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에서 구글, 애플, 스팀을 고소하는 이유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836

  • @kanitey
    @kanitey 3 місяці тому +919

    사실 이것들도 문제지만 진짜 문제는...
    지금의 밸브와 스팀은 게이브 뉴웰의 성향 때문에 유지하고 있는건데
    이분도 나이랑 체형 고려하면 언제 가실 지 알 수가 없는 상황인데
    게이브 뉴웰 사후에 어떻게 변화될 지 알 수가 없는 게 두려운거

    • @sjrnfl1914
      @sjrnfl1914 3 місяці тому +67

      그 양반 죽고나서 스팀이 ㅈ대로 행동하면 유럽이랑 미국 애들이 가만히 있겠음??

    • @국산돌소금-n1y
      @국산돌소금-n1y 3 місяці тому +134

      @@sjrnfl1914근데 약간 유튜브급 독점이라..ㅠ

    • @국산돌소금-n1y
      @국산돌소금-n1y 3 місяці тому +113

      @@sjrnfl1914 이해는 했음 근데 너무 과해서 스팀이 아몰라 시전하면 피해는 소비자들만 본다는거임

    • @colaispepsi
      @colaispepsi 3 місяці тому +22

      구글도 지금 미국에서 과독점으로 쪼개니마니하고 있어서 스팀이라고 뭐 아몰라 이러지는 못할거임

    • @guevarache1071
      @guevarache1071 3 місяці тому +50

      이러니저러니해도 스팀 자체의 자유로운 기조는 게이브 뉴웰의 성향 덕이 큰데말이죠

  • @kiyjy7
    @kiyjy7 3 місяці тому +648

    솔직히 스팀이 유저 친화적 운영을 하는 것도 원래는 밸브가 자사 게임 관리를 편하게 하기 위해서 스팀을 만들었는데 다른 게임들도 팔기 시작해서 커진 게 지금의 스팀이기 때문...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318

      소송 이슈와는 별개로
      (정품) PC 게임 시장이 커질 수 있었던 것에는 스팀의 공로가 크지 않았나 싶긴 합니다

    • @TailsFoxGMR
      @TailsFoxGMR 3 місяці тому +95

      @@penguinmonster 특히 인디게임큰것도 스팀이 있었서.... 그린라이트로 시작해서 인디게임 엄청 키워준듯..

    • @user-Neapolitan6
      @user-Neapolitan6 3 місяці тому +1

      @@penguinmonster 그건 맞죠 솔직히 복돌 하는 가장 큰 이유가 돈이 없다기보단 정발을 안 하고 구매를 하기가 쉽지 않아서 였는데 스팀이라는 플랫폼 안에 다 모아놓으니 복돌이 매우 줄어들긴 했음...
      그래서 복돌도 예전엔 토렌트 공유 사이트나 p2p 사이트처럼 한 곳에 몰아넣은 게 아니면 복돌 자체도 귀찮아서 다운 안 받는 사람이 허다했음 ㅋㅋ...
      사회가 고도화 되면서 여가시간도 점점 줄어드는데 게임 다운 받는데만 소중한 여가 시간을 뺏기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태반이었어서...
      반대로 시간이 널널해서 걸리지 않을 파일을 찾을 시간이 충분한 청소년이 주로 불법 다운로드를 했죠.

    • @gumgyo
      @gumgyo 3 місяці тому +5

      이 영상하고 무슨 상관인건지

    • @neighborsbear
      @neighborsbear 3 місяці тому +65

      ​​@@gumgyo다른놈들 하고 다르게 스팀은 정당하게 시장을 장악했다는거죠

  • @rephoenix3375
    @rephoenix3375 3 місяці тому +76

    인디겜 개발하는 입장에서 스팀은 미워할 수 없는게
    태그 시스템으로 덜 알려진 게임도 자신이 원하는 장르 및 최신순으로 정렬해서 노출 될 수 있게하고
    넥스트 페스트등 인디게임을 위해 홍보 가능한 축제도 많이 열어주고
    무엇보다 스팀 자체가 정말 편리해서 pc 인디게임이 성장할 수 있었던 발판이라고 생각함

    • @alala4290
      @alala4290 3 місяці тому +18

      ㄹㅇ 에픽의 주장과는 다르게
      이 바닥에서 스팀의 존재는 소비자에게나 대다수 인디 개발자들에게나 빛 그자체

    • @user-kv4bg6mz5e
      @user-kv4bg6mz5e 3 місяці тому +11

      ㄹㅇ 근데 구글플레이같은 모바일쪽은 악마임

    • @Lire-30
      @Lire-30 3 місяці тому +12

      얼리억세스 편하고, 유저 평가나 커뮤니티로 맞는 게임인지,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확인하기도 용이하고 구매자 입장에서 환불정책 좋은데다 충전방식도 지속적으로 늘려주는 등 편의 봐주는 운영이 너무 매력적이라..

  • @sdfasdfsdfds
    @sdfasdfsdfds 3 місяці тому +112

    독점적 지휘 이용해서 해먹는건 애플이 악독한데
    크로스플랫폼으로 앱출시 해본 경험적이 있는데 애플은 좀 더 혼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12

      라스트오리진도, 아이폰 정책 때문에 엄청 고생했다고 공지가 나왔던 기억이 나네요 ㅋㅋㅋㅋ

    • @김우현-s3g
      @김우현-s3g 2 місяці тому

      @@penguinmonster 애플이 폰값 동결시킨게 앱수수료 수익으로 벌충한건데
      애플 혼내면 결국 폰값 오르고 게임사만 돈버는데

    • @김우현-s3g
      @김우현-s3g 2 місяці тому

      내가 에픽게임즈를 위해 왜 아이폰을 더 비싸게 사줘야함? 애플이 돈을 더 벌어들이는게 중장기적으로 나에겐 이득인데?

  • @마리사다제
    @마리사다제 3 місяці тому +45

    감사합니다 이쪽 이슈는 역시 선생님이 가장 보기 편해요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9

      늘 좋게 봐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마리사다제님 ㅠㅠ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 @시골Life
    @시골Life 3 місяці тому +75

    기억하세요..
    스팀에서 우리는 구매한게 아니라 렌탈한거라고 합니다.
    구매가격을 내고요

    • @쿠루루-r7l
      @쿠루루-r7l 3 місяці тому +1

      이게 뭔 개풀 뜯어먹는 소리에요?

    • @안녕-안녕
      @안녕-안녕 3 місяці тому +27

      ​@@쿠루루-r7l 디지털 콘텐츠는 구입하는게 아님, 마치 게임 아이템처럼 당신의 소유권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말임.
      언젠가 사망하더라도 님 스팀 게임 자식한테 상속 못 함. 대여한거지 소유한게 아니니까.

    • @누군가-h7g
      @누군가-h7g 3 місяці тому +3

      @@쿠루루-r7l 환불못받게 하려는거지뭐~

    • @NiKELoding
      @NiKELoding 3 місяці тому +8

      그건 전세계 모든 디지털 스토어 공통임

    • @shark_let_eat_bee
      @shark_let_eat_bee 3 місяці тому +9

      소유권을 줘버리면 삭제하거나 서비스 종료때 배상해야해서 그럼

  • @마시는스팀팩
    @마시는스팀팩 3 місяці тому +69

    미국이 많은 정책적 결함을 지닌 국가지만 저 강력한 반독점 정책은 종종 부럽기도 합니다

    • @대군장-t3x
      @대군장-t3x 3 місяці тому +3

      미국기업 아니였으면 진작 앱스토어 개방 당했을 듯요.

  • @건전한닉네임
    @건전한닉네임 3 місяці тому +182

    한국에선 배달 어플 수수료가 논란이 되는데 다른 곳도 수수료 논란이 있네요
    그런데도 쩔쩔매다니 브랜드 파워가 엄청난가봐요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39

      스팀도 스팀이지만
      모바일 쪽은 완벽하게 구글과 애플의 독주 체제라고 봐도 될 정도긴 하니까요
      사실상 선택지가 없다고 할까요

    • @cwaddle
      @cwaddle 3 місяці тому +4

      솔직히 배달어플 서비스는 수수료 15% 정도 받아도 그 돈 가지고 해야 할 일이 많습니다. 물리적으로 지속적으로 가게와 협업을 해야 하고 새로운 가게 확장도 해야 하고 가게품질 유지되도룩 도와야 할 것이고 가게 배달 결제 서비스 문제도 해결해 주고 자사 브랜드 마케팅비도 써야하고… Apple이나Google은 10% 이상 떼가면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함.

    • @하악하악-x7z
      @하악하악-x7z 3 місяці тому

      ​@@cwaddle장사하는 입장에서 영상과는 관계없지만 15%가 아니구요 배민은 지금 부가세포함 광고비 88000원내는 가게배달 울트라콜 광고상품 다죽여놓고 본인들 수익많이나는 배민1 즉 배민배달 광고노출 1순위 2순위 오픈리스트 3위 가게배달 이렇게 하고있습니다 배민 1은 지금 10000원 주문시4000원이상 수수료 9.8프로 배달비 2600원 거리에따라차등 부가세별도 정산수수료
      3프로 이렇게 운영합니다
      가게사장들은 배민1 쿠팡이츠 한정 최소주문금액을 낮출수가없는게 10000원 주문시 4000원
      20000원 주문시 5000원
      30000원 주문시 6000원 이런식으로 가고있기에 소비자도 판매자도 서로 힘들어지고있는 겁니다 지금 수수료율은 쿠팡이츠 배민 동일합니다

    • @silver33412
      @silver33412 3 місяці тому

      @@cwaddle 한쪽 관련에서 해박아 알면 그 부분만 알려주면 되지 알지도 못하는 부분에서 부당하다고 하는건 좀더 알아보고 전문적인 시점에서 글을 써야 하지 않나 싶은데?

