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쌤전산회계1급] 제10강. 유동자산(재고자산의 수량, 단가결정방법) (p95~p102)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5 лип 2020
  • ▶교재구매 - (주)도서출판한솔 홈페이지 hsbooks.kr/
    ▶ 질문 및 답변 - 박쌤전산회계 카페 cafe.naver.com/parksamaccount

КОМЕНТАРІ • 197

  • @user-or3hh3io2u
    @user-or3hh3io2u 2 роки тому +58

    8:24 이거 가나다 순으로 외우시면 편합니다 (회계사 강의 때 들음)

    • @abcd0200
      @abcd0200 2 місяці тому

      ㅋㅋㅋㅋㅋ그러네요

  • @user-wp4xn3ye3s
    @user-wp4xn3ye3s 2 роки тому +58

    선생님,, 정말 감사합니다,, 돈없는 취준생에게는 빛과 같은 존재셔요,, 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 @user-ne4uj6nz9l
    @user-ne4uj6nz9l Рік тому +14

    고작 50분짜리 강의를 나는 도대체 얼마나 늘려 보는 것인가...ㅋ

  • @user-dk1fl4kk4q
    @user-dk1fl4kk4q 3 роки тому +43

    32:42 p101 매출액은 2,700,000원으로 매출원가의 20% 이익을 가산한 금액이라 한다면,
    이 문제에서 왜 1.2를 곱해야 하는지 저같은 수포자가 계실까봐 적어봅니다
    매출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다르게 말하면
    매출액 = 매출원가+매출이익
    그럼
    매출액(2,700,000) = 매출원가 + 매출이익(매출원가의 20%이익)
    매출원가는 값을 모르기때문에 a로 표기해보겠습니다
    2,700,000 = a + a x 0.2
    이 말은
    2,700,000 x 1 = a x 1 + a x 1 x 0.2
    과 같죠
    이걸 다시 정리하면
    2,700,000 = 1a + 0.2a
    a를 앞으로 빼보면
    2,700,000 = a(1+0.2)
    와 같죠
    괄호 안의 것을 먼저 더하죠
    2,700,000 = a x 1.2
    가 됩니다
    그래서 영상에서와 같이 1.2가 곱해지는거죠

    • @lee91358994
      @lee91358994 3 роки тому +8

      이해가 안돼서 댓글내려봤는데 이런 친절한 댓글이 있네요!!
      근데 댓글봐도 왜 중간에 x1을 해주는지 모르겠어요ㅜㅜ

    • @user-ci6zh4it2w
      @user-ci6zh4it2w 2 роки тому +1

      수포자 포함 1인입니다. 완벽이해하고 갑니다 감사해요

    • @user-qc5mi2gr2c
      @user-qc5mi2gr2c 2 роки тому

      와 구세주

    • @user-cq2ex8vn4b
      @user-cq2ex8vn4b Рік тому +1

      여기서 수학을할줄이야 흐허

    • @user-wk8so3un2w
      @user-wk8so3un2w 3 місяці тому

      X 가 하나 있다고 쳐서 1을 곱하나요?
      일단 너무 감사합니다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어요 !

  • @monparis6509
    @monparis6509 2 роки тому +123

    이번 강의는 역대급으로 어렵네요...ㅠㅠㅠㅠ

  • @saelomikim5515
    @saelomikim5515 2 роки тому +1

    매일 헷갈려 하던 문제인데 쉽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잘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pw8rj4xc9p
    @user-pw8rj4xc9p Рік тому

    강의가 너무 좋아요 ~~부지런히 따라가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 @user-tx3vf4dn6p
    @user-tx3vf4dn6p 3 роки тому +7

    오늘 여기까지 듣고 자겠숩니다!! 쌤 좋은수업 감사합니당 ㅎㅅㅎ

  • @user-ef5ox7gf8z
    @user-ef5ox7gf8z Рік тому +18

    33:17 1.2배의 늪을 헤매다가 내린 결론
    그냥 공식인 것 같으니 외웁시다
    2,700,000=1.2×x
    그냥 공식인 거예요.
    부가세 인상된 금액을 구하는 것도 퍼센트에 따라 현재 금액에 1.x를 곱하더라고요.
    만약 10프로 인상된 금액이라면
    현재 금액×1.1 요렇게요.
    고러니 외우는 걸로.

