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월~24개월] 걸음마기 아기의 인지 발달, 사회성 발달, 감정 발달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3 чер 2024
  • ⏱️타임라인
    0:00 인트로
    0:11 인지발달
    3:25 인지발달을 위한 놀이
    6:24 사회성 발달
    8:10 사회성 발달 시키는 방법
    10:41 공격적인 아이 훈육법
    12:14 사회성 발달 과정
    12:42 감정발달
    14:25 감정발달시키는 방법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Ready To Nap - • [브금대통령] (장난/엉뚱/Comic) ...
    🎵Track : 내 꿈은 말이지 - • [브금대통령](기분좋은/밝은/Bright...
    [Video Source Support]
    UA-cam channel "freeticon" : / freeticon​​
    #14개월아기 #18개월아기 #20개월아기

КОМЕНТАРІ • 102

  • @user-fm6dy4lg6b
    @user-fm6dy4lg6b 2 роки тому +3

    항상 정독하고 여러번 돌려보고 있아요 정보 넘 감사합니다 ❤️❤️

  • @user-fn3ho7ii3e
    @user-fn3ho7ii3e 2 роки тому +4

    곧 돌이되는 아가인데 늘 유용한 정보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mp9xu8gl6r
    @user-mp9xu8gl6r 2 роки тому +5

    엄청 기다렸어요!
    정말.감사합니다

  • @ChristineNae
    @ChristineNae 2 роки тому +2

    정말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rp6db6de7p
    @user-rp6db6de7p Рік тому +5

    잘봤습니다 선생님 항상 감사합니다😀🙏

  • @user-uf2is3eo9s
    @user-uf2is3eo9s 2 роки тому +4

    선생님 영상내용 너무좋아요

  • @sallykim2229
    @sallykim2229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정말정말 도움이 많이됐아요 넘 감사해요~~~~~

  • @user-uc8sd9oe3o
    @user-uc8sd9oe3o Рік тому +3

    17개월이 된 아기 키우는데 선생님 영상이 정말 많이 도움 됐습니다!!! 감사해요!!!!

  • @tropicalkh
    @tropicalkh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10개월 아기키우는 엄마입니다 ^^ 앞으로 어떻게 키울지 막막하던 차에 길잡이가되어 주셔서 정말감사합니다. 보는내내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 @user-nt8dl4hy6d
    @user-nt8dl4hy6d 2 місяці тому +2

    쏙쏙~들어오는 강의 너무 도움이 많이 됩니다^^😊

  • @2binhouse_
    @2binhouse_ 2 роки тому +3

    와! 오늘도 표티비 유익하네요 진짜 계속 와! 와! 맞아! 맞아! 라며 공감하면서 봤어요!!!!!!! 아이가 이런 표준치에 맞게 잘 크고 있는것같단 생각이 드네요ㅎㅎ 잘봤습니다 :)

  • @user-wc7ls8wo9h
    @user-wc7ls8wo9h 8 місяців тому +2

    14개월 아기 키우고있어요! 유익해요❤

  • @tsulala85
    @tsulala85 2 роки тому +10

    14개월 아기 키우고 있는데 정말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선생님! 감사해요~!

  • @user-lp4ix3rl8f
    @user-lp4ix3rl8f Рік тому +8

    시기별로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해요. 설명해주신 아이행동과 우리집 아기의 행동이 다 일치하네요. 발달교육법이 명쾌해서 놀라워요 전문가는 역시 다르네요.
    육아의 대부분에서 선생님 영상을 참고할 것 같아요. 시기별로 볼 수 있어서 많이 의지가 되네요. 앞으로도 잘부탁드립니다.

  • @user-hg8ud8ig1w
    @user-hg8ud8ig1w 7 місяців тому +3

    너무 유익한 내용들만 집어서 잘 설명을 해주셔어 많은 도움이 돼네요~

  • @narijung1201
    @narijung1201 2 роки тому +4

    선생님 18개월 인데 어린이집 보내는 부분 때문에 고민이되서요 주변에서도 거의 어린이집 보내면 사회성이나 이런부분에 좋다고 하는데 저희 아이는 (여아) 조부모님도 정말가끔 만나고 거의 엄마랑 아빠랑 생활 했고 낯선 사람이 누구야 안녕 하면 바로 울음 터트리더라구요 낯선 곳 가면 당연히 우는데 시간 지나 같이 놀고 하면 괜찮아지긴 하지만요 이런 성향이라 어린이집을 조금더 개월수 지나서 보낼까 하다가도 아이가 심심해 하기도 하는거 같아서요 산책은 매일 나가고 남편 쉴때 놀이 공간은 나가고 자연과 함께 걷고는 하거든요 어린이집 보낼때 아이의 성향 기질 이런거를 어떻게 생각하면 좋을까요 ?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4

      사실 3명이상의 아이들과 협조적인 놀이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사회성이 발달되려면 만 3세는 되어야합니다. 2세 이전에 어린이집을 보내면 처음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엄마가 집에서 돌볼 수 있는 상황이라면 내년에 보내는게 더 나을 수 있습니다. 👨‍⚕️

