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나체크 "신포니에타" JW VI-18 | Janacek "Sinfonietta" JW VI-18 |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чер 2024
  • 수익 창출을 하지 않는 채널입니다.
    - 영상에 게재되는 광고는 “제 의도와 무관”하게 유튜브 저작권 규정상 자동으로 붙습니다.
    00:00 Sinfonietta JW VI-18: I. Allegretto - 팡파르
    02:17 Sinfonietta JW VI-18: II. Andante - 브르노 성
    08:02 Sinfonietta JW VI-18: III. Moderato - 여왕의 수도원
    13:26 Sinfonietta JW VI-18: IV. Allegretto - 성으로 가는 길
    16:11 Sinfonietta JW VI-18: V. Andante con moto - 브르노 시청
    라파엘 쿠벨릭 (지휘)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
    1981
    1926년, 72세의 노장 야나체크는 그가 평생 추구한 음악세계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대작을 선보였다. 이 기념비적인 작품이 바로 5악장으로 구성된 "신포니에타"이다. 열렬한 민족주의자로서 조국의 독립을 염원해온 야나체크는 1918년 오스트리아 제국의 붕괴와 함께 독립을 선언한 체코슬로바키아가 나날이 눈부신 발전을 보여주는 것에 고무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이 열정적인 노장은 자유를 되찾은 국민들에게 바치는 축제의 음악을 작곡 하고자 결심했다. 이렇게 완성된 "신포니에타"는 처음에는 1926년의 체조 축제 행사의 팡파르로 연주되었고, 이후 5악장으로 확대된 개정판으로 출판되었다. 초연 직후부터 열렬한 환호를 받은 "신포니에타"는 오늘날 야나체크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손꼽히고 있다.
    "신포니에타"는 새롭게 도약하는 조국, 체코슬로바키아에 바치는 축배와 같은 작품이다. 야나체크는 오프닝의 화려한 팡파르를 중심적인 모티브로 사용하여 전체 악곡에서 체코슬로바키아 각지의 활기찬 모습을 회화적으로 그리고 있다. 그는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는 모라비아의 수도 브르노를 중심으로 자신이 사랑하는 조국의 도시들을 생생한 음향으로 그려간다. 교향곡의 형식을 따르면서도 각 악장의 전개는 특정한 형식패턴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롭게 펼쳐진다. 금관성부에 무려 25명의 연주자를 배치한 이 대규모의 작품은 대담하고 혁신적인 음향을 구현하고 있다. 야나체크는 새로운 시대를 맞은 용감하고 활기찬 국민들에게 무한한 애정과 아름다움을 느꼈고, 이 벅찬 감정을 "신포니에타" 속에서 환희의 음향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면서도 이 벅찬 승리의 기쁨을 특유의 조밀한 구조로 그려냄으로써 노련한 거장의 면모를 보여준다. 오프닝의 팡파르 모티브는 모든 악장을 지배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통일성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1악장: Allegretto - 팡파르
    금관과 타악기만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승리의 기쁨을 알리듯 화려한 팡파르를 제시한다.
    2악장: Andante - 브르노 성
    목관성부에서 빠른 오스티나토 주제를 연주하면서 시작된다.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브르노 시의 정경을 그린 듯하다. 후반부에서는 보다 서정적인 선율이 전개되면서 브르노 시에 대한 야나체크의 따뜻한 애정을 보여준다.
    3악장: Moderato - 여왕의 수도원
    고요한 현악성부의 연주로 시작하여 장엄한 트롬본의 음형으로 이어진다. 이 트롬본 선율은 춤곡풍의 흥겨운 음악으로 전개되면서 축제의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4악장: Allegretto - 성으로 가는 길
    왕궁으로 향하는 행렬을 찬란하게 표현하고 있는 4악장은, 화려한 트럼펫의 팡파르를 통해 독립과 자유를 성취한 체코슬로바키아인의 승리를 인상적으로 그려낸다.
    5악장: Andante con moto - 브르노 시청
    피날레 악장은 관습적인 형식과는 달리 느린 템포로 시작된다. 오프닝의 팡파르 선율을 역행시킨 주제선율로 고요하게 시작된 음악은 곧이어 승리의 기쁨으로 가득 찬 화려한 피날레로 진행한다. 오프닝의 팡파르 선율을 현악성부와 관악성부가 현란한 장식음과 함께 제시하면서 환희에 넘치는 피날레를 연출한다.

КОМЕНТАРІ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