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작다큐🎖️몰아보기] 바닷길을 가진 자가 세계경제를 지배한다! 역사를 바꾼 근대 해상무역 쟁탈전 | 2015 KBS 특별기획 '바다의 제국' 4부작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7 чер 2022
  • 2015 KBS 특별기획 [바다의 제국] 4부작
    ◼︎ 01:56 바다의 제국 1부. 욕망의 바다 - 2015.01.29
    인류의 근대사를 연 것으로 평가받는 대항해시대는 서구의 앞선문명과 개척정신의 결과라기 보다 후추(향신료)에 대한 결핍과 종교적인 이유로 부터 시작되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달리 근대 이전 서양은 동양에 비해 뒤진 문명이었다. 18세기 초 세계 경제의 70% 이상을 차지한 곳은 중국과 인도였다. 무굴, 사파비, 명 등 유라시아대륙의 대부분에서도 유럽은 영향력있는 세력이 아니었다. 하지만 유럽은 동양보다 앞선 해양력과 바다를 이용하는 전략을 펴서 아랍과 아시아가 주도했던 세계경제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었다. 바다를 바라보는 동,서양 관점의 차이가 훗날 역사의 물줄기를 바꾸는 계기를 마련했다.
    ◼︎ 54:24 바다의 제국 2부. 부의 빅뱅 - 2015.01.30
    바다를 단순한 길이 아닌 네트워크로 보고 삼각 무역을 통해 부를 얻은 영국! 영국의 설탕 플랜테이션은 ‘자본주의’라는 새로운 생산 양식의 신호탄이 되었다. 대항해를 통한 발견들이 세계 경제를 어떻게 재편했는지를 살펴본다. 콜롬버스의 배가 두 번째 항해로 대서양 횡단에 나섰다. 항해의 목적은 바로 설탕의 원료인 사탕수수. 설탕을 통해 세계는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지구상의 인류의 배치마저 바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1:43:58 바다의 제국 3부. 뒤바뀐 운명 - 2015.02.05
    17세기 초, 네덜란드와의 ‘향신료’ 경쟁에서 밀린 영국 동인도회사가 수입한 상품은 바로 인도산 면직물, ’캘리코‘ 였다. 면직물은 화폐로 사용될 정도로 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환영받았고, 오늘날의 자동차와 아이폰 같은 세계상품이었다. 값싸고 질 좋은 면직물이 수입되자 영국의 모직물업자들은 반발을 일으켜, 캘리코(면직물 수입)금지법까지 제정되었으나 유럽의 면직물 열풍은 그칠 줄 몰랐다. 면직물을 자국에서 생산하려는 노력은 방적기, 방적기와 같은 공장제 생산노력으로 이어져, 초기산업혁명의 중요한 계기들이 마련되었고, 때마침 풍부했던 석탄 매장량과 증기기관의 개발로 영국은 마침내 인도를 누르고 세계 최대의 면직물 수출국가가 된다. 플라시전투 이후 영국의 식민지가 된 인도는 면직물 원산지에서 수입국으로 전락하게 된다.
    ◼︎ 2:36:40 바다의 제국 4부. 거대한 역전 - 2015.02.06
    아메리카 대륙에서의 ‘은’ 발견을 계기로 유럽과 중국의 교류가 본격화되면서 유럽에는 ‘쉬누아즈리’ 중국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18세기 초 유럽의 ‘차’ 소비가 급증하면서 유럽의 대 중국 무역역조현상은 심각한 수준에 직면하게 된다. 중국이 유럽으로부터 받은 것은 오직 ‘은’뿐 이었다. 중국 차를 사기 위한 ‘은’ 부족에 시달리던 영국 동인도회사가 선택한 것은 ‘아편’이었다. 영국은 아편무역을 시작하면서 중국과의 무역역조를 해결했지만 청나라 정부의 강력한 제재에 직면하면서 이른바 ‘아편전쟁’이 벌어진다.
    아편전쟁은 그 당시 산업혁명의 성과와 인도라는 식민지의 이점을 총 집약한 영국의 승리로 끝났다. 대항해시대 이후 시작된 동양과 서양의 문명교류는 아편전쟁을 계기로 새로운 분기점을 맞게되었다. 아편전쟁에서 서양이 승리하면서 국제질서는 해양력을 앞세운 유럽중심의 체제로 재편된다. 근대의 바다에서 완성된 세계질서의 기본틀은 21세기인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바다의제국 #문명사 #바다
  • Розваги

КОМЕНТАРІ • 428

  • @honeybreadjo8512
    @honeybreadjo8512 3 місяці тому +5

    포르투갈의 엔리케 항해왕자. 중세 시대, 진짜 이 사람이 바다에 미래에 있다는 것을 알고, 수많은 항해사들을 바다로 보냈습니다.
    처음에는 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떠듬떠듬, 조금씩 조금씩, 항해했다가 돌아오면서 해도를 만들었습니다. 그렇게 아주 조금씩, 조금씩 전진해나갔습니다.
    그렇게 엔리케 항해왕자가 죽은 이후로도, 계속되었습니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엔리케 사후 100년 안팎 드디어 성과를 내기 시작하는 것이 대항해시대입니다. 이후 전 유럽 나라들이 다 바다로 진출해나갔습니다.

  • @user-uo4fw8oc7h
    @user-uo4fw8oc7h 11 місяців тому +44

    유럽여행에서 보았던 화려하고 웅장한 건물들이 아시아인들의 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이 다큐로 알게 됨.

    • @hterius95
      @hterius95 2 місяці тому +1

      대한민국은 조선시대로 쭉 남았으면 지금 인도보다 못 사는 후진국이였음 ㅉㅉㅉ

    • @user-gf3ul8iq8u
      @user-gf3ul8iq8u 11 днів тому

      한국의 화려하고 웅장한 능과 궁궐들도 아시아인인 한국인들의 피로 만들어졌죠. 일반적으로 고대,중세에는 자국민을 노예로 쓰다가, 계몽시대 이후 자국의 자유민끼리는 노예 삼지말기로 하고 아직 노예제 유지하는 미개국에서 노예를 사서 부리다가 근대에는 아예 노예제 자체를 폐지하는 수순으로 가는 그런게 문명화이자 인권의 발전이라는 겁니다. 그러나 조선은 근대까지 자국민을 노비로 부리는 고대,중세 방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 @user-qp8kh4zg1o
    @user-qp8kh4zg1o 6 місяців тому +12

    정말 대작....23년인 지금에서야 보는데도 과거의 프레임과 앞으로의 프레임도 제눈에는 얼추 보이는듯요 감사합니다kbs

    • @golice
      @golice 5 місяців тому

      5년 앞도 내다보지 못하는 근시안적인 제작자들만 눈에 들어오는데? ㅋㅋ

    • @sinchon06
      @sinchon06 Місяць тому

      ​@@golice근거는?