  • @user-es3gk2ed4r
    @user-es3gk2ed4r 2 роки тому +1

    항상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 놀이에 고민이 많았는데 정말 도움이 많이되는 영상이네요ㅠ ㅠ
    혹시 궁금한점이 있는데 다니는 소아과 원장님은 아기가 어떤것에 꽂히면 한가지만하고 집착하고 노는게 정상이라 하셨어요...하지만 저희 아기가 놀이전환이 잘안되고 자동차놀이에 빠져서 30분~1시간 내내 자동차만 가지고노는데 괜찮은걸까요??ㅠㅠ
    집에 장난감은 많은데 유독 자동차에 집착해요...자동차책만 읽어달라하고 자동차만 굴리고있고..ㅠㅠ솔직히 다양하게 놀았으면 좋겠는데 답답해지네요..신의진교수님 영상보면 한가지놀이에 집착하면 발달이 느려질수있다는 영상을봐서요..걱정안해도 되는걸까요?ㅠㅠ상호작용이나 모방은 잘하는데 집착이 너무 심하다보니 걱정되네요...정말 하루를 10으로치면 8은 장난감자동차만 굴리고놀아요....ㅠㅠ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1

      떄로는 한가지에 꽂혀 그것만 가지고 노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도 계속 한가지만 갖고 놀지는 않으니, 너무 억지로 다른 놀이를 하려고 하지는 마세요. 오히려 다른 장난감으로 유도하려는 엄마의 의도가 아기를 더 자동차에 집착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싫증 날 때까지 실컷 가지고 놀게 하세요. 👨‍⚕️

    • @user-es3gk2ed4r
      @user-es3gk2ed4r 2 роки тому +1

      답글 감사합니다🥲🙏
      원장님이 그렇게 말씀해주시니 마음이 놓이네용...

  • @roolrooralra
    @roolrooralra 2 роки тому +4

    선생님 저랑 같이 육아하는거 같아요.. 어쩜 매번 궁금한 것들만 쏙쏙🤭 감사합니다

  • @user-nv9gw6ne1n
    @user-nv9gw6ne1n 6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 매번 영상 너무 재밋게 잘보고있습니다~ 아직 돌전아기이지만 영상이궁금해서 보다가 사회성발달부분에서 궁금증이 생겨서 댓글달아요~
    저희아기가 8개월인데, 문화센터 수업을 들으러가면 다른아기한테 꼭 가서 머리도 만지려고하고 얼굴도 만지려고합니다..! 수업중에도 선생님한테 갈때도있고 다른아기들을 엄청 열심히 처다보다가 여러번 기어서 가요
    사회성발달이 잘되서 이런걸까요? 아니면 혹시 다른문제가있는걸까요 ㅠㅠ? 이런경우는 어떤경우일까요?

    • @DrPyoTV
      @DrPyoTV  6 місяців тому

      아기에 따라서는 낯가림이 심하지않은 아기도 있습니다. 엄마와 애착 형성이 잘 되어있는 상태에서 낯가림이 없다면 걱정할 문제는 아닙니다. 👨‍⚕️

  • @user-ty4ot8bg2l
    @user-ty4ot8bg2l 2 роки тому +5

    선생님 안녕하세요 항상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저는16개월 아기를 키우고 있는데 늘 밥을 잘 먹었었는데(83cm, 11.4kg) 일주일전부터 밥을 주면 넣기도 전에 혀를 내밀어서 거부하고 다 뱉어냅니다 죽이나 우유는 그나마 먹는데 씹는건 다 거부하네요. 새로운 반찬도 아니고 늘 잘먹던건데 갑자기 모든걸 거부하니 당황스러워요 ㅠ 당분간은 간식은 다 끊고 밥말고 죽을 세끼 챙겨줘야 할까요?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3

      이 시기의 아기들은 잘 먹던 것도 갑자기 거부하곤합니다. 아기가 안먹더라도 밥 대신 다른걸 주면 안됩니다. 숟가락을 넘겨주시고 아기 스스로 먹게하세요. 며칠 안 먹는다고 별 문제 없으니 밥 대신 죽을주거나 간식을더 많이 주거나 하면 안됩니다. 밀관성있게 식습관을 유지해주세요. 👨‍⚕️

    • @user-ty4ot8bg2l
      @user-ty4ot8bg2l 2 роки тому +1

      @@DrPyoTV 네 너무 감사드립니다!!

  • @chloequeen3827
    @chloequeen3827 2 роки тому +2

    선생님 궁금한 점이 있어서 여쭈어 봅니다 아이마다 발달 속도가 많이 다른데 발달 장애가 아닐경우엔 빠르고 느린것이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빠른 발달을 보이면 지능에 많은 도움을 주나요?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3

      꼭 그런건 아닙니다. 나이에 맞게 정상 발달을 한다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정상밤위 안에서 빠르고 늦고는 나중에 차이가 없습니다. 👨‍⚕️

