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판님 입장에서 저 상태를 셋업 정지동작으로 보셔서 계속 보크 주시는 겁니다 정지동작에서 투구 또는 축발 (오른발)을 플레이트에서 뒤로 빼버리면 투구안해도 되고 견제도 가능인데 저런 습관은 아예 처음부터 안하시는게 맞고 저렇게 받게 못하겠다 하시면 양발을 11자가 왼발을 미리 오픈 하시는것도 방법입니다 무엇보다 제일 중요한건 미리 글러브에 손을 안넣는게 중요합니다 오해소지나 인상적인 장면을 안주시는게 맞아요 심판님들도 그 잔상에 꽃히면 자동 반응으로 콜 나옵니다 ㅎㅎ
셋포지션에서 어깨춤 추는 인간도 태반임 용병이나 연습게임 할 때 상대투수가 보크 달고 던지는 투수들 수도없이 봄 연습이라 항의는 아니고 알려줘도 들을 생각이 없는 놈들이 그중에 반임 아 몰랐어요 하는 분은 고쳐지는데 그러시먼 안대요 하고 심판이나 상대가 알려주면 뭐래는거야 하는 놈들 많음 사회랑 사야는 다르지 않음 병.신들이 절대 안 고칠려함
2개를 어김 우선 양 발이 마운드와 평행인 상황인데 이건 세트 포지션으로 던져야 하는 상황이고 1. 한 손이라도 신체 옆에 붙은 채로 대기해야 함 2. 손을 모아 들어갔으면 몸 뒤로 발을 내딛어 스텝 밟는 게 금지 그걸 지키기 어렵다면 간단히 "세트 포지션 안 들어감" 통보하면 됨. 이러면 어떻게 서든 와인드업 규정.
사회인 야구 이제 막 시작하고 얼마 안된 분들이 다 누구나 그랬듯 투수에 대한 로망 있죠. 근데 굉장히 신경써야할 게 많은 게 투수임. 저 부분도 타자 상대하고 주자상황 복잡하고 하다보면 배웠더라도 몸에 충분이 익지 않으면 실수할 가능성 많음. 그래서 애초에 젊은 친구들 투수자원으로 키울 때 아예 셋업으로만 던지게 가르치는 경우도 많음. 보크도 종류가 여러가지인데다, 주자상황이 어떻냐에 따라 견제동작도 우투기준 1루 견제만 일관적이고 2루 견제, 정면바라보는 3루 견제, 좌투기준에서 1루 견제는 또 방법이 선택적이고. 볼을 기깔나게 던지는 것, 중요하지만 그러기 전에 공부하고 연습 많이 해야합니다 투수
해당 자세는 '주자가 있을때' 와인드업이 아닌 세트 포지션으로 간주해야하는 룰 때문에 그렇습니다. KBO 규정 5.07 (2) [원주] ~~~ 주자가 있는 경우 투수가 중심발로 투수판을 밟은 채 평행하게 두고 자유로운 발을 투수판 앞에 내딛는 경우 이 투구는 세트 포지션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주자가 있을 때 저 자세는 와인드업 처럼 발을 뒤로 뺐다 던질수가 없습니다.
규정에 있는 와인드업은 투수가 마운드에서 포수방향으로 정면을 바라보며 양발이 플레이트를 밟거나 자유발이 플레이트 뒤로 빠져서 시작하는걸로 적혀있을겁니다 영상속의 투수는 세트포지션으로 처음 들어간 상태에서 자유발을 스트레치 했기때문에 이중동작으로 보크가 적용된것이구요 일단 많은 사람들이 와인드업에 대한 정확한 규정을 모르고 있는것이고 세트포지션에서 자유발을 스트레치하여 던지는 방식의 와인드업은 류현진 선수가 기존에도 물론 사용했지만 MLB 진출하면서 사람들이 쓰기 시작했죠 다만, 류현진 선수는 주자 없을때만 쓰고 주자 있을때는 안합니다 와인드업을 많은 사회인야구장에서 특히나 주자 만루시 세트포지션으로 들어가 와인드업 하는것을 로컬룰 마냥 인정을 해주다보니 영상 이외에도 구장에서 시비가 많습니다. 심판도 한번정도는 마운드까지 가서 설명을 해주었다면 어떨까싶네요 ㅎㅎ 영상속 투수도 와인드업에 대한 정확한 규정을 숙지한다면 달라질겁니다 그리고 와인드업에서도 견제가 가능합니다. 