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장님 6:14 에서 3상3선식에선 선간전압과 상전압이 같다고 하셨는데... 칠판에는 Y결선으로 상전압은 220[V] 선간전압은 380[V]라고 적어주셔서 조금 했갈리는데 제가 혹시 어떤 부분에서 착각한걸까요...? 필기때와 같이 Y결선은 선간전압과 상전압은 다르다고 생각하면 안되는건가요?
정식 전압강하식 e= √3 x I x (Rcosθ + Xsinθ) 는 3상3선이든 3상4선이든 동일하게 √3이 곱해지는데, 약산식에서는 3상3선에서는 √3 x 17.8이 곱해지고, 3상4선에서는 그냥 17.8이 곱해지는 이유가 계속 궁금했었는데, 답이 이 영상에 명쾌하게 나와있네요.. 😄 수험생들이 막히는 부분을 잘 짚어주시는 것 같습니다. 좀전에 PLC도 선생님 영상보고 그동안 궁금해 하던걸 한방에 해결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전압강하는 송전단과 수전단 사이에서 발생합니다. 즉, 1선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1선의 전압강하 e=IR 이 됩니다. 여기서, R 은 1선당 저항 3상3선식에서 전압강하는 선간전압강하가 측정되므로 e=루트3*IR이 될 것입니다. 선간기준 전압강하에서 전선굵기를 구하므로 루트3이 포함되는 것입니다. 전압강하 관련하여 아래의 링크 영상을 참고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ua-cam.com/video/gLE-t3oND1k/v-deo.html 다산에듀의 질의응답은 홈페이지 및 카페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소 번거로우시더라도 아래의 링크 홈페이지 및 카페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더욱 더 좋은 영상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산에듀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산에듀 홈페이지 : www.e-dasan.net/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 cafe.naver.com/dasanpass
문제를 풀다보면 어떤 때는 전압강하 구할 때 수전단 전압 * 전압강하율로 계산하고 어떤 때는 송전단 전압 * 전압강하율로 계산하더라고요. 정의대로라면 전자가 맞지만 본 강의 영상에서도 그렇고 간혹 후자로 계산하는 이유가 뭘까요? 추측으로는 저압에서나, 380/220등 문제에서 주어지는 공칭전압이 송전단/수전단으로 명확히 언급되어있지 않을 때 (계싼하기 편리하도록)후자로 계산한다고 보았는데 그렇게 보면 될까요?
교수님~ 만약 이 문제를 3상3선식으로 바꾸면, A=30.8*L*I/(1000*e)식에서 e=380*0.07로 계산하면 되나요? 결국은 3상4선식 A=17.8*L*I/(1000*e)식에 위,아래에 루트3이 곱해져서 3상4선식하고 단면적은 같아지는건지.. 아니면 A=30.8*L*I/(1000*e) 이런 류의 식에서 e는 무조건 상전압으로 보고 e=220*0.07로 풀어야 할까요?
항상 감사하게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근데 전압강하e는 IR 인데, Y결선에서 ‘전압’이 루트3배 되는게 어떻게 IR식에 영향을 주는건가요? 필기 공부할때는 3상 전압강하는 루트3을 곱해서 해당식에 적용했었는데 실기에서는 3상3선식은 그대로지만 3상 4선식은 그냥 IR로 적용되는데서 잘 이해가 안됩니다. 지금 다시 보니 왜 3상 4선식에서 전압강하 계산시 루트3을 곱하지 않는지는 이해가 되는것같은데 반대로 왜 필기 공부할때 배웠던 y결선에서 루트3을 곱해야 하는지가 의문입니당……. 정리하자면, 만약 구하는게 전력이면 VI니까 V가 루트3배가 되든 I가 루트 3배가 되든 전력값이 루트3배가 돼야한다는걸 알겠는데, 전압강하는 IR이니까 I의 값의 변화가 적용되는건 알겠는데, 전압값이 바뀌는게 왜 e값에 영향을 주는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전압강하의 경우 선간전압기준, 상전압 기준 다르게 됩니다. 전압강하는 송전선에서 발생할 것이고 전류와 임피던스, 역률에 의하여 결정이 됩니다. 이 때, 전압강하는 송전단전압-수전단 전압인데 여기서, 선간전압기준, 상전압 기준으로 달라지게 됩니다. 3상에서 선간전압 기준은 루트3*전류(Rcos+Xsin) 입니다. 3상3선식에서는 선간전압 기준으로 계산(1상당 전압을 하게 되면 1/루트3을 곱하게됨) 3상4선식에서는 상전압 기준으로 하여 루트3이 안들어간 I(Rcos+Xsin)이 됩니다. 전선굵기를 구할 때 공식자체가 상전압 기준으로 유도된 공식입니다.