    • @dze6-rs2zh
      @dze6-rs2zh 4 місяці тому

      공식 아닙니다. 밑에 다른분 댓글 참고 ㄱㄱ

  • @user-qs6or5lp1u
    @user-qs6or5lp1u 3 роки тому +81

    우왕 1급 공부 시작했는데 막 업데이트되는 영상과 함께여서 더 공부가 잘 되는것 같아요!
    양질의 자료를 제공해주셔서 가난한 취준생이 든든하게 공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zx1cm2dc4x
    @user-zx1cm2dc4x 9 місяців тому

    문제 풀면서 아리송한 게 있었는데 개념을 쉽게 설명해주시니 아주 좋아요.

  • @user-vj9rt5uc8y
    @user-vj9rt5uc8y Рік тому +25

    29:15 문제4번 되게 간단한 것 같은데 이해가 어렵네요...ㅜㅜ
    33:20 매출원가의 20% 가산금인데 1.2%를 곱하는 이유 = 매출원가를 X로 두고
    X + (X * 20%) = 270만원
    X를 1로 두면 1 + (0.2%) 니까 1.2를 곱해야함.

  • @KIMCHULSU
    @KIMCHULSU 3 роки тому

    강의 덕분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
    24:00
    30:00
    31:41
    34:00

  • @user-de7xr8gg8h
    @user-de7xr8gg8h 3 роки тому +5

    박쌤은 목소리가 중저음이라 듣기에 편하고 좋아요 감사합니다 🙏

  • @user-tn6pw2jc3i
    @user-tn6pw2jc3i 26 днів тому

    강의 잘 들었습니다. 도움 많이 되어요.감사합니다.^^

  • @elisa5002
    @elisa5002 Рік тому +1

    회계1급 공부 시작했습니다! 선생님 항상 감사합니다.

  • @Dudunglyn
    @Dudunglyn 3 роки тому +5

    감사합니다!

  • @user-kt7gs8mr1j
    @user-kt7gs8mr1j 2 роки тому +1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user-en6vk3sx8w
    @user-en6vk3sx8w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ㅠㅠ 덕분에 이해가 쏙쏙 잘돼요..

  • @user-bp4xx4kc8i
    @user-bp4xx4kc8i 7 місяців тому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he6fm
    @user-he6fm 3 роки тому +1

    시청 완료했습니다 💞

  • @muuutube1896
    @muuutube1896 3 роки тому +1

    잘들었습니다

  • @singsongcolory173
    @singsongcolory173 3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 @soyeons8510
    @soyeons8510 2 роки тому

    10강완료 감사합니다

  • @hwanseolee8244
    @hwanseolee8244 3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선생님!

  • @mznnzm
    @mznnzm 6 місяців тому +5

    24:30 확인학습 2번문제. 보기 1번~3번이 틀린 이유에 수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박쌤의해설 >> 수정
    1번) 재고자산평가손실은 매출원가예요 >> 실제로 계정과목 분류에선 영업외비용 입니다
    2번) 재고자산평가충당금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합니다 >> 충당금은 매출원가에서 가산하고, 충당금환입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하는 형태입니다
    3번) 충당금환입은 다시 매출원가에 차감한걸 더해주고요 >> 충당금환입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해야 합니다(=비용 줄어듦)

    • @user-ng5rr9mp1x
      @user-ng5rr9mp1x 5 місяців тому

      재고자산평카손실은 매출원가 계정이 맞는데요?

  • @shooshoobabe
    @shooshoobabe 2 роки тому +2

    39:25 기말재고자산가액을 과대계상한 경우
    44:33 선입선출법으로 매출총이익 산출

  • @user-rb8ok8nn1x
    @user-rb8ok8nn1x 3 роки тому +19

    이거 들었는데 머리 터질거같아요 ㅋㅎㅋㅎㅋ....

  • @user-vn2ug3bz2x
    @user-vn2ug3bz2x Рік тому +8

    어렵지만 11강으로 넘어가겠습니다.

  • @user-dv3oq7mu5c
    @user-dv3oq7mu5c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박쌤!!!

  • @bona8950
    @bona8950 7 місяців тому

    잘 들었습니다~

  • @user-hg2qh7mc7j
    @user-hg2qh7mc7j 3 роки тому

    시청완료!

  • @user-ie8dx4oj7n
    @user-ie8dx4oj7n 9 місяців тому +1

    24:10 3번 지문에서 재고자산평가충당금 환입에서 차감하는건데 더한다고 잘못 얘기해주셨어요! 뒤에 공부하시는분들 참고하세요!