포수 사인을 받을때 투수가 손을 모으지 않은 상태까지 가능하고 손을 글러브로 모아 투구가 진행되면 그땐 견제가 불가능 합니다 야구를 잠시 중단한지 오래라 보시고 문제되는 부분은 잘 아시는분이 수정해주시리라 믿습니다😅😅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했죠 연습 시합하면 반바지 입은 투수 모자 안 쓰고 나오는 투수 운동화 신고 나온 투수 선그라스 끼고 나온 투수 등등 보는데 무조건 쌉병신 취급합니다 솔직히 바람막이.입은 투순 추워서 입을 수도 있지 하고 생각할 순 있음 근데 시합에서 상대가 벗으라고 하면 영하10도에서도 투순 바람막이 벗어야댐
보크 자체는 주자가 있을때만 성립되는 룰입니다. 다만 첫번째 투구 때는 주자가 없었고 이때는 투수가 투구판과 양 발을 평행하게 둔 채 손을 모으고 투구를 시작해도 자유발을 한발 뒤로 뺐다가 앞으로 던지는 와인드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주자가 생기게 되면 투구판과 축발을 평행하게 두고 앞발을 투구판 앞에 둘 경우 반드시 셋포지션으로 간주하게 됩니다. 따라서 저기서 자유발을 뒤로 빼는 것은 셋포지션에선 금지되므로 피처보크가 선언된 것 입니다.(이때 와인드 업을 하고 싶다면 자유발을 투구판의 앞이 아닌 옆이나 뒤에 두고 시작하거나 축발을 투구판과 평행하지 않게 두고 투구를 시작해야 합니다.)
@@강철발톱-m1s 이 분 말씀이 아주 자세히 말씀해주셨네요, 영상에서의 투수는 와인드업도 셋포지션도 다 성립하지 않음. 와인드업하는데 몸통은 이미 옆으로 돌아가 있잖슴. 애초에 와인드업만 할 투수였으면 준비자세부터가 성립하지 않으니 심판이 계속 지적하는 겁니다. 팀에서 올라가서 알려주든지 하라고,
여러분들 이게 사회인 야구 현실입니다.ㅋㅋ 하는거 보면 진짜 스트라이크 볼 비율은 1:9, 터무니없는볼에 헛스윙, 견제는 무조건 빠지고, 도루는 100% 성공이며, 평범한 플라이는 적시타로 만들어버림.. ㅋㅋ 이따위로 하면서 주말 아침에 돼지국밥집에 유니폼입고 단체로 그날경기 리뷰하고 있음 ㅋㅋㅋ
투수님이 조금 오해의 소지가 있게 셋포지션을 잡고 계셔서 그러신듯 하고 조금 가혹하게 보크규정을 적용하신듯요 포수에게 리턴 볼 받고 플레이트 밣은 상태에서 양손을 모으고 있는 상태에서 바로 플레이콜 듣고 와인드업 자세인데 시간차이 문제는 아니지만 양손모으고 있다가 콜 듣고 바로 와인드업 하면 냅둬도 될듯하고 와인드업하면 주자들 도루하면 되니 손해볼것도 없을듯 하구요 저 같으면 플레이콜 후 충분히 시간을 줬는데도 셋 유지하다 와인드업 하면 보크 주겠습니다 그리고 경기 운영 차원을 위해서라도 투수사기를 위해서라도 한번 정도만 하고 이닝 종료 후 알려주는게 좋을듯 합니다
일단 저실력으로 정식경기 마운드에 올라가보겠다는 깡하나는 인정
심찬판 잘하네요. 저런건 계속 보크 줘야 고칩니다.
투구 실력을 떠나,주자 있는 상태에서 투구 방법을 전혀 모르고 있는데...포수라도 좀 알려 줘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身為一個投手自己要去學習及思考……
怎麼會叫一個野手教一個投手如何處理……
저 구속에 ㅋㅋ 로진이 진짜 개그임 ㅎㅎ😂
보통 저정도 사회인 야구(4부)에서는
보크라고 설명해주고 한번 경고만 주고
그다음에 주자 걸어나가게 하는데
심판님 얄짤없으시네
근데 뭐 설명해줘도 못알아 먹으니 ㅋㅋㅋㅋ
경고만 주면 상대팀 난리나요😊
상대 감독이 빠삭하면 심판 미쳤냐고 싸움남 ㅋㅋ
3번을하는데 먼얄짤이없어 루리라는게있는데 실력없다고 봐주면 그게 룰인가
심판이 충분히 설명해 준것 같은데 투수가 이해 못한듯.
주자가 없으면 아무 문제가 안되지만 주자 출루시 이중 동작으로 보크.