5:55부터 듣고 소름 돋았어요. 진짜 헷갈렸던건데 나오면 확실히 맞출 수 있을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원장님 6:14 에서 3상3선식에선 선간전압과 상전압이 같다고 하셨는데... 칠판에는 Y결선으로 상전압은 220[V] 선간전압은 380[V]라고 적어주셔서 조금 했갈리는데 제가 혹시 어떤 부분에서 착각한걸까요...?
필기때와 같이 Y결선은 선간전압과 상전압은 다르다고 생각하면 안되는건가요?
와이결선에서는 선간전압은 상전압의 루트3배이고,
델타결선에서는 선간전압과 상전압은 같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여 봐주시기 바랍니다.
ua-cam.com/video/XZsboBNFv2o/v-deo.html
정식 전압강하식 e= √3 x I x (Rcosθ + Xsinθ) 는 3상3선이든 3상4선이든 동일하게 √3이 곱해지는데,
약산식에서는 3상3선에서는 √3 x 17.8이 곱해지고, 3상4선에서는 그냥 17.8이 곱해지는 이유가 계속 궁금했었는데,
답이 이 영상에 명쾌하게 나와있네요.. 😄
수험생들이 막히는 부분을 잘 짚어주시는 것 같습니다. 좀전에 PLC도 선생님 영상보고 그동안 궁금해 하던걸 한방에 해결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
일단은 외우는게 정신건강에 좋겟네요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
와 짱입니다....사랑합니다~~
영상이 도움 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질문있습니다. 부하가 3상부하와 단상부하가 섞여있을땐 어떤공식을 적용해야하나요??
전원으로부터 부하(단상, 3상)에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선에 흐르는 전류(단상과 3상의 벡터적 합 전류)를 구하여 전압강하를 구할 수 있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1번 계산식 닶을 처음부터 220으로 써도 무방한지요 물론 굵기 계산때 17.8로 적용할거구요
전압강하는 송전단선간전압-수전단선간전압 입니다.
따라서, (1)의 답안은 영상과 같이 작성을 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차이점이 뭔지는 이해는 가는데 문제에 접목시켜서 풀려고 하니까 더 복잡하네요. 그냥 외우는것도 괜찮겠지요?
우선은 암기하시고, 시간이 지나고 반복적으로 보시면 충분히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
전선의굵기공식에서 3상3선식 공식이 루트3곱하는게 이해가 잘 안가서 질문남깁니다..
3상3선식은 v=상전압= 선간전압
3상4선식은 루트3*상전압=선간전압이라고알고있는데,
3상3선식 굵기공식의 분자 루트3*17.8LI 에서 상전압=선간전압이라서 루트3이 붙은거라고하셨는데, 3상3선식이면 루트3이붙은게 없는데 빠져야하는게아닌가..라는 의문이들어서 왜그런지 잘이해가안갑니다.. 판서에 E라고쓰신게 대지전압이라서 루트3*대지전압=선간전압=상전압 이라서그런건지 잘모르겠습니다.ㅠㅠ..
전압강하는 송전단과 수전단 사이에서 발생합니다.