  • @kakao0821
    @kakao0821 3 місяці тому +41

    아마 수수료가 내려 간다고 해도 유저들이 느끼는 채감은 없을것 같은대 그렇다고 플레이 스토어 스팀 안쓰자니 불편하고 참 아이러니 하니요 ㅠ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10

      수수료가 내려간다면
      게임 가격 올려야 된다, 캐시템 가격 올린다
      이런 논의들이 잠깐 들어가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물론 시간이 흐르면 다시...

    • @대군장-t3x
      @대군장-t3x 3 місяці тому +1

      게임사들도 이득보려고 가격을 낮출지는 모르겠지만 패키지 게임 말고 지속적으로 운영비가 들어가는 온라인 게임 중에서는 섭종하는 게임들은 절반 이상으로 줄어들듯요. 수수료가 0에 가까울수록 업데이트 개발지랑 운영비만 나가면 이익이라 서비스 유지가 이득이라. 수수료가 있으면 그만큼 손익분기점이 높아져서 패키지로 내던지 단물빨고 빨리 섭종하는게 이익을 유지하는 길이라.

    • @NiKELoding
      @NiKELoding 3 місяці тому +4

      에픽독점게임도 가격은 전혀 싸지지 않았고 에픽의 주장과 다르게 낮은 수수료로 남은 돈으로 더 좋은 컨텐츠나 개발이 이루어지지도 않았음 현실은 그냥 개발사가 돈을 좀 더 버냐 못버냐의 문제일뿐

    • @SuperSGLove
      @SuperSGLove 3 місяці тому

      @@NiKELoding 에픽에서 안싸진건 스팀에서 막아서라는게 내용중에 들어가있는데... (아차차 수정이요 ^^)

    • @안녕하세요-t5l8q
      @안녕하세요-t5l8q 3 місяці тому +1

      ​@@SuperSGLove구글이 아니라 스팀이긴 해

  • @Fall__Out
    @Fall__Out 3 місяці тому +58

    에픽도 스팀처럼 창작마당이랑 리뷰같은 플랫폼 ui만 대격변 시켜도
    지금보다 유저들 더 모일거임..아무래도 언리얼로 벌어들이는돈을 할인과 무료겜에 쏟아붓고 있지만
    스팀유저들이 에픽으로 옮겨 오기엔 스팀에 너무 길들여진것도 있다고 봅니다.
    가뜩이나 요즘 트리플에이겜은 대부분 자사 런처를 돌리다보니 런처 많아지는것도 한몫하는거같고..
    에픽에 부정적인 요소로 인해 비판은 많이 받고 있지만 연말 게임할인율만 놓고보면 에픽 만한곳도 없어서
    1년동안 할 게임은 에픽에서 연말에 한꺼번에 구매하고 인디게임이나 창작마당 모드 적용하는 게임은
    스팀에서 구매하게되더군요.
    개인적으로 에픽이 좀 각성해서 스팀이랑 경쟁 했으면 합니다.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15

      울프파이어의 소송에서 창작마당 문제도 언급되긴 했는데, 법원에서 그 부분은 울프파이어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았죠
      솔직히 창작마당... 스팀의 진짜 경쟁력 중 하나가 아닌가 싶습니다
      창작마당 지원하는 게임의 경우, 모드 설치가 정말, 이보다 더 쉬울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물론 말씀하신 것처럼, 스팀의 경쟁자로서 에픽이 성장하고
      두 플랫폼이 경쟁하면서, 더 많은 혜택을 게이머들에게 제공하는 게 긍정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의 에픽은 좀 애매하지만... 경쟁 구도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성장했으면 좋겠다 싶습니다

    • @dvfexx
      @dvfexx 3 місяці тому

      에픽 첨 나왔을때부터 나온말인데 바뀐점 하나도 없음

    • @마카롱맛났어
      @마카롱맛났어 3 місяці тому +1

      창작마당 얘기가 그리 나오는데 어느곳도 안하는거보면 스팀이 따로 못하게끔 막고 엄포놓은게 아닌가 싶기도함
      저 시스템이 복잡하다기엔 시간과 돈이면 진작 해결했을거같고

    • @대군장-t3x
      @대군장-t3x 3 місяці тому

      오히려 그런 스팀이 모바일로 들어와야 모바일 게임도 뽑기게임에서 퀄 좋은 게임 흥행으로 바뀔것같은. 매출이나 다운순위가 아닌 스팀 평점이나 동접을 보고 고를 수 있을테니

    • @나끄나끄
      @나끄나끄 3 місяці тому

      @@대군장-t3x 아마 스팀에 19세 겜 풀어놓은것처럼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모바일겜쪽도 확장시키지않을까 싶음

  • @jsb8718
    @jsb8718 3 місяці тому +95

    워낙 하는 일이 많은 회사다보니
    그만큼 엮이는 일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애플 구글은 게임만이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반독점 위반으로 소송걸리는게 허다한지라..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19

      말씀하신 것처럼 체급이 있는 회사다 보니
      소송이 한, 두 개만 벌어지는 게 아니더라고요
      스토어 수수료 관련 이슈도 미국, 유럽, 한국에서만 있는 게 아니고
      인도 등에서도 벌어지고 있고
      그 과정에서, '현실 물품을 거래하는 플랫폼(안드로이드)'은 인앱결제 의무화가 면제되는 등
      참 복잡한 것 같습니다 ㄷ

    • @대군장-t3x
      @대군장-t3x 3 місяці тому

      미국이라서 다른 나라에서는 딴지 못 거는거지. 중국은 구글을 막았지만 다른 나라들은 감히 그럴수가 없다는. 휴대폰에 os에 마켓까지 독점하는건 미국이니까 가능한 이제 미국에서도 심하다 싶은거겠지요. 이미 예전에 맞은 마소는 윈도우에 메신져, 인터넷 브라우져, 마켓까지 독점하고 싶으면 할 수 있지만 못 한다는 그걸 구글 애플은 하고 있으니. 물론 pc 시장도 리눅스라던지 맥os등 다른 os도 있지요. 그럼에도 선례가 있어서 구글도 피할 수 없는 애플은 아직 미국에서는 언급 없지만

  • @chickenkim7243
    @chickenkim7243 3 місяці тому +100

    솔직히 게이머 입장에서 봐도 30%는 좀 너무하긴 함
    실물도 아니고, 데이터 쪼가리에 30%는 진짜ㅋㅋ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15

      울프파이어와 스팀의 소송이 어떤 결말로 나오는지에 따라, 많은 게 바뀔 수도 있을 것 같기는 합니다
      30%. 대히트를 쳐서 20%가 된다고 해도, 작은 수수료는... 아니긴 하죠

    • @taijonglee2428
      @taijonglee2428 3 місяці тому +9

      그런데 실물 패키지 찍어내고 전 세계로 운송하고 창고에 보관하는등의 비용을 따지면
      수수료 30퍼가 더 나은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인디게임같은 경우 가격 자체도 싼데 저런식으로 현물로 팔면 오히려 손해를 보는 지경이라...
      디지털 다운으로 인해 엄청나게 코스트 다운이 됐는데도 그건 입 싹 닫고 수수료때문에 가격올려야 한다는
      게임사의 이기적인 주장도 많이 언급되는 단골소재임

  • @김지환-c4v
    @김지환-c4v 3 місяці тому +102

    예전 한국서 70퍼까지 떼갔던 시절이 있지 않았나 그러다 아이폰 들어오면서 수수료가 낮아진걸로 기억하는데 카톡겜 독주 시대때도 30퍼는 넘었던걸로 기억하고 있고ㅋㅋㅋ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33

      한국에서 옛날에 70퍼까지 떼갔나요? 엌ㅋㅋㅋㅋㅋㅋㅋㅋ

    • @im_baka
      @im_baka 3 місяці тому +6

      아직도 국내에서 50% 이상 가져가는 거 흔합니다.

    • @fitnail86
      @fitnail86 3 місяці тому +23

      @@penguinmonster 카톡 게임즈 애니팡 시절 애니팡이 70% 때였던걸로 유명합니다.