싸인을 받고 발이 평행한 상태에서
잠시 멈추고(셋 포지션)
상체가 한번 숙여지고 왼발을 뒤로 빼고
나서 투구를 하시는게 습관인듯 하네요.
투구를 잘못하고있음
상체를 한번 숙이고 발을 뒤로 빼고 투구하려면 공이 글러브에 들어가는거와 동시에 상체를 한번 숙이면서 발을 뒤로 빼야 보크선언이 안됨
@@jaehee90 그게 아니라 와인드업 포지션이 아니라 세트 포지션에서 발 뒤로 빼면 안되는것 아닌지 주자 없을때는 괜찮은데 주자 있을때는 안됨
글러브에 손 짚어넣고 앞발빼면 보크임
집어넣기 전에 미리 빼두거나
집어넣는 동작과 발빼는 동작을 동시에 해야함
자막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내보내야지 자막을 제대로 읽죠 ㅎㅎ
투수가이해못한걸 표현한듯
@@sggom 오! 천잰데?
타임!!!!! 유튜버 보크!!
주자가 있다해서 꼭 셋포지션으로 던지라는 법은 없습니다 와인드업으로 던져도 됩니다 중요한건 양발이 홈플레이트방향에 일자로 있는 상태에서 글러브에 공을 넣고 잠시라도 멈추면 셋포지션으로 간주되기에 왼다리는 드는순간 투구방향으로 나가야됩니다 투구를 바로해야 된다는거죠 근데 왼발을 뒤로 뺏기에 보크가 되는거죠
주자있는데 와인드업하면 그냥 도루하란거지요 ㅋㅋ
@@악덕이-n9q그니깐요..주자있다고 와인드업으로 하지말란 법은 없으나 왼발 빼는순간 바로 뛰어버리죠..
고로 영상에 투수는 룰이나 게임진행에 대해 많이 무지한거 같네요
많이 봐줬다 쳐도 인간적으로 두번째 보크 받았으면 뭐가 잘못 되었는지 물어보거나 팀원들이 알아서 말해줬어야 하는거 아니냐 ㅋㅋㅋㅋ
이건 뭐 아무도 몰랐다는 말 밖에 안되네 ㅋㅋㅋ
이거ㅋㅋ심판 주자없어서 보크 안 불때부터 주자만 나가봐라 너 뒤졌다하고 기다렸을듯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주자가 없을때도 보크가 선언되나요?보크는 너무 어려워 ㅠㅜ
@@아방스키보크는 주자 있을때만 선언됩니다
근데 주자 없는 상황에서 영상에 투수가 던지는 자세는 상관없지않나요??
@@글렌버기주자가 없을땐 보크선언 안됩니당 투수중 특이폼으로 던질경우는 주자가 없을때만 그렇게 던진다네용
주자가 없을때 일리걸피치가 있습니다.
잘안나오지만 일리걸피치 경고를 받은후 재차하면 볼이 선언되고 주자가 있을때 일리걸피치는 보크로 선언됩니다
로진 기똥차게 바르고 한번을 못던지네요 ^^
잘보고 갑니다
주자 나갔는데 와인드업 하는거 부터가 야구 처음 시작하시는 분 같네요
이건 사회인에서 꽤나 있는데..
주자 나가고 어줍잖게 셋포지션 하다가 제구 털리고 만루 주고나서 제구라도 제대로 되라 와인드업.
심판님 입장에서 저 상태를 셋업 정지동작으로 보셔서 계속 보크 주시는 겁니다 정지동작에서 투구 또는 축발 (오른발)을 플레이트에서 뒤로 빼버리면 투구안해도 되고 견제도 가능인데 저런 습관은 아예 처음부터 안하시는게 맞고 저렇게 받게 못하겠다 하시면 양발을 11자가 왼발을 미리 오픈 하시는것도 방법입니다 무엇보다 제일 중요한건 미리 글러브에 손을 안넣는게 중요합니다 오해소지나 인상적인 장면을 안주시는게 맞아요 심판님들도 그 잔상에 꽃히면 자동 반응으로 콜 나옵니다 ㅎㅎ
받게 밖에를 헷갈리다니..
왼발을 뺀건데요
@@user-mr7fj3hi8t왼발뺀거면 그냥 와인드업한건데 와인드업이지 이게 왜 보크인거죠?
@@윤시-d2e
처음 자세가 셋포지션 자세잖아요.
셋포지션에서는 바로 투구를 해야합니다.
셋포지션에서 와인드업으로 들어가서 보크인거죠.