    • @chloequeen3827
      @chloequeen3827 2 роки тому +1

      @@DrPyoTV 감사합니다 😊

  • @oh6957
    @oh6957 2 роки тому +2

    선생님 질문있습니다! 오늘 13개월된 여자아가에요.
    휴직하고 24시간 아기와 함께 지내다가 9개월쯤 1~2번 처음 아이와 떨어지면서 인사하는데 엄청 울었는데 많이 설명해주고 안아줬고 제가 나오고 곧 울음이 그치고 잘 놀았어요.
    그런데, 그 뒤로는 제가 나가도 배꼽인사하고 그냥 자기 놀거 놀아요. 제가 돌아올때까지 울지도 않고.. 제가 돌아오면 한동안 제 옆에만 붙어있긴하는데.. 한번씩 헤어질때 뭔가 서운함.....이 드는데ㅜ 아기가 제가 돌아올줄 알고 믿고 보내주는거겠죠? 애착이 없거나 그런건 아니련지요???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1

      그렇습니다. 엄마와 신뢰가 잘 형성되어 분리불안이 없어진겁니다. 서운해하지마시고 아기의 성장과 발달을 대견하게 생각하세요. 👨‍⚕️

    • @oh6957
      @oh6957 2 роки тому +1

      @@DrPyoTV 감사합니다!ㅠ

  • @user-sh2rh9tk2f
    @user-sh2rh9tk2f 2 роки тому +1

    선생님 안녕하세요. 저는 15개월 아기를 키우고 있습니다. 저희 아이는 잠들 때 항상 제 팔을 꼬집으면서 잠을 잡니다. 제 팔이 없으면 잠을 잘 못자요.. 그냥 안고만 있으면 괜찮을 텐데 꼬집어 뜯으니까 정말 재울때마다 고통스럽네요😭 제 팔을 안주면 가끔 본인 팔을 꼬집을 때도 있어요.. 이럴때는 훈육이 필요한건가요? 잠들랑말랑일 때 이런 꼬집는게 심해지네요 ㅠㅠ 조언 부탁드려요😭..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1

      생후 6주에 수면교육을 해야하는데, 수면 교육의 핵심은 잠들 때, 외부의 도움없이 혼자 잠들게 하는 것입니다. 아기가 수면교육이 제대로 안되었네요. 아기가 잠드는 순간에는 엄마가 옆에서 도와주면 안됩니다. 같이 누워서 자는 것도 안되구요. 잠들기 직전까지는 동화책을 읽어주거나 자장가를 불러줘도 되지만 잠들려고 할 때는 아무것도 하지마세요. 본인 팔을 꼬집는건 그냥 두셔도 됩니다. 👨‍⚕️

  • @ggo_mommy_
    @ggo_mommy_ 2 роки тому +3

    와 ! 감사합니다 13개월 아기를 키우고잇는데 요즘 자기혼자 뭔가 시도하다가 잘 안되면 어른의 손을 가지고가서 그걸 이뤄내려고(?)하는데요 이때 그걸 쉽게 도와줘도되는지 스스로 다시해보게 둬야하는지 고민이에요 ㅠㅠ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4

      아기가 원하는게 잘 안될 때 어른의 도움을 청하는 것도 정상적인 발달을 할 때 가능한 행동입니다. 어른이 매번 해줄 필요는 없지만 몇번 시범도 보여주고 도와주고 그 후에는 혼자 해보라고 하세요. 아기도 어른의 도움을 청하는 것보다는 혼자 하고싶은 마음이 더 큽니다. 👨‍⚕️

  • @user-ig6cv6ty1b
    @user-ig6cv6ty1b 2 роки тому +8

    15개월아기 돌지나고 아기는 성장은해가는데 어떻게해야할지몰라서 늘 고민하고 어려웠는데 이제좀 이해가가요.. 엄마 되기 넘어려운거같아요 ㅠ

  • @Diane950426
    @Diane950426 2 місяці тому +1

    안녕하세요, 12개월 영어 한국어 이중언어 노출 아기에게 책을 읽어주려고 하는데 전혀 책에 집중이 안되고 책을 치워버리거나 책장넘기는거에만 관심이 있어하면 여전히
    내용읽거나 그림설명해주는걸 해줘야하나요? 책을 아예 안보고 있는데 허공에 읽어주는 기분이라.. 그리고 외국어책을 제가 내용 번역을 해서 바로 읽어주고 그림위주로 설명하는거도 바른 방식인지, 활자가 쓰인대로 읽어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말이나 제스처를 가르치려고 하는데 옹알이같은 소리만 질러서 교육이 전혀 안되고 있는거같아서 조바심이 나네요.

    • @DrPyoTV
      @DrPyoTV  2 місяці тому

      조바심 낼 필요없습니다. 지금은 그냥 책을 장난감처럼 갖고 놀게 해도 됩니다. 책과 친숙해지는게 더 중요합니다. 👨‍⚕️

  • @love_9642
    @love_9642 2 роки тому +1

    선생님 애기가 지금 17개월인데 어렸을때부터 잘때나 아님 평상시에 제 잠옷을 잡아당기면서 냄새 맡아요😂 이건 왜그런건가요???
    그리고 밖에 놀이터 산책가는데 다른사람이 다가와도 무서워서 안아달라고하고 자동차 소리 이런것도 무서워하더라구요~ 안무서워하게 앞으로 자주 노출 시켜주는게 맞죠??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이 시기의 아기들은 엄마에게 관심이 많고 관심을 받고싶어합니다. 애착 대상에게 오감을 사용해서 관심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아직 사회성은 떨어지는 나이라 익숙하지 않은 것을 두려워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아기가 무서워할 때마다 잘 안아주고 다독여주면서 안심시켜주세요. 자주 경험하다보면 더이상 무서워하지 않게 됩니다. 👨‍⚕️