  • @jshman
    @jshman Рік тому +49

    이런 다큐를 kbs에서 안하면 누가하냐.
    개쩐다. 진짜. 감동 그자체.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4

      유럽인들이 아시아의 향료의 매력에 빠진 것중 하나가 향신료의 맛도 맛이지만 우멋보다도 냉장고가 없었던 당시에 아시아의 향신료를 음식에 사용을 하면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했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유럽인들이 대서양을 비롯한 바다를 항해를 할 수 있게 해줬던 기술은 바로 아랍인들이 찾은 밤하늘에서 정북극에 위치를 해서 움직이지 않는 별인 북극성과 90도 각도계를 이용해서 위도를 측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3

      유럽인들이 아시아의 향료의 매력에 빠진 것중 하나가 향신료의 맛도 맛이지만 우멋보다도 냉장고가 없었던 당시에 아시아의 향신료를 음식에 사용을 하면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했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유럽인들이 대서양을 비롯한 바다를 항해를 할 수 있게 해줬던 기술은 바로 아랍인들이 찾은 밤하늘에서 정북극에 위치를 해서 움직이지 않는 별인 북극성과 90도 각도계를 이용해서 위도를 측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 @jshman
      @jshman Рік тому

      @@STARGATE_SGC굉장히 박식하시네요. 다큐시청의 힘일까요?!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2

      @@jshman 다큐를 보면서 생각을 많이 합니다. 아랍인들 같은 경우에는 일찍히 지중해를 통한 해로와 소아시아를 통한 육로(사막길)로 유럽, 아시와, 아프리카와 많이 교역을 했었는데 그들이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 뭐였을까 생각을 하다가 별을 이용한 여행을 했다는 것에서 힌트를 얻어서 눈을 지구밖으로 돌려서 어느 겨울밤에 국자자리 맨 끝에 있던 북극성을 보고 영감을 얻었었거든요!

    • @jshman
      @jshman Рік тому

      @@STARGATE_SGC 와 박식하시네요. 말씀 감사합니다.

  • @scyu13
    @scyu13 10 місяців тому +21

    이런 다큐들이 수신료의 명분 ~

    • @golice
      @golice 5 місяців тому +3

      5년도 못 내다보는 이런 다큐가 수신료의 명분이라고? 무뇌니?

    • @WooCitizen
      @WooCitizen 2 місяці тому +2

      박민의 방송에 수신료와 세금 쓰는 건 아니지요! 굥산당 기관지!

    • @hterius95
      @hterius95 2 місяці тому +1

      대한민국은 조선시대로 쭉 남았으면 지금 인도보다 못 사는 후진국이였음 ㅉㅉㅉ

    • @user-cx8nd5dm7s
      @user-cx8nd5dm7s 2 місяці тому

      짐의정치 = 기술. 장비. 인력. 자금. 은 정부와 여당이 가져간다
      머슴의정치 = 기술. 장비. 인력. 자금. 을 국민에게 반환 한다

    • @The_MoreRed_GongSanDang
      @The_MoreRed_GongSanDang Місяць тому

      ​@@WooCitizen통계주작질에 보지민국 쳐 만든 국가적 재앙보단 나은걸?

  • @user-eu7xj6wr9g
    @user-eu7xj6wr9g 5 місяців тому +25

    잘만든 명작다큐네요~👏👏👏
    영어버전 나와서 세계인이 즐기면 좋겠습니다.

    • @hterius95
      @hterius95 2 місяці тому +1

      대한민국은 조선시대로 쭉 남았으면 지금 인도보다 못 사는 후진국이였음 ㅉㅉㅉ

  • @yslee8062
    @yslee8062 Рік тому +58

    너무 좋은 내용 입니다 2015년 제작을 내용을 이제야 합본으로 보는데 2022년에 봐도 손색이 없네요 굿 👍

    • @user-xk4zb9kb4f
      @user-xk4zb9kb4f Рік тому +3

      2015년이 백년전도아니고 카메라랑 자료 지식 연구등 모든게 지금처럼 좋을때인데 뭔 ㅋㅋ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1

      유럽인들이 아시아의 향료의 매력에 빠진 것중 하나가 향신료의 맛도 맛이지만 우멋보다도 냉장고가 없었던 당시에 아시아의 향신료를 음식에 사용을 하면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했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유럽인들이 대서양을 비롯한 바다를 항해를 할 수 있게 해줬던 기술은 바로 아랍인들이 찾은 밤하늘에서 정북극에 위치를 해서 움직이지 않는 별인 북극성과 90도 각도계를 이용해서 위도를 측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 @hterius95
      @hterius95 2 місяці тому +1

      대한민국은 조선시대로 쭉 남았으면 지금 인도보다 못 사는 후진국이였음 ㅉㅉㅉ

  • @user-yp3xv7kr2e
    @user-yp3xv7kr2e Рік тому +9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 @user-dj8gy7ky2y
    @user-dj8gy7ky2y Рік тому +8

    제가 좋아하는 이민우배우님이 나래이션해서 더 좋은 영상입니다~~^^❤

  • @pinusli1796
    @pinusli1796 4 місяці тому +8

    서양의 발전은 사탕수수 노예등으로 부를 쌓아 현재에 이르지만 대한민국이 그들에게 못지않은 발전을 하고 있는것은 누구의 희생을 이용하지 않아 도덕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어 자부심을 느끼게합니다