    • @노민혁-e8q
      @노민혁-e8q 3 місяці тому +16

      예전에 핸폰게임 통신사에서 70% 가져가는거 흔했었지요. ㅋ

    • @BlisBubble
      @BlisBubble 3 місяці тому +1

      ㅋㅋㅋㅋ 70퍼는 뭔 진짜 한국은

  • @llliiilliliilllllliiilliii9109
    @llliiilliliilllllliiilliii9109 3 місяці тому +31

    이러니 중소는 엄두도 못 내고 대형 게임사들은 자기네 플랫폼으로 옮겨오게 하려고 용을 쓰지. 특히나 소니가 그러려다 크게 터지긴 했는데 방식만 좋았어도 그렇게까지 어그로 스택을 쌓진 않았을텐데..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1

      게이머 입장에선 어느 스토어든, 게이머에게 유리한 스토어가 최고긴 하지만
      게임사 입장에서 수수료는 사활이 달린 문제긴 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소니는, 안 좋은 쪽으로 스토어 이슈를 터트린 케이스긴 하네요 ㅋㅋㅋ

  • @Ser-yo1ck
    @Ser-yo1ck 3 місяці тому +10

    수수료 문제가 회사들 사이에서는 문제가 많았다는 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그리고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게임 회사들이 게임 스토어를 자체적으로 가지고있는 이유를 알게되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LeRanil
    @LeRanil 3 місяці тому +9

    생각해보면 저도 웹툰을 볼 때 만큼은 인앱 결제 말고 자체 페이지에서 정기 구독을 끊고 사용한지 꽤 됐네요. 물론 서버비나 전기료가 꾸준히 오르는 만큼 디지털 유통 업자들의 입장도 고려해야 하는 것도 맞고, 무엇보다 이런 상황일 수록 강자는 악, 약자는 선이라는 선입견을 갖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구독형 모델이 아마 인앱결제를 하더라도 15%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다만 아웃링크 결제를 한다면, 운영사에게 더 많은 수익이 가긴 하겠네요
      말씀하신 것처럼 선도 악도 없고
      그냥 경쟁 구도가 만들어지는 게 가장 좋긴 합니다
      스토어끼리 서로 경쟁을 치열하게 할 수록, 유저들에게 제공되는 혜택도 많아질 테니까요

  • @_Zero_Sugar
    @_Zero_Sugar 3 місяці тому +224

    결론이 어떻게 나던 한국 게임사들이 유료아이템의 가격을 낮추는 일은 절대 없을거임 ㅋㅋ
    그냥 우리나라 사회분위기가 이런 저런 핑계로 가격은 쥰내 인상하면서 가격 인하는 절대 안함ㅋㅋ
    당장 인터넷쇼핑만 봐도 5만원짜리 10만원에 올리고 50% 이딴 식으로 파는 곳들 많은 것만 봐도 알 수 있음.
    그저 생색만 낼 뿐 사업자들이 누리는 이익을 소비자와 나누려고 하지 않을거임.

    • @jhl1006
      @jhl1006 3 місяці тому +9

      맞죠 아마 기업쪽 이익으로 직결될 가능성이 높긴한데.. 뭐 인디 게임사라던가 재투자 확실하게 하는 게임사 유저라면 유저입장에서도 나쁠건 없을듯 적어도 인상되지는 않을테니까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34

      개인적으로 가장 가능성 높은 건, '수수료가 내렸으니 가격 인상은 잠시 미뤄둔다' 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이, 지금하는 것처럼 '10% 정도 더 준다'
      가장 베스트는 가격 자체를 내리는 건데... 그럴 가능성은 낮긴 하죠

    • @대군장-t3x
      @대군장-t3x 3 місяці тому +1

      이미 넷마블, 넥슨 피씨 결제 유도나 원스토어 캐쉬백이나 할인은 많이 되고 있습니다. 구글이나 애플 결제보단 쌉니다. 경쟁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 @마카롱맛났어
      @마카롱맛났어 3 місяці тому +2

      @@_Zero_Sugar ㄹㅇ 요즘 라이엇이나 여기저기서 캐시 가격 ㅈㄴ 올리던데 한국화되서 원인이 됐던거 정상화되도 죽어도 안내릴듯
      나중엔 그걸 다 마진으로 취급하니 ㅋㅋㅋㅋ

    • @Corgi_fax
      @Corgi_fax 3 місяці тому +4

      사업자들이 누리는 이익을 왜 소비자랑 나누냐ㅋㅋㅋㅋㅋ 그건 말이 안되는 희망사항이고
      공정거래에 대한 감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있고 그거에대한 처벌도 거의 없다시피한건 맞음
      특히 이커머스에 대한 규제가 너무 허술함. 한국만큼 인터넷쇼핑몰 하기 쉬운나라가 없음

  • @akkagnom
    @akkagnom 3 місяці тому +10

    기업은 절대로 이윤을 포기 안 합니다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2

      사실 에픽게임즈도 수수료 30% 문제에 대한 개발사들의 공감대가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기에 명분이 생긴 거긴 합니다만...
      냉정하게 보면, 기업으로서의 이윤을 추구하기 위한 행보긴 하죠

  • @rubi9757
    @rubi9757 3 місяці тому +10

    늘 좋은 영상에 감사드립니다!! 항상 잘 보고 있어요!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ㅎㅎㅎ 오늘도 감사드립니다 shy님!
      여전히 부족한 게 많지만... 열심히 일하겠습니다!

  • @트림-r4m
    @트림-r4m 3 місяці тому +32

    초기대작들이 많이 팔려도 썩 돈이 안된다는건 알려진 사실이니 개발사에게 조금 더 이윤이 남는게 좋긴 한데
    그들이 변질 되지 않을 수 있는가에는 많은 회의감이 드는 것도 사실이라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5

      적당한 경쟁이 있는 구조로 가면 모르지만, 소수 독과점 기업의 단합 체재로 갈 경우...
      변질될 가능성이 크긴 하죠

  • @AroU_
    @AroU_ 3 місяці тому +3

    스팀은 그래도 인디겜 알고리즘으로 띄워주는데 모바일쪽은 진짜 암담합니다.. 수수료떼고 세금떼고 하면 진짜 광고비 200만원쓰면 205만원 버는느낌이라 순이익이 5만원밖에안나옵니다.. 아무리 게임성이 좋아도 알고리즘에 안뜨면 유저들이 오질않아요.. 거기에 서버있는겜이면 서버비가 고정비로 들어가니 bm이 빡세질수밖이 없는문제가 있습니다 앱스토어쪽에서 인디알고리즘도 잘띄워줬으면 좋겠네요 맨날 광고 때려박는겜만 올라와

  • @gentrwihan2862
    @gentrwihan2862 3 місяці тому +31

    펭몬님.... 살아계셨군요...

  • @midsa7789
    @midsa7789 3 місяці тому +30

    그만큼 회사의 마진이 늘어나는 거지, 가격을 내려줄 거라는 기대는 솔직히..
    그냥 적당히 내려주는 척하다가 조금씩 원상복구하겠죠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10

      사실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시점에선 가격이 내려가는 형태로 나타나겠지만
      경쟁이 잦아들기 시작하면, 다들 비슷한 가격으로 (합의)하게 되는 것 같긴 합니다
      올릴 때도 같이 올리고...

  • @후루데리카조아
    @후루데리카조아 3 місяці тому +9

    구글에는 법무팀만을 위한 자회사도 있을듯 구글로컴퍼니라든가 있을듯...

  • @고양이앞발-s9s
    @고양이앞발-s9s 3 місяці тому +24

    우리나라 통신사들도 이런거 크게 맞아야 하는데..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8

      3사 체제에서, 새로운 통신사가 등장하고, 경쟁 구도가 형성되면 모르겠는데...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말을 많이 보긴 했습니다
      저는 기사 정도만 본 부분이라, 잘 모르긴 하지만요

    • @NfK
      @NfK 3 місяці тому +2

      @@penguinmonster국내에서 신생기업 생기기는 진입장벽이 너무 높고 외국 기업이 들어오지는 못하게 법으로 막아놓고 있으니 3사 체제에서 탈피하는건 불가능에 가깝죠.
      물론 미래모바일이나 몇몇 알뜰폰 통신사가 있기는 한데 3사 체제에 끼기에는 초기자본과 점유율 확보라는 진입장벽 때문에 규모가 너무 작죠

    • @whitemellonn
      @whitemellonn 3 місяці тому +2

      3사자체가 국가의 개라서 위에서 보면 굳이 남을 끼워줄필요가 없음

  • @94하나
    @94하나 3 місяці тому +40

    수수료? 뗄 수 있죠.
    근데 수수료를 시장에서 죄 떼어 먹고 싶어서 다른 결제 수단을 틀어막고 다른 경쟁자에게는 기회도 안 주는 정책을 시행한다? 이게 말 그대로 독점인 거죠.
    애플이든 구글이든 스팀이든 지금 스토어마다 다 그런 식으로 굴러 가는 게 기본이 된 상태인데, 수수료의 양이 많고 적고가 중요한 게 아니라 독점을 막아야 합니다.
    스팀도 예외는 없는 게, 스팀이 그동안 유저 친화적인 할인이나 편의성을 구축해 준 건 맞지만, 그러는 동시에 다른 스토어에서 낮은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는 걸 못하게 했다? 사실이라면 얄짤 없는 부분이겠죠.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5

      스팀 반독점 소송에서 그 부분이 핵심이긴 했죠
      이후 진행될 소송에서 어떤 내용들이 나올지는 모르지만, 그 내용들이 가볍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구글의 사례처럼 충격적인 내용들이 나오지 않을까 걱정이 들기도 하네요

    • @dhkdeoen
      @dhkdeoen 3 місяці тому

      해당 조항은 예전에 자체 스팀 시디키를 더 싼 가격에 판매해서 수수료는 떼먹고 서버는 스팀 서버를 이용하는 얌체짓을 한 게임사들이 있어서 그런걸꺼예요. 그게 꼬우면 게임사가 자체서버 구축하거나, 스팀버전과 다른 플랫폼 전용 버전을 따로 만들어서 팔면 되겠죠.
      그리고 왜 스팀이 독점적인 지위를 가지게 됐는지도 고려해야합니다. 다른 게임사들 콘솔 돈 된다고 다 콘솔 게임만들고 간신히 PC이식작이나 간간히 내놓을 때, PC게임 만들던 회사는 몇 없었어요. 그 중에서 하나가 밸브였구요. PC게임계에서 오래됐기 때문에 PC게이머가 뭘 원하는지 알고,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서 사람들이 스팀을 쓰는 건데 그걸 독점이라고 후려쳐버리면 그 누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할까요.
      예시로, 한국 게임계가 롤만 한다고 PC방에 롤 삭제하고 히오스나 도타에게도 같은 기회를 줘야한다고 하면 말이 돼나요?