  • @user-Sherlocked221
    @user-Sherlocked221 2 роки тому +5

    더 어릴때부터 엄마가 없어져도 별 반응이 없는 아가인데 14개월이 된 지금에도 별 반응이 없어요, 분리불안이라고는 찾아볼수없는?.. 제가 어디 잠깐 나갔다와도 아빠랑 잘 놀고있거나 혼자 장난감갖고놀던거 마저 가지고놀아요😅 들어와서 엄마왔다~ 이러면 눈마주치고 인사하긴하는데 가끔은 좀 불안하기도 해서.. 너무 걱정하지않아도 될까요? 아직 14개월이니 조급해하지말아야지 하면서도 우리아이만 어딘가 늦어지는건 아닌지 너무 걱정되고 어렵네요 정말.. 선생님 말씀처럼 아기가 자라는만큼 미성숙했던 저도 어른이 되가는것같아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3

      분리불안이 없다고 문제되는 것은 아닙니다. 엄마가 눈앞에 보이지 않아도 다시 나타날 것이라는 신뢰가 있는 것이니 괜찮습니다. 👨‍⚕️

  • @user-kn2bm1dd7v
    @user-kn2bm1dd7v 2 роки тому +1

    아기 성장에 따라 이렇게 맞춤정보를 볼 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 한 채널에서 아기가 이가 날때부터 양치를 시켜야한다해서 아침저녁으로 시키고 있는데 칫솔을 뺏으려하고 빨고해서 양치가 잘 안되는 것 같아요. 혹시 팁 같은 게 있을까요?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4

      칫솔질과 즐거운 기억을 연상시켜주는게 좋습니다. 강압적으로 하지마시고 맛있는 것을 주고, 칫솔질을 한 후 재밌는 놀이도 해주세요. 너무 세게 할 필요없습니다. 치아에 대고 살살 문질러도 충분히 효과가 있으니 부드러운 칫솔로 살살 해주세요. 👨‍⚕️

    • @user-kn2bm1dd7v
      @user-kn2bm1dd7v 2 роки тому +1

      네! 알겠습니다!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bu1ys2xr7v
    @user-bu1ys2xr7v 2 роки тому +1

    18개월아기 가정보육중인데, 어린이집을 보내야될지 고민이되네요ㅠㅠ 세돌까진 가정보육하려고 생각하고있었는데 요즘 아기가 또래 친구들에게 관심을 보이고 어울리고 싶은지 빤히 쳐다보기도 하구요, 저 욕심때문에 아기가 또래친구들이랑 어울릴수있는 환경을 못 만들어주는게 아닌가 고민이되서요.. 어린이집 보내는게 맞는걸까요?ㅠㅠ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2

      아기가 두돌 정도 되면 사회성 발달이 되어 두명이 협조적 놀이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세돌이 될때까지는 3명아상 모여 협조적 놀이는 잘 못합니다. 세돌 때까지는 가까운 친척이나 지인 중에 비슷한 연령의 아기가 있으면 자주 만나서 놀게해주셔도 됩니다. 세돌 이전에 어린이집에 보내면 갑자기 낯선 많은 아이들 틈에 있게 되어 오히려 적응하기 힘들 수도 있습니다. 👨‍⚕️

    • @user-bu1ys2xr7v
      @user-bu1ys2xr7v 2 роки тому +1

      선생님 말씀덕분에 마음편하게 아기에게 집중할수있을것같아요!!! 너무감사합니다😍

  • @user-kb3zo7ft7t
    @user-kb3zo7ft7t 2 роки тому +4

    선생님 영상이 너무 유익해서 매번 질문 남기게 되네요ㅠ 이번편도 너무 공감이 가요 ㅠ 저희 애가 이제 곧 18개월이
    되는데요 가정보육중입니다. 그런데 저에게 수시로 와서 안아달라고하고 계속 안겨있고 싶어합니다 집에서는 자고일어나서 심하게 그러고 평소에는 가끔씩 와서 안겨있다가 다른 놀이로 자연스럽게 아이를 내려놓고 시선을 돌려요 ㅠ 밖에서는 더 심하게 안겨있으려고 하구요. 안아달라고 할때 안아주지 않으면 울고불고 난리가 나는데 훈육?? 처럼 울더라도 안아주지 않아야 하는 건지 ㅠ 매번 안아주고싶지만 저도 너무 무거워서 힘들고 다른 일을 할 시간도 없어서 너무 힘듭니다. 충분히 안아주고 다른일을 하는게 맞는건지 아니면 울게 그냥 두는게 맞는건지.. 혼란합니다. 저에게
    집착 하는것 같아요 ㅠㅠ 안그러다가 더 심해지네요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7

      어떤 계기로 아기에게 분리불안이 생긴 것 같아요. 엄마가 아기와 헤어지는 것도 아닌데 계속 안아달라고 한다면 훈육이 필요합니다. 아기와 놀아주는 시간에는 충분히 안아주더라도 엄마가 일하는 시간에는 아기가 울고보채더라도 무시해야합니다. 이 시기는 엄마와 충분한 애착관계가 형성되어있기때문에 엄마가 울고보채는 아기를 무시한다고해서 아기에게 상처가 되지않습니다. 단호함과 일관성이 필요합니다. 👨‍⚕️

