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월성 지하에서 나온것, 우중답사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5
- #경주 #경주여행 #월성 #우중답사 #신라
#역사 #여행 #역사이야기 #사적돌 #답사 #답사여행
#문화재 #국가유산 #역사여행 #한국사
#korea #travel #history
#korean historical places
#south korea history
#south korea travel
#ancient korean history
#korea history
#korea countryside travel
▬▬▬▬▬▬▬▬▬▬▬▬▬▬▬▬▬
사적돌 모든영상이 동의없이 AI 프로그램의 자료로 사용되는것을 거부합니다.
대부분의 영상자료는 자체 촬영 및, 획득한것입니다.
드론 촬영의 경우 반드시 비행허가, 촬영허가를 득한것입니다.
요청지는 가능한 방문합니다, 순서는 출장에따라 아주 다를수 있습니다.
공식명칭, 공식용어를 기본으로 하되, 쉽게 풀이한 단어를 사용하겠습니다.
발굴상황, 정보공개, 저작권, 등 제반 여건에 따라 제작이 불가한 경우가 있습니다.
상기한 이유로 고증과 일치하지않는 자료, 소수의견, 해석 등이 등장할 수 있습니다.
차별, 혐오 욕설 등 다른 구독자분들께 폐를 끼칠수 있는 댓글은 예고없이 삭제됩니다 😌
즐겨 시청해 주심 감사드립니다. 관리에 더욱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
사용된자료
해당 유적지 발굴조사보고서
한국민족대백과사전
국사편찬위원회 사서자료
사용된지도
국토지리정보원 www.ngii.go.kr...
구글맵스 www.google.co....
구글어스 www.google.co....
사용된이미지
국가유산청 www.cha.go.kr/...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
위키미디어 commons.wikime...
사용된음악
Inconsciousness - Mini Vandals
사용된소스
[Video Source Support]
UA-cam channel "freeticon" : / freeticon
▬▬▬▬▬▬▬▬▬▬▬▬▬▬▬▬▬
영상은 당연히 항상 좋고 목소리도 좋지만 이번에 추적 추적 내리는 빗소리 너무 좋네요
오 어서오세요 😄 저도 빗소리 참 좋아라합니다
영상 분위기는 좋은데,촬영 하시느라고 고생 했습니다!
저도 이달 첫 주말에 다녀왔는데 비오는 아침 월정교가 참 아름답더군요 2층에 못 올라가봐서 아쉬웠지만 관리자분께서 일찍 열어주셔서 아무도 없는 월정교를 가족끼리 걸어보는 경험도 참 좋았습니다
와 좋네요😄 특별한 경험입니다
좋은 영상과 차분한 목소리는 언제나 최고입니다👍
맘에드신다니 다행이네요😄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주변 사람에게도 추천하고 있구요. C지구 발굴조사 참여했던 사람으로써 아직도 새로운 유구들이 나오고 있으니 놀랍네요.
오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아잌ㅋ 이런거보면 경주 한번 더 가야하잖아요 ㅋㅋ 아직 월성을 걸어본 적이 없는데 한번 더 가봐야겠어요. 비오는데 촬영하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오 답사채널의 목적이 달성됐네요😄
내고향 경주네요 얼마전에 애들이랑 첨성대 다녀 왔습니다
경주김씨라 자랑스럽게 느껴지네요
잘 보고 갑니다
경주는 현재 우리나라 문화의 근간이 되었지요😌
탐사 다니는 파란 모자 쓰신분 고생 많았습니다 비오는데 우산도 않쓰고 찰영하시느라 수고 하셨네요
더욱 열심히 다녀오겠습니다😌
지지난 주 도리 은행나무숲에 사는 벗과 월성과 월정교를 걸었습니다
수 많은 시간들이 스쳐가는 기분이었는데 참 아름다웠습니다
오 경주가주는 매력이네요😄
힐링되네요
아무도없는 월성이라니 흔치않지요😄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빗소리가 운치를 더해주네요. 그런데 고생은 많으셨겠네요. 영상 볼때마다 감사합니다.