즉, 1선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1선의 전압강하 e=IR 이 됩니다. 여기서, R 은 1선당 저항
3상3선식에서 전압강하는 선간전압강하가 측정되므로 e=루트3*IR이 될 것입니다.
선간기준 전압강하에서 전선굵기를 구하므로 루트3이 포함되는 것입니다.
전압강하 관련하여 아래의 링크 영상을 참고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ua-cam.com/video/gLE-t3oND1k/v-deo.html
다산에듀의 질의응답은 홈페이지 및 카페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소 번거로우시더라도 아래의 링크 홈페이지 및 카페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더욱 더 좋은 영상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산에듀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산에듀 홈페이지 : www.e-dasan.net/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 cafe.naver.com/dasanpass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선생님, 전선의 굵기 구할때 3상 4선식은 상전압 기준인걸로 알고 있는데 1상 3선식도 상전압 기준인가요??
단상 3선식의 공식에서 기준전압은 AN간 전압이 됩니다.
아래의 링크 영상의 유도과정을 참고하여 보시기를 권장합니다.
ua-cam.com/video/XZsboBNFv2o/v-deo.html
문제를 풀다보면 어떤 때는 전압강하 구할 때 수전단 전압 * 전압강하율로 계산하고 어떤 때는 송전단 전압 * 전압강하율로 계산하더라고요. 정의대로라면 전자가 맞지만 본 강의 영상에서도 그렇고 간혹 후자로 계산하는 이유가 뭘까요? 추측으로는 저압에서나, 380/220등 문제에서 주어지는 공칭전압이 송전단/수전단으로 명확히 언급되어있지 않을 때 (계싼하기 편리하도록)후자로 계산한다고 보았는데 그렇게 보면 될까요?
1. 전압강하율 = (송전단전압-수전단전압) / 수전단전압 입니다.
2. 문제에서 220, 380 의 공칭전압을 일반적 수전단 전압으로 보고 있습니다.
3. 즉 공칭전압 자체가 부하의 단자전압, 수전단 전압이라고 판단하시면 되겠습니다.
헉 답장 완전 빨리 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찾고있었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혹시 문제를 풀때 모든문제에서 차단기의 차단용량이랑 단락용량이랑 같게보고 풀면되는건가요 교재에보니까 퍼센트임피던스가 주어질때만 같게보고 풀라고 하셨는데 정확히 잘 이해가 가지않아 질문드립니다
차단용량을 구할 때 공식에 의하여 루트3*정격전압*차단전류로 구하시면 됩니다.
위의 공식으로 풀이가 어려운 경우 차단용량=단락용량으로 동일시 풀이 가능합니다.
12년도 기출에
공급전압을 6600V로 수전하고자 한다. 수전점에서 계산한 3상 단락용량은 70MVA이다. 이 수용장소에 시설하는 수전용차단기의 정격차단전류를 계산하시오. 라는 문제에서 저는 차단기의 차단전류를 구하는문제라 차단용량(=단락용량)으로 보고 전압에 공칭전압 6.6kV가 아닌 정격차단전압 7.2kV를 넣었습니다. 강의영상을 보니까 바로 6.6을 넣으셨는데 이 부분이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차단기의 차단전류를 구하는것이니 단락용량은 차단용량이랑 같게보고 공칭전압이 아닌 차단기의 정격차단전압으로 넣어주어야 하는게 아닌가요?
단락용량=루트3*공칭전압*단락전류 입니다.
단락전류=차단전류와 동일합니다. 단락용량에서 단락전류(차단전류)를 구할시 전압은 공칭전압이 들어가게 됩니다.
@@dasan_lee 아하 문제에서 주어진것이 단락용량이니까 단락용량을 기준으로 식을 써준것이군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만약 이 문제를 3상3선식으로 바꾸면,
A=30.8*L*I/(1000*e)식에서
e=380*0.07로 계산하면 되나요?