@@윤시-d2e 준비자세(사인받는자세)에서 세트포지션이나 와인드업으로 전환하고 던져야하는데 세트포지션에서 사인보고 와인드업으로 전환된 동작이라 보크죠.
오른손투수일 경우 볼을잡고 어깨등을 잠시 멈춘 동작을하고 오른발 빼지 않은 상태에서는 외발 움직임후에 투구를 해야한다.
보크도 보크지만 보크가 아니어도 주자 1,2루에 와인드업을 하려했다는게..감독이나 포수 다른 팀원들은 모하냐. 같은걸로 3보크당할때까지..
4부이하리그에서 주자 3루나 풀베이스때 은근 저렇게 셋에서 와인드업으로 투구하시는분들 많으시던데
셋포지션에서 어깨춤 추는 인간도 태반임
용병이나 연습게임 할 때 상대투수가
보크 달고 던지는 투수들 수도없이 봄
연습이라 항의는 아니고 알려줘도 들을 생각이 없는 놈들이 그중에 반임
아 몰랐어요
하는 분은 고쳐지는데
그러시먼 안대요 하고 심판이나 상대가 알려주면
뭐래는거야 하는 놈들 많음
사회랑 사야는 다르지 않음
병.신들이 절대 안 고칠려함
오른손으로 던지는 투수들은 오른발을 고정하고, 왼발은 자유발이다. 셋포지션부터 던지기 전까지는 어느 발이라도 움직이면 아니되, 공을 놓으면 보크를 피할 수 있습니다.
상상도 못랬닼ㅋㅋㅋㅋ3보크😂
심판 존나 잘하네 ㅋㅋㅋㅋㅋ
근데 야알못으로써 궁금한점 보크는 투수에게 어떤 유리한점이 있길래 생긴 규정인가요? 던지는척 속임수가 가능해서 그런건가?
주자가 도루 타이밍을 재고 있는데 투수가 견제를 할지 투구를 할지 애매하게 행동하는 것을 막기 위한 룰입니다! 그래서 주자가 없을 시에는 투구동장 관련 어떤 동작도 상관없습니다!
@@Non-Fighter 아 그렇군요 보크가 없으면 도루 절대 못뛰겠군요
@@별시민 그쵸 아무래도 주자 입장에선 견제를 하는건지 투구를 하는건지 더욱 헷갈려지니깐요ㅎㅎ
주자기만입니다
타자기만이기도 한데
사야는 대충 뛰어도 살지만
프로는 0.1초 싸움으로 도루가 성공합니다
그래서 주자들이 미묘한 타이밍을 재는데
투수들이 멈춤 동작 정확하게 하고 안 던지고
껄떡껄떡 거리면서 갑자기.던지면
주자는 뛸 수가 없습니다
야구 규정이 공격쪽을 우선시 하기 때문에~기만행위~
즉 야구에서 투수가 제일 피곤하고 힘든 포지션임~반면에 공격쪽은 그냥 꿀빨지~ㅋㅋㅋㅋ
2개를 어김
우선 양 발이 마운드와 평행인 상황인데 이건 세트 포지션으로 던져야 하는 상황이고
1. 한 손이라도 신체 옆에 붙은 채로 대기해야 함
2. 손을 모아 들어갔으면 몸 뒤로 발을 내딛어 스텝 밟는 게 금지
그걸 지키기 어렵다면 간단히 "세트 포지션 안 들어감" 통보하면 됨. 이러면 어떻게 서든 와인드업 규정.
세트포지션 안들어감 -> 도루 무한 허용
@@BTY0utube 그래서 그걸 이용하는 투수는 거의 없음
기본도 안되어있는 선수를 투수로올린 팀이 더 문제다
그니까 손이 합쳐진 이후(와인드업) 앞발을 계속 움직여서 투구동작 외 행동으로 계속 보크인거죠?
주자가 없을시 아무런 문제가 안됨.
주자가 있을시 셋 포지션 에서 1초 이상 정지 동작 후 투구를 해야 하며..
혹시 견제를 할경우에는 앞발이 아닌 파처플레이트 를 밟고 있는 발이 먼저 떨어지고 견제를 해야 함.
즉 이중 모션 은 타자 기만 행위로 보크임..
주자있을시 마운드판 밟은 상태면 반대발은 공을 던질 방향으로 내뻗어야함.