  • @user-cf8ot5xk7g
    @user-cf8ot5xk7g 3 роки тому +1

    수강완료

  • @user-eu4tq6cx1s
    @user-eu4tq6cx1s 3 роки тому +15

    14번 빠르게 푸는 법) 매출 총이익 = 순매출 - 매입원가/ (25x140)-(10x100+15x110)=850

    • @lllx7286
      @lllx7286 2 роки тому +2

      매출총이익 순매출-매출원가 아니에요?

    • @user-zs4to4sv3q
      @user-zs4to4sv3q 2 роки тому

      여기선 다른 원가가 없어서 매입원가=매출원가 인듯요

    • @user-eu4tq6cx1s
      @user-eu4tq6cx1s 2 роки тому

      @@lllx7286 오타에유..미안합니다..

  • @user-ko3up6be6n
    @user-ko3up6be6n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user-vr8pd6hz7i
    @user-vr8pd6hz7i 2 місяці тому +1

    전산회계1급 책에서 99p 문제2번 해설을 회색바탕에 파란글씨로 조판하시면 수험생은 눈이 피로하고 답안이 바로 눈에 안 들어와요
    우리가 공부하는 주목적은 결국은 이해-암기를 해서 시험에 합격하려고 하는건데 .. 시험전 빠르게 검토할 때 이런 파란색으로 된 해설부분이 시간을 잡아 먹죠 하여 다음 개정판에서는 그냥 하얀 바탕에 보통글씨로 부탁드려요~~

  • @user-og1dm2sr5e
    @user-og1dm2sr5e 2 роки тому +14

    복습하기
    8:42 재고자산과 매출원가,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 비교
    14:10 재고자산감모손실과 평가손실
    18:14 재고자산 기말평가(저가법)
    37:35 문제10.이동평균법

  • @user-kr9oz1kw2o
    @user-kr9oz1kw2o 3 роки тому +1

    감삼다

  • @user-fd4zk9ov7y
    @user-fd4zk9ov7y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 @myjoo8317
    @myjoo8317 2 роки тому +1

    23:12
    35:31
    37:35 이동평균법 계산
    44:35 소매재고법???
    ✅ 기초상품재고액 + 당기순매입액 = 판매가능상품액

  • @cotton1373
    @cotton1373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이론 8번
    제시)매출액=매출원가+(매출원가의 20%이익)
    =원가+(원가x20/100)
    =원가x(1+0.2)
    =원가x1.2
    매출원가x1.2=2700
    매출원가=2250
    제시)기말재고액=기초재고액+200
    공식)매출원가=기초재고액-기말재고액+매입액
    =기초재고액-(기초재고액+200)+매입액
    =-200+매입액
    -200+매입액=2250
    매입액=2450

  • @jw8964
    @jw8964 Рік тому +1

    기출풀다가 이파트 많이 까먹어서 다시들으러왔어요ㅠ_ㅠ

  • @gzgzu
    @gzgzu 2 роки тому +17

    24:00
    칠판에는 '재고자산평가충당금환입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한다'라고 써있는데 말씀은 '재고자산평가충당금환입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한거를 다시 더해주고요'라고 하셔서 헷갈리는데 뭐가 맞는건가요?

  • @ij4683
    @ij4683 Рік тому +3

    24:00 2번문제정리
    1. 재고자산 감모손실
    2. 재고자산 평가손실
    - 시가가 장부가액 이하로 하락하여 발생한 평가손실로
    - 재고자산의 차감계정 ❤재고자산평가 충당금❤ 으로 표시.
    - ➕매출원가에 가산➕
    💥 재고자산평가 충당금환입
    - 시가가 장부가액보다 상승한 경우 !!
    - 최초의 장부금액을 초과하지않는 범위내에서 펑가손실을 환입한다.
    -➖매출원가에서 차감➖

  • @plankton1983
    @plankton1983 Рік тому

    완료♥♥♥점점 멍해지네요ㅜ

  • @user-kq8nf7tv5o
    @user-kq8nf7tv5o 28 днів тому

    16:48
    재고자산 감모손실
    (정상) 매출원가 포함
    (비정상) 영업외비용
    18:01
    재고자산 평가손실은 재고자산의 차감계정(재고자산평가충당금)으로 표시후 매출원가에 가산함
    재고자산 취득원가에 매입비용은
    더해야함!!
    38:22 재고구하는 문제이므로 매출은 신경x