    • @dwqlekjlajf_wqejlqwjelk
      @dwqlekjlajf_wqejlqwjelk 3 місяці тому +6

      근데 애플에 왜 이렇게 관대한지 모르겠네 구글은 유도했을 뿐 막지는 않았음. 당장 우리나라만 보더라도 윈스토어 멀쩡히 돌아가고 삼성 폰들은 삼성 자체 앱스토어가 있음. 애플처럼 자사스토어만 사용 가능한 것도 아니었고 반독점 걸고 넘어가려면 애플이 가장 문제인데 이상하게 지금 두둘겨 맞는 것은 구글임. 애초에 스팀도 자사에만 게임파는 것이 아니라 스토브, 에픽 판매 가능하잖아. 애플처럼 특정 OS 사용하는 모든 기기가 한 스토어 사용하는 것과 완전히 다른데 반독점으로 문제 삼으려면 애플부터 분사시켜야지

    • @taijonglee2428
      @taijonglee2428 3 місяці тому

      타 스토어 견제하는 가격정책은 그 자체로는 진짜 개념없는건 맞는데 현실은 장점이 더 큰게 문제같습니다.
      스팀만큼 유저 친화적인 곳은 그나마 GOG 하나정도고 나머지는 다 개판이라서요.
      가장 잘 챙겨주는 곳이 독점하는 상황은 법으로 보면 안 좋으나 소비자에겐 이상적이므로 아이러니가 공존합니다.

    • @꿀먹는아리
      @꿀먹는아리 3 місяці тому +1

      ​@@dhkdeoen지금 상황은 롤이 독점을 유지하기 위해서 히오스나 도타를 삭제 시켰으니 문제죠
      히오스나 도타를 많이 하지는 않지만 할 수는 있도록 설치는 해야죠 아니 설치 할 수 있도록은 해야죠

  • @DuBbingPot
    @DuBbingPot 3 місяці тому +40

    스팀 , Google play , apple market 수수료 최대 13% 책정되면 안되는 것을 펭귄몬스터 님께서 다뤄주셨습니다.
    인디게임 에서도 수수료 내는거 아닐까 조심스럽게 생각 합니다.
    점점 더 밀려오는 추위..
    겨울 다가오고 말았습니다.
    화력 넘치는 컨텐츠 강화가 시급합니다!!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4

      안녕하세요 더빙팟님!
      사실 최대 수수료 기준으로 표시해서 그렇지,
      모바일 쪽에서 매출이 작은 경우, 수수료가 좀 더 적게 부과되긴 합니다
      물론, 그것도 적은 건 아니라는 말이 지속적으로 나오긴 합니다만...
      스토어 측의 입장도 이해가 안 되는 건 아니긴 하단 말잊ㅅ
      어쨌든, 요즘 정말 춥긴 합니다
      날씨가 오락가락하긴 하지만, 어쨌든 춥긴 춥더라고요
      항상 따뜻하게 잘 챙겨입으시고, 감기 조심하시길!!
      화력 넘치는 컨텐츠라... 이거 찾는 게 항상 일이긴 하죠 ㅠㅠ

  • @comp9530
    @comp9530 3 місяці тому +21

    7:30 이 어려운걸 네이버랑 다음이 해냈다는게 놀라움
    한때 구글이 점령하지 못한 나라로 꼽혔었는데 순수 체급에 밀려서 구글한테 자리 내줬다는게..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7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예전엔 네이버를 많이 이용했는데
      점점 구글을 더 많이 쓰게 되긴 하더라고요...

    • @산타정
      @산타정 3 місяці тому

      구글 메인화면에 즐겨찾기 바로 보이는게 너무 편함

    • @gumbeng-i
      @gumbeng-i 3 місяці тому

      네이버 검색하면 검색 시스템 때문인지 온갖 규제 때문에 그런지 몰라도 원하는 검색결과 뽑기가 힘듬 거지같은 블로그 글이나 나오고.. 그래서 네이버는 뉴스기사나 쇼핑몰만 이용하러 들어가고 검색은 구글에 함

    • @haritri0125
      @haritri0125 3 місяці тому

      ㅇㅇ 크롬과 구글 연계성이 말 안되게 편해서 타 브라우저 메리트가 엄청 죽어버림

    • @장어뱀-x7e
      @장어뱀-x7e 3 місяці тому

      구글로 검색해서 나오는건 많은데 정확도는 떨어지는 것 같아서 요즘도 네이버를 간간히 이용중이에요.
      그리고 구글로 검색한 사이트 아무거나 눌렀다가 해킹 용도로 만들어진 사이트 떴었던 적도 있어서 비호감..

  • @greg7987
    @greg7987 3 місяці тому +10

    구글이건 애플이건 OS 제공 사업자는 자체 마켓을 사용할 수 없게 금지해야 하는 거 아닌가 싶네요
    알다시피 마이크로소프트가 박살날 뻔한 이유가 윈도우에 IE를 끼워파는 것이 문제가 된 부분이 있었듯이
    안드로이드나 IOS나 자체 마켓을 탑재하고 그것을 강요하는 것은 독점이 아닌 걸까요??
    애플과 구글의 각 사업부를 별도의 서로 연관되지 않은 법인으로 분할해야 옳다고 생각해요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2

      일단 구글에 대한 견제는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데, 어느 정도 강도이느냐가 핵심일 것 같습니다
      애플은...

    • @ZAEIT
      @ZAEIT 3 місяці тому

      안드로이드는 apk패키지를통해 자체마켓을 우회할수있습니다

  • @tinyfire153
    @tinyfire153 3 місяці тому +15

    동일한 사건에서
    애플을 판단하는 기준과 구글을 판단하는 기준이 다르다는게 레전설이네.
    애플은 전체 운영체제 중에서의 비율, 구글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중에서의 비율 ㅋㅋㅋㅋㅋㅋㅋ
    애플 로비의 승리네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영상에선 애매하게 표현됐지만 판사가 다르긴 합니다
      또한 구글 이슈에서 독점 여부 판단만큼이나 중요했던, 아니, 그 이상으로 중요했던 이슈가
      다른 게임사들이 구글 플랫폼을 이용하게 만들기 위해 돈을 지불한
      '프로젝트 허그'이기도 했고요

  • @Choi_Minjun
    @Choi_Minjun 3 місяці тому +31

    이런 수수료관련된거 볼때마다 드는 생각이 과연 수수료가 없어지더라도 게임내 재화같은 가격을 인하할까 싶음
    하는 기업도 있겠지만 소수일거고 결국 너네가 수수료높아서 유저가 피해입는거란 방패세우기로밖에 안느껴짐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7

      미국 법원에서 계속 말한 부분처럼, 시장 경쟁이 강화되느냐게 제일 중요할 것 같습니다
      스토어끼리 경쟁하면서 경쟁적으로 혜택을 제공하는 환경이 조성되느냐가 같은 부분이요
      원스토어를 예시로 들 수 있을 것 같은데
      경쟁자의 입장에서 구글 스토어를 따라가야 하는 입장이다 보니, 적극적으로 쿠폰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니까요
      근데 원스토어가 독점 스토어가 된다?
      쿠폰을 제공할까 싶어요
      어쨌든 단순히 수수료 인하만으론 문제가 해결되긴 어렵고
      시장 경쟁의 강화가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 @김근완-l4z
    @김근완-l4z 3 місяці тому +11