    • @user-kb3zo7ft7t
      @user-kb3zo7ft7t 2 роки тому +3

      선생님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 아기 돌보는데 많은 도움받고있어요bbb

    • @srlee9443
      @srlee9443 2 роки тому +1

      @@DrPyoTV 저희 아기도 심한데 몇개월 정도부터는 이런 훈육이 필요할까요?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2

      돌이 지나면 훈육이 필요합니다. 훈육에 대해서는 후속 영상이 준비중입니다. 👨‍⚕️

  • @user-jm4mr4ms8l
    @user-jm4mr4ms8l 2 роки тому +3

    선생님 좋은 정보 항상 감사합니다.
    21개월 아기 육아중인데 제가 주 양육자임에도 아기는 어릴때부터 아빠를 더 찾고 아빠 껌딱지에요.
    아파서 울때도 아빠가 있으면 제가 안아서 달래면 안 달래지고 아빠가 달래야 달래집니다.
    가끔은 저와 애착형성이 잘 안되서 그런건지 걱정이 되기도 해요. 둘이 있을 땐 제가 달래도 달래지고 놀기도 잘 노는데 아빠랑 있으면 무조건 아빠 우선이네요 ^^;
    이런 경우 애착 문제 없는 걸까요 ?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2

      네. 문제없습니다. 아빠가 없을 때 엄마와 잘 놀고 문제없다면 괜찮은겁니다. 그냥 아빠를 더 좋아하는 것이죠. 👨‍⚕️

    • @user-jm4mr4ms8l
      @user-jm4mr4ms8l 2 роки тому +1

      @@DrPyoTV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선생님 :) 문제 없다니 다행입니다 아이 성향으로 생각해야겠네요 ^^

  • @user-qs5bx3lo2p
    @user-qs5bx3lo2p 2 роки тому +1

    안녕하세요 저는20개월된 여아엄마입니다.
    자주는 아니지만 아이를 맡기고 잠시 외출하려고 하면 난리가 나서 쉽사리 혼자 외출을 못하고 있어요
    아이에게 잠시갔다올게 라고 얘기해도 아직 이해를 못해 발버둥치고우는데, 이렇게 우는아이두고 외출해도 괜찮은걸가요?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분리불안때문에 그렇습니다. 분리 불안에 대한 대처법으로 대처를 하시면 점차 나아질겁니다. 👨‍⚕️

  • @user-ls3iv9dt1u
    @user-ls3iv9dt1u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13개월 지나가고있는 아기 시기에 딱 맞는 컨텐츠가 뜬것도 신기한데 불들어오는 엘베나 가전버튼눌리고싶어하고, 손잡이달린 가방이나 장난감 들고 돌아다니는걸딱 맞춰서 더 신기 ㅎ

    • @user-df3ny8ry8e
      @user-df3ny8ry8e 6 місяців тому

      미래를 맞춘 무속인 선생님

  • @user-dq5ne8rn8i
    @user-dq5ne8rn8i 2 роки тому +1

    오늘도 영상 잘 봤습니다~~ 요즘 고민 너무 많아서 댓글 남깁니다 13개월된 남자아이인데요 밥을 잘 안 먹고 혼자 잘 안 놀고 뭐 맘에 안 드면 저항하고 누워 버리고 때씁니다
    완료기 이유식 거부해서 최근에 유아식 시작했는데 반은 먹고 반은 던지고 뱉고요 몸무게 지금 10.4키로입니다 태어난 몸무게 3.26이고요 유제품은 하루 400 먹습니다 이대로 냅둬도 괜찮을까요?~~ 그리고 애기가 원하는 걸 못 하게 하면 엄청 저항하고 바로 누워 버리는 거 나중에 나아지나요? 이럴때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대부분 원하는대로 해줬어요 ㅜㅜ거의 포기한 상태입니다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1

      체중은 잘 늘고 있습니다. 돌이 자난 아기는 성장속도가 떨어져 먹는 양이 줄어드는게 보통입니다. 억지로 양을 채우려하지마시고 먹는 양은 아기 스스로 결정하게 해주세요.
      돌 이후 떼쓰는 아기에 대한 대처법은 후속영상을 준비하고있으니 영상이 올라가면 참고해주세요. 👨‍⚕️

    • @user-dq5ne8rn8i
      @user-dq5ne8rn8i 2 роки тому +1

      @@DrPyoTV 선생님 답변 감사합니다~다음 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당

  • @jlee4552
    @jlee4552 2 роки тому +1

    12:17 네?!! 선생님?!! 이름을 말할줄 안다구요....??!!!......... 어? 아? 오?! 이 세가지로 소통하는 19개월 육아중인데.... 충격..😯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1

      이름을 말하지못한다고 크게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두돌 전까지는 부모가 하는 말을 잘 알아들으면 괜찮습니다. 👨‍⚕️