사회인 야구 이제 막 시작하고 얼마 안된 분들이 다 누구나 그랬듯 투수에 대한 로망 있죠. 근데 굉장히 신경써야할 게 많은 게 투수임. 저 부분도 타자 상대하고 주자상황 복잡하고 하다보면 배웠더라도 몸에 충분이 익지 않으면 실수할 가능성 많음. 그래서 애초에 젊은 친구들 투수자원으로 키울 때 아예 셋업으로만 던지게 가르치는 경우도 많음.
보크도 종류가 여러가지인데다, 주자상황이 어떻냐에 따라 견제동작도 우투기준 1루 견제만 일관적이고 2루 견제, 정면바라보는 3루 견제, 좌투기준에서 1루 견제는 또 방법이 선택적이고. 볼을 기깔나게 던지는 것, 중요하지만 그러기 전에 공부하고 연습 많이 해야합니다 투수
셋업 상태에서 왼발을 빼서 보크인건가요?
공이 글러브에 들어가는순간 정지상태(셋업),
셋업 상태에서 발이 뒤로 빠지니 이중모션 보크입니다
저럼식으로 던지려면 손이 글러브에 들어가는 동시에 뒷발도 함께 움직여야 이중모션 보크선언이 안됩니다
세트 포지션 들어갔는데 다리를 왜 빼냐고 ㅋㅋㅋ 그리고 그립 고치는 모션도 너무 커서 저걸로도 보크 나올듯
투수 습관이네~~
글러브와 손이 합쳐지면 동작 극조심해야 할듯~무조건 보크임
싸인 주고 받을 때는 항상 글러브와 분리 되는 습관을 가져야겠네~
~견제할때는 디딤발 조심ㆍ셋포지션일때 몸 돌릴때~그래서 습관이 무섭단다~~
셋포지션에서 투구 동작들어가면서 와인드업자세가 되어버리네 ㅎㄷㄷ
저런것도 모르고 마운드를 올라간다고..?
감독이 타임 한번 불러주고따로 설명을 해줬어야 함
투수코치나 포수를 애초에 올려야되는거 아님? 보크 처음 나왔을때부터?
해당 자세는 '주자가 있을때' 와인드업이 아닌 세트 포지션으로 간주해야하는 룰 때문에 그렇습니다.
KBO 규정 5.07 (2) [원주] ~~~ 주자가 있는 경우 투수가 중심발로 투수판을 밟은 채 평행하게 두고 자유로운 발을 투수판 앞에 내딛는 경우 이 투구는 세트 포지션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주자가 있을 때 저 자세는 와인드업 처럼 발을 뒤로 뺐다 던질수가 없습니다.
MLB에서도 해당 규정은 동일합니다.
단, 사전에 혹은 주자가 이동한 즉시 심판에게 와인드업만 사용하겠다고 통보하면 와인드업으로 간주되고 해당 룰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이 설명이 제일 정확합니다..
이 규정을 근거로 주자 있는 상황 시 투수의 투구자세가 와인드업/셋포지션인지를 결정하고, 셋포지션인 상황에서 바로 투구하지 않고 자유로운 발을 빼니 보크인 것
멈춤 동작 전에 발 뒤로 빼는 와인드업 하는건 상관없나요?
@@행은롤링핀 정확히는 손을 모으기 전까지는 괜찮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ㅋㅋ 이제는 주자있을때 와인드업하면 보크임? 개좆망겜됬네
주자있는데 와인드업이라고 보크가 아니라
이미 포수 시선 볼때 셋포지션 발모양인데 거기서 또 발을 빼버리니 이중 동작으로 봐서 보크임
굿.선출인데 이게정답임
ㅋㅋㅋㅋ주자있는데 와인드업 들어가는거 부터가 ㅋㅋㅋㅋㅋㅋㅋ그와중에 셋 포지션에서 와인드업으로 포지션 체인지 트렌스포머도 울고갈 변형임 ㅋㅋㅋㅋㅋ근데 사야인중에 저런 사람 많음
이제부터 알아가는 야구시간
와인드업 동작이 아니고 셋포지션 동작에서 저렇게 하면 보크죠.
용병경기에서는 상관없지만리그에선 이러시면 안되조😅
그러나 엄밀히 냉정히 따지면 보크 적용할수 있습니다 마운드 첫 등판이라 던지는거에 급급하고 볼넷나오니 미안하고 해서 셋으로 던지면 볼 안날라갈것 같고
심파님은 자꾸 큰소리로 머라 하시고 하니 멘탈 나가셨을듯요 그러나 심판학교에서 그리 배워요 투수님이 싫으셔서 그러는게 아닙니다 ㅎㅎ
투수라고 올라갔으면 기본적인 룰은 인지하고 올라가야지...