  • @user-dg8zl7qy5g
    @user-dg8zl7qy5g 3 місяці тому +2

    10강 유동자산(재고자산의 수량, 단가결정방법)
    95p 재고자산의 수량 결정 방법(재고파악 방법) 0:29 0:35
    - 계속기록법 0:58
    - 실지재고조사법 1:31
    95p 재고자산의 단가결정방법 3:06
    - 같은 상품이라 할지라도 물가 변동으로 인수 단가가 다를 수 있으며 이때 인도 단가를 어느 가격으로 적용될 것인가에 따라 개별법, 선입/후입선출법, 이동평균법, 총 평균법 등이 있다.
    - 방법에 따라 단가가 달라진다.
    (1) 개별법 3:40
    (2) 선입선출법 = FIFO = First in First out 4:09 표 해석 4:30
    >> 우유, 대부분의 상품
    (3) 후입선출법 = LIFO = Last in First out 5:40 표 해석 5:47
    >> 와인, 발효식품
    (4) 이동평균법 moving average method 6:40
    >> 수시로 단가가 변동이 너무 심할 때는 아예 평균을 내버리는 방법을 쓴다.
    (5) 총 평균법 weighted average method 7:27 표 해석 7:40
    >> 사탕이나 저렴한 물건들에 사용
    >> 인도(매출)할 때 단가는 안 적고 수량만 적는다. 인수(매입) 합계를 한꺼번에 구해 수량으로 나눠 단가를 구한 다음 인도와 잔액 단가란에 적는다.
    96p 각 방법의 재고자산과 매출원가,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 비교 8:30
    (1) 물가상승시
    - 재고자산금액 크기 : 선 > 이 > 총 > 후 8:54 9:34
    - 매출원가(비용) 크기 : 선 < 이 < 총 < 후 10:20 10:32
    - 당기순이익(수익) : 선 > 이 > 총 > 후 10:06
    재고자산액이 클수록 당기순이익도 커진다. 10:06
    예시 10:44
    >>
    매출총이익 --> 영업이익 --> 소득세차감전순이익 --> 당기순이익
    매출총이익 = 순매출액 - 매출원가
    순매출액 = 총매출액 - (매출 환입+에누리+할인)
    매출원가 = 기초상품재고액 + 당기순매입액 - 기말상품재고액
    >> 재고자산액이 클수록 매출총이익이 큰데 매출총이익이 클수록 당기순이익도 크다.
    기말상품재고액이 크면 매출원가는 작아진다.
    확인학습 이론시험 96p
    1번 11:33
    2번 12:20
    97p 재고자산 감모손실과 평가손실 97p 14:00
    재고자산감모손실은 주로 수량의 감소에 기인한다. 37:14
    재고자산의 평가손실은 시가의 하락에 기인한다.
    ㅡㅡㅡㅡㅡㅡ
    (1) 감모손실 14:38 회계처리 16:04
    >> 기말 결산 시 보관중인 재고자산이 도난, 증발, 감량, 품질 저하 등으로 상품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그 금액이 정상적일 때는 매출원가에 포함시키고 비정상적일 때는 재고자산감모손실 계정 차변에 기입.
    >> 구분을 해야 한다. 항상 관리를 해도 생길 수 있는 정상적인 사건인가.
    E.g. 제주 감귤의 경우 12~2월달 수확해서 저온창고에 보관해도 아무리 관리를 잘해도 무게가 조금씩 줄어든다(증발). 이것은 정상적인 감모손실이다.
    15:08 그러나 습도 관리를 잘못해서 부패되서 버렸으면 이것은 비정상적인 감모손실이다.
    >> 15:21 정상과 비정상의 회계 처리 방법이 다른데
    정상 : 일반적인 비용 처리
    비정상 : 재고자산감모손실(영업외비용)
    (2) 재고자산평가손실 16:55
    보관 중인 재고자산의 시가 하락으로 장부가액보다 가치가 낮은 경우