    근데, 게임 개발 엔진 이용료가 5%인데 플랫폼 수수료가 30%인건 뭔가 좀 이상하다고 생각함

  • @우근이-j5j
    @우근이-j5j 3 місяці тому +2

    선 1줄요약
    1.그냥 돈 뜯을려고 시비튼것
    솔직히 이 사건은 길게 이야기하면 끝도 없지만 그럴필요도 없이 결론났다고 생각합니다.
    최대한 짧게 적자면
    IT업체, 디지털업체 특성상 많은 데이터 그 자체가 구매및이용할 핵심요소가 됩니다.
    당연히 이용자들및 타 기업들은 제일 규모가 큰 업체에 몰리게되어 있지요.
    단순히 선택권을 쥐여주지 않는다던가 그런문제가 아닙니다.
    예시로 트위터가 서비스 품질이 낮아져서(서버문제, 운영문제등) 이용자들이 비판하며, 비슷한 기능과 디자인의 대체 사이트가 생겨나 더 높은품질의 서비스와 해택을 주는 상황임에도 여전히 트위터는 건실하며, 떠났던 유저들도 다시 돌아오는 상황이 된 경우가 있죠.
    다른예시로는 미국이란 나라 그 자체입니다.
    미국이란 나라가 강대하고 제일 경제규모가 큰 나라이기에 업체들과 직장인, 이민자들이 몰리는것과 똑같은 이치지요. 크고 강하며, 밀집도 높은곳에 모이는 현상은 딱히 IT업계에서만 볼수있는 현상은 아니니까요.
    그외에도 진짜 논문을 적을정도의 이유가 있지만 설마 이런 사실을 미국 의원들의 과반수가 모를까요?
    일부는 모를수 있을지언정 다수가 알면서 이런 소송을 하는것으로 생각됩니다.
    주된 목적은 정치적 이미지와 돈이겠죠.
    위에서 설명했듯 규모 자체가 경쟁력인 상황에 구글이 쪼개기 상장을 하는 방법을 취할일은 없을것이기 때문이죠.
    만약 구글을 쪼갠다고 가정해봅시다, 어떻개 쪼갤껀가요? 서비스는 각각 해당 부서 및 서비스별로 쪼갠다쳐도 그 방대한량의 고객정보와 데이터센터는 어떻게 나눌껀가요? 고객정보를 쪼개진 자회사가 전부다 복사하여 보유하고 데이터센테또한 균등하게 가져간다? 그 많은 고객정보를 복사하는게 가능할지도 미지수이며, 데이터센터가 분할됨에따라 부족해진 통신망에따른 서비스 품질 및 통신속도 저하는 필수인데 과연 대다수가 구글의 고객인 현시점에서 시민들이 가만히 있을까요?
    만약 고객정보만을 관리하는 기업을 따로만들고 그 기업에 데이터센터 할당량을 높게 잡아주어 나머지 서비스에서 그 정보를 경유해서 가져가게 한다쳐도, 그렇게 한 시점에서 '데이터센터 업체로서 독과점' '고객정보 관리 업체로서의 독과점' 이라는 새로운 소송을 때릴수 있을텐데요? 구글의 규모가 커진시점에서 뭘 어떻게하든 소송의 껀덕지는 만들려고하면 만들수있습니다.
    미국 하원의원들 입장에서 진짜로 구글이 쪼개지는 순간 자기들 정치인생은 끝나는거나 다름이 없으며, 구글또한 쪼개진다 한들 새로운 문제점에 봉착할뿐입니다.
    의원들이 설마 그 정도로 멍청하진 않을태니 분할하지 않음으로서 부과할수있는 '과징금'이 메인 목적일 것입니다. 요컨테 세금, 돈을 달라는것이죠.
    여기까지 생각하면 한국에서 구글등에 소송하는것도 똑같은 맥략으로 생각될수있습니다.
    미국법원에서 승소한 사례가 있는데다가 해외업체라서 정치적으로도 자국민의 눈치를 볼 필요성이 적으니 같이 돈좀 뜯겠다는 마인드겠죠.
    '국내시장에서 점유율 50%이상으로 구글보다 높은 네이버'에게 '한국시장내의 검색엔진으로서의 독과점 과징금' 같은걸 매기지 않는 시점에서 너무 뻔한 사실이지만요.
    뭐, 미국이 자기나라 기업의 돈을 타국에서 뜯는걸 좋게볼리거 없겠지만 여기까지가면 이야기가 길어지니 생략하고.
    결론은 '나라가 돈없는데 돈 많이버는 니들이 돈좀줘' 하는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어쩌피 이런일로 소송거는건 국가나 정치인 정도일테니 판례를 만들어둬서 나쁠껀 없음으로 자기손에 두긴 과도하게 큰 업체를 미리 밟아둠과 동시에 판례를 만들어 둘려는 목적도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도 들긴합니다만...이건 여담으로 치죠

  • @대군장-t3x
    @대군장-t3x 3 місяці тому +25

    예를들면 수수료가 높으면 매출 50위까지 흑자로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고 수수료가 절반이 되면 100위까지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음. 패키지 게임 차기작 개발에 영향이겠지만 지속적으로 업데이트와 서비스하는 게임은 장기적으로 지속하기엔 수수료가 큼. 윈도우가 결제수수료나 다른 플랫폼 진출이나 제한이 없는것은 이미 아주 오래전에 독과점 규제 당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pc게임은 자체서비스 제한이 없고 수수료도 없기에 소수 유저만 있어도 최소한의 비용으로 장기 서비스가 가능한거죠. 수수료와 마켓 독과점은 반드시 막아야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5

      수수료가 절반이면 100위까지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인가요 ㄷㄷ
      진짜 엄청난 차이네요

    • @대군장-t3x
      @대군장-t3x 3 місяці тому

      추가적으로 독과점이 풀리면 메신저를 통한 앱 다운로드나 챗GPT의 AI전용마켓이나 스팀과 같은 게임 전용 마켓 등 더 이상 구글이나 애플 스토어에서 수많은 앱들 사이에서 해맬 필요가 없어지는. 구글 애플 매출순위가 싫으면 스팀(앱스토어 진출한다면) 마켓가서 동접 순위나 평점 보고 게임을 선택하면 되게 되는 ~ 대형 플랫폼들이 앱 보안에 신경 쓰고, 앱마켓을 특화 시키고 새로운 기술들도 발전시키고 한다면 기술발전과 경쟁을 막는 독과점의 부작용이 해소됩니다. 단순히 수수료만의 문제는 아닌 ㅋ

  • @아무라스-k6p
    @아무라스-k6p 3 місяці тому +18

    XXXXXX:기업이 이윤이 남으면 반드시 내릴 겁니다. ~~~~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3

      앗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kv4bg6mz5e
    @user-kv4bg6mz5e 3 місяці тому +2

    인디게임 개발자 입장에서 스팀 30%는 납득가지만 구글플레이 앱스토어 30%는 이해안감. 스팀은 게임 등록하면 알아서 홍보해주지만 모바일 시장은 광고에 돈 안 태우면 검색해도 게임이 안뜸.

  • @jahnMacClane
    @jahnMacClane 3 місяці тому +4

    대부분 장르에서 독과점은 젖과 꿀이 흐르는 기업의 이상향이에요. 지금도 법을 교묘하게 벗어나는 전략으로 사실상 독과점을 수행하는 업체들이 국내에도 꽤 많습니다. 음료수나 빵 문제 같은 우리가 알 법한 것들이 우리 주변에도 많죠. 스팀 구글 애플의 서비스는 경쟁이 없어야 더 좋아질까요? 그들이 돈을 많이 벌면 투자도 더 열심히 하고 서비스도 개선이 되는 걸까요? 아니면 경쟁을 해서 손님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서비스가 개선될까요?
    독과점이 형성되면 나쁘다고 하지만 독과점의 형성은 다양한 전개과정과 이유와 편법들이 섞여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스팀은 참 난감한 명제긴 해요. 에픽게임즈가 명분은 맞는 걸 들고왔지만 결국 상대가 안되는 게 편의성이나 시장 장악력 자체가 다르고 이게 하루이틀만에 만들어 진 것이 아니기 때문이죠.

    • @vgghh-r1o3j
      @vgghh-r1o3j 3 місяці тому +4

      기업인들이 규제없는 자유시장 어쩌구저쩌구 하지만
      독과점은 누구보다도 사랑함 ㅋㅋㅋ

  • @잉여잉여-v2c
    @잉여잉여-v2c 3 місяці тому +15

    애플, 구글, 스팀, 에픽 모두 기업임
    어딜 응원할 필요가 없음
    다 자기들 이익을 위해서만 행동을 하고 있음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6

      고객 입장에선, 특정 기업을 응원하기 보단
      기업들끼리 경쟁하면서 가격을 낮추면
      그걸 맛있게 먹으면 되긴 합니다

    • @doma1004
      @doma1004 3 місяці тому +1

      에픽이 그나마 고객친화적이지, 애픽게임즈 스토어가 매주금요일 무료로 게임을 최대3개를 지금까지 풀고있음 gta5, 고스트러너, 아크서바이벌 등 이외에도 수많은 인기게임들을 풀었으며 언리얼엔진도 유티니엔진에 비해서 사용자친화적으로 운영함, 한국에서 지역락걸린 게임만 아니였으면 더 많은 게임들을 볼 수 있음

    • @martinq872
      @martinq872 3 місяці тому

      @@doma1004 공짜 게임 주면 고객 친화적임??? 옛날에 태권도 학원이나 교회 다니라면서 학교 앞에서 닭다리 나눠주던 거랑 뭐가 다름?

    • @이과충-x3m
      @이과충-x3m 3 місяці тому

      에픽이 고객친화적인건 스팀에 비해 개딸리니깐 그런거고 ㅋㅋ

    • @CRK-wo5ir
      @CRK-wo5ir 3 місяці тому

      ​@@martinq872 다를 것 없이 그게 고객 친화적이 맞다고 보면 됩니다. 마케팅 비를 지불 하면서 고객에게 영업을 하는 형식이니까. 말씀하신 태권도 학원을 등록할 때 가격이 동일하다면 당연히 아무것도 안 주면서 그냥 태권도장을 운영하는 사람보다는 그래도 등록할 때 닭다리를 주거나 도복을 무료로 준다거나 하는 곳이 더 고객 친화적이라고 봐야 할 테니까요.

  • @라플-x5h
    @라플-x5h 3 місяці тому +11

    팩트는 스팀이 절대 망하지 않을 거라는 거임 ㅋㅋㅋㅋㅋ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사실 소송에서 스팀이 진다고 하더라도, 스팀이 망하진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소송에서 스팀이 질까 이길까는 아직 모르는 부분이고요

  • @박씨-p1j
    @박씨-p1j 3 місяці тому +6

    그렇지않아도 혼자해먹는 그림이라 뭔가 철퇴를 맞을거같더니 역시나네요.
    적당히 해먹었다면 어차피 시장점유율 1등은 변함없었을거같은데.
    이번일로 새로운 플랫폼들이 많이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경쟁구도가 생길 여지는 만들어진거같네요.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1

      사실 법원에서도 1등 플랫폼을 죽이려는 게 아니고, 혼자 다 해먹는 걸 견제하려고 하는 거니까요
      경쟁 플랫폼이 많아지고, 더 경쟁적으로 고객들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구도
      그게 베스트 아닐까 싶습니다

    • @박씨-p1j
      @박씨-p1j 3 місяці тому

      @@penguinmonster 다만 걱정이라면 이미 압도적인 점유율이라 새로운 경쟁자가 얼마나 생길지 모르겠네요.
      막상 치킨게임 시작하면 구글이 압도할거같아서...