    • @user-bc1df7kv3m
      @user-bc1df7kv3m 2 місяці тому +2

      박정희때 베트남전쟁 참전해서 전쟁특수로 한강의기적일으킨건 까먹었나보네요

    • @hterius95
      @hterius95 2 місяці тому +1

      대한민국은 조선시대로 쭉 남았으면 지금 인도보다 못 사는 후진국이였음 ㅉㅉㅉ

    • @kalelsuper
      @kalelsuper 2 місяці тому +2

      같은 민족 자국민의 희생

  • @myungpak322
    @myungpak322 Рік тому +38

    KBS 다큐 최고!!!!
    몰랐던 사실을 알게돼는 시청각교육이 아는기쁨이커요~~~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유럽인들이 아시아의 향료의 매력에 빠진 것중 하나가 향신료의 맛도 맛이지만 우멋보다도 냉장고가 없었던 당시에 아시아의 향신료를 음식에 사용을 하면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했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유럽인들이 대서양을 비롯한 바다를 항해를 할 수 있게 해줬던 기술은 바로 아랍인들이 찾은 밤하늘에서 정북극에 위치를 해서 움직이지 않는 별인 북극성과 90도 각도계를 이용해서 위도를 측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 @hterius95
      @hterius95 2 місяці тому +1

      대한민국은 조선시대로 쭉 남았으면 지금 인도보다 못 사는 후진국이였음 ㅉㅉㅉ

  • @user-pn8qu9rh4t
    @user-pn8qu9rh4t 11 місяців тому +25

    정말 유익한 중세부터 근현대사를 다큐로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lighthouse4307
    @lighthouse4307 11 місяців тому +12

    나도 기억에 남는 다큐~ 내 취향이었음 이런 글로벌한 주제의 다큐가 더 많았으면 좋겠음

    • @silver3.065
      @silver3.065 2 місяці тому +1

      꿈도 꾸지 마쇼
      윤석열 김건희 그지 부부가
      KBS 말아먹었수다

  • @freebird4757
    @freebird4757 Рік тому +13

    좋은 다큐 감사합니다.

  • @Kulheartful
    @Kulheartful Рік тому +34

    정말 다시보고 싶은 다큐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유럽인들이 아시아의 향료의 매력에 빠진 것중 하나가 향신료의 맛도 맛이지만 우멋보다도 냉장고가 없었던 당시에 아시아의 향신료를 음식에 사용을 하면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했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유럽인들이 대서양을 비롯한 바다를 항해를 할 수 있게 해줬던 기술은 바로 아랍인들이 찾은 밤하늘에서 정북극에 위치를 해서 움직이지 않는 별인 북극성과 90도 각도계를 이용해서 위도를 측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 @user-hx9ie7uv4i
    @user-hx9ie7uv4i Рік тому +80

    저에게 가장 기억에 남는 다큐 중 하나였는데 연속으로 시청 할 수 있어서 너무 좋네요^^ 보통의 다큐는 그다지 기억에 오래 안 남는데 이 다큐는 제가 그 동안 가지고 있었던 생각이나 편견을 깨 준 다큐여서 당시 풉에서 보고 또 보았던 것 같아요. 특히, 동남아 부분이 제게는 임팩트가 강해서 그때부터 동남아 역사와 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너무 좋은 내용 입니다 2015년 제작을 내용을 이제야 합본으로 보는데 2022년에 봐도 손색이 없네요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1

      유럽인들이 아시아의 향료의 매력에 빠진 것중 하나가 향신료의 맛도 맛이지만 우멋보다도 냉장고가 없었던 당시에 아시아의 향신료를 음식에 사용을 하면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했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유럽인들이 대서양을 비롯한 바다를 항해를 할 수 있게 해줬던 기술은 바로 아랍인들이 찾은 밤하늘에서 정북극에 위치를 해서 움직이지 않는 별인 북극성과 90도 각도계를 이용해서 위도를 측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user-wg3ul8tl4q 유럽인들이 아시아의 향료의 매력에 빠진 것중 하나가 향신료의 맛도 맛이지만 우멋보다도 냉장고가 없었던 당시에 아시아의 향신료를 음식에 사용을 하면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했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유럽인들이 대서양을 비롯한 바다를 항해를 할 수 있게 해줬던 기술은 바로 아랍인들이 찾은 밤하늘에서 정북극에 위치를 해서 움직이지 않는 별인 북극성과 90도 각도계를 이용해서 위도를 측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유럽인들이 아시아의 향료의 매력에 빠진 것중 하나가 향신료의 맛도 맛이지만 우멋보다도 냉장고가 없었던 당시에 아시아의 향신료를 음식에 사용을 하면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했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유럽인들이 대서양을 비롯한 바다를 항해를 할 수 있게 해줬던 기술은 바로 아랍인들이 찾은 밤하늘에서 정북극에 위치를 해서 움직이지 않는 별인 북극성과 90도 각도계를 이용해서 위도를 측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 @user-eh3iv2ht4h
      @user-eh3iv2ht4h Рік тому +1

      .

    • @kimstone2147
      @kimstone2147 Рік тому +1

      일본놈들이, 서방의 식민지로 떼돈을 버는 것을 보고, 고대로 따라했지,
      주뎅이로는 서방 식민지로부터, 아시아를 보호해준다는 구라를 치면서,
      실제로는 더 극악하게, 지배하고 착취했지...
      친일했던, 일본개들은 그런, 일본을 지금도 입이 마르게 칭찬을 하고 있고~~~

  • @Demyungdong
    @Demyungdong Місяць тому +2

    여윽시 다큐가 쵝오

  • @dougeddy3642
    @dougeddy3642 Рік тому +1

    감사 🥹 감사합니다 😊

  • @richardyoo5576
    @richardyoo5576 Рік тому +6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유럽인들이 아시아의 향료의 매력에 빠진 것중 하나가 향신료의 맛도 맛이지만 우멋보다도 냉장고가 없었던 당시에 아시아의 향신료를 음식에 사용을 하면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했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유럽인들이 대서양을 비롯한 바다를 항해를 할 수 있게 해줬던 기술은 바로 아랍인들이 찾은 밤하늘에서 정북극에 위치를 해서 움직이지 않는 별인 북극성과 90도 각도계를 이용해서 위도를 측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 @kychoi2653
    @kychoi2653 Рік тому +22

