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과학] 1단원 2차시 지구의 층상구조와 특징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47

  • @이동준-o5r
    @이동준-o5r 4 роки тому +17

    혹시라도 영상 절대 내리지 말아주세요 ㅠ
    너무 설명 잘하시는데 빠르고 간결해서 보기 너무 좋아요

  • @치키-r4i
    @치키-r4i 4 роки тому +5

    진짜설명와...너무잘하신다

  • @eye4773
    @eye4773 26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

  • @user-yw4di3ip9q
    @user-yw4di3ip9q 4 роки тому +4

    30분동안 배울거 6분안에 배우는데 이해가 잘되요

  • @락스삥_3
    @락스삥_3 4 роки тому +2

    중2인데 오늘 중1 과학 형성평가봐서 이거 보고 있는 내 인생 ...
    선생님 시험보고 점수 잘 나오면 후기 알려드릴께요..

  • @민성-k2p
    @민성-k2p 2 роки тому

    너무 설명도 잘하시고 옴청 똑똑하시네요!!!!구독 눌렀습니다
    와우 무조건 구독 각이다!!!이건 와ㅏㅏㅏㅏ

  • @박지영-u3j
    @박지영-u3j 4 роки тому +5

    이해가 더 쉽게 되요!!

  • @youtubelemon
    @youtubelemon 4 роки тому

    와...... 진짜 초등학생이 들어왔는데 진짜 재미있고 쉬워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seon7
    @jseon7 4 роки тому +6

    ㅋㅋㅋㅋ 진짜 저희 쌤 하세요..

  • @탕탕-p3u-u1k
    @탕탕-p3u-u1k 2 роки тому

    5학년이 들으면서 공부하기딱좋아요~구독하고 갑니다 이걸로 중1과학 공부하렵니다

  • @고사리-l8f
    @고사리-l8f 5 років тому +20

    설명 진짜 잘하시네요..ㅎㄷㄷ.. 우리 선생님보다 잘함..ㄷㄷ

  • @박세은-m4r5s
    @박세은-m4r5s 4 роки тому +3

    설명 너무 잘하신다

  • @이인형-n8p
    @이인형-n8p 3 роки тому

    와...정말 잘보고 있어요 ㅎㅎ

  • @lina86
    @lina86 3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과학을 너무 못했는데 이제 공부 열심히 해서 100점 받을게요

  • @코로나2019
    @코로나2019 4 роки тому +5

    아니 진짜 자막 상태갘ㅋㅋㅋㅋㅋ

  • @xy_wrte
    @xy_wrte 4 роки тому

    설명 잘하시네요 이해가 잘 돼요

  • @민성-k2p
    @민성-k2p 2 роки тому

    Q&A언제 해요ㅡㅡㅡㅡ?????해주세요

  • @jayl8121
    @jayl8121 2 роки тому

    수업 너무 잘 듣고 있어요!! 피피티는 따로 다운 받을 수 없을까요?

  • @유유민제
    @유유민제 4 роки тому

    기분 좋구만유

  • @스리랑카에서살며사랑

    ㄹㅇ!ㄹㅇㄹㅇㅇㄹㅇㄹㅇㄹㄹㅇㄹㄹㅇㄹㄹㅇㅇㄹㅇㄹㅇ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ㄹ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 @Be_Loved_me
    @Be_Loved_me 4 роки тому

    그러면 광석이나 광물을 캘떄는 어디를 캐나요??