  • @poruty
    @poruty 3 місяці тому +4

    게이브형... 내가 100살때까지만 스팀 좀 잡고있어줘

    • @게임하는컴퓨터
      @게임하는컴퓨터 3 місяці тому +1

      그렇게 100살때까지 하프라이프3가 나오지 않았고

  • @guywithrabitwow6764
    @guywithrabitwow6764 3 місяці тому +3

    다른 플랫폼 생각하면 스팀이 천사임 다만 게이브 뉴웰 은퇴하면 또 어찌될지 모른다는게 참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소송 이슈 빼고 보면 솔직히 게이머 입장에서
      스팀 이외의 플랫폼을 선택할 메리트가 크지 않긴 합니다

  • @가자-v6l
    @가자-v6l 3 місяці тому +2

    이 집은 항상 정리가 깔끔하고 보기 편해서 좋아요 😊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좋게 봐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가자님 ㅠㅠ

  • @jkkim7172
    @jkkim7172 3 місяці тому +14

    솔직히 구매자 입장에서는 독점을 조지고 견제하는쪽 지지하는게 맞음.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쟁체제는 경쟁하면서 퀄리티 좋은 물건을 싸게 살 수 있는게 장점인데 그게 안될경우
    과거 인텔같이 시장 독점수준으로 가지고 있으면서 내놓는 물건 퀄리티는 별로에 소켓 장난질 치면서 소비자들 우롱하는 꼴이 나올수가 있음.
    스팀같은 경우는 지금이야 뉴웰이 주기적으로 파격적 할인을 하고 있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크진 않지만
    뉴웰 이후에 받는 사람의 행보에 따라 달라질거 같긴 함.
    그리고 그 행보가 조금이라도 맘에 안들경우 바로 물어뜯고 시장 역전을 노리는 경쟁자들도 한 둘이 아닌거 봐서
    스팀쪽은 좀 더 지켜볼 필요는 있지.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1

      스팀은 아직 소송이 결과가 나온 게 아니라 아직은 애매한데
      구글과 애플을 보면, 어느 정도 시장 경쟁이 필요하긴 한 것 같습니다
      서로 경쟁하면서 발전할 때, 소비자가 최대로 이득을 누릴 수 있는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 @아라홍련-b1e
    @아라홍련-b1e 3 місяці тому +4

    8:20 어.... 단통법 생각나는 문장이네요..

  • @kam5551
    @kam5551 3 місяці тому +31

    정말 놀랍네요 이런 이슈도 있었군요 그러고보니 구글은 돈은 많으면서 문의에 구글 이메일 주소를 바꾸게 해달라고 하면 그냥 계정을 삭제하고 다시하라는데 거의 10년이 넘은 계정을 삭제하라는 답변은 정말 어이가 없었죠 다음은 유튜브 영화를 5000원 가까이 구매했는데(구글 계정이 있어야 구매가능) 어느날 부터 PC로는 영화 해상도를 480p정도로만 볼수있게 만든건 누가 머리통에서 나왔는지도 궁금하고 정말 뚝배기 깨고 싶더라고요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7

      구글 계정 문제는 잘 모르지만... 아무래도 해외는 한국처럼 주민등록번호로 아이디를 만드는 게 아니다 보니
      생기는 문제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 @wink6038
    @wink6038 3 місяці тому +2

    솔직히, 정말로 경쟁으로 가격이 인하될까 라는 의심이 들긴해요
    구글로 예를 들면, 현재 스마트폰 시장은 안드로이드 아니면 애플이라는게 사실이죠.
    구글은 안드로이드를 무료로 풀었던 덕분에 애플이 아닌 폰들은 전부 안드로이드만 탑제했고, 덕분에 앱 개발자들도 두가지 운영체제만 고려할수있죠.
    지금은 비교군이 기종이 안드로이드에비하면 다양하지않아 최적화가 상대적으로 쉬운 애플뿐이라 안드로이드가 최적화가 별로라고 욕을 먹긴해도.
    만약 독점이 아니라서 운영체제가 한 5~6개 된다 치면 개발사들은 그 모든 운영체제에 마춰 개발해야되고, 그에따라 최적화도 힘들겠죠. 어찌보면 사회적 비용의 증가죠.
    스팀도, 어짜피 어지간해선 스팀 쓸꺼라고 생각해요.
    솔찍히 주기적으로 에픽게임즈가 여러개의 게임을 공짜로 풀고, 여러 게임 묶어서 헐값에 팔아넘겨도 아직도 스팀을 사용하죠. 솔찍히 스팀이 편하고, 잘되있기도하고, 이미 우리 라이브러리에 쌓여있는 수백개의 게임이 아까워서라도요.
    물론 독점하는것이 옳다! 라는건 아니지만, 과연 독점을 부순다고해서 무조건 소비자가 이득이 될지 여러 생각이 드네요.

  • @서태호EJ
    @서태호EJ 3 місяці тому +24

    스팀은 지고 에픽이 떠오른다는 바보 전문가들의해서 얼마나 조롱을 당하는지 상상초월이네요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2

      현실적으론, 에픽 스토어가 지고 있죠...

    • @otwmoo
      @otwmoo 3 місяці тому +14

      스팀이 지던 에픽이 지던 반독점 맞아야 할 기업은 반독점 맞는 게 맞습니다. 그것이 소비자가 이기는 길이죠.

    • @rabbizo
      @rabbizo 3 місяці тому

      에픽이 슈퍼 지고있는데요,
      유비도 다시 스팀으로 돌아가는 판국에

  • @justinyoo3913
    @justinyoo3913 3 місяці тому +1

    이야 방대한 내용을 잘 정리해주셨네요 질뵜습니다!

  • @얼쑤-i5c
    @얼쑤-i5c 3 місяці тому +22

    Eu가 애플 한정 세계영웅이긴햐...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9

      EU가 애플을, 정말 세게 때리긴 하더라고요
      어떻게 보면 미국보다 세게 때리는 것 같기도 하달까요

  • @lugalvernstein4254
    @lugalvernstein4254 3 місяці тому +1

    스팀등 여러 ESD한테 안팔아도 DLC나 캐쉬템을 싸게 파는게 아니라서 플레이어한테는 의미가 없어요.
    단지 미국은 기업이 국가보다 커지면 바로 블레이드러너 현실판이라 직간접적으로 압박하는거죠.

  • @weirdgiven
    @weirdgiven 3 місяці тому +26

    모바일은 솔직히 별 관심 없어서 모르겠는데, 스팀의 경우 스팀이 PC ESD시장 사실상 개척하고 복돌이들의 천국이던 PC판에서 정품 소비를 이끌어왔다는 사실, 그리고 게임 평가 및 토론/가이드 공유 등등 커뮤니티 기능을 막강하게 만들어놔서 유저들로 하여금 편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고, 게임 추천 등을 통해 다양한 게임들을 보여줌으로써 유저들과 게임사들에게 모두 이익이 되는 플랫폼을 만들어왔고, 결과적으로 (블리자드 등 대형 게임사를 제외하면) 사실상 스팀이라는 게 있기 때문에 PC시장에 게임을 출시할 수 있게 된 수많은 (마케팅 능력이 부재하는) 인디게임들을 생각하면 스팀에게 갑질이 어쩌니 하는건 솔직히 배은망덕한 행위로 보이네요.
    실물보다 유통비용이 저렴한데 수수료가 같다는 것 또한, 서버를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이라는 게 있고, 실물패키지가 없어서 원가가 들지 않고 실시간 가격반영이 쉬운 덕분에 할인행사를 통해 판매량을 더더욱 끌어올릴 수 있는 등등 이점이 상당히 많다는걸 생각해보면 온라인 유통이 주는 이점을 고려했을 때 딱히 오프라인 유통보다 수수료를 덜 받아야 할지 모르겠네요.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4

      말씀하신 스팀의 이점들, 충분히 공감하고
      게이머 입장에선 스팀 이외의 플랫폼을 쓸 메리트가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스팀 문제는 반독점 소송 진행 과정을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긴 합니다
      애플이나 구글과는 다르게, 마무리되어가는 문제는 아니다 보니
      미국 법원이 어떻게 판단할지가 중요할 것 같아요

    • @bluei0702
      @bluei0702 3 місяці тому +4

      저도 같은 의견이고 여태 구독하고 종종 보던 채널이었는데 솔직히 여기 유튭 채널이 에픽게임즈의 시점으로 풀어서 영상 이슈화를 위해 자극적인 방향으로만 적은것 같아서 실망이 크네요. 사실상 악덕기업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고 유저들의 불평 불만이 많았던 기업 중 하나가 에픽게임즈인데 이런식으로 영상을 만들다니...
      전세계적으로 온/오프라인 타 스토어들 포함하여 게임 수수료가 대부분 30퍼정도 받는게 암묵적인 룰같은 것이었는데, 30% 수수료를 문제 삼아야 한다면 스팀, 애플, 구글을 콕 찝어 말할 것이 아닌, 게임계의 전반에 있는 불공평함을 토로하는 것이 아닌, 에픽게임즈와 직접적으로 경쟁하고 있는 3사의 수수료만 들먹이냐는 비판은 알만한 사람들은 다들 알고 있죠. 그리고 스팀이 훨씬 압도적으로 타 플랫폼과 비교하여 버그도 적고, 사용감도 좋고, 렉도 적으며, 다른 플랫폼에선 상상도 할 수 없는 게임 이용시간이 두시간 미만일 경우 이유막론하여 환불을 해주는 시스템이 있고, 심지어 소비자센터 연락도 답변이 굉장히 빠르고 항상 플랫폼을 진화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보이죠. 스팀은 독재가 아니라 그만큼 유저들에게 이점이 너무나 많은 플랫폼이기에 유저들에게 사랑받는 것인데, 에픽게임즈와 같은 몇몇 타 플랫폼은 자신들이 동일한 노력의 길을 밟아 유저들에게 인기를 얻을 생각은 없고, 그냥 스팀에게 수수료 주기는 싫고 그 이득을 가져가고 싶은데 유저를 끌어모을 노력도 안하고 논리적이지도 않는 이유를 가져다가 스팀에게 괜한 소송을 거는 악덕 기업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 다는건 왠만한 성인 유저들은 다 알죠. 에픽게임즈의 논란은 많으나 그 중 하나를 꼽자면 에픽게임즈 스토어는 비상식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유저들의 계정삭제를 사실상 불가능하게 막아놓았다는 것이죠. 이것만 봐도 대충 다들 감은 오실겁니다. 어느쪽이 더 비정상적인 악덕플랫폼으로 보일지는.
      자신이 잘 알지도 못하는 것을 자극적으로 한쪽이 정의인것 마냥 만들어서 올리는 이런 영상은 그냥 이 채널도 사이버렉카 채널중 하나라는 생각밖에 안들게 하네요.