    우리나라 역사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꿀 때가 훨 지났다고 봅니다.
    중학교 때 조선시대 이전의 한국사, 세계사 배우고 고등학교에서는 필수로 고1 때 조선시대 이후 한국사, 고 2 때 조선시대 이후 세계사를 배워야 한다고 봅니다.
    1910~1945 사이의 한국사의 독립운동사의 내용을 1/3으로 줄이고 1850~1950년의 세계사의 분량을 충분히 늘려야 합니다. 특히 대항해시대, 대국굴기, 식민지 국가의 역사, 산업혁명, 제국주의, 바다와 무역의 시대, 독일통일, 세계 대전과 냉전에 대해서 충분히 가르쳐야 합니다.
    특히 냉전은 우리에게 잊혀진 것이 되어가고 있지만 요즘 세대는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 @user-bn4og8dh7u
      @user-bn4og8dh7u Рік тому

      ㅇㅇ 독립운동 그거는 중요한
      몇명만 배우고
      걍 버리는게 맞음
      뭔 구석탱이 무장단체 알아서 뭐하나

    • @gordon-chang
      @gordon-chang Рік тому +3

      국사와 세계사를 분리하기 때문에 생기는 괴리와 왜곡이 생깁니다.
      국사는 일종의 국뽕을 심어주기 위한 장치일뿐 세계사에 포함시켜 배우면 된다고 봅니다.
      언제까지 말도안되는 국뽕으로 버무린 왜곡된 국사교육을 해야합니까

    • @azeoy
      @azeoy 11 місяців тому

      서양이 세계 경제 중심인 것은 도전,탐험,희생 정신이지요... ㅋ
      방구석 에서 악플 이나 다는 거론 세상이 안 바뀐다 ㅋ

  • @seoalee3063
    @seoalee3063 Рік тому +2

    이민우씨 나레이션 귀에 잘 담겨요 좋아요

  • @ill5104
    @ill5104 Рік тому +1

    와 이건 또 보러 와야겠다

  • @user-hk2sw7pl6u
    @user-hk2sw7pl6u Рік тому +31

    이 다큐를 통해서 1.정화선단과 조공외교 2.바스코 다 가마가 새로운 항로를 개척한 이유 3.후추,설탕,면직물,차가 동양에서 서양으로 전파된 경로 4.아편전쟁 이전과 이후의 중국에 대해서 배울수 있습니다. 특히 이민우 배우님의 힘있는 나레이션으로 한말씀 한말씀이 어명을 내리시는듯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경들은 명심하거라. 우리 조선은 이제 어찌해야하겠는가? 다음 kbs 다큐에도 꼭 이민우 배우님이 참여하게 해주세요. 주상전하의 말씀 잘 들었습니다..세계사 배울때 꼭 봐야할 필수 다큐입니다.

    • @user-lh8cz6bw4n
      @user-lh8cz6bw4n Рік тому

      좀 오래 살았읍니다 .. 우리때는 유럽의 신대륙 발견 이라고 배웠고 몽고는 유럽 침공 이라고 배웠습니다

  • @SPRINGFIELD30EA
    @SPRINGFIELD30EA Рік тому +6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역사 속의 주요 물자를 확보하려는 국가별 힘의 경쟁과 전쟁, 무역의 역사, 글로벌 자금의 흐름, 주요 국가별 과거부터의 방식과 특성을 한번에 이해 시켜 주는 훌륭한 다큐입니다. 자녀에게도 보여주고 두고 두고 볼 내용입니다.~~

  • @user-od3er7bv1u
    @user-od3er7bv1u Рік тому +12

    고 정주영 회장님의 고마움을 느낄 수 있던 영상이였습니다ㅎㅎ

  • @Jungermadsen
    @Jungermadsen Рік тому +13

    와 이걸 총합본으로 편집해서 올려주시네... ㄷ ㄷ ㄷ 당장 좋아요 누르고 생각 날 때 마다 봐야지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유럽인들이 아시아의 향료의 매력에 빠진 것중 하나가 향신료의 맛도 맛이지만 우멋보다도 냉장고가 없었던 당시에 아시아의 향신료를 음식에 사용을 하면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했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유럽인들이 대서양을 비롯한 바다를 항해를 할 수 있게 해줬던 기술은 바로 아랍인들이 찾은 밤하늘에서 정북극에 위치를 해서 움직이지 않는 별인 북극성과 90도 각도계를 이용해서 위도를 측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 @user-ok6xd9jd9i
      @user-ok6xd9jd9i 9 місяців тому

      ​.

  • @0nehana985
    @0nehana985 Рік тому +2

    감사합니다. 잘 볼게요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20

    유럽인들이 아시아의 향료의 매력에 빠진 것중 하나가 향신료의 맛도 맛이지만 우멋보다도 냉장고가 없었던 당시에 아시아의 향신료를 음식에 사용을 하면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했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유럽인들이 대서양을 비롯한 바다를 항해를 할 수 있게 해줬던 기술은 바로 아랍인들이 찾은 밤하늘에서 정북극에 위치를 해서 움직이지 않는 별인 북극성과 90도 각도계를 이용해서 위도를 측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 @jeonhyeoncheon8442
      @jeonhyeoncheon8442 Рік тому

      그렇군요^^

    • @azeoy
      @azeoy 11 місяців тому

      서양이 세계 경제 중심인 것은 도전,탐험,희생 정신이지... ㅋ
      방구석 에서 악플 이나 다는 거론 세상이 안 바뀐다 ㅋ

    • @STARGATE_SGC
      @STARGATE_SGC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azeoy 아무리 서양인들이 도전, 탐험, 희생정신이 있다고 해도 당신처럼 무지하면 백프로 실패를 합니다. 내가 몇년전에 몽골의 사막에서 길을 잃고 죽을뻔한 경험을 한적이 있었는데요! 그때는 운이 좋아서 지니가던 목동들에 의해서 구조가 됐었는데 지금은 오지여행을 갈 때 반드시 지도와 나침반, 위, 경도측정기를 가지고 갑니다. ㅎㅎㅎ