어? 이거 이중동작 맞아요? 셋포지션에서 와인드업들어갔다기보다는 그냥 와인드업으로 들어갔다고 보는게 맞지 않아요?
두손을 모은 순간 투구동작 시작입니다
두손을 모으면서 동시에 자유발을 빼야 와인드업이죠
@@ooooooooooooo1 아닙니다. 저건 주자가 있기 때문에 투구판에 축발을 평행하게 두고 자유발을 앞에 둬서 반드시 세트 포지션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규정 때문에 그렇습니다.
와인드업과 셋의 구분은 투수판에 어떻게 서있냐에 달라지는 겁니다. 발을 뒤로 뺀다고 와인드업이 아님
세트포지션에서 와인드업으로 전환하면 보크죠. 근데 주자가 있는데 왜 저렇게 던지시지...
루틴이 지리네
이미 글러브에
손이 들어가고 정지동작에서 와인드업을해서 2중동작으로 보는거 아닌가요??
발을 마운드에 평행으로 놓고(세트 포지션) 와인드업해서 보크
주자 없을 땐 어떻게 놓든 와인드업이지만, 주자 있으면 아님
이거 옛날 임찬규 보크하고 같은 상황인거죠?
완전 다름
자막이 뒤에서부터 흐르게 하면 ㅇ ㅓ쩌라는 겁니까? 자막 보크~
규정에 있는 와인드업은 투수가 마운드에서 포수방향으로 정면을 바라보며 양발이 플레이트를 밟거나 자유발이 플레이트 뒤로 빠져서 시작하는걸로 적혀있을겁니다
영상속의 투수는 세트포지션으로 처음 들어간 상태에서 자유발을 스트레치 했기때문에 이중동작으로 보크가 적용된것이구요
일단 많은 사람들이 와인드업에 대한 정확한 규정을 모르고 있는것이고
세트포지션에서 자유발을 스트레치하여 던지는 방식의 와인드업은 류현진 선수가 기존에도 물론 사용했지만 MLB 진출하면서 사람들이 쓰기 시작했죠
다만, 류현진 선수는 주자 없을때만 쓰고 주자 있을때는 안합니다 와인드업을
많은 사회인야구장에서 특히나 주자 만루시 세트포지션으로 들어가 와인드업 하는것을 로컬룰 마냥 인정을 해주다보니 영상 이외에도 구장에서 시비가 많습니다.
심판도 한번정도는 마운드까지 가서 설명을 해주었다면 어떨까싶네요 ㅎㅎ
영상속 투수도 와인드업에 대한 정확한 규정을 숙지한다면 달라질겁니다
그리고 와인드업에서도 견제가 가능합니다.
포수 사인을 받을때 투수가 손을 모으지 않은 상태까지 가능하고 손을 글러브로 모아 투구가 진행되면 그땐 견제가 불가능 합니다
야구를 잠시 중단한지 오래라 보시고 문제되는 부분은 잘 아시는분이 수정해주시리라 믿습니다😅😅
한탐 사회인야구하던 십년전쯤에 투수가 바람막이 입으면 개폐급이라 그랬는데, 지금도 그러는지 모르겠네..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고 했죠
연습 시합하면
반바지 입은 투수
모자 안 쓰고 나오는 투수
운동화 신고 나온 투수
선그라스 끼고 나온 투수
등등 보는데 무조건 쌉병신 취급합니다
솔직히 바람막이.입은 투순 추워서 입을 수도 있지 하고 생각할 순 있음
근데 시합에서 상대가 벗으라고 하면 영하10도에서도 투순 바람막이 벗어야댐
근데.. 2번째 보크 걸렸을땐 포수가 좀 올라가서 알려주지..투수가 아예 투수 기본 룰을 모르는 초보같은데
투수가 준비가 안되면 올라가지 마아앙~~~😅
투구 준비동작 했을때 이중동작을 하면 보크
심판 잘하네
아무리 용병야구라도 투수기본정도는 숙지하고 올라가시는게...
가만히만있으면 볼넷의 연속 1회 콜드게임 ㅋㅋ
사회인야구에서 회사인이 친목야구를..... ㅜㅜ
근데 투수가 투수규정을 모르는건 좀...
포수분도 두번째때 올라가서 얘기해줘야지... 팀원들 다 아무도 안알려주네요...
저분은 투수하기전에 우선 투수 규정부터 숙지하셔야 할듯
모르는건 창피한게 아닙니다 모르면 알려고 해야지 심판님도 알려주는데 한귀로 듣고 흘리고 모르면 왜 주자가 한루 진루했는지 뭐가 위반인지 물어봅시다 좀...