    • @mason3689
      @mason3689 3 місяці тому +7

      @@bluei0702 스팀직원임? ㅋㅋㅋㅋ

    • @Humh12
      @Humh12 3 місяці тому

      @@mason3689 에픽게임즈가 병신인건 맞음

    • @aaa3649
      @aaa3649 3 місяці тому

      @@bluei0702
      절대적인 선도 절대적인 악도 없다
      불만이면 실망이니 뭐니 싸재끼지 말고 차단해ㅋㅋㅋㅋ

  • @jinhong01
    @jinhong01 3 місяці тому +2

    가격을 내리지 않더라도 게임사가 느끼는 부담이 줄어드는것만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1

      게임 가격을 올리지 않으면, 더 많은 캐시템을 팔지 않으면 지속하기 어렵다
      이런 말은 한동안 좀 줄어들긴 할 것 같습니다
      물론, 실제로 그렇게 될지는... 모르긴 하겠지만요

  • @lkm
    @lkm 3 місяці тому

    다른 건 몰라도 스팀보다 싸게 팔면 스팀에서 판매 금지되는 건 진짜 좀 양심 없는 정책이긴 함 독점적 지위로 찍어누르기 가능하니까 나올 수 있는 정책이고 그걸 공고히 하려는 정책이고

  • @taijonglee2428
    @taijonglee2428 3 місяці тому +1

    똑같은 수수료 30퍼라는 카테고리에 스팀을 넣는건 유저입장에선 그닥 공감이 안가네요.
    스팀의 다운로드 방식 덕분에 패키징+물류값을 크게 아끼게 됐고 사실상 독점급 스토어에 올리는 메리트가 어마어마하게 크죠.
    소비자 입장에서 봐도 자주 할인하는점.. 뭣보다 소비자 친화적인 정책 때문에 게임사한테 통수맞는걸 완화시켜준다는게
    요즘같은 시대에 특히 고마운 점이구요.
    다른 곳들과 소비자의 반응이 다른것만 봐도 구글과 애플은 업보가 얼마나 쌓였는지 차이가 보임

  • @호두까미
    @호두까미 3 місяці тому +1

    피처폰 시절 통신사 수수료는 전설이다 정말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1

      피쳐폰 시절엔 고객 입장에서도, 인터넷 쓰는 것 자체가 두려웠죠 ㅋㅋㅋ

  • @wjskxl
    @wjskxl 3 місяці тому +1

    미국은 맘만 먹으면 기업 하나 두쪽 내는걸 넘어 심하면 50등분도 내본 전적이 있어서 엥간하면 과거 ms 처럼 욕심을 적당히 내려놓고 기업 안 쪼게지는 방향으로 갈것 같네요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미국 법무부에서 직접 구글을 쪼개기보단, 구글이 적당히 타협안을 제시하는 선으로 가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 @skyrimsonata3629
    @skyrimsonata3629 3 місяці тому +4

    Ms 스토어도 수수료 큽니다 애들도 날강도

  • @BangGood2
    @BangGood2 3 місяці тому

    특점 기업의 독점은 소비자에게 불행한 법이죠.
    부디 소비자들이 유리하게 일이 잘 풀렸으면 좋겠네요.

  • @riricodown
    @riricodown 3 місяці тому +1

    근데 회사가 영리추구하는건 당연한건데 광고도 결국 다 우리집이 제일 맛있어 독과점하고 싶은 욕망이 있는거아님? 그리고 어차피 배민하고 똑같음 그 수수료 빼줘봐야 식당 배불리는꼴.

  • @우종윤-t6s
    @우종윤-t6s 3 місяці тому

    다른 플랫폼이 있어야되는 이유.. 30퍼 말도안됨 결국 저게 회사가 부담하는게 아니라 소비자가 부담하게될텐데

  • @booming.
    @booming. 3 місяці тому +2

    Eu형님들만 믿습니다

  • @im_baka
    @im_baka 3 місяці тому +2

    운영체제 만들어줘, 기기 가이드 제공해 줘, 유지 보수해 줘, 앱 만드는 프로그램 만들어 줘, 앱 만드는 방법 알려줘, 프로그래밍 코드 만들어줘, API 만들어 줘, 피드백도 해줘, 플랫폼 제공해 줘, 심의도 대신 받아줘, 분쟁 조정해 줘, 홍보도 해줘, 스토어도 제공해 줘, 서버도 제공해 줘, 각종 기능 손쉽게 연계할 수 있게 해줘, 결제도 대신 받아줘, 페스티벌도 열어줘, Help치면 도와도 줘, 분석도 해줘, 클라우드 저장도 시켜줘, ㅅㅂ 그냥 다 해줬잖아

  • @블루베리톡
    @블루베리톡 3 місяці тому

    ㅎㅎㅎㅎㅎㅎㅎ 점점 다양한 펭귄들이 나와서 아주 좋아요
    대형플랫폼의 독점을 막아야 소비자들의 지갑을 아낄수 있으니 아주 좋은 소식같아요!!
    다만 수수료를 낮춰도 게임사가 가격을 내릴지는 의문이긴하네요 ㅠㅠㅠ
    오늘도 잘 보고갑니다!!

  • @BB-may2nd
    @BB-may2nd 3 місяці тому

    스팀은 되려 인디게임에 수수료를 깎아주는 정책을 취했어야 함... 초대박게임의 판매수익에 따른 수수료 감액이 대체 무슨 의미가 있나

  • @nurungiiii
    @nurungiiii 3 місяці тому

    우리나라도 따지고보면 카카오니 통신사니 저런 사례를 적용해 처벌당할 회사 상당히 많은데, 저런건 미국이 참 부러움

    • @nurungiiii
      @nurungiiii 3 місяці тому

      @딸기시럽죠스바 ㄹㅇ 아이템만 없을뿐이지 계속해서 따라나올듯

  • @reasonwhy4703
    @reasonwhy4703 3 місяці тому

    우리나라에서 가격을 내린다?
    그건 진짜 벌금을 무지막지하게 때리는게 아니면 절대 일어날 수가 없을 것 같네요

  • @deptofbiochem1143
    @deptofbiochem1143 3 місяці тому

    독점은 무조건 막아야지. 특히나 그 독점이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대량으로 수집하고 이를 인공지능에 학습시킬 수 있는 데까지 이른 거면, 미래에 독점기업이 아니라 독재기업이 탄생할 수도 있음.

  • @akic7265
    @akic7265 3 місяці тому +15

    스팀 라이센스만 파는건데 게임 가격좀 낮춰라 진짜 주는것도 아닌데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5

      그러고보니 이제 '대여'로 표현이 바뀐다고 했던 것 같은데 말이죠

  • @알랭들롱백작
    @알랭들롱백작 3 місяці тому +1

    진짜 솔직히 말하면 황무지를 개척한 스팀은 30프로 받아도 됨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스팀이 사실상 디지털 게임 유통의 시대를 연 게 아닌가... 싶긴 합니다

    • @ledboos5777
      @ledboos5777 3 місяці тому

      먼저 열었다고 배짱 부려도 된다는 건 개인적으론 안좋은 소리인거 같은데....안그래도 지금 AAA게임 개발비 나올만큼 벌지도 못하게 된 현 개발환경에서 개발규모 쪼그라들 수밖에 없는 상태라면 이것도 스팀 입장에선 좋은 게임 들여올 환경을 옥죄는게 될텐데.....

    • @알랭들롱백작
      @알랭들롱백작 3 місяці тому

      @@ledboos5777스팀의 온라인 플렛폼은 "먼저" 열었다는 개념이 아님. 존재하지 않는던 것에서 어마어마한 규모의 관련 시장을 만들어 낸거임 "먼저"가 아님 창조였음. 충분히 개발사가 맘에 안들면 외부결제 시스템으로 독자적으로 다운로드 할 수 있음. 스팀에 올려서 내는 광고효과와 플렛폼 편의성도 그냥 얻어가겟다? 말도 안 되지

  • @lkb38317
    @lkb38317 3 місяці тому +2

    그래서 구글 앱스토어 사용 안하는 1인...
    나름 다른 앱스토어류 이용시 해택이 많고 오히려 가독성이 좋음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2

      원스토어도 혜택이 많다 보니, '내가 즐기는 게임이 원스토어 입점하는 것'을 바라는 분도 꽤 있더라고요
      근데 아무래도 입점 안 하는 게임도 많기는 하더라고요

    • @lkb38317
      @lkb38317 3 місяці тому

      @@penguinmonster 맞아요. 그래서 저도 원스토어 이용중에 있습니다 ㅎㅎ

  • @Abcde0-e5k
    @Abcde0-e5k 3 місяці тому

    헤드샷은 나만...맞을 껄요...가상 세계는 안 열리고..그렇게 열려도 이상하게 할 텐데 그냥 에너지..그래도 레니는 있구나..다른 행성은 마법쓰고 부럽다...