방수포를 준비못해서 터치노이즈가 좀 들어갔습니다😅
내 고향 경주 ❤
오 시청감사드립니다😌
안강구성은 처음들어보는데 네이버나 구글링을 해봐도 자료가 전무하네요!
매우 관심이 갑니다! 빠른 영상 업로드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영상시청하며 매번 느끼지만 지식이 정말 대단하신거 같습니다❤ 귀한 영상 을 집에서 편하게 볼 수 있음에 감사드립니다.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 생각의 여지를 주시는 모습이 진정한 학자의 모습이십니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경주는 갈 때 마다 늘 새롭게 다가오는 곳이죠.
항상 새롭습니다😄
서울에 취직해서 올라온지 3년된 경주가 고향인 주니어 입니다.
1000년전 신라인들에 향기가 지금 발굴을 통해 퍼져가는데
제 추억은 월성 이곳 저곳 묻어서 더 깊숙히 스며드는 것 같습니다.
참 감사한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마음에 드셨다니 다행입니다 유적지의 추억은 더욱 진하게 남듯듯 하지요 감사드립니다😌
어릴 때 두어번 간 이후로 간 적 없었는데, 다시금 가고 싶어지네요.
언제가도좋은 경주입니다😌
심심하면 가는데,😊😊😊
이바구 할거 하나 늘었습니다. 😊😊😊
봄에 벚꽃 시즌에 찍었으면...
얼마나 이뿔까 합니다.
항상 느끼지만,
경주는 대박입니다
화수분이지요😄
가장 발굴조사가 기대되는 곳 중 하나입니다 ㅎㅎ
지하의모습이 상당히 고무적이네요😄
어릴적 학교소풍을 반월성으로 갔었는데 이렇게 다양한 유적이 발아래 있을줄이야! 그때 시진을 보니 신나게 뛰어놀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지금은 반월성전체가 발굴로 인해 분주하고 어떤 학술적 성취도 이룬다면 기쁘겠지만 우리아이들은 이제 반월성에서 뛰어 놀지 못할까 걱정도 됩니다 우리 아버지는 첨성대에 올라가 시진도 찍었다던데 이제 호랑이담배피던 시절 이야기겠지요...
반월성, 불국사, 경주박물관, 보문호, 황성공원 등등 학교 소풍을 다녔었죠. 지금은 많이 바뀌어서 옛 모습을 찾기 어렵지만 사진첩에 어릴 적 추억으로 남아 있어요.
그때로돌아가긴어렵겠지만 그만큼 오래 우리곁어있을수 있겠지요😌
일제시대 학생들이 첨성대에 기어올라가서 단체사진 찍은걸 보고 머스마들은 예나 지금이나 똑같구나 생각했습니다 😂
바눨승
: 우릐때느 소풍 집껼즤여쯰 시푼데.
: ~'70년대 실라무나제 때는
안압쯰, 바눨승에
믁짜판_츤막이 쫘악~~.
('80년대는 고쉉수페 묵짜판)
* 고쉉숲 : 황성공원
영상 잘 봤습니다.
* 남천, 서천, 북천은 중심부에서 방향과 지명에 적합(?)하나
북천/동천 지명은 🤔🤔🤔
. 내(川)는 '북천'
. 마을은 '동천동'으로 불리는게
늘 궁금타아.......
그렇네요🤔 왜 동천일까요
학부생때 06년부터08년초까지, 10년부터 11년까지 중간중간 해자 발굴현장에 실습생으로 있었습니다. 지금도 유구에서 화살촉과 인골이 발굴된 기억이 새록새록하네요
오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
❤❤❤
오 항상 감사드립니다😄
매년 11월마다 경주에 갑니다! 지난주에 다녀왔는데 여기서 영상으로 다시 보니 또 반갑네요.
2013? 2014? 년만 해도 월성은 그냥 풀밭에 낙엽만 가득한 곳이었는데... 매년 조금씩 발굴해 언젠가는 월성 전역이 드러나는 때가 오겠지요?
월성 북면에 올라서 옛 성벽이었을듯한 커다란 네모난 돌덩이들이 아무렇게나 뒹굴며 흙에 반쯤 묻혀있는 것을 보고 있으면 그 시절의 모습이 궁금해 미칠것 같습니다.
