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터 후진국 한국 ~ 배운 1인 기술이 아니라 마인드 ~ 미국 초등 협업 만들고 싶은거 만드는대 ~ 미국 초딩보다 못한 한국 디자인 교수 기존 물건 만듬 ~ 나사 만드는거 가르쳐 줌 철물점 100원 이면 해결 되는걸 왜 가르쳐 ~ 통섭 협업 개념 없음 ~ 입시 경쟁에 무슨 협업이
님이 발하는 3d프린터의 재료는 ABS입니다. 그때 한창 3d프린터가 뜨고 있을때가 안전 관리가 미흡해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pla가 아닌 저렴한 abs를 쓴 것 입니다. 그리고 건물 지을때는 시멘트 씁니다. 원리만 같지 아얘 다른겁니다. 총이 문제가 아니라 쓰는 사람과 법률이 문제인것처럼 3d프린터가 문제가 아니라 쓰는 사람과 법률이 문제입니다.
제품은 최신인데
영상은 무슨 80년대 소개 영상인줄 ㄷㄷㄷ
감사합니다
간단하게 큰 기술개발없이 하면서 제품 가격만 엄청나게 올려서 물가상승에 아주크게 영향을끼치네
3D 프린터가 인체에 해로운 것이라 보도하고 3D 프린터의 기술력에 관해 보도하고
같은 언론사에서 보도한 건데 앞뒤가 안 맞네요
병 주고 약 주고
내진설계에 취약점은 없나요? 매우 궁금합니다. 아시는 분 댓글 좀 부탁합니다~
얼마나 오래 된 영상인지 표시 안 해요?
생산지도 표시하는 시대에
출생시를 표시 안 하다니?
21:04 유진 what I want
3D프린터로 지은집은 건설연구원실험에서 철근않넣고 내진성능이 나오는지 궁금하네요?
최근에는 철근배근 후 출력 가능합니다^^
외국자료를 찾아보니. 철근도 넣는 공간을 만들고. 단열재도 넣고.
복합적으로 다 하더라구요.
전통적인 철근 콘크리트의 강도와 같거나 더 튼튼한 강도가 나오면 고민해볼 수 있겠네요
아니면 프린트와 동시에 내부 배선로(전기선 지나가는 통로), 배관 놓을 자리도(엑셀파이프 끼우면 끝나도록) 같이 제작가능하다면 잼있을거 같아요
@@hulk656말씀하시는 고질적인 문제가 뭔가요?
프린터로 건물 설계하면 장난 못치겠죠??
개늠들.....
콘크리트 대비해서 더 오래걸리는 듯 한데... 정말 비용이 싼게 맞을까요;;???
또한, 구조물 강도 등에 대해서도 별도 언급이 없어서 품질 상으로도 좋은지 모르겠네요.
화단같은 곳은 괜찮겠지만, 일반 구조물은 힘들 것 같아요
3D프린트 기술 배우고 싶다~
우리나라도 3D프린트 건축이 도입되면 저렴하게 건축할 수 있을 텐데
국회의원들이 일을 하지 않고 서로 싸우기만하니 관련법이 없어서 못한다
세금이 아깝다.
3D프린팅으로 건축물 지으면 콘크리트에 비해 얼마나 차이나는지 궁금한데 철근도 없을텐데
조작 보도로 국내 3d프린터 시장 다 박살낸 1등 공신 YTN사이언스가 이런식으로 물타기 하네 ㅋㅋㅋ
ㅌㅋㅋㅋㅋ
19:43
주택 거주 상용화가 빨리 되몀 좋겠습니다
중고 자동차 부품중 수입차 부품 어마어마 하게 비싼거 잇는대 그거 스캔떠서 바로 프린터로 출력해주는 중소업체 어디 있을까요 ?
있습니다. 돈 많고 각종 소송에 이길자신 있으시면 됩니다
잘 될것이다.
철근없이 얼마나 튼튼할까요?
계속 발전하다보면 sf에서나 보던 물질생성기가 만들어지겠지
돌덩이 넣으면 분자재배열로 먹을것도 나오고 제품도 나오고
아파트의 나라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 궁금하네요~
저런구조면 컨테이너 하우스가 더 경제적이고 더 내구성 높을거 같은데 컨테이너 하우스가 관리만 잘하면 50년 정도 내구성을 가지는데 3D 프린터로 토목부터 건물로 이거지는 단단한 철콘 구조물을 이기는게 불가능해보이는데 관점을 부꿔야할거 같은데
지금은 기술초기단계니깐 그렇죠 스마트폰의 전신도 PDA엿죠 일단 시장에 나와야 기술이 발전되는거죠 전기차도 마찬가지고
컨테이너 하우스 춥고 덥고 지랄 맞습니다
제가 컨테이너에 살거든요
3D 프린팅 구조물의 경우는 현재로는 거푸집을 대체하기 위함으로 연구중에 있습니다! 추후에는 Topological analysis를 통해 하중에 견디는 부위를 해석을 통해 모델링해서 사용되는 재료를 최소화 시키려고 한다고 하네용
😊 8:27
35:45
규모와 양산
fdm방식은 중국산으로 도배되었는데 경쟁이 되것냐?
