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키메데스가 유레카를 외친 이유? -> 부력이라는 개념을 처음 발견함. 물건이 잠겨있을 때는 부피만큼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확인. 물건이 떠 있을 때는 물건의 무게만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가 빠져나감. 이게 부력임.. 배가 떠 있으면 배가 밀어낸 물의 양은 배의 무게와 같은 것. 이게 부력의 기본 원리. 1. 무게 = 부력 = 밀도(로) x 중력(g) x 부피(V) 2. 같은 무게더라도 금이 은보다 밀도가 더 높기 때문에, 부피가 더 작다. 1번의 식에서 무게가 같으려면 중력값은 고정이기에 밀도가 크면 부피는 작아져야 무게값이 동일하겠죠? 3. 왕이 판별하라고 한 금관을 확인하기 위해, 순도 100%의 금을 가지고 같은 무게를 가진 금관을 만들어서 물에 넣어봤더니? 왕이 준 왕관보다 물이 덜빠져나가네?? 금보다 밀도가 낮은 은이 섞여있어서 순수금만으로 제작한 왕관보다 질량은 같은데 부피가 큰것을 확인. 그래서 금관이 가짜구나! 라고 안 것임.
와 2024년에 듣고 있지만 정말 유익하고 무엇보다 이해가 잘 되는 강의였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아르키메데스가 유레카를 외친 이유?
-> 부력이라는 개념을 처음 발견함.
물건이 잠겨있을 때는 부피만큼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확인.
물건이 떠 있을 때는 물건의 무게만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가 빠져나감. 이게 부력임..
배가 떠 있으면 배가 밀어낸 물의 양은 배의 무게와 같은 것. 이게 부력의 기본 원리.
1. 무게 = 부력 = 밀도(로) x 중력(g) x 부피(V)
2. 같은 무게더라도 금이 은보다 밀도가 더 높기 때문에, 부피가 더 작다. 1번의 식에서
무게가 같으려면 중력값은 고정이기에 밀도가 크면 부피는 작아져야 무게값이 동일하겠죠?
3. 왕이 판별하라고 한 금관을 확인하기 위해,
순도 100%의 금을 가지고
같은 무게를 가진 금관을 만들어서 물에 넣어봤더니? 왕이 준 왕관보다 물이 덜빠져나가네??
금보다 밀도가 낮은 은이 섞여있어서
순수금만으로 제작한 왕관보다 질량은 같은데
부피가 큰것을 확인. 그래서 금관이 가짜구나!
라고 안 것임.
쉽게 이해 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선생님 개념 설명 좋아요.
설명 너무 잘하세요~~
낚시 초자라서 부력찌맞춤 보다 여기까지왔네용 그래두 다봤네용ㅋ
나도 이댓글 쓸려고 했는데ㅋㅋ
예를 들어서 200g 의 스마트폰을 물에 뜨게 할려면 스마트폰과 같은 크기의 빈 박스를 묶어서 띄워야 할까요? 아니면 공기가 있는 박스의 킈기를 구할수 있는공식이 있을까요?
물과 질량이 똑같은 물질은 부피가 커질수록 부력이 증가하는가? 부력만 증가하면 그 물체는 크면 클 수록 물 위로 올라가겠네... 하지만 그렇지 않지.
물과 밀도가 똑같은 물질은 부피가 커질수록 질량도 함께 증가합니다. 부피가 늘어나는 만큼 중력도 늘어납니다
@@말랑햄스터찰떡제말이~!
부력은 로브이지 러브이지 러브지
인체도 부력이 될수가있다ㆍ
수직 수평
강의가 집중이 잘 안되고 자꾸 헷갈립니다
12초 I'm Fbi. Open the door
ㅅ
ㅂ
옆으로 흘겨볼 때 쌤이 너무 섹시해서 공부가 안된다
이예찬 전-혀
공부하는데 왜 그런생각이들죠?집중...
뷰욘시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