발천은 2008년만 해도 온통 물이 가득한 연꽃밭이었는데, 월성 해자와 더불어 매년 발굴이 진행되며 달라지는 모습을 보는것도 큰 즐거움이었어요.
다만 작년까지만 해도 발천 복원 광경을 담장 너머로 구경할 수 있었는데, 올해는 갔더니 푸른 비닐로 다 덮어놔서 아쉬웠습니다.😂
대릉원 돌담길로 해서 첨성대, 동궁과 월지를 지나 경주박물관 아래 월성교 건너 남천길 따라 월정교로, 다시 대릉원으로 돌아오는 산책길은 제 최애 코스입니다.
올해는 늦은 가을 오후 남천길 거닐며 지난 여름 폭우로 드러난 사로국 건물지도 강 건너에서 조금이지만 볼 수 있었어요.
지난 언젠가 이곳 채널에서 영상으로 경주읍성도 소개해주신 덕분에 알게되어 올해는 경주읍성 동문 복원한곳에도 가보고
또 멋대로 방황하다 운좋게 옛 경주 관아였던 현 경주문화원에도 들러봤습니다.
매년 가을 경주에 가는것도 10년이 넘었는데 처음으로 알게되어 가보게 되었네요.😂
경주는 매년 가는만큼 익숙하지만 또 매년 조금씩 달라지고 새롭게 생기는것도 많아 지루할 틈이 없네요.
백제나 가야의 고도들도, 나아가 언젠가는 고구려의 유적들도 경주처럼 휘젓고 다니게 될 날이 오길 기대합니다.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진정한 답사객이시네요😄 사비왕궁도 드러나고있으니 바라시는바 얼마남지않았음이 기쁨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고대에는 경주까지도 바닷물이 들어왓다는 걸가요?
최소한 기수지역까지는가능하고 배의 통행도 가능했을것같습니다🤔
@@사적돌 우리나라도 퇴적같은것으로 인해서 해안선 변화가 다소 있엇군요 ㅎㅎ
해안선 변화가 아니어도, 한강에 예전엔 바닷물이 들어왔다고 하는걸 생각하면 못들어올 일도 없겟네용 감사합니다 ㅋㅋ
아니 ㅋㅋㅋ 위성지도 보는데 방리제 흔적 아직도 남아있어서 읍성 도로 라인에 딱 들어맞고 시내랑 황룡사 동쪽 논밭으로 격자무늬 딱딱딱 보이는거 킹받으면서 어이없어서 헛웃음 나오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
너무 확실하게 드러나지요 아니기가 더 어려울 정도입니다😄
@@사적돌 1:08 여기 청동기 유적 얘기 하니 구황동 원지랑 용강동 원지 인근에 있는 고인돌들이 생각나네요 ㅎㅎ
용강동에 어느 놀이터엔 송전탑 밑에 고인돌이 있는 기묘한 곳도 있다더군요 ㅋㅋㅋㅋㅋㅋㅋ 경주 곳곳에 약 3백개 가량 있다던데 아마 고조선 유민들이 내려오기 전 진한 사람들의 흔적이려나요?? 역시 기대되는 부분입니다.
오늘 영상도 정말 재밌었습니다!
오늘 영상 내용은 주변 문화재와 월성에 대한 내용이 딱딱 연결되면서 조화가 되다보니 특히 더 재밌었던거 같아요 ㅋㅋㅋ
월성 한 20년전에 가봤을때 넓은 노란 유채밭이었는데 ᆢ석빙고도 그대로 보존되있고 ᆢ 왜기록을 아리송하게 ᆢ 알 ㆍ부리 등으로 기록했는지. 이해가 안됨 ᆢ 좋은 영상 감사
오 시청감사드립니다😄
이거 올해 찍으신 거면 한 9~10월 정도 때 찍으신 건가 보네요. 그 때 허구한 날 비 와서 기분 꿀꿀했는데, 이렇게 보니 뭔가 또 다른 느낌이 드네요. 아니 경주가 이런 느낌이었나?