유희관선수가 희망을 준거같아요
투수 포지션이면 보크 개념을 아셔야 되는데
이럼 사실 첫번째 투구도 보크였던거죠...? 주자가 없어서 아무 일도 없었을 뿐?
보크 자체는 주자가 있을때만 성립되는 룰입니다.
다만 첫번째 투구 때는 주자가 없었고 이때는 투수가 투구판과 양 발을 평행하게 둔 채 손을 모으고 투구를 시작해도 자유발을 한발 뒤로 뺐다가 앞으로 던지는 와인드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주자가 생기게 되면 투구판과 축발을 평행하게 두고 앞발을 투구판 앞에 둘 경우 반드시 셋포지션으로 간주하게 됩니다. 따라서 저기서 자유발을 뒤로 빼는 것은 셋포지션에선 금지되므로 피처보크가 선언된 것 입니다.(이때 와인드 업을 하고 싶다면 자유발을 투구판의 앞이 아닌 옆이나 뒤에 두고 시작하거나 축발을 투구판과 평행하지 않게 두고 투구를 시작해야 합니다.)
당연한 이야길. .
뒷발뺀다고 왜 보크입니까?
뒷발빼고 다른 베이스로 던지려하면 보크지 주자있다고 와인드업한다고 보크는 아닙니다
그게아니라 뒷발빼기전에 이미 셋업을 했자나요 거기서 뒷발을 빼니 보크죠. 공을 저렇게 글러브에 넣고 있음 거기서 움직이면보크입니다
주자 있을 때 "나 세트 포지션 안 던져요" 라고 심판에게 알리거나 투구판 올라갈 때 양 어깨가 홈을 향해야 와인드업으로 간주하지 저건 세트 포지션이구만
@@강철발톱-m1s 이 분 말씀이 아주 자세히 말씀해주셨네요, 영상에서의 투수는 와인드업도 셋포지션도 다 성립하지 않음.
와인드업하는데 몸통은 이미 옆으로 돌아가 있잖슴. 애초에 와인드업만 할 투수였으면 준비자세부터가 성립하지 않으니 심판이 계속 지적하는 겁니다. 팀에서 올라가서 알려주든지 하라고,
@@WelcomePyoker 왜 모르면서 나대고다녀요. 몸통돌아간건아무상관없고 글러브 손 모으고 셋포지션들어간채로 발뺀게 문제인겁니다.
4347형같이 모르는데 개나대는인간때메 사회인야구하다 빡치는경우가 한둘이아님.
모르면 나대지말고 걍 좀 배우세요
ㅋㅋㅋㅋ 같은편이 좀 가르쳐줘라 ㅋㅋ
양손을 모은 셋포지션에서 발을 왜 뺌?
와인드업이랑 셋포지션이랑 투구를 똑같이하시네.. 셋포지션 투구를 배우셔야할듯 아직 규칙을 잘 모르시는분같은데 지나친 욕설은 하지 마십쇼
우리 팀 선발도 저런적 있었는데 ㅋㅋ
자막 길게나올때 왜 반대방향으로 가게한거지….
이게 왜 보크인가요?? 오른발 분명 계속 붙어있는데??
이건 뭔..
아니 3루나 23루 이럴때는 왼발 빼도 되지않나?? 와인드업하기전 왼발빼는 자세 저게 문제라는건가???
발먼저빼고 글러브에손을넣어야 안보크
내가투수시작할때저래서보크먹음
근데 저게 와인드업인데 주자있다고 와인드업하면 보크임? 그냥 견제못해서 주자가 뛸수있는거아닌가 규정바뀜?
여러분들 이게 사회인 야구 현실입니다.ㅋㅋ 하는거 보면 진짜 스트라이크 볼 비율은 1:9, 터무니없는볼에 헛스윙, 견제는 무조건 빠지고, 도루는 100% 성공이며, 평범한 플라이는 적시타로 만들어버림.. ㅋㅋ 이따위로 하면서 주말 아침에 돼지국밥집에 유니폼입고 단체로 그날경기 리뷰하고 있음 ㅋㅋㅋ
웃긴건 저런 레벨 놈들이
프로야구 보면서 지적질함
보크가 먼지, 인플드필라이가 먼지
낫아웃도 이해도 못하는 것들이 꼰대딜 하는게
이곳임
4부는 제가 안 뛰는 이유입니다
실력이 떨어지는 거 뿐 아니라
매너도 4부임
그재미로 하는거지뭐~
그냥던지지 와인드업는 어자피 제구도 안되면서 참
아...... 셋포지션 들어가서 와인드업으로 바뀌어서 보크 😂
베터리 싸인이후 셋포지션 들어가서 볼을 글럽에 넣다뺐다(이것도 보크) 하다가 앵 왜 갑자기 와인드업으로...이것도.보크
2보크때 포수가 올라가 줬어야지..