    (차) 재고자산평가손실 xxx (대) 재고자산평가충당금 17:32 xxx
    >> 기말재고액이 100원 있다고 할 때 시가가 90원으로 떨어지면 (대) 재고자산평가충당금 10으로 처리. 왜냐하면 17:48 감가상각누계액과 똑같다. 이렇게 있다가 시가가 오를 수 있기 때문에 자산 밑에 간접적으로 차감하는 방식을 이용.
    ㅡㅡㅡㅡㅡ
    확인학습 이론시험 2번
    - 재고자산평가손실은 매출원가에 가산하고 재고자산평가충당금환입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한다
    - 재고자산의 시가가 장부금액 이하로 하락하여 발생한 평가손실은 재고자산의 차감계정으로 표시하고 매출원가에 가산.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블로그) 재고자산평가손실은 별도의 계정과목 즉 따로 적어서 처리하지는 않고 매출원가에 더해주어 이익이 줄어드는 방식으로 처리한다.
    또한 재고자산의 가치가 떨어들 것을 대비해서 평가충당금을 쌓아둔다. 만약 평가충당금이 갑작스럽게 증가한다면 리스크 관리를 위해 꼭 확인해야 한다.
    정말로 재고자산의 가치가 떨어져 손실이 나면 충당금을 활용해서 비용처리되고 가치가 떨어지지 않으면 다시 회사로 환입되어 현금이 된다.
    97p 재고자산 기말평가(저가법 적용시) 18:17
    다음 사유들로 재고자산의 시가가 취득원가보다 하락한 경우 저가법을 사용하여 재고자산의 장부금액 결정
    >> 저가법을 사용할 경우 자산이 적어지면 이익이 적게 나오고 세금을 조금 낸다.
    >> 재고자산을 저가법으로 평가하는 경우 재고자산의 시가는 순실현가능가치를 말한다. 20:03 20:15
    ㆍㆍㆍ
    (1) 손상을 입은 경우 18:53
    >> 증빙서류를 작성해야 한다
    (2) 보고기간 말로부터 1년 또는 정상영업주기 내에 판매되지 않았거나 생산에 투입할 수 없어 장기체화된 경우 18:58
    >> 유행이 지난 의류 등
    (3) 진부화하여 정상적인 판매시장이 사라지거나 기술 및 시장 여건 등의 변화에 의하여 판매가치 하락 19:08
    (4) 완성하거나 판매하는 데 필요한 원가가 상승한 경우19:34
    ㆍㆍㆍ
    순실현가능가치 : 실제로 실현 가능한 금액
    98p 저가법 적용방법 21:05
    (1) 항목별 적용
    (2) 시가는 매 회계기간 말 추정
    (3) 새로운 시가가 장부금액보다 상승한 경우 최초의 금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평가손실을 환입하고 매출원가에서 차감. 21:32
    확인학습 이론시험
    1. 22:18
    😢2. 23:13 3번 23:53
    - 재고자산평가손실은 매출원가에 가산하고 재고자산평가충당금환입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한다
    - 재고자산의 시가가 장부금액 이하로 하락하여 발생한 평가손실은 재고자산의 차감계정으로 표시하고 매출원가에 가산.
    3. 24:49
    25:47 평가손실 --> 정상
    감모손실 --> 정상, 비정상(영업외비용)
    이론시험
    1. 26:17
    2. 27:36
    3. 27:58
    4. 29:03
    5. 30:26
    6. 31:21
    7. 31:47
    😢8. 32:49
    9. 35:32
    >> 소매재고법 35:50
    >> 재고자산감모손실은 주로 수량의 감소에 기인한다. 37:14
    재고자산의 평가손실은 시가의 하락에 기인한다.
    10. 37:37
    11. 39:24
    12. 41:32
    😊13. 43:29
    😮14. 44:42
    😮15. 48:06
    16. 49:28
    .

