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stry of the 'Blood-sweat Horse and the Three Kingdoms!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About Ahalteke and the most beautiful horse in the world, a blood-sweat horse!
    I'm sure we had a great plan before we started.
    but when we got started, we ended up with a video that barely talked about chemistry...!!!
    A video that just wanted to talk about the Three Kingdoms!
    Acid Blood and the Hippopotamus: • 산성 혈액을 갖는 동물은 무엇이 있을까?...
    Three Kingdoms Chemistry (Dongtak): • (삼국지) 동탁의 몸 속 지방으로 촛불을...
    #chemistry #hippopotamus #ahalteke #three kingdoms #red soil #blood #sweat #science #optics #fiber optics #refraction #parasites

КОМЕНТАРІ • 21

  • @김운석-d7j
    @김운석-d7j Рік тому +2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 @thesider75
    @thesider75 Рік тому +2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 @던힐프-e8b
    @던힐프-e8b Рік тому +2

    👍
    항상 잘보구 있습니다.

  • @khpark7100
    @khpark7100 Рік тому +1

    교수님, 감사합니다.

  • @Claude461
    @Claude461 Рік тому +2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 @신동기-c8x
    @신동기-c8x Рік тому

    모두에게 널리붙었다면 그말에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였을건데,유력하다 에서 갸우뚱

  • @CounterFire_
    @CounterFire_ Рік тому

    교수님의 의식의 흐름대로 가는 이야기 너무 좋습니다

  • @onezero3175
    @onezero3175 Рік тому +1

    영상 재밌고 유익해요 기대 됩니다
    앞으로도 많이 올려주세요 ^^

  • @반달곰-x5q
    @반달곰-x5q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말이 나와서 우마무스메인줄 알았는데 아니었군요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금나라돌격기병대
    @금나라돌격기병대 Рік тому +1

    한무제가 그토록 탐내서 결국 대완국을 약탈해서 빼앗았던 한혈마들. 진짜 한무제가 그토록 욕심을 낸 이유가 있었던듯 ㄷㄷ 그렇게 한무제가 빼앗은 한혈마들은 한나라 기병대의 말이 되서 나중에 흉노제국과 전쟁할때 군사력 우위를 가질수있었다함.

  • @리정-j4x
    @리정-j4x 2 місяці тому

    아할테케는 천리마이고, 페르가나 말이 대완마입니다. 한혈마는 부여의 명마였습니다. 품종이 모두 다릅니다. 성격이나 특징도 다릅니다.

  • @ryudaewan
    @ryudaewan Рік тому +2

    오늘은 광학 & 생물 시간이네요 :P 굽을 완(宛) 자는 자주 보는 글자는 아닌데...

  • @asdf73737
    @asdf73737 Рік тому +2

    ㅎㅎㅎㅎ 실패영상이라니용 재밌게보고갑니다

  • @퐈이리화낫다
    @퐈이리화낫다 Рік тому +1

    적토마가최고

  • @이은우-y5o
    @이은우-y5o Рік тому +3

    삼국지 이야기 할때 뭔가 목소리가 좀 더 텐션업 된거같아요 ㅋㅋㅋㅋ

  • @임창순-g7s
    @임창순-g7s Рік тому +4

    교수님 존경합니다. 물리 화학 생물 다방면에서 박학다식 합니다. 이내용 처음 들어보네요 책에서도 읽지 못했어요 조금은 이해 되지 않는 내용도 있어요 앞쪽에선 임계각보다 작다면 굴절이 일어나고 크면 반사가 일어난다고 하셨는데 어떠한 재질과 굴절률로 이루어졌는가에 따라 반사되는 임계각이 달라진다고 하셨어요 여기까지 수긍 갑니다. 임계각이 작을수록 반사되어 광채로 느낀다고 하셨네요 말의 털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 졌다면 굴절률차이로 더효과적인 빛의 반사가 가능하다고 하셨습니다. 다른 내용 같아 자세히 알고 싶어요

    • @chemophilia
      @chemophilia  Рік тому +2

      임계각이 작으면 임계각보다 작은 입사각의 빛들이 더 많으니 반사가 수월합니다.

  • @고대경-b6d
    @고대경-b6d Рік тому

    아할테케의 조상은 아라비안 말 이라는 설도 있고 아라비안 말과 몽골 조랑말, 유럽말이 합쳐서 나온 것이 아할테케 라는 설도 있습니다. 우리 토종 제주마와 한라마를 아할테케와 교배 시키면 지구력이 강하고 튼튼한 좋은 말이 나올 것 같네요. 제주도 루시타노 목장에 아할테케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ottogibob
    @ottogibob Рік тому +2

    하마처럼 땀처럼 붉은 무언가가 섞인 땀을 흘리나 했는데 그냥 아니었군요.
    어쩃든 잘 봤습니다 ㅋㅋ

  • @5sungAndAngles
    @5sungAndAngles Рік тому +1

    보니까 삼국지 말들은 다 갈기가 멋졌네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