왼발이 문젠거죠?
셋업동작에서 발을 ㅋㅋ
기본이 안되어있네.... 어떻게 마운드에 선거지???
투수 던지는거 보면 실력 알만하다..아리랑 던지면서 레진을 왜 묻히는지..1루 주자가 있는데 와인드 업은 왜 하는거지??
주자3루에 와인드 하는데 왜 보크줌?
셋을하고 왜 발을 빼시는걸까요
투수님이 조금 오해의 소지가 있게 셋포지션을 잡고 계셔서 그러신듯 하고 조금 가혹하게 보크규정을 적용하신듯요
포수에게 리턴 볼 받고 플레이트 밣은 상태에서 양손을 모으고 있는 상태에서 바로 플레이콜 듣고 와인드업 자세인데 시간차이 문제는 아니지만 양손모으고 있다가 콜 듣고 바로 와인드업 하면 냅둬도 될듯하고 와인드업하면 주자들 도루하면 되니 손해볼것도 없을듯 하구요
저 같으면 플레이콜 후 충분히 시간을 줬는데도 셋 유지하다 와인드업 하면 보크 주겠습니다 그리고 경기 운영 차원을 위해서라도 투수사기를 위해서라도 한번 정도만 하고 이닝 종료 후 알려주는게 좋을듯 합니다
저게 정확한 콜입니다. 보크로 판정하지 않으면 오심이 됩니다.
주자 있을시에는 투구판을 밟은채 평행하게 두고 자유로운 발을 투구판에 내딛는 경우에는 반드시 세트 포지션으로 간주해야합니다. KBO 규정집 5.07 (2) 세트포지션 원주를 참조하세요.
@@MrWhiteCloudy 맞습니다!!
운동하기전 지식공부좀...
투수 고집 있네ㅋㅋㅋㅋㅋ
깐깐하시네 ㅋㅋ 보통 저정도했으면 가까이가서 알려주는데 상대팀도 충분히 이해하고 ㅋ
이건 보크 아니라도 어차피 다음 베이스 편하게 도루로 진출.
루상에 주자가 있는데 와인드업 피칭 이라니.
자막 좀 제대로 넣어주세여
3보크 뭐냐ㅋㅋㅋㅋㅋ
셋모션 에서 바로투구해야지
셋모션에서 다리빼며 와이인드
업 자세로 가니~
투수하고싶죠 포수한테공만던진다고 되는게아닙니다 더배워서 마운드올라가세요
규칙좀가르쳐주고시켜라
셋포지션에선 투구 외에 그어떤 작은 움직임보크입니다
(프로에서 어깨 살짝 움직이는 걸로도 보크잡음)
투수가 셋포지션 들어갔는데 발을 뺌
정지동작이후 투구를위한키킹이나 견제를위한 발동작이 아닌경우 보크입니다
애초에 주자가 있으면 발빼기 안하지않나?ㅋㅋㅋㅋㅋ
같은팀이 잘 갈켜주셨어야 ㅎ
저쪽팀 팀원 전부 상황파악도 못하는듯. 같은보크 두번 나오면 우선 팀원이라도 다시 설명해줘야지. 걍 다 생각이없는거 같다.
기본적인 것도 모르는데 투수로 올린건 저팀이 문제다. 저리되면 저 투수는 트라우마 걸릴듯.
보크 3번으로 멘탈 나갔을텐데.
그나저나 주자가 있는데 왜 와인드업을 할려고 하는겨??? 최소한 기본적인건 가르치거나 배우고 합시다. 상대팀에 대한 매너를 생각합시다.
머ㅡ
굳이 보크 선언 안해도 투수 발 뒤로 빼는순간 주자뛰어도 도루 100%성공할듯 ㅎ
포크 아닙니다 심판 잘못한듯 와인업은 포크 아님
아직 야구하심?😂
주자 3루에선 됩니다...
야구 안배웠고 초보인데 그럴수도 있죠 리그 아니면 어디가서 야구 하나요? 비난하시는 댓글들 전부 선출이신가요? 궁금하네요.
요즘은 아리랑볼도 투수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