  • @MrJsy0264
    @MrJsy0264 2 місяці тому

    잘 만든 KBS 다큐 입니다 🎉

  • @user-jh9ky9dx2s
    @user-jh9ky9dx2s 6 днів тому

    아..명작입니다.. 많은 것을 느끼고 배우네요..성장과 발전이라는 양지 뒤에 추악하고 암울한 역사가.. 인간은 참 잔인하다

  • @user-vl4jv9gm4v
    @user-vl4jv9gm4v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14:35 아랍 항해사 이븐 마지드의 안내 덕분에 ㅡㅡㅡ> 결국 아랍은 인도가 어디 있고 어떻게 가는지 등등을 이미 다 알고 있었다는 얘기인데, 그런 지식을 소수의 개인이 알고 그치느냐, 국가적인 차원에서 역량을 집중하느냐가 핵심

  • @JGruT
    @JGruT Рік тому

    슈퍼피쉬랑 이거 넘 굿

  • @gogosingo2306
    @gogosingo2306 Рік тому +14

    내 최애 다큐♡ 세번 재탕함 또.봐야지 꺅

  • @user-fv7mn6qv7t
    @user-fv7mn6qv7t Рік тому

    이성과 마음을 동시에 감동케 하는 추도사 입니다

    • @user-xl4uv2tx1i
      @user-xl4uv2tx1i Рік тому

      목선길이가 백오십미터
      미국이이차대전전에맹근 철제골조목선이 백미터가안되었는데 뒤틀어짐때매 폐선함
      그리고목선은 계속물이차기에물을퍼줘야하는디미국은 양수기로퍼내는데
      정화때는 백오십미터 그배에 차는물퍼내는데만 수백명이필요함.
      ㅋㅋ
      그리고 백오십미터짜리 용골로쓰는 나무가있어야함.
      중국은ㄷㄷㄷ
      현대기술로도고작백미터 철제용골목선도몬맹그는디
      중국은 수백년전에 백오십미터 목제용골목선을맹금

  • @user-mu4mw6ou6s
    @user-mu4mw6ou6s Рік тому +3

    좋은 동영상 주셔서 매우 감사드립니다 🌏🇰🇷👍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유럽인들이 아시아의 향료의 매력에 빠진 것중 하나가 향신료의 맛도 맛이지만 우멋보다도 냉장고가 없었던 당시에 아시아의 향신료를 음식에 사용을 하면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했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유럽인들이 대서양을 비롯한 바다를 항해를 할 수 있게 해줬던 기술은 바로 아랍인들이 찾은 밤하늘에서 정북극에 위치를 해서 움직이지 않는 별인 북극성과 90도 각도계를 이용해서 위도를 측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 @user-ii1hx9ox3s
      @user-ii1hx9ox3s Рік тому

      ​@@STARGATE_SGC 이아저씨는 댓글마다 다달고있네 그러면 구라인것같음

  • @balasion
    @balasion Рік тому

    0:44 와 이영상의 핵심이네 잘보고 갑니다 ㅎㅎ

  • @ck1737
    @ck1737 Рік тому +2

    지금은 한국의 반도체. 그리고 한류. 곧 한국의 문화, 상품, 모든것이 세계에 널리 유행 과 보급 되어 지금 어려운 경제를 이겨 나갔으면 합니다.

  • @zerorisekie1638
    @zerorisekie1638 Рік тому +90

    대항해시대..얼핏 들으면 낭만적으로 들리지만....
    진실은... 전쟁,노예,착취,학살로 점철된 피로 얼룩진 역사군요...
    역사,세계사를 교육할때도 이런 부분은 꼭 넣어야 할듯합니다.

    • @justine5804
      @justine5804 Рік тому +22

      낭만이라는것도 방구석 입장에서 보고 외곡한거고
      원래는 위험과 희생 그리고 고행의 시기였죠.
      전쟁 노예 착취 학살 이런건 한참후에 결과물 놓고 벌어진 일이고요.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그런 소소한 감정적인 부분을 부각할게 아니라
      인류 역사의 전환점을 가져온 핵심적인 사건이라는거죠.
      즉 각개 따로 존재하던 국가와 소규모 산업들이
      글로벌 화 되면서 규모가 어마무시하게 바뀌고
      그로인해 엄청난 시장이 형성되며 초고속 발전이 이루어지고 이것이 경제,과학,의학,교학 그리고 인류사회 수준에 거대한 도약을 가져왔다는 사실.
      근대화를 통해 지금의 인류가 있게 된것.

    • @zerorisekie1638
      @zerorisekie1638 Рік тому +7

      @@justine5804 돈이라는 욕망을 위해 침략 약탈 작취.........ㅋㅋ
      지금은 그렇게 못하는 이유가...
      수많은 약탈자들의 상호 견제때문인가...
      아니면.. 힘있는 놈만 약탈적 사업을 하는건가.. 전쟁을 사주하고...부정 부패자의 목줄을 잡아서 대리전을 하게 하고....
      여전히 인류는 대항해시대군..ㅋ

    • @user-wj5bc3jb5j
      @user-wj5bc3jb5j Рік тому +9

      @@zerorisekie1638 요즘은 손쉽게 금융시장으로 돈빼먹죠ㅎㅎ

    • @American-drone
      @American-drone Рік тому +1

      @@justine5804 저 말씀중에 죄송합니다만 우리 외곡이 즈얼대 외곡아닙니다. 왜곡입니다

    • @ibtech300ibtech3
      @ibtech300ibtech3 Рік тому +2

      @@justine5804 맞습니다. 그래서 이베리아 반도가 이슬람 세력을 몰아내고 포르투갈이 바다로 나가는 시점을 모든 역사학자들이 근대화의 시작으로 보는 거지요.
      그게 1492년이고 조선이 건국한지 얼마 안되는 시기.