  • @yieunjeong12
    @yieunjeong12 8 місяців тому +1

    너무 답답해서 좀 오래 된 영상이지만 질문드립니다.. 27개월된 남아인데 코로나라 두돌까지 거의 독박육아를 했고 언어발달이 느립니다. 어린이집도 아직 안다녀서 그런지 문화센터나 또래 혹은 동생들을 만나면 도망가느라 정신이 없습니다. 물건 뺏기는건 다반사고 가까이 오면 너무 놀라 도망가다 넘어져요.. 또래 경험이 많이 없어서라고 하기엔 가정보육하는 아기들이 다 그러진 않던데ㅠ 사회성이 많이 떨어져서 어린이집 내년에 보내려는데도 너무 걱정이 되네요.. 지금이라도 또래 친구들을 많이 만들어줘야하는데 저도 사람들을 많이 만나고 하는 스타일이 아니라 노력중인데 잘 안되고 너무 걱정이 되네요.. 문제가 있는것은 아닐지. 자기중심적이기는 커녕 사회성이 많이 떨어져서 어린이집가서 친구들이 다가오면 막 도망가다가 다칠까봐 걱정입니다.

    • @DrPyoTV
      @DrPyoTV  8 місяців тому

      또래 친구와 놀아본 경험이 없으면 사회성 발달이 느린게 당연합니다. 세돌이 되기 전에는 3명 이상의 친구들과 협조적인 놀이를 하기는 어렵습니다. 둘이서는 잘 놀 수 있으니 주변에서 나이가 비슷한 아이와 같이 노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 보세요. 👨‍⚕️

  • @user-wi4jm2vu5h
    @user-wi4jm2vu5h 2 роки тому +1

    13개월 아기를 키우고있는 초보엄마예요~ 아기를 아빠나 할머니한테 맡기고 잠깐 외출을 할 때 아이에게 엄마가 잠깐 나갔다 온다는걸 말해주고 나가는게 좋은걸까요?

    • @user-rf4oz5ez2m
      @user-rf4oz5ez2m 2 роки тому +2

      네 꼭 그러셔야해요! 저는 몰래나가고 그랬는데 전문가분들이 불안감을 증폭시켜서 안좋다고하더라구요 ㅜㅜ 아기입장에서 생각해보니 갑자기 엄마가 사라지면 아기는 힘들거라는걸 늦게깨우쳤어요 지금은 잠시라도 엄마 갔다올게~ 하고 갔다옵니다^^

  • @bosunkim3205
    @bosunkim3205 2 роки тому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는 22개월 아이랑 24시간 내내 붙어 있고 충분히 놀아주면서 조부모나 그외 가족도 자주 만나는데 주양육자에 대한 집착이 점점 강해지네요 '엄마가 엄마가'를 입에 달고 살아요.. 두 돌 이후에는 이런 것도 나아지나요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2

      주양육자에 대한 과도한 애착은 눈에 보이지않는 것도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되면서 점차 나아집니다. 엄마와 떨어지는 것을 힘들어할 정도가 아니라면 괜찮습니다.👨‍⚕️

  • @user-cy5dr4pe1y
    @user-cy5dr4pe1y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선생님 안녕하세요~저는 13개월 둥이를 가정보육하고 있는데요! 한 장난감을 가지고 싸우거나 뺏고 빼앗고 하기도 하는데요 부모가 어떻게 해주는 게 현명한 걸까요??ㅜㅜ
    우선 먼저 가지고 놀던 아기에게 주고 다른 아기에게 다른 장난감을 유도하고 있긴 한데 더 어릴때는 됐는데 지금은 화내고 울기도 해서요ㅜㅜ 한 아기가 상처받을까 걱정되기도 하고 무조건 두 개씩 사주는 게 현명한 걸까요??
    그리고 둥이라 한 명이 울면 한 명이 같이 깨고 해서 수면교육을 아직 못하고 아기띠 해서 제가 한 명 남편이 한 명 데리고 자고 있는데요 지금이라도 하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좀 더 크면 알아서 자게 되니까 데리고 자도 괜찮은 걸까요?? 잘 키우고 싶어서 고민이 많이 되네요ㅜㅜ
    자주 깨도 같이 재워야 하는건지도 궁금해요ㅜㅜ

    • @DrPyoTV
      @DrPyoTV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둘이서 협조적인 놀이를 하려면 두돌은 넘어야합니다. 지금은 장난감을 가지고 싸우는게 당연합니다. 각자의 장난감으로 놀게해주세요.
      수면교육이 잘 안되다면 어느 정도 좋은 수면습관이 정착될 때까지 따로 재우는게.좋겠습니다. 👨‍⚕️

  • @user-rz6vz8xo5o
    @user-rz6vz8xo5o Рік тому

    선생님 아이가 하는거 하고 싶은데 너무 짧게 끝나요
    몇십초? 그래봤자 몇분인데 하루종일 뭘하고 놀죠ㅠㅠ
    너무 더워요 요즘 밖에 나가긴 넘 더워서ㅠㅠ

    • @DrPyoTV
      @DrPyoTV  Рік тому +1

      여러가지 장난감을 나열해놓고 잘 관찰해보세요. 아이가 흥미를 보이는게 있을겁니다. 두돌이 지난 아기라면 역할 놀이도 좋습니다. 병원 놀이, 소꿉장난, 음식조리하기, 장보기 같이 어른의 일상을 가상의 놀이로 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책을 읽어주는 것은 어느 연령대나 좋은 놀이입니다. 👨‍⚕️