  • @user-id6if5ud6c
    @user-id6if5ud6c 3 роки тому +2

    44:35 선입선출법 매출총이익

  • @user-bu8is4fy2p
    @user-bu8is4fy2p 3 місяці тому

    와.이번 이론시험은 정말 어렵네요. 헷갈리구요.ㅠㅠ

  • @user-yj3eu7ly8m
    @user-yj3eu7ly8m 7 місяців тому

    23:42 2번 선지 재고자산평가충당금 매출원가에서 차감이 맞나요?
    재고자산평가충당금은 재고자산에서 차감(=매출원가상승)
    재고자산평가충당금환입이 매출원가에서 차감이 맞는거죠??

  • @user-ms2cz5jz3n
    @user-ms2cz5jz3n 2 роки тому

    33:06 문제8
    18:14 저가법

  • @jmkyg5375
    @jmkyg5375 11 місяців тому

    8:49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
    33:13 이론시험

  • @studiogreem8279
    @studiogreem8279 Рік тому +2

    (20:11) 순실현가능가치 - 판매비와 관리비를 감한 실제 판매시 손에 쥘 수 있는 가치 아닌가요? 7강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 설정할때에는 판관비를 감한 값이라고 하셨는데 어떤게 맞는건지 혹시 아시는 분 계시면 댓글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카페에 올렸는데 아무도 답변해주시지 않아 이곳에 올려봅니다)

  • @user-cm6gz3ve2y
    @user-cm6gz3ve2y 10 місяців тому

    22:16 여기부터!

  • @user-po3fm9fp8f
    @user-po3fm9fp8f 7 місяців тому +1

    14번에 그냥 선입선출로 위에서부터 매출된 재고자산(10x100)+(15x110)을 총매출액 (25x140) 으로 빼면 안되나용?

  • @pok4567
    @pok4567 Рік тому +1

    2급 듣고 왔는데 1급은 더더욱 멘붕오네요 .. 선생님 재고자산 파트만 쌤이 풀어주시면 안될까요...?

  • @sm020315
    @sm020315 Рік тому +2

    14:10 * 재고자산감모손실과 평가손실
    정상적 감모 -> 매출원가에 포함
    비정상일때 -> 재고자산 감모손실(영업외비용)계정 차변!!에 기입
    18:00 ***재고자산평가손실은 재고자산의 차감계정(재고자산평가충당금)으로 표시하고 매출원가에 가산한다
    재고자산평가손실 xxx 재고자산평가충당금 xxx
    22:35** 23:20** 29:25 32:53*** 35:40(소매재고법) 37:32** 44:53**
    판매가능상품 = 기초상품 + 순매입

  • @user-hj9qd8qo3f
    @user-hj9qd8qo3f 3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2020.09.06

  • @user-tk2lu5fo4s
    @user-tk2lu5fo4s Рік тому

    판매가능상품액=기초상품재고액+당기순매입액

  • @user-cc8xw4gb9e
    @user-cc8xw4gb9e 3 роки тому

    37:35 이동평균법 계산방법

  • @creamiya
    @creamiya 2 роки тому +12

    30:13 왜 정답이 선입선출법인건지 이해가 안가요 ㅠㅠ 가장 최근에 매입한 상품을 먼저 판매하는건 후입선출법 아닌가용??ㅜㅜ

    • @user-ie1jg5fb2n
      @user-ie1jg5fb2n 2 роки тому +12

      문제에서는 재고자산을 가장 최근의 원가로 표시 할 수 있는 재고자산의 원가 결정방법을 물었습니다.
      선입선출법
      매입 날짜 [1/1 @100] [1/3 @200] [2/3 @300] [2/13 @400]
      선입선출법은 먼저 들어온게 먼저 나가는거죠. 만약 2개를 팔았다고 하면 1월1일에 들어온 @100이랑 1월3일에 들어온 @200이 나가죠?
      그럼 @300과 @400이 남는데 이거는 가장 최근에(가장 나중에) 들어온 원가니까 문제에서 나온 가장 최근의 원가로 표시 할 수 있는겁니다.
      후입선출법
      매입 날짜 [1/1 @100] [1/3 @200] [2/3 @300] [2/13 @400]
      반대로 후입선출법은 가장 최근에 매입한(나중에 매입한) 것부터 나가니까 만약 2개를 팔았다고 하면 [2/3 @300] [2/13 @400]이 나가는거고
      그럼 @100과 @200이 남는데 이건 가장 먼저 들어온거고 반대로 말하면 가장 오래된 것이죠 그러면 실제 시가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정답이 아닙니다.

    • @user-gp4gs5bz9g
      @user-gp4gs5bz9g 2 роки тому +10

      선입선출법은 들어온지 오래된 재고자산부터 판매하니까 남은 재고자산(제일 최근에 들어온 자산)을 가장 최근의 원가로 표현가능한 것 같습니다!
      (+후입선출은 최근의 재고가 바로 나가기 때문에 남은 재고를 제일 예전의 원가로 계산하게됨)

  • @la-tte
    @la-tte Рік тому +3

    선이총후
    35:11 8번 문제 너무 어려워요!!ㅜㅜ

  • @user-ks5pd9bm4m
    @user-ks5pd9bm4m 2 роки тому

    이번엔 정말 어려웠어요 ㅠㅠㅠㅠㅠㅠ

  • @user-tq2mt1rl3j
    @user-tq2mt1rl3j 2 місяці тому

    43:00 문제에서 매출원가(기초상품재고액+당기상품매입액-기말상품재고액) 을 구할때 왜 당기상품매입액을 순매입액 공식을 이용해서 구하는건가요? 당기상품매입액 = 순매입액인 이유를 모르겠네요