  • @user-xr5yg3mw1j
    @user-xr5yg3mw1j Рік тому +3

    우와-- 너무재밌다 ♡♡♡

  • @johnathanha9340
    @johnathanha9340 Рік тому +28

    가파른 세계 경제의 성장과 부의 성장에는 노예와 식민지의 역사가 있었군요. 참 회개가 필요한 역사 입니다.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유럽인들이 아시아의 향료의 매력에 빠진 것중 하나가 향신료의 맛도 맛이지만 우멋보다도 냉장고가 없었던 당시에 아시아의 향신료를 음식에 사용을 하면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했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유럽인들이 대서양을 비롯한 바다를 항해를 할 수 있게 해줬던 기술은 바로 아랍인들이 찾은 밤하늘에서 정북극에 위치를 해서 움직이지 않는 별인 북극성과 90도 각도계를 이용해서 위도를 측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 @user-hk6mg9gp5x
    @user-hk6mg9gp5x 19 днів тому

    무기 최고

  • @user-oc3ik4ek7h
    @user-oc3ik4ek7h Рік тому +1

    너무,,너무 짱이다

  • @user-qx3xf4yd3k
    @user-qx3xf4yd3k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계속 계속 볼수 있어서 좋아요.

  • @user-id8sh6gf2e
    @user-id8sh6gf2e Рік тому +15

    후추.설탕.면직물.차. 등의 자원을 아시아에서 노동력을 아프리카에서, 유럽은 약탈했다. 그들의 것이라고는 총과 욕심뿐이었지만 그것으로 부유해졌다.

    • @jane-rh1oe
      @jane-rh1oe Рік тому

      총과 욕심만으로 서방국가들이 세계를 이렇게 발전시켰을거라고 생각하는거냐? ㅋㅋㅋㅋ
      너무 댓글에 멍청한게 보여서 역겹다

    • @user-ow7zb7kj9h
      @user-ow7zb7kj9h Рік тому

      머여 외국인인가 왜 한국어같으면서도 다르지

    • @jkijljbnj7165
      @jkijljbnj7165 4 місяці тому

      서양은 왜 총을 만들 수 있었는데 왜 동양은 못그랬을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서양에서 뉴턴이 고전역학 완성했을 때 동양은 뭐했다?

  • @user-s2qpjzek5c
    @user-s2qpjzek5c Рік тому

    좋다

  • @gsimi9304
    @gsimi9304 Рік тому +5

    다큐 맛집 KBS

  • @chin5104
    @chin5104 Рік тому +3

    3시간 30분 미쳤다…

  • @yumyum1281
    @yumyum1281 Рік тому +2

    다큐 감사합니다 시청료 내는 보람이 있음

  • @peterkang9572
    @peterkang9572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세계사를 이 한 다큐 몰아보기로 정리가 되다니 놀랍습니다~~~

  • @user-ec6nt6xr3k
    @user-ec6nt6xr3k Рік тому +2

    같은하늘아래 살고있는 수많은
    민족들의. 애환이. ㅡ. 노동착취
    와 문화 소멸을. 겪으면서. 살아
    남은 사람들 ㅡ. 수없는 역사의
    질곡을. 곆으면서. 산업사회에
    희생되고 우리는 그 부산물인
    설탕과 후추 금 은다이이아몬
    드를. 취하며. 살아온거죠. 정
    말좋은 컨텐츠를 제작해주는
    분들에게 감사합니다

  • @user-sh8ye8qb8k
    @user-sh8ye8qb8k Рік тому +3

    우리는 피 한방울 안 흘리고 지금의 무역로를 사용하고 있다.
    이건 정말 축복 같은 일이다.
    지금 최강 미국도 자국선단들이 잡혀서 노예로 잡혀가는 상황이 터진다..
    그래서 엄청난 비용을 주고 자국민을 구해온다
    그당시 국가예산의 30% 가량의 돈을 주고 데려온다..이미 거세된 선원들고 발생..
    그 이후 미국도 해군력 키워서 그 해적소굴을 소탕한다,,
    우리도 이제는 무역로 보호하는데 군대를 파견하고 지켜야합니다.

  • @mcy2756
    @mcy2756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EBS 다큐 중 최고 중 하나

  • @user-pb2nw3hd3b
    @user-pb2nw3hd3b 3 місяці тому

    개발자가 이 영상보면
    더 이상 천장 뚫린 맵은 안나오겠다 ヲヲヲヲヲ
    각폭 교수님 진짜 세계 최강👍🏻

  • @user-gy4mg3ow6x
    @user-gy4mg3ow6x 4 місяці тому

    책으로도 만들어주세요

  • @user-ec6nt6xr3k
    @user-ec6nt6xr3k Рік тому +1

    반도체의확장이 가져다준 실생
    활속의 활용과. 산업사회의변화
    메타버스세상의 벽없는.경쟁. 새로운 부의창출등도. 보고싶습
    니다.

  • @honeybreadjo8512
    @honeybreadjo8512 3 місяці тому +1

    정화의 해상 원정은 정말 역사상 유례가 없는 대규모였습니다만, 목적과 의도는 명 제국의 힘과 위세를 세상에 과시하겠다 그것도 일회성으로.
    그렇게 위세를 한번 과시한 이후로는, 목적을 달성했기 때문에, 더 이상 계속되지 않았죠.
    모든 국민들이 무역으로 돈을 벌고, 해외에서 꿈을 이루겠다는 그런 동기가 있었고 그렇게 할 수 있었고 나라도 그것을 방해하지 않았던 유럽과는, 하늘과 땅 차이가 있었죠.
    정화 이후로는, 명 정부에서 의도적으로 백성들이 바다로 진출하는 것을 막았습니다. 그러니... 몇 백년이 지난 후 상대가 될 리가 없죠. 숨쉬듯, 밥먹듯 바다를 다니던 유럽인들과는.

  • @user-fo8ms9nz7c
    @user-fo8ms9nz7c Рік тому +19

    진짜 다큐는 KBS가 최고다

    • @STARGATE_SGC
      @STARGATE_SGC Рік тому

      유럽인들이 아시아의 향료의 매력에 빠진 것중 하나가 향신료의 맛도 맛이지만 우멋보다도 냉장고가 없었던 당시에 아시아의 향신료를 음식에 사용을 하면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했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유럽인들이 대서양을 비롯한 바다를 항해를 할 수 있게 해줬던 기술은 바로 아랍인들이 찾은 밤하늘에서 정북극에 위치를 해서 움직이지 않는 별인 북극성과 90도 각도계를 이용해서 위도를 측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 @kimjinhyun97
    @kimjinhyun97 Рік тому

    오호 쌈바 걸~

  • @corebox4875
    @corebox4875 Рік тому +25

    유럽 즉 서양이 부유하게 된것은 다른 나라를 침략하여 잔인하게 살인하고 약탈하고 노예로부려 모든것을 차지한 악랄한 결과이다.
    약육강식의 법칙이 동물의 세계와 다름없어 참으로 서글프다.