결국은 3상4선식 A=17.8*L*I/(1000*e)식에 위,아래에 루트3이 곱해져서 3상4선식하고 단면적은 같아지는건지..
아니면 A=30.8*L*I/(1000*e) 이런 류의 식에서
e는 무조건 상전압으로 보고
e=220*0.07로 풀어야 할까요?
30.8LI/1000e 의 공식은 선간전압 기준입니다.
따라서, 전압강하 e에는 380*0.07을 대입하시면 됩니다.
항상 감사하게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근데 전압강하e는 IR 인데, Y결선에서 ‘전압’이 루트3배 되는게 어떻게 IR식에 영향을 주는건가요? 필기 공부할때는 3상 전압강하는 루트3을 곱해서 해당식에 적용했었는데 실기에서는 3상3선식은 그대로지만 3상 4선식은 그냥 IR로 적용되는데서 잘 이해가 안됩니다. 지금 다시 보니 왜 3상 4선식에서 전압강하 계산시 루트3을 곱하지 않는지는 이해가 되는것같은데 반대로 왜 필기 공부할때 배웠던 y결선에서 루트3을 곱해야 하는지가 의문입니당…….
정리하자면, 만약 구하는게 전력이면 VI니까 V가 루트3배가 되든 I가 루트 3배가 되든 전력값이 루트3배가 돼야한다는걸 알겠는데, 전압강하는 IR이니까 I의 값의 변화가 적용되는건 알겠는데, 전압값이 바뀌는게 왜 e값에 영향을 주는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전압강하의 경우 선간전압기준, 상전압 기준 다르게 됩니다.
전압강하는 송전선에서 발생할 것이고 전류와 임피던스, 역률에 의하여 결정이 됩니다.
이 때, 전압강하는 송전단전압-수전단 전압인데 여기서, 선간전압기준, 상전압 기준으로 달라지게 됩니다.
3상에서 선간전압 기준은 루트3*전류(Rcos+Xsin) 입니다.
3상3선식에서는 선간전압 기준으로 계산(1상당 전압을 하게 되면 1/루트3을 곱하게됨)
3상4선식에서는 상전압 기준으로 하여 루트3이 안들어간 I(Rcos+Xsin)이 됩니다.
전선굵기를 구할 때 공식자체가 상전압 기준으로 유도된 공식입니다.
@@dasan_lee 항상 빠른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주신거 참고삼아 더 생각해보겠습니당. 만에 하나 합격하게 되면 다산에듀 홍보 많이 할게요.
안녕하세요 질문하나만 할게요 .. 3상3선식에서 만약 A=17.8LI / 1000E 공식을 쓴다면 E에다가 220V 즉 상전압을 넣으면 되나요?제가 잘못해석 했는지 모르겠는데 3상3선식에서 A=30.8LI / 1000E 일때 선간전압 380을 대입한다고 하시는거 같아서요
3상3선식은 중선선이 없으므로 전압강하가 선간전압 기준입니다.
해당 공식 30.8 공식에서 전압강하 e는 선간전압 기준 입니다.
첫번째 허용 전압강하를 구하는 과정에서 0.07은 어떻게 나온건지 알려주실수 있나요...??
내선규정 1415-1에 의거
사용장소 안에 시설하는 전용변압기에서 공급하는 경우 200m를 초고할 때 허용전압강하는 7% 입니다.
규정입니다.
@@dasan_lee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KEC기준으로는 0.055가 맞는거죠?
홈페이지에 한번다녔왔는데요
기사나산업기사강의에강사님꺼는 따로없는거같은데 돈내고사야 보이는건가요? 여기전병칠강사님 꺼는 유튜브도 있고 홈페이지에 강의목록이 있어서한번이렇게여쭈어봅니다~~^^
전기기사필기 정규반 강의의 경우 테스트나라에서 강의하고 있습니다.
전기기사실기 과년도 강의는 테스트나라, 다산에듀 동일합니다.