  • @sean7082
    @sean7082 3 місяці тому +6

    미국 정치권에서 구글이 검색 엔진을 이용해 선거에 개입한다고 봤을 정도니까, 빅테크들이 미국에서 얻어맞는 것엔 그 동안 해온 것들에 의한 커다란 반동이기도 하다고 보네요.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2

      미국의 독점 기업이 행사할 수 있는 힘이 정말 강력하다 보니..
      그런 부분 때문에 더 견제하는 게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정치, 사회적인 요소까지는 잘 모르다 보니 뭐라 말씀드리긴 힘들지만요

  • @142smdopp
    @142smdopp 3 місяці тому +1

    슬슬 AI 시대가 도래하니까 구글을 견제하는거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구글의 빅데이터는 압도적이니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1

      미국 법무부에서도 그 부분을 콕 찝어 말하는 거 보면
      AI 시대에서 구글이 압도적인 패권을 쥐고 흔드는 걸 막으려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 @냥이사랑-f8r
    @냥이사랑-f8r 3 місяці тому

    저 두회사가 받는 수수료가 배민같은 업체들이 저기를 기준으로 받는 모델이 된거죠
    모든 회사가 저렇게 받아도 된다고 생각하게 만든 장본인들

  • @victoyxx
    @victoyxx 3 місяці тому +2

    플랫폼 이용료 30퍼도 솔직히 너무 날먹이지..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일단 국내에서도 과징금 처분이라도 이뤄지고 나면 뭔가 변하긴 할텐데... 잘 모르겠네요

  • @codingjoa
    @codingjoa 3 місяці тому +1

    국민 개인정보 팔아먹은 카카오도 고소... 해야겠죠?

  • @combachi
    @combachi 3 місяці тому

    방통위원장을 일을 할 사람으로 선임해야 하는데
    딴 일 하는 놈들만 선임하니...

  • @AV-8Bplus_Harrier_II
    @AV-8Bplus_Harrier_II 3 місяці тому +1

    모드 있는 게임중에 모드판이 너무 커져서 따로 별도 독립한 베데스다 게임 제외하면 스팀 창작마당의 편의성이 너무 뛰어나서 아마 뭘 해도 스팀이 제일 잘 나가긴 할 듯 한데

  • @cocohappy5879
    @cocohappy5879 3 місяці тому +1

    펭귄님 일본여행다녀오심? 부럽다..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1

      일본 음식이 매운 맛이란 게 존재하지가 않더라고요... ㅋㅋㅋㅋ
      그래도 장어덮밥이랑 새우 튀김 먹었는데 정말 맛있더라고요

  • @알카-o3q
    @알카-o3q 3 місяці тому

    어쩌면 우크라 전쟁에서 일론 머스크가 우크라에 지원한 인터넷을 일시에 끊었던 영향일지도요... 고작 기업가 1명에 의해 국가 인프라가 먹통 되는거 보고 기업이 인터넷을 과하게 독점하면 국가조차 터치 못 하게 되니 싹을 자르려는 조치일지도 모른다는거죠.

  • @c0wjay
    @c0wjay 3 місяці тому

    에픽이 진짜 갓기업임..

  • @덧없는명예
    @덧없는명예 3 місяці тому

    에픽 게임즈는 다른 것 보다 에픽 스토어 좀 개선했으면 좋겠음
    커뮤니티도 없고 창작마당 같은 모드 지원도 없고 유저 평가도 별점밖에 없고 무료로 게임 준거 받아도 결국 아쉬워서 스팀에서 사게 됨

  • @evo4gplus
    @evo4gplus 3 місяці тому +1

    애플이 앱스토어 출시할 때 30퍼센트 수수료만 받는거 보고 개발자들이 환호했는데 이제와서 다른 스토어들도 관행처럼 받던 수치가 비싸다고 하는거 보는게 좀 재밌는 듯 ㅋㅋ 아이폰 없던 시절 통신사 독점 스토어로 패키지 게임 4000원 주고 다운받던 시절엔 통신사들이 70퍼 가져갔다던데

  • @nang_in
    @nang_in 3 місяці тому

    스팀은 구매 하는게 아니라면 그냥 좀 저렴하게 내주면 좋겠다

  • @골파기
    @골파기 3 місяці тому +5

    수수료 내린다고 캐시템 가격이 내릴거같진않음 통신요금이 안내려온거처럼

  • @흠-f3h
    @흠-f3h 3 місяці тому

    솔직히 유저 입장에선 정말 무의미한 논의인듯 결국 플랫폼에서 수수료 줄여도 게임 가격이 줄어드는 게 아니라 게임사 주머니만 불려주는데 게임사들 요즘 행태를 보면 과연 얘네 배 불려 준다고 다음 작품의 더 나은 퀄리티를 기대할 수 있나? 하는 의문만 드네요
    그리고 현재 아웃링크에 혜택을 주는 이유도 그쪽으로 유도하기 위해서지 유도할 이유가 없어지면 혜택도 없어지겠죠

  • @HUN-xb6dj
    @HUN-xb6dj 3 місяці тому

    불특정다수를 대상으로 한 시장이라서 그런지 규모가 좀 많이 크다
    해결법도 특별히 없어보이고 만약 있더라도 해결이 아니라 새로운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크네요

  • @김민철-p1k
    @김민철-p1k 3 місяці тому

    아이온 클래식 60랩 장비 함대장 장비 나옴 근데 또 같은 랩 장비 출시 아이온 라이브에서 디랙터가 기존 장비 가치를 회손 하지 않는 선에서 출시 한다고 말함 근데 신규장비 장비 스킬 부여 또 기존 동급 장비보다 옵션 더 추가 업데이트 함 최근 스킬부여 변경 나옴 큐나 1회 변경 60큐나 현금 1340원 정도 옵션 20가지 지금 아이온 라이브때 각성수라는 거보다 더 악날하다고 아이온클래식 자유게시판 뒤집어짐

  • @역사한모금
    @역사한모금 3 місяці тому

    근데 구글의 미국에서의 재판을 보면
    이게 진짜 민주주의라 생각되네요
    우리나라는 재벌과 대기업이 독과점을 해도 그럴 수 있다고 옹호해주는
    자유를 외치며 태극기를 좋아하는 노인분들이 많은데..

  • @APT404
    @APT404 3 місяці тому +2

    미국에서 독과점했던 기업들이 쪼개지는걸 봤으면서도 구글은 배운개 없었나보다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결론이 구글 쪼개기로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그렇게 될 경우, 초대형 사건이 되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 @siha2859
    @siha2859 3 місяці тому +1

    플랫폼을 가진 기업이 세계를 지배한다는 말이 괜히 나왔겠습니까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그렇긴 합니다
      플랫폼 자체가 어떻게 보면, 권력이라고 해도 되겠네요

  • @clover1130
    @clover1130 3 місяці тому

    독점적 기업을 강력하게 규제하는 EU가 아니라 그냥 빅테크 없으니까 막 규제하는거 아닌가

  • @isinece
    @isinece 3 місяці тому +1

    고소하는 이유? 뭐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건...
    "돈이 되니까"

  • @p.m-d8p
    @p.m-d8p 3 місяці тому

    소비자 입장에서는 나쁘지만 기업내 직원입장에서는 당연한 것......
    인간은 언제 타인을 위한 사회로 진화할까..

  • @user-OnebiteMonCher
    @user-OnebiteMonCher 3 місяці тому +1

    현재 애플폰으로 페그오 본계를 쓰고 있는데, 구글 페이백 포인트가 없어서 좀 슬프긴 하더라고요…ㅠ 수수료 내려가면 좋겠습니당!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애플은 국내에선, 사실상 독점이라 그런 게 아닐까 싶긴 합니다
      유럽에선 규제 맞고 다른 스토어를 허용했지만
      다른 말로는, DMA 법에 걸려서 역대급 과징금을 물까봐 봐꾼 거긴 하니 말이죠

  • @송찬우-g4s
    @송찬우-g4s 3 місяці тому

    스팀을 이용하면 내가가진 게임을 다 한데 모아서 볼수있어서 하는거야
    계속 게임을 깔아둘수도 없고
    그렇다고 했던게임 다시 안하는것도아니고
    cd면 이쁘게 모아놓을 공간이 필요하고(그런데 패키지 크기가 들쭉날쭉)
    한 프로그램으로 모든 플랫폼을 자동으로 로그인해서
    내가 구매(사실은 대여)한 모든 게임을 목록화 하고 관리 이용 할 수 있으면 좋겠다

  • @비호랑-h4d
    @비호랑-h4d 3 місяці тому +1

    민심 악화될 때 밸브가 3 넘버링을 단 게임 하나 뙇 하고 내주면 밸브 민심 떡상일텐데

  • @만둣국-o1n
    @만둣국-o1n 3 місяці тому +1

    내리진않고 인게임재화만 좀 더 주고말듯

    • @penguinmonster
      @penguinmonster  3 місяці тому +1

      정말 솔직하게 말씀드리면, 인게임 재화라도 더 주면 다행...이긴 하죠 ㅋㅋㅋ

  • @ufck7491
    @ufck7491 3 місяці тому

    구글은 우리나라에서 세금이나 제대로 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