    • @American-drone
      @American-drone Рік тому +3

      유럽은 조상부터가 초원에서 생겨난 유목민이라 그런지 어디로 훌쩍 떠나는걸 서슴치 않았죠.

    • @koodeta2000
      @koodeta2000 Рік тому

      서글프고,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 진실

    • @dlpul7870
      @dlpul7870 Рік тому

      강대국들은 지금도 똑같습니다.
      그래서 국력을 키우려 난리죠.

    • @sarah-sz1vl
      @sarah-sz1vl Рік тому

      그래서 창조주는 동양을 더 오래 번성하도록 계획했는지도 모르죠.

    • @user-ww9hp9fo5n
      @user-ww9hp9fo5n Рік тому +1

      부유하니까 다른 나라를 침공할 수 있었던거다 멍청아;

  • @user-wj5bc3jb5j
    @user-wj5bc3jb5j Рік тому +4

    2015년 KBS다큐 클라스ㄷㄷ..

  • @user-wx3ho3yu6n
    @user-wx3ho3yu6n Рік тому +54

    전쟁 을 대비 하지 않는 나라 식민지 가 되는 역사

    • @youngrokyoon3749
      @youngrokyoon3749 Рік тому +1

    • @youngrokyoon3749
      @youngrokyoon3749 Рік тому

    • @mcy2756
      @mcy2756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상대적으로 평화로운 시기가 많았던 동아시아는 전쟁보다는 안정한 기간이 길었죠
      이게 동서양의 차이를 만들고 말았음

    • @ThePaksungjoo
      @ThePaksungjoo 11 місяців тому

      😢

    • @ThePaksungjoo
      @ThePaksungjoo 11 місяців тому

      😢

  • @user-et7jo2qv7f
    @user-et7jo2qv7f 3 місяці тому

    The more we learn about wild animals, the more we realize how little we know.

  • @user-zc5gz7rt7f
    @user-zc5gz7rt7f 8 місяців тому +1

    민우야
    좋아한다 민우야~~
    너 어릴적부터 봐왔는데
    좀더 멋진 사람이되길 빌께
    성인되고 군대다녀온뒤 힘들어보여
    암튼 멋있음^^

  • @painter_ho
    @painter_ho Рік тому +10

    16:12 영상 최고의 반전 장면ㅋㅋ

  • @user-jb1tf4op2v
    @user-jb1tf4op2v 11 місяців тому

    에헤 돋보기 쓰기 전엔 냄비 쓰고 얼라들 전쟁 군인 놀이 하는줄 알았음다 얼굴이 아주 좋아 보입니다.
    홧팅 하세오!

  • @user-tm7my4qw2d
    @user-tm7my4qw2d Рік тому +2

    무겁다 너무 무거워서 가늠조차 안되는 역사다

  • @user-hb6cy4qf5z
    @user-hb6cy4qf5z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오랜만에 듣는 이민우 발성은 대한민국 최고였다

  • @user-qv4kp2pm1e
    @user-qv4kp2pm1e Рік тому

    고맙습니다 ㅎ

  • @5minhyeok
    @5minhyeok Рік тому

    우와

  • @silver33412
    @silver33412 Рік тому +3

    아랍인들의 도전과 개척정신으로 동서양 연결이 이루어진 것이라 봐야함
    아랍인들이 서로 반목하지만 않았다면 최고의 부를 가진 나라는 계속 아랍인들이 유지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

    • @koodeta2000
      @koodeta2000 Рік тому +1

      동서양 중개무역으로 한때 사마르칸트 등이 번성할 정도로 잘먹고 살았지만, 서양을 너무 틀어 막고 폭리를 취하니 그것이 대항해시대를 압박한 원인이 되었죠. 아랍끼리 반목하지 않았더라도 육상루트 봉쇄가 계속 되었다면 비슷한 결과를 냈을듯.

  • @justinlee8662
    @justinlee8662 Рік тому +12

    저런 좋은 역사를 가진 중국이 어찌 하여 문화 미개국이 되고 공산 국가의 전형이 되어 버렸냐 안타깝네요..

  • @user-mu4mw6ou6s
    @user-mu4mw6ou6s Рік тому

    인생을 즐기는 것은 마음먹기에 따라 ㅡ

  • @etnamirr
    @etnamirr Рік тому +5

    정화 선단의 원정에 대해서는 후일 밝혀지기로... 그정도 크기의 함선을 제작할 능력이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죠 - 중국 특유의 과장이 좀 곁들여진 것이라 보는 듯 합니다. 150미터 목재 함선은 강도면에서 불가능하고 200명이 당겨야 하는 비단돛이라니..

  •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Рік тому +6

    조선이 상업을 경시하고 교류를안해서 결국 퇴보해서 일본한테먹힌거였네요 ㅠ
    갇히지말고 나가야됨

    • @golice
      @golice 5 місяців тому

      상업만 있으면 결국 청나라 수준임
      상업을 토대로 계측과 개량 기록을 해야 지배적 국가가 되는거다

  • @egor-barinov
    @egor-barinov 4 місяці тому

    Красивая сказка! Главное верить в нее! 😂

  • @user-ph9hb9ov6r
    @user-ph9hb9ov6r Рік тому +1

    오예~~~~~~

  • @user-nl3sl5sf1l
    @user-nl3sl5sf1l 2 місяці тому

    유향이무엇인가햇는데유향나무진이라는것을알이ㅏㅅ네요😂

  • @user-np6si6ie2i
    @user-np6si6ie2i 11 місяців тому

    1:34:18 노예선
    2:22:43 석탄
    2:51:53 차, Vauxhall garden

  • @user-ie6ns1mc1l
    @user-ie6ns1mc1l 11 місяців тому

    용의 눈물 양념대군으로 유명한 사극명인 이민우 배우가 내래이션을 맡아 더 빛이 났던 다큐라고 여깁니다.