  • @user-dm3dh2bm2d
    @user-dm3dh2bm2d 5 місяців тому +3

    15:54 눈코입이 아무것도 없네

  • @user-vn5ir9oy2m
    @user-vn5ir9oy2m 4 місяці тому

    8:56 암기
    18:38 저가법
    32:51 이론문제 다시보기
    44:56 선입선출법 문제
    48:06 매출원가=판매가능상품액(기초재고액+순매입액)-기말재고액

  • @user-xg9nn4xg2i
    @user-xg9nn4xg2i 2 роки тому

    13:53
    21:39 저가법

  • @holaluna8401
    @holaluna8401 3 місяці тому +1

    27:07 이익이 많으면 세금을 많이낸다.
    29:10 32:50 어려워

  • @foreverever486
    @foreverever486 2 роки тому +1

    벌써부터 쉽지 않네요...ㅠ

  • @user-ve5zq9vi6y
    @user-ve5zq9vi6y 3 роки тому +1

    04:09 재고자산 평가방법

  • @user-jq6cp1fh8n
    @user-jq6cp1fh8n 3 роки тому

    21.01.20 출석합니다!

  • @user-hy3xe1cx4j
    @user-hy3xe1cx4j 11 місяців тому

    16:53 재고자산 평가손실
    18:15 재고자산 기말평거(저가법)

  • @pur_ple_
    @pur_ple_ 2 роки тому +2

    17:00 재고자산평가손실이랑 재고자산평가충당금이 넘 어려워요 ㅜㅜ 평가손실은 재고자산의 차감계정(재고자산평가충당금)으로 표시하고 매출원가에 가산한다는게 무슨말이죠.......24:00 이 문제 4번선지도 이해가 안가네요ㅎ...

    • @user-ie1jg5fb2n
      @user-ie1jg5fb2n 2 роки тому

      정상적감모손실이 일어나게 되면 -> 그걸 분개해서 컴퓨터에 입력하면 -> 재고자산평가손실로 처리됨과 동시에 재고자산의 차감적평가계정으로 나타납니다.
      재고자산은 자산이므로 재무상태표에 아래의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ex)
      (차)재고자산평가손실 3,000원 (대)재고자산평가충당금 3,000원
      재무상태표
      12/31일 현재
      ------------------------------------------------------------------------(T계정)
      재고자산[원재료,제품 등] 10,000원[취득원가]
      재고자산평가충당금 (3,000원) 7,000원[장부가액]
      틀린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 @user-er1fy1kh4j
    @user-er1fy1kh4j 2 роки тому

    8:42 재고자산과 매출원가,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
    ex) 12:24
    14:00
    18:16 (저가법)
    ex) 23:11 24:50 26:25~

  • @zero_070
    @zero_070 6 місяців тому

    재고자산감모 - 정상 (매출원가 가산) / 비정상 (영업외 비용 = 재고자산감모손실)
    재고자산평가 - 정상 (매출원가 가산) , 평가충당금 (매출원가 차감) , 평가충당금 환입 (매출원가 가산)
    ----- 재고자산평가손실 또한 영업외 비용(비정상)이 맞지만 평가는 정상적이기에 '매출원가 가산'이 맞다
    *재고자산평가손실 금액 구하기 = 취득원가 - 시가(순실현가능가치)

  • @user-eb9uq5dx8p
    @user-eb9uq5dx8p 2 роки тому

    22:22
    이론문제

  • @user-dk1sq7pt8d
    @user-dk1sq7pt8d 3 роки тому

    33:00
    44:00

  • @user-vx5vp6ky9s
    @user-vx5vp6ky9s 3 місяці тому +1

    선이총후 외우는법
    1. 가나다 순
    2. (악역도 아닌)선이 총(을 쏴)..? 후..ㅠ
    로 외움 실화임

  • @imhappydayme
    @imhappydayme 5 місяців тому

    선입선출법 계산 잘 하기

  • @uu-vp8ci
    @uu-vp8ci Рік тому

  • @blowindfaith
    @blowindfaith 2 роки тому

    29:00
    35:30

  • @mohagononi
    @mohagononi 3 роки тому +3

    [10강] 17:48 '재고자산평가충당금' 계정과목이 있는건가요?
    또 위에 써주신 분개
    (차)재고자산평가손실xxx : (대)재고자산평가충당금xxx
    이것과
    [49강] p.412에 있는 분개
    (차)재고자산평가손실xxx : (대)상품xxx
    가 다른데 그건 왜 그런건지 이해가 가질않습니다.
    카페 질문답변도 뒤져봤는데 저부분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못찾았습니다. ㅜㅜ