  • @ahramlee7579
    @ahramlee7579 2 роки тому +9

    선생님 늘 잘 보고있습니다^^ 13개월 된 아이를 둔 엄마입니다! 저희 아이는 유난히 침을 많이 흘리고 (하루에 턱받이 15장 정도 사용) 장난감을 비롯한 모든 사물을 손에 닿는 족족 입으로 가져갑니다.. 예를 들면 옷에 달린 단추를 발견하면 홀린듯 혀부터 나오고 책을 스스로 넘겨 보다가도 갑자기 잘근잘근 씹어먹기도 합니다.. 함께 어울리는 같은 또래의 아이들과 비교하면 유난히 침을 많이 흘리고 구강기가 심하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앞서 말씀드린 단추와 같이 작은 사물이나 비위생적인 사물을 입에 넣으면 위험하다고 말해주고 안된다고 단호히 말해주고 있어요.. 그치만 그때뿐이고 또 눈에 보이면 달려드네요.. 손으로 다양한 촉각을 느껴보게 해주지만 큰 흥미는 없는듯 합니다. 새로운 장난감을 사줘도 입으로만 가져가고 여러모로 고민이 많습니다. 침을 흘리는 것은 시간이 약이라 생각되지만 모든 물건을 입으로 가져가는것은 이대로 두어도 괜찮은지 아니면 무조건 제지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구강기 아가들을 위한 컨텐츠도 기다리겠습니다🙌🏻)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4

      시간이 해결해줍니다. 돌에서 두돌 사이에 아기가 구강기에서 항문기로 넘어가게 되면 뭐든지 입으로 가져가는 습관은 없어지게 됩니다. 삼키면 안되는 위험한 것만 잘 치워주시면 됩니다. 👨‍⚕️

  • @user-et8nk2dh2p
    @user-et8nk2dh2p Рік тому +1

    늘 도움을 받고있어 감사합니다 . 곧 돌인데 요즘 벽이나 사물에 이마로 머리를 콩콩 찧는 모습을 보여요 괜찮을까요 ?

    • @DrPyoTV
      @DrPyoTV  Рік тому

      다칠 정도로 머리를 찧는 경우는 없으니 그냥 무시하면 없어집니다. 👨‍⚕️

  • @sookim6373
    @sookim6373 2 роки тому +1

    남편이랑 같이 보고 있어요. 감사합니다^^18개월 저희 아기 키즈카페나 공원은 자주 가고있는데 주기적으로 만나는 친구가 없는데 있어야할까요?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1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이 시기에는 부모님이 잘 놀아주시면 됩니다. 👨‍⚕️

    • @sookim6373
      @sookim6373 2 роки тому +1

      @@DrPyoTV 글쿤요! 혹시 주기적으로 만나는 친구는 언제쯤부터 필수적일까요?!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2

      두돌 이후에는 둘이서 협조적인 놀이가 가능하니 두돌이 지나면 친구를 만들어주세요. 👨‍⚕️

    • @sookim6373
      @sookim6373 2 роки тому +2

      @@DrPyoTV 오호 그렇군요. 꿀정보 감사합니다~!

  • @user-wk8wm3ox7d
    @user-wk8wm3ox7d 3 місяці тому +1

    돌지나서 바로 친정에 아기를 맡기고 아기와 떨어져있는데 아기가 엄마를 찾지 않아요 애착관계가 형성이 안된걸까요? 1주~2주에 한번씩 봅니다 현재 만14개월 15개월째중 입니다

    • @DrPyoTV
      @DrPyoTV  3 місяці тому

      아기 입장에서는 주양육자가 엄마인 셈입니다. 할머니와 애착관계 형성이 잘 되어있다면 괜찮습니다. 엄마와는 지내는 시간이 늘어나면 좀더 단단한 애착관계가 만들어질겁니다. 👨‍⚕️

    • @user-wk8wm3ox7d
      @user-wk8wm3ox7d 3 місяці тому +1

      감사합니다

    • @user-wk8wm3ox7d
      @user-wk8wm3ox7d 3 місяці тому +1

      이런 경우 15개월부터 어린이집에 보내는것은 어떨까요?

    • @user-wk8wm3ox7d
      @user-wk8wm3ox7d 3 місяці тому +1

      주변에서 만 3세까지 데리고 있는것이 좋다 사회성 발달을 위해 보내는것이 좋다 등등 다른 의견들이 많아서요

    • @DrPyoTV
      @DrPyoTV  3 місяці тому

      가능하면 만 3세 이후에 보내는게 좋습니다. 여러명의 아이들과 협조적인 놀이를 하려면 만3세가 되어야합니다. 👨‍⚕️

  • @hyunnyp
    @hyunnyp 2 роки тому +1

    16개월 목욕거부가왓어요ㅠ 여름이라 건너뛸수도 없고 눈물바다에 귀가 멍해요 목욕장난감도 안먹혀서 억지로 머리 감기지만 잘못하고 있는것 같아요ㅠㅠ물은 평소 좋아해요 치카도 싫지만 오늘은 세수조차도 거부하네요 좋은 연상을 남기려면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1