  • @user-cx5nn6th7s
    @user-cx5nn6th7s 6 місяців тому

    세월은 치열한 지나간 세월 넘어선 사람은 추억하겟지

  • @talmoescape
    @talmoescape Рік тому +2

    날강도들의 역사

  • @skb22ggg
    @skb22ggg Рік тому +4

    중국은 당시 과학 발전이 서구에 뒤쳐져 탐험 결과 이 땅(지구)이 무한한 세계라고 생각한 듯하다.
    청나라 정화가 대함대를 이끌고 수차례에 걸쳐 바다를 탐험 했으나 지구의 반바퀴에도 미치지 못했다.
    몽고족 원나라도 동유럽까지는 진출 했으나 끝내 대서양까지는 이르지 못했으며 이 세계(지구)의 끝을 보지 못했다.
    결국 이 세계는 끝이 없는 세계라고 인식하고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 아니라는 것만 깨닫게 되었고 지역에서 패권을 유지하며 지배하는 것이 최선이라 생각하고 결국 바다를 포기 했다.
    지구가 둥글고 유한한 세계라는 것을 과학발전으로 알게 된 서구와 정반대의 길을 걷게 된 이유 일지도 모른다.

  • @shinshin367
    @shinshin367 Рік тому +2

    지금도 바다를 지배하는 해양국가들이 패권국가의 지위를 얻고있다 과연 대한민국은 해양세력인가요? 아니면 대륙세력인가요?

  • @lifeisshort99
    @lifeisshort99 5 місяців тому

    1세대 2세대 아파트는 날림이라 부시고 새로 지여야했지만 2020년 이후 지은 건물은 100년 갈 가망이 크죠. 코로나때 지은건물은 철근 빼먹고 막지어 것만 빤들...

  • @user-mu4mw6ou6s
    @user-mu4mw6ou6s Рік тому +1

    언제나 혼자 있는 것이 영혼을 즐겁게 해주는 것 같다 ㅡ
    ㅡ 하생부지 천생자 ㅡ

  • @youngjin8300
    @youngjin8300 Рік тому +4

    KBs 다큐멘터리팀보면 수신료를 더 올려주고 싶다.

  • @user-jy9ov7nb5b
    @user-jy9ov7nb5b Рік тому +4

    굿굿🤙먹빵,억지웃음,유발과다른 유익한방송.

  • @user-iq1mm4gd7c
    @user-iq1mm4gd7c Рік тому +3

    이민우 나레이션 정말 잘한다~

  • @user-cm1en8ou9j
    @user-cm1en8ou9j Рік тому +2

    한국 다큐는 왜 다 자막이 없어요?

  • @user-dr9ek7qs1m
    @user-dr9ek7qs1m Рік тому +2

    57:00
    꿀보다 설탕

  • @user-qt9ti7ju1n
    @user-qt9ti7ju1n Місяць тому +1

    ❤🎉

  • @pinusli1796
    @pinusli1796 4 місяці тому

    수년전에 정화의 항해가 장기간 연재되어 흥미롭게 보았는데 이 푸로에서 그 전후사정을 보니 반갑고 좋은 프로입니다.

  • @baseboy5152
    @baseboy5152 Рік тому +20

    유럽은 이런 역사적 과오를 분명히 배상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justine5804
      @justine5804 Рік тому +5

      이 뭔 병
      그럼 지금의 삶보다 중국 속국으로 살며 국민 대부분을 노예로 착취하던 조선인의 삶이 더 나았다는 말이냐?

    • @baseboy5152
      @baseboy5152 Рік тому +5

      @@justine5804 원댓 문장 어디에 우리나라가 언급돼있지? 국어공부 다시 해라.

    • @American-drone
      @American-drone Рік тому

      @suddenhero123 ㅋㅋㅋ 그러네요 프랑스는 뭐 아프리카 아랍 이민자 천지삐깔이고 말이죠

    • @sarah-sz1vl
      @sarah-sz1vl Рік тому

      이미 진행중인걸로 보이는데요.
      보석과도 같은 유럽이 망가지는게 안타깝기도 하지만 역사적 과오를 짚어보면 그냥 넘어갈순 없겠죠.
      세상의 이치라는것이.
      개개인 간에도 인과응보의 법칙이 적용되는데 나라 사이에도 마찬가지겠죠.
      그것도 이만저만 한것도 아니고 악행을 너무 많이 저질렀죠.
      참, 서양인들이 쫌 희안한게 타국을 식민지 삼고 수탈 약탈하고 학살하고 해놓고도 별 죄책감 없이 잘도 산다는거죠.
      신을 섬겨도 삐딱하게 섬기면서, 인디안들이 사람이 맞냐 안 맞냐 그 따위 논쟁이나 하고 ..
      균형감각이 없는건지 우월의식이 강한건지 좀 이해 안되기도 함

    • @user-pq2ll5nc1r
      @user-pq2ll5nc1r Рік тому

      역사는 승리 자 의것ᆢ
      이기는것 ㆍ승리 의 나라. 승리자가. 진리ᆢ

  • @kukurigangsta
    @kukurigangsta Рік тому +1

    과거에는 현재의 캐비어 트러플의 위치가 후추였네요ㅋㅋ

    • @oxoxoxox8152
      @oxoxoxox8152 Рік тому

      그보다 더 값나감 후추 한줌이면 말이 수십마리

  • @user-dr9ek7qs1m
    @user-dr9ek7qs1m Рік тому

    1:06:50
    지구인들의 노예

  • @RndelQndel
    @RndelQndel Рік тому

    ㅊㅊㅊ

  • @chelubongan1889
    @chelubongan1889 Рік тому +3

    포루투칼은 한 시대에 해상의 강도라고 해야 했다.

  • @user-mu4mw6ou6s
    @user-mu4mw6ou6s Рік тому

    매우 춥다
    작업에 좋은 환경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즐긴다 ㅡ

  • @user-ie4hq1gr8f
    @user-ie4hq1gr8f 8 місяців тому +2

    해양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

  • @user-oe1vf9vh4n
    @user-oe1vf9vh4n Рік тому

    3:2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