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계속 잘 듣고 있습니다. 유동성 함정구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경기가 침체하면 자금의 공급은 증가하지만 자금의 수요는 감소하여 이자율이 하락한다는 게 무슨 뜻인가요? -->경기가 침체하면 중앙은행에서 돈을 푼다는 말인가요? 그럼 자금의 수요의 주체는 누구인가요?ㅠㅠ화폐수요랑은 다른얘기 같아서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오늘도 유익한 강의 감사드립니다! 강의 마지막까지 잘 따라왔는데, 끝부분에 갑자기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제가 너무 기초가 없어서 우문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죄송합니다.. 이자율이 하락하면, 기업 입장에서 대출받기 쉬워져 투자가 활성화되고 이는 국민소득 증가로 이어지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예금 같은 경우는 투자로 치지 않는건가요? 예금을 투자로 본다면 이자율이 하락하면 예금은 줄어들 것 같아서요.. 그리고 펀드 같은 경우도 투자로 봤을 때, 이자율이 낮아진다면 투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는걸까요? (펀드는 이자와 관련이 없나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선생님 좋은 강의 늘 감사합니다. 화폐수요와 소득에 관한 질문이 있는데, 고전학파의 경우 Md=1/V×PY로 화폐수요와 명목국민소득이 비례관계라고 알고있습니다. 케인즈학파의 화폐수요함수는 Md= P×L(Y, -r)인데 그러면 케인즈학파의 경우 실질국민소득과도 비례관계인건가요?
이자율이 낮아지면 화폐수요가 증가하는 것은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그렇게 되므로 화폐수요곡선이 우하향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입니다. 즉, 화폐수요는 이자율과 반비례 한다는 의미이며 화폐수요곡선만 고려할 때 그렇다는 것이죠. 반면에 투자와 함께 다루는 이자율은 화폐시장에서 화폐공급곡선과 화폐수요곡선에서 정해지는 균형이자율이니까 위에서 말한 이자율과는 성질이 다르죠.
이번 강의는 굉장히 어려울 것 같아서 좀 쫄아있었는데
선생님의 강의 덕분에 살짝은 이해가 된듯 합니다
앞으로도 쫄지 않고 열심히 완강까지 가겠슴다 감사함다!
4:00~12:40,13:42~20:50
,23:07~30:47,31:29~35:36
이번 강의도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ㅎㅎ
개념↓
1. 고전학파의 화폐수요이론 0:05 ~ 16:06(마샬k포함)
2. 케인즈학파의 화폐수요이론 16:11~ 26:40
2-1) 유동성함정 26:45 ~ 31:30
문제 31:34 33:06
8:30 10:40 26:40 28:25
10:21 교환방정식 MV=PY으로부터 화폐수요함수가 도출될때 왜 M이 Md로 바뀌게 되는건가요?
교환방정식에서의 M은 통화공급량(통화량)이 아닌가요?
균형에서 M=Md=Ms가 모두 성립하니까 바꾸어서 써도 상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31:54 문제체크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계속 잘 듣고 있습니다. 유동성 함정구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경기가 침체하면 자금의 공급은 증가하지만 자금의 수요는 감소하여 이자율이 하락한다는 게 무슨 뜻인가요?
-->경기가 침체하면 중앙은행에서 돈을 푼다는 말인가요? 그럼 자금의 수요의 주체는 누구인가요?ㅠㅠ화폐수요랑은 다른얘기 같아서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경기침체시 이자율을 낮추려고 통화공급을 늘립니다. 자금수요의 주체인 기업은 일반적으로 이자율이 하락하면 대출을 받아서 투자를 하기 때문입니다.
@@soeasytv 감사합니다!:)))
너무 오래 쉬었다 2022.03.04 44강 화폐수요 완료
선생님 화폐의 중립성에서 화폐는 물가에만 영향을 미치고 실물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하는데 이 때 실물은 무엇을 가리키나요?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잘 보고 있습니다😊 핵심이자 2 문제 옳지 않은 것이죠?
아.. 맞습니다. 옳지 않은 것입니다.^^ 오류 수정해야겠네요...
선생님 오늘도 유익한 강의 감사드립니다!
강의 마지막까지 잘 따라왔는데, 끝부분에 갑자기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제가 너무 기초가 없어서 우문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죄송합니다..
이자율이 하락하면, 기업 입장에서 대출받기 쉬워져 투자가 활성화되고 이는 국민소득 증가로 이어지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예금 같은 경우는 투자로 치지 않는건가요? 예금을 투자로 본다면 이자율이 하락하면 예금은 줄어들 것 같아서요..