      목욕할 때 무언가 좋지 않았던 기억이 있을겁니다. 16개월이면 엄마가 하는 말을 어느 정도 알아들을 수 있으니 목욕하기 전에 아기를 안심시켜주고 절대 아프게 하지 않겠다고 말해주세요. 목욕에 관한 그림책도 보고 즐거운 놀이도 해주세요. 그 후에 욕조에 들어가 물놀이를 하게 하세요. 엄마가 같이 들어가서 놀아줘도 좋습니다. 샴푸나 비누로 인해 목욕을 싫어하게 되었다면 일단 물놀이하고 물로 헹구기만 하고 나오세요. 욕조를 즐거운 놀이터로 생각하게 만드는게 먼접니다. 아기가 욕조와 충분히 친해진 후에 비누로 목욕 시키는 것은 천천히 시작하면 됩니다. 👨‍⚕️

  • @user-zi7qy1dc2n
    @user-zi7qy1dc2n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희애 한테 주세요 가르치려고 하는데 엄청 화를 냅니다....ㅋㅋㅋ 저를 같은 아이라고 생각하는걸까요? ㅠㅠ

    • @DrPyoTV
      @DrPyoTV  7 місяців тому

      아직 자신의 물건을 나눌 정도로 사회성 발달이 이루어지지않은 것입니다.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을 늘여나가서 자존감이 높아지면 자연스럽게 바뀌게 됩니다. 👨‍⚕️

  • @TTangleTTango
    @TTangleTTango 3 місяці тому +1

    안녕하세요 선생님 12개월 영유아검진 때 다른 부분은
    다 양호하나 손가락으로 포인팅. 예를 들면 원하는 것을
    가르키거나 손짓하기, 가고싶은곳에 포인팅이나
    손을 뻗는 등 이부분이 사회성 쪽으로 추적관찰이
    필요하며 15개월까지 지켜보고 안한다면 병원에 오라고 하셨는데요 (발달전문병원이였어요)
    35주에 3.88kg 건강하게 태어났고 그래도
    교정개월수로 봐야 한다고 하시더라구요.
    아기가 100일 이전에만 잠들때 쪽쪽이를 물다가
    (잠들면 빼줬어요) 통잠자기 시작하면서 쪽쪽이를
    강력히 거부했구요 지금도 안물어요ㅎㅎ
    치발기나 장난감 빨기도 없었는데 12개월 부터는 입으로
    탐색하기 시작했구요
    모방행동은 10개월부터 아무리 반복해줘도
    안따라 하더라구요 ㅜㅜ
    우유로 바꾼 지금 젖병도 못뗏고 (빨대컵이나 젖꼭지에 추빨대 등으로 해줘도 안먹어요)
    아직도 안아서 눕힌채로 제가 젖병을 잡고 먹여요 ㅜ..
    이유식 또한 씹지 않아서 (치아3개 1개 나는중)
    아직도 후기이유식 먹이구요..
    떡뻥이나 작은 과자 잘 집어 먹는데
    이유식은 그릇 잡고 있는 제손을 끌어당겨서 쳐다보고
    손으로 만지려고는 하는데 그걸 입으로 넣진 않아요
    외출을 많이 하진 않았고, 문화센터나 키즈카페
    등등도 가보지 않았어요..
    나가면 아기들 어른들 한테도 관심 많고 뚫어지게
    잘 쳐다보구요. 뒤집기를 200일쯤 마스터하고
    280일 지나서야 배밀이+기어다니기 시작했어요
    두발로 서는건 350일쯤 하고 이제 혼자 힘으로
    한두발짝만 걷고 넘어져요ㅎㅎ
    그냥 이래저래 복잡한 걱정이 많아서.. 발달에 전혀 문제 없나요? ㅜㅜ
    책 보는걸 너무 좋아하는데 전면 책장에서 책들을
    모조리 꺼내 던지기만 하고 딱 이책 하면서
    꺼내서 들고오거나 가르키지 않는데.. 문제 없는걸까요??

    • @DrPyoTV
      @DrPyoTV  3 місяці тому

      발달은 어느 한 항목이 떨어진다고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지는 않습니다. 항목을 종합해서 판단하기 때문에 단지 가르키는 것만 못한다고 이상이 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젖병은 빨리 중단하시고 스스로 먹게 식습관을 바꾸는게 중요합니다.
      발달은 다음 영유아검사에서 다시 체크 해보면 될겁니다. 👨‍⚕️

  • @love_9642
    @love_9642 2 роки тому +1

    선생님 아기 17개월인데 언제부터 불소도포 해주면 되나요? 어떤분은 두돌전에 해야한다고 해서요.. 아직 10개밖에 안났어요~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불소도포는 언제든 가능합니다 일찍 해주면 좋아요. 👨‍⚕️

    • @love_9642
      @love_9642 2 роки тому +1

      @@DrPyoTV 선생님 그럼 이가 아직 조금밖에 안났는데도 해주면 좋다는 말씀이시죠? 이가 더 날때까지 기다릴 필요는 없나요?? ㅎㅎ

    • @DrPyoTV
      @DrPyoTV  2 роки тому

      네 일찍 해주고 이가 더 나면 또 해주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