전기기사필기 과년도 및 전기기사실기 정규반은 현재 강의하지 않습니다.
거리가 만약 10m라면.... 위에 공식이 성립이 되나요..?
해당문제의 경우 kec 변경에 따른 허용전압강하 값이 수정이 되었습니다.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232.3.9 수용가 설비에서의 전압강하
3상 4선식, 단상 3선식 -> 상전압 기준
3상 3선식, 단상 2선식 -> 선간전압 기준
맞죠??ㅎㅎ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전선굵기 구하는 공식의 전압강하 기준
단상3선식 : AN간 전압
단상2선식 : 상전압=선간전압
3상 4선식 : 상전압
3상 3선식 : 선간전압
@@dasan_lee 3상 3선식도 선간전압과 상전압이 같은 것 아닌가요?
@@개구리너구리-r1x 전선굵기 및 전압강하는 1선에 대한값입니다.
이것을 선간전압, 상전압(1선당 기준) 으로 구분하여 구할 수있습니다.
전선굵기 관련 유도내용이 유튜브 채널에 있으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케이블 굵기 선정 답 할때 공칭단면적이 아닌 계산값을 적으면 오답인가요?? 너무 궁금합니다
틀렸다고 말씀드릴수는 없지만, 전선굵기의 경우 규격화가 되어 있습니다.
암기하셔서 공칭단면적으로 작성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재현 원장님 항상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3상3선 전압강하가 e=sqrt3IR 이 되는 이유가 상전압을 선간전압으로 바꿀때 sqrt3을 곱하듯이 e=ir에 sqrt3을 곱해서 나온거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네 맞습니다. 1선의 전압강하는 전류(Rcos+Xsin) 입니다.
3상 선간전압 기준을 하면 120도의 위상차에 의하여 루트3배가 됩니다.
@@dasan_lee 답변 감사합니다~^^ 암기로 떼우는 강의보다 정확히 원리를 꿰뚫는 강의를 해주셔서 비전공자 입장에서 원장님 강의를 듣는건 행운인것 같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허용전압강하가 왜 7%인가요 ? 270m면..5.5% 아닌가유???
해당영사은 KEC 개정전의 영상으로 전압강하와 관련된 수치값은 현재의 규정과 다릅니다.
최신의 영상을 참고하여 주시고, 전압강하와 관련된 식에 중점적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에듀윌 거릅니다. 혼자 독학하는데 문제집이 잘못돼서 오류 혼자 수정하느라 시간 너무 허비하네요. 아주 기본도안된책입니다 거르고 다산에듀로 갈아탑니다.
잘 준비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기를 기원합니다 .화이팅~!
Kec 기준으로 하면 이제 답은 바뀌는 건가요?
전압강하율의 기준이 변경되었습니다.
풀이방법은 동일하나 적용되는 전압강하율이 달라지므로 결과값도 달라지게 됩니다.
@@dasan_lee 자세히 알려주시면 안될까요 kec 예상문제풀면서 아직 전선굵기 구할때 e가 상전압 인지 선간전압기준인지 구분이 안가요
중성선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하셨는데 왜 폐회로를 전류가 중성선으로 통과하게 그리셨어요?? 이해가 안가요 ㅠ
부하가 평형시 중성선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부하 불평형시에는 중성선에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나이성!
^^
강사님 질문이 있습니다.
실전응용에 있어서 옥내전압강하를 통한 전선굵기(케이블굵기)를 선정 하고자하는데
변압기 부터 배전 -> 분전반 까지 3상4선식 380/220V 입니다.
여기서, 모터부하는 3상 3선식 (380V/Y결선)인데
전압강하 공식을 30.8V를 대입하여야 하는지
17.8V를 대입하여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모터 부하는 3상 3선식으로 배선되어야 하니
선간전압 기준으로 30.8이 맞는 것 같기도하고 ..
선간전압 기준으로 30.8 공식을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산체고~~
도움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