철재는 진짜신기하네 저게어떴게 강하게 붙지
레이져빛이 금속가루를 녹여서 용접하는 건데 눈에 보이기엔 걍 쌓이는거처럼 보이는거 아님 ? 그리고 금속은 용접부위가 더 강하다던데...
로봇공학기술의 수도로써 발전해야하는데 너무 더딤.
나사에서 쓰는 로봇은 달라요 화성에서 화성땅있는재료로 집지을수잇는 로봇임
우리나라의 문제점은 대기업의 특허기술 탈취하는게 기술의 장벽이다. 중소기업의 특허를 탈취하고 거기에 로비받은 검판새들의 판결이 문제이다.
within 10 years, we will see a different world, where you can be so much confounded that you could hold your balls up to your belly button.
이기술의단점. 단층건물밖에 못지음 1~2층이 최대일듯함. 그리고 벽밖에못세움 천장 프린팅이 불가능함. 천장세울라면 목수 불러야댐
나중에 그냥 모듈식으로 벽체하나씩 찍어서 레고블럭처럼 끼워넣는 방식으로 발전하지 않을까요... 쉽게 말해서 보조하는 방식으로 3D 프린터가 쓰이지 싶네요...
이 사람은 프린팅을 보지도 못한 사람임
그런 고민을 하는 님 같은 분들을 위해 브릿징이라는 기술이 있음
제5원소에서 여자주인공을 3D 프린터로 찍어내는거 보고 웃었는데 이제 웃을일이 아니네요
3D 프린터 위험하다고 한게 늬들 아님???
ㅇㅇ 가정용으로 쓰면 거기서 공기중으로 전파되는 유해물질이 잇어서 환기시설이 잘 되어 잇어야 해요...
콘크리트는 철근을 넣어야하는거 아님?ㅋ
건축 프린터는 일단 철근을 넣기 힘드니까 고층은 어렵겠고 몰탈 내부에 공기층이 많아서 강도가 떨어지겠고 창틀 문 같은 부분은 사람이 손을 봐줘야 하니...
보완을 많이 해야겠네
아우. 건축은 안그렇다. 철판으로 대형 선박 건조 하듯. 하는게. 건축 프렌트. 는 제일이다
지구가 평평하고 우주란 죄다 나사의 판타지 구라인데 뭔 놈의 우주항공 산업?..ㅎㅎ
댓글이 전부 관련없는 소리들이네
이 댓글도?
3D의 최대 약점은 인체 안전성 및 마감작업이다..
3D로 건물 만들면 장난못치겠죠??
개늠덜...
3D로 전체를 한번에 짖는게 아니라 부분부분 레고블럭처럼 모듈화 해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자리 잡지 않을까요... 1-2층 건물이면 몰라도 고층건물은 3D프린터로 못 지을듯....
발전이없냐 몇년전이나 지금이나
발전했어요... 다만 일반인들에게 공개하지 않아서 그렇지... 원래 기술 공개는 차세대 기술이 나와야 겨우 대중에 공개됩니다.
늦었어... 미국과 중국이 다먹었어
3D 프린터 후진국 한국 ~ 배운 1인 기술이 아니라 마인드 ~ 미국 초등 협업 만들고 싶은거 만드는대 ~ 미국 초딩보다 못한 한국 디자인 교수 기존 물건 만듬 ~ 나사 만드는거 가르쳐 줌 철물점 100원 이면 해결 되는걸 왜 가르쳐 ~ 통섭 협업 개념 없음 ~ 입시 경쟁에 무슨 협업이
3D 프린트 기술이 중요한게 아니라 감리나 제대로 해라..
기술이 좋으면 뭐하냐 제대로 콘크리트 타설도 안한 불량 레미콘으로 3D 프린팅하면 어차피 부실인데...
전혀 믿음이 안간다.
미국이 선진국이고 우린 개도국이냐?
발상이 너무 올드하다.
좋은 기술이긴 한데... 한국에서 3D 프린터 가르치던 선생님 세분이 암에 걸렸다던 뉴스가 계속 걸리네, 이것도 어차피 극복 되긴 하겠지만... 찜찜~
님이 발하는 3d프린터의 재료는 ABS입니다. 그때 한창 3d프린터가 뜨고 있을때가 안전 관리가 미흡해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pla가 아닌 저렴한 abs를 쓴 것 입니다. 그리고 건물 지을때는 시멘트 씁니다. 원리만 같지 아얘 다른겁니다. 총이 문제가 아니라 쓰는 사람과 법률이 문제인것처럼 3d프린터가 문제가 아니라 쓰는 사람과 법률이 문제입니다.
태풍오면 날라가는건 아닌지?
근대왜 대한민국은 점점 후진국이 되가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