그리고 펀드 같은 경우도 투자로 봤을 때, 이자율이 낮아진다면 투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는걸까요? (펀드는 이자와 관련이 없나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저축(예금)은 투자로 보지 않습니다. 경제학에서 저축은 소득 중에서 소비하고 남은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보면 국민소득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PY=명목국민소득=명목국내총생산 다 같은거맞나요? 헷갈리네요 ㅠㅋ
선생님 좋은 강의 늘 감사합니다. 화폐수요와 소득에 관한 질문이 있는데, 고전학파의 경우 Md=1/V×PY로 화폐수요와 명목국민소득이 비례관계라고 알고있습니다.
케인즈학파의 화폐수요함수는 Md= P×L(Y, -r)인데 그러면 케인즈학파의 경우 실질국민소득과도 비례관계인건가요?
선생님 강의 잘 듣고있는 학생입니다. 테셋 문제풀이 강의도 따로 있을까요?
아래의 카페에 가시면 문제풀이 특강이 있습니다.
cafe.naver.com/goodmentor1
선생님! 19:59 화폐수요를해서 돈을 보유만 하고있으니까 통화량이 감소되어서 이자율이 감소한다고 생각해도 맞는거죠??!
아닙니다. 화폐수요가 증가할 때 화폐수요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니까 이자율은 상승해야죠.
화폐수요와 이자율은 반비례인데, 화폐수요가 증가하면 이자율이 상승한다구요,,,?!
@@channelsu_hyun16 선생님이 말씀하시는건 곡선 자체가 우측으로 이동한다는거 같고 님이 말씀하시는건 곡선상에서의 움직임 같습니다 그래프의 곡선상의 움직임과 곡선자체가 움직이는것은 다릅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이자율이 낮아지면 투자가 늘어나 경기가 활성화되는데
반대로 통화수요측면에서 이자율이 낮아지면 통화수요가 늘어나서
통화량이 줄고 경기가 위축되는건가요??
두가지가 상충되는 내용이라 헷갈리네요
강의 항상 잘 듣고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이자율이 낮아지면 화폐수요가 증가하는 것은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그렇게 되므로 화폐수요곡선이 우하향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입니다. 즉, 화폐수요는 이자율과 반비례 한다는 의미이며 화폐수요곡선만 고려할 때 그렇다는 것이죠.
반면에 투자와 함께 다루는 이자율은 화폐시장에서 화폐공급곡선과 화폐수요곡선에서 정해지는 균형이자율이니까 위에서 말한 이자율과는 성질이 다르죠.
경제 TV 너무경 : 너무 쉬운 경제 빠르게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답변을 읽으니 이해됩니당!!!!
그러면 통화수요측면과 화폐수요측면으로 나눠서 봐야겠네요 ,,
선생님 핵심예제 3번에
MV가 아니라 M 더하기 V 로 바꿔서 계산되어있는데 이해가 안갑니다..
MV = PY에서 어떻게 변형 된건가요?
mv=py 이 식을 아주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을 거쳐서 변화율(%)로 바꾸면 m+v = p + y가 됩니다. 더하기로 바꾼건 변화율인 (%)입니다. 어떻게 변형되었는가는 너무 복잡한 수학을 필요로 하므로 그냥 외우세요. ^^
@@soeasytv 제가 원한 명쾌한 답변입니다. 다행히 외우기 쉬워보입니다
핵심예제 2번은 옳은 선지를 고르는 건데 그럼 답이 1번, 3번인가요?
옳은거 고르라는 것이 아니라 틀린거 고르는 것입니다. 4번만 틀리고 나머지 4개 다 맞습니다. ^^
선생님~ 고전학파의 화폐수량설에서는 화폐수요는 하다고 하셨는데, 그럼 이전강의에서 통화공급함수(통화공급은 이자율과 무관)가 고전학파의 견해와 관련된 내용인건가요~? 둘다 이자율과는 무관하다는 내용을 담고있는 것 같아서요!
화폐공급은 중앙은행의 본원통화량에 의해서 조정이 되는 것으므로 학파와 무관합니다.
선생님~ 예제 3번에 실질 gdp증가율 1%는 어떻게 구한 건가요??
하 10일 남았는데 할게 너무 많네요
핵심예제 3번은 안푸시는 거죠?ㅠ
핵심예제 3번은 교재의 해설을 보시는 것으로 이해해 주시길 부탁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