  • @user-sm8xp4yb2x
    @user-sm8xp4yb2x 3 роки тому

    21:39 저가법

  • @tok1970
    @tok1970 2 роки тому +2

    으악 너무 어렵다 ㅠㅠ

  • @user-cq3rq9lj3e
    @user-cq3rq9lj3e 3 роки тому +1

    14:00

  • @js-wq3mv
    @js-wq3mv Рік тому +1

    하..너무 어렵네요 이 파트는 걍 안나오길 바랄래요..ㅠㅠ

  • @user-cq2yp1kf7l
    @user-cq2yp1kf7l Рік тому

  • @chxizi6719
    @chxizi6719 3 роки тому

    13:55 다시한번 보기

  • @sjloveft0607
    @sjloveft0607 5 місяців тому

    아니 회계 수학 못해도 된다햇는데ㅠㅠㅠㅠㅠ8번문제에서 멘붕 ,,

  • @user-xt1ez2ld5j
    @user-xt1ez2ld5j Рік тому +1

    저만이해가안가나 책에는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환입은 매출원가에 차감하라는데 선생님은 더해주라고 하시고 칠판에도 차감하라하고
    뭐가 맞는건가여

  • @malgang_
    @malgang_ 3 роки тому

    13:55

  • @mz-vm4wv
    @mz-vm4wv 3 роки тому +10

    35:07 왜 기초재고액을 0으로 설정하나요ㅜㅜ

    • @user-oj5kd7dj9d
      @user-oj5kd7dj9d 3 роки тому +11

      기말재고액이 기초 재고액보다 20만원 늘었다.
      기말재고액=기초 재고액+20만원이다.
      매출원가 공식이
      기초재고액+순매입액-기말재고액
      이기 때문에
      기초재고액-기말재고액을 계산해야한다.
      기말재고액=기초재고액+20만이기 때문에
      기초재고액-(기초재고액+20)=-20만
      기초재고액은 사라지고 -20만원만 남는다.
      따라서 사라진 기초재고액을 0으로 표시하였다.

    • @user-sr2sl8tf1h
      @user-sr2sl8tf1h 3 роки тому +1

      @@user-oj5kd7dj9d 좀 지났지만 계산이 명쾌한 정답이네요.

    • @user-cx9ni6if7w
      @user-cx9ni6if7w 3 роки тому

      @@user-oj5kd7dj9d 왜 기초재고액 - (기초재고액+20) = -20만원이 되는건가요? ㅠㅠㅠㅠㅠㅠ

    • @user-oj5kd7dj9d
      @user-oj5kd7dj9d 3 роки тому

      @@user-cx9ni6if7w 매출원가를 구하는 공식이 기초재고액+순매입액-기말재고액입니다 공식이라 그냥 외우셔야합니당

    • @user-cx9ni6if7w
      @user-cx9ni6if7w 3 роки тому

      @@user-oj5kd7dj9d 그럼 순매입액이 -20인건가요? ㅠㅠㅠㅠㅠ 재고자산 너무 어렵네여ㅠㅠ

  • @user-ns9zr8up8r
    @user-ns9zr8up8r 3 роки тому +3

    46:09초에 왜 10/8일 매입에 15개를 빼는 건가요??ㅠㅠ

    • @user-kj2sy6dx8t
      @user-kj2sy6dx8t 3 роки тому +1

      10/15일 매출 수량이 25개 인데 선입선출법에 의하여 먼저 매입된 수량을 차감하여 매출하는 방법이라
      기초재고수량 10개 차감 + 다음순으로 먼저 매입된 30개 수량 중 15개를 추가 차감 = 25개 매출
      부족한 설명이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user-ns9zr8up8r
      @user-ns9zr8up8r 3 роки тому +1

      @@user-kj2sy6dx8t 헉. 그런거였군영. 감사합니다 ㅎㅎ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