일 좋아하는 건데 티거에비해 약해서 ㅠㅠ

  • @notank2634
    @notank2634 4 роки тому

    미국이 셔먼 대신 티거생산했으면......어후소름끼쳐ㅋㅋ

    • @박희수-m1q
      @박희수-m1q 4 роки тому +1

      퍼싱이 있었는데 양산 결정이 늦었죠, 굳이 티거 쓸 필요 없었...

    • @notank2634
      @notank2634 4 роки тому

      @@박희수-m1q 그건 저도 알고있습니다ㅎㅎ 다만 티거를 대량으로 생산했다면 어떨지 생각해 본 것뿐입니다

  • @사망자
    @사망자 4 роки тому

    유럽경전차셔먼 태평양중전차 셔먼

  • @shorthamstere318
    @shorthamstere318 4 роки тому +2

    태평양전선 셔면:치하딱대 ^^l발
    유럽전선셔면:ㅗㅜㅑ 티거다빨리 무스탕불러

  • @tainlessolivine5782
    @tainlessolivine5782 4 роки тому

    상대가 중전차급인 판터나 중전차인 티거라 그렇지
    4호나 t-34 사댕하기엔 충분하죠

  • @notank2634
    @notank2634 4 роки тому +1

    9:33 저거 설마 그유명한 썬더볼트인가?

  • @Akimond033
    @Akimond033 4 роки тому +4

    미국이 기술력이 딸려서 셔먼을 만든게 아닙니다 화물선에 선적하기 위해 크레인제한중량 40톤 이하에서 만들어야 했기때문입니다

  • @김기현-f8u
    @김기현-f8u 4 роки тому

    현대 M1에이브람스와 레오파르트2가 맞붙으면 어떻게 될까

    • @jaeminkim13
      @jaeminkim13 4 роки тому +2

      제 생각에는 레오파르트 2요 ㅋㅋ

    • @김기현-f8u
      @김기현-f8u 4 роки тому

      @@jaeminkim13 현대전차전은 누가 먼저보고 먼저 쏘느냐에 승패가 좌우되죠. 다만 에이브람스는 열화우라늄 장갑과 탄을 쓰는 데다 실전경험이 풍부한 검증된 전차라서 숙련도로 보면 에이브람스가 우위일 듯 해요

    • @jaeminkim13
      @jaeminkim13 4 роки тому +1

      @@김기현-f8u 그쵸 근데 미국의 자본(보급) 덕분에 미국의 전차가 더 유명해진듯해요

    • @jaeminkim13
      @jaeminkim13 4 роки тому +1

      @@김기현-f8u 그리고 제 주관적인 생각이랍니다^^

    • @tainlessolivine5782
      @tainlessolivine5782 4 роки тому +4

      근소하게 에이브람스가 이길겁니다
      열화우라늄과 네트워크전장비가 씹사기템이라...
      특히 네트워크전은 에이브람스가 최강이라고 평가받는 이유이기도하죠

  • @firesword5199
    @firesword5199 4 роки тому

    셔먼이 좋다.

  • @쿨레체체
    @쿨레체체 4 роки тому +1

    셔먼탱크 만세@@@@@@@@@@@@@@@@@@@@

  • @호이-m7s
    @호이-m7s 4 роки тому +4

    아까부터 밀리터리 유툽 광고에 프럼프가 선거 도난당했다고 광고하네 시불0

  • @천궁-c4t
    @천궁-c4t 4 роки тому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전날 이집트에 도착한 100대가 바로 전선에 투입됐는데 다음날 100대가 전멸당한걸로 아는데요.. 미영의 물량전에 승리한거 아닌가요?

  • @user-ci3xf3bj1e
    @user-ci3xf3bj1e 4 роки тому +1

    스테빌 좋아

  • @user-ci3xf3bj1e
    @user-ci3xf3bj1e 4 роки тому

    이게바로 태평양 중전차 !!!!

  • @메멜
    @메멜 4 роки тому +2

    2스라엘:하하하하하하

  • @av8871
    @av8871 4 роки тому +1

    우리 지군단은 몃몃 대원만 빼면 무기박물관이랑 손을잡고 십습니다

    • @어에-r7y
      @어에-r7y 4 роки тому +1

      ㅈㅂ 다른 상관없는 채널 말좀 하지마

    • @av8871
      @av8871 4 роки тому

      @@어에-r7y 동맹 무시=전쟁 사작

    • @어에-r7y
      @어에-r7y 4 роки тому +1

      @@av8871 뭔 컨셉질이야 그 채널에서 서로 놀고 있는데 굳이 과몰입 해서 이러는건가

  • @ldhkorea84
    @ldhkorea84 4 роки тому +2

    쌀국의 탱해전술

  • @애용애용쓰
    @애용애용쓰 4 роки тому

    3호 전차라고 하고 2호 전차라고 합니다

  • @jeong-heelee4911
    @jeong-heelee4911 4 роки тому

    이스라엘의 마개조 셔먼은 더 좋음

    • @Lacring
      @Lacring 4 роки тому

      전설의 105미리 아이셔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