오 가을이라 그런가봅니다🤔
힘 내시요
변치않는 응원 감사드립니다😌
경주는 가봐도 주춧돌 만으로 현실감이 잘 안 느껴지는 결점이... 문화재는 발굴도 중요하지만 사실감 있게 제대로 의견을 모아 더욱 가치있게 가꾸는 복원노력도 현 세대가 해야할 일이며 매우 중요함.
발굴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는동안 많은 자료들이 나타나 복원에 무리가 없게 되기를 기원합니다😌
이번에 월정교도 복원에 논란이 많았지만 결국 지어지니 사람들이 몰리더라구요 ㅋㅋㅋ
저 상록하단 단청이 뭐 문제가 있는걸까요 최근 경주 관련 동영상 게시물들을 볼때 상록하단 그만이라는 밈? 같은걸 보게됩니다. 매 회 名品 영상 감사합니다.
현재 경주에 복원된 단청은 조선시대일색이라그런듯합니다 신라때는 좀더 화려했다고보지요😯
청동기 - 사로국 - 신라 - 그 후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세월이 겹쳐져 있는 유적이니 만큼 모든 발굴이 제대로 끝나려면 적어도 20년은 잡아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ㅋㅋ
그럴것같습니다😄 점점 기대가 더 되네요
월성해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오물통이 되었다고 하더군요
결국은 메워버리지요😯
3:22 발천이 동궁에서 발원했다는건 또 첨 들어보네요😲
하기사 2천년 넘게 물이 안 마르고 안압지라 불리며 유지 됐었으니.. 주변도 넓은 습지라 미탄사지라던지 구황동 원지라던지 연못 있는 건물터도 나왔었으니 말이 되네요.
문득 황룡사우물을 용궁이라 칭한 이야기가 떠오르네요😄
월성은 한민족의 정수 같은곳이죠...
오랜역사의 증거와같은곳이지요😌
왕궁 정전인 조원전의 유적이 하루 속히 나오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록에남아있는 건물들이 꽤있지요😮 건물의 배치에 위계가보여서 발굴하다보면 실마리가 나오지않을까 싶습니다
혈당이 아니라 산소 포화도 재는 기계인데여!
시청감사드려요😌
원래 월성은 천혜의 방어용 성이 아니었나요? 무슨 말갈족이니 왜구니 월성 앞까지 엄청 쳐들어갔다던데. 거기다 좁은 산자락이라 당나라 장안성같은 정갈한 건물 구조로 세우기엔 장소가 장소인지라 너무 이것저것 난립해서 구획들이 지저분하다고 들었어요. 근데도 천년 수도로 역임했으니 저 안에 무슨 유물과 유적이 잠들어 있을지... 월성 천존고의 만파식적이 발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성토해서 성곽을 올리고 해자도팠는데 하대로가면 해자도메우고 그러지요 평화가 길었던지 구축해두었던 거점방어체계를 믿었던지 한것같습니다🤔
가끔 월성을 산책하기도하지만 내부에는 작은 연못같은곳도 있어요. 비온뒤에 잘보이는데.. 그런곳에 유구가 더 많겠지요? 발굴된 지역은 나폴리 유적같이 일반인들 관람토롴 했으면 좋겠어요
경주에 100만명이 살았다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생각보다 많이 살았을것같긴한데 백안명은... 현재 전주정도크기가 백만이지요 🤔
삼국사기에 경주 18만 호(가구)
이를 두고 인구로 환산....
* 압트도 없던 시절 100만 인구.
지금의 울산인구 보다 더 많은~.
* 비 오면 시내에서 불국사까지
비 안맞고 갔다는~(처마가 이어져)
>학쪼 댕긜때 쌤 말씀 기억
아니 왜 경상도는 땅만 파면 유물이 나오는데, 신라 때 쓰여진 역사서는 안 나오는지... 너무 답답해요. ㅋㅋ
경상도 사람들은 다 집에 있는 책 뒤져서 고서 찾아내기 운동해야 되는 거 아닌가요? ㅋㅋ
신라장적이 우리나라에 있었으면 국보지요, 고대의 기록이 보관만 잘한다면 남아있을수 있다는 뜻이겠으나 워낙 파괴적인 전란도 많았지요😞
반도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