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안전 결함 중국산 자재, 대기업 공사 현장도 유통"...조사 착수 / YTN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 아연 부족하면 철근 녹슬고 화재에도 취약
    대기업 시공사·유명 아파트 건설 현장에도 납품
    공급업체 대표 "국내 자재 수급 어려워" 해명
    국민권익위, 경찰·국토부 등에 조사 의뢰
    [앵커]
    YTN은 최근 경기 성남시의 한 유명 오피스텔 건물에 불량 자재가 사용됐다는 사실을 포착해 보도했는데요.
    그런데 이 자재를 생산한 업체가 10년 넘게, 이런 불량 자재를 만들어 각종 공사 현장에 공급했다는 내부 폭로가 나왔습니다.
    이 업체가 업계 1위였던 만큼 굵직한 대기업 시공사들도 여기서 자재를 가져다가 써 왔는데요.
    강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경기도 시흥에 있는 D 회사.
    경량 철골 자재류를 생산하는 곳인데, 이 분야에선 선두주자로 꼽힙니다.
    그런데 이 회사가 수년 동안 KS 인증 규격에 맞지 않는 자재를 생산해 각종 공사 현장에 납품했다는 내부 폭로가 나왔습니다.
    철의 산화를 막는 아연 함량이 KS 기준치보다 떨어진다는 걸 알면서도, 원가 절감을 위해 중국산 원재료를 가져와 물건을 만들었다는 겁니다.
    [D 회사 직원 : 지난 15년간 불량 자재를 사용했다는 내용을 저는 이 회사의 대표와의 대화를 통해 직접 알게 된 것이고요. 어떨 때는 자랑스럽게 이야기하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했기 때문에 우리 회사가 돈을 많이 벌게 된 것이고….]
    경량 철골 자재에 아연이 부족하면 녹이 잘 슬고 불에도 잘 타기 때문에 건축물 안전에 위협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KS 규격을 관리하는 국가기술표준원은 이 자재의 최소 아연 함량을 120 이상으로 규정해 놨습니다.
    그런데 이 회사가 제품을 댄 경기도 양주 회천과 의왕 초평의 LH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경량 철골을 채취해 분석해봤더니
    120이 기준인 아연 함량은, 반 토막 수준에 불과했습니다.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YTN이 확보한, 이 회사가 최근까지 관련 자재를 납품한 주요 공사 현장 리스트입니다.
    대기업 건축 회사들과 계약을 맺고 서울 마포와 명일, 경기 광교와 성남 등의 유명 아파트와 백화점 건축 현장에 자재를 납품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도 '중결함' 수준의 부실 자재가 공급됐을 가능성이 있는 상황.
    공급업체 대표는 국내 자재 수급이 어려워 저렴한 중국산 자재를 쓰는 것이 관행이라고 해명했습니다.
    [D 회사 대표이사 : 수입하다 보니까 (아연 함량이) 조금 모자라. 80 나올 때 있고 지금 막 90도 100도 나오고 했는데 120까지는 안 나오거든. 이건 전부 다 수입해서 쓰는 거지 우리 국산 쓰는 데 단 한 사람도 없거든요.]
    신고를 받은 국민위원회는 경기남부경찰청과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에 해당 내용에 대한 조사를 의뢰했습니다.
    경찰은 지자체의 직권 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여부 등을 따져볼 방침입니다.
    YTN 강민경입니다.
    촬영기자: 최성훈
    YTN 강민경 (kmk02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www.ytn.co.kr/...
    ▶ 제보 하기 : mj.ytn.co.kr/m...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КОМЕНТАРІ • 19

  • @ejoynet
    @ejoynet Рік тому +2

    중국산 으로 믿을 만 한게
    도대체 가 뭐냐 ?
    오죽 하면. 민족의 원흉
    감일성도 유엔에 중국을
    믿지 말라 할 정도니 ?

  • @apgujeonghyun7123
    @apgujeonghyun7123 Рік тому +2

    와 이건 정말 심각한건데 사람들이 관심이 없네.
    삼풍사건이 또 일어날 수 도 있는거임.

  • @mongsilpapa
    @mongsilpapa Рік тому +2

    저 회사 벌금때리고, 재시공 할수 있는건 재 설치 비용까지 다 지불 하게 만들게 해야된다.

  • @드렁큰멧돼지
    @드렁큰멧돼지 Рік тому +2

    이러면서 최고급 자재만 쓴다고 공사비만 올려달라더라... 대기업 건설회사라고 다른게 하나 없더라~

  • @jone7001
    @jone7001 Рік тому +1

    중국산은 무조건 거르자

  • @ESPERO-q4p
    @ESPERO-q4p Рік тому +2

    저게 하루이틀 일인줄 아나?? 싼거 쭝국에서 수입해서는 국산으로 둔갑시켜서 파는거 어제 오늘일이냐? 그런데 그걸 알면서도 넘어가~ ㅋㅋ

  • @박지용남
    @박지용남 Рік тому +1

    YTN ㅎㄷ에 돈 받았나보네 ㅋㅋ ㅍㄱ 건 조회수 커지니까 다른 건설사들은 이름 밝혔다가 역풍 맞을까봐 건설사, 지역도 못 밝히면서 LH만 공개하는거 보소 결국 너네도 똑같다..ㅉㅉ 떳떳하면 납품받아 완공된 다른 대기업 건설사 지역도 다 밝혀라

  • @행복하자-s1v
    @행복하자-s1v Рік тому

    이렇게 해도 형량 1~2년 내지 집유 할거 같네요 많이 해먹음 형량 더 낮아지는 현실 바뀌지 않는 현실
    이번에는 대기업 끼었으니 형량 얼마나 나올까 지켜 봅니다 얼마나 달라질까?

  • @메론메론-i2d
    @메론메론-i2d Рік тому

    검찰에서 전면적으로 조사해서 잘못이 있는 자들은 엄벌에 처해야 합니다.

  • @태사자-r5x
    @태사자-r5x Рік тому

    수 년 전부터 문제가 있다고 현장에서도 말 많았다고 하던데 이제와서 뒷북이네 또 ㅎㅎ

  • @sunjung7742
    @sunjung7742 Рік тому

    감리회사 직무유기 아냐> ? 압수수색 드 가즈아

  • @narang_cats
    @narang_cats Рік тому

    이 자재가 들어간 건물 리스트 좀 알고 싶네요..
    이 회사 자재를 가져다 써놓고도 아니라고만 해버리면 알방법이 없으니...

    • @정병석-o6m
      @정병석-o6m Рік тому

      저 회사만 저런게 아니에요. 저런거 만드는 모든 회사들이 다 저래요. 근데 기사가 좀 오바한게 저거한다해서 철근이 녹날일이 없어요. 불이 잘날일도 없어요. 아연함량이 부족하면 산화가 좀 빨리되지만 그래도 최소 30년 버텨집니다

  • @상필김-k1l
    @상필김-k1l Рік тому

    원지사가 불량 중국인 유통시켜 한국인은 일이 없음 ㅋㅋ

  • @sanglee6038
    @sanglee6038 Рік тому

    우리좋은물건 안쓰고 중국산 스스로자폭😂

  • @SwannieC
    @SwannieC Рік тому

    이러다 터키 지진꼴나는거임

  • @cool-zl8ic
    @cool-zl8ic Рік тому

    ㄷㅎㄱㅈ

  • @hudongseo6542
    @hudongseo6542 Рік тому +1

    간의사들이 파업하면 병원이 돌아가는데 간호사들이 파업하면 병원 샷다내림... 파업해봐요 간호사는 간호 잘할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