  • @예성-p9t
    @예성-p9t 4 роки тому +3

    목소리 디게 유튜버 같다 ㅋㅋ

  • @전유찬-t2x
    @전유찬-t2x 4 роки тому

    와 잘한다

  • @이유정27
    @이유정27 5 років тому +3

    3:30 지구내부구조

  • @이유정27
    @이유정27 5 років тому +1

    2:39 2 지진파 연구

  • @yeone0129
    @yeone0129 2 роки тому

    다른강의 듣는데 쓸데없는 얘기도 너무 많고 설명도 지저분해서 유튜브 찾아보는데 속이 뻥뚤리네요,,,,

  • @アカウント-k6d
    @アカウント-k6d 5 років тому +4

    • @eunneuneaga
      @eunneuneaga 3 роки тому

      ㅇ 이란?
      한글 자모의 여덟째 글자. ‘이응’이라 읽는다. 국어의 자음 가운데, 혀뿌리를 연구개(軟口蓋)에 대어 숨길을 막고 날숨을 코 안으로 내보내며 목청을 울리게 하여 나는 유성연구개비음(有聲軟口蓋鼻音)을 표기하는 데 쓰인다. 현행 한글맞춤법에서는 ‘ㅇ’자를 가지고 국어의 초성과 종성을 두루 표기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훈민정음 창제 때에는 국어표기에 있어서 ‘ㅇ’자와 ‘’자의 용례를 달리 규정하였다. ≪훈민정음≫(해례본) 본문에서는 “ㅇ喉音如欲字初發聲”이라 하고,≪훈민정음≫(국역본)에서는 “ㅇ 목소리니 欲욕字 처 펴아나 소리 니라”라고 하여 ‘欲’자의 한자음을 가지고 ‘ㅇ’음의 음가를 설명하였으며, ≪훈민정음≫(해례본) 제자해에서는 ‘ㅇ’음을 후음의 불청불탁(不淸不濁)에 소속시키고, 종성해에서는 ‘ㅇ聲淡而虛’라고 설명하여 ‘ㅇ’음이 무음가(無音價) 또는 [○] 음임을 시사하였다. 실제로 15세기 중세국어를 표기하는 데에 있어서 ‘ㅇ’자는 음가 없는 초성이나 어중(語中)에서 [○]음을 가진 초성을 표기하는 데 쓰였으며, ≪훈민정음≫(해례본) 용자례(用字例)에서도 초성 표기 예만 보이었다. 16세기초부터 ‘ㅇ’자는 완전히 음가 없는 초성 표기에만 쓰이었으며 종성을 표기할 때에는 ‘’자 대신 [○]음을 나타내는 글자로 쓰이었다. 그래서 한글의 이름을 처음으로 보인 ≪훈몽자회≫(1527) 범례의 ‘초성독용팔자(初聲獨用八字)’란에는 ‘ㅇ 伊’로 되어 있어 ‘초성종성통용팔자(初聲終聲通用八字)’란의 ‘ 異凝’과 구별하고 있다. ≪삼운성휘 三韻聲彙≫(洪啓禧, 1751)에 실려 있는 ‘언자초중종성지도(諺字初中終聲之圖)’에는 ‘ㅇ’자는 없고 ‘’자만 실려 있는데, 이것은 16세기초부터 두 글자가 혼용되어온 것을 반영한 것이다. 자모의 순서는 훈민정음 창제 때 조음위치별로 하여, ‘ㅇ’자는 아음(牙音)의 ‘ㄱ’자로부터 스물한번째였고, 같은 후음글자들인 ㆆ·ㅎ·ㅇ 가운데에서 가장 세지 않게(不厲) 소리가 난다고 하여 ‘ㅇ’자를 후음자의 기본글자로 삼고 나머지 글자들은 이 글자에 획을 더하여 만들었다.

  • @ree7555
    @ree7555 3 роки тому

    데헷

  • @kkkototo
    @kkkototo 4 роки тому

    금오중?

  • @blongitv7131
    @blongitv7131 4 роки тому +1

    중학교 수업 궁금해서 초딩이 왔는데...
    재밌어

  • @싱용-h4j
    @싱용-h4j 7 місяців тому

    장난

  • @싱용-h4j
    @싱용-h4j 7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러케 살지마세요

  • @유유민제
    @유유민제 4 роки тому

    잉 기모링

  • @유유민제
    @유유민제 4 роки тому

  • @hyunkang205
    @hyunkang205 5 років тому +2

    자막 오타 개많음

    • @food8864
      @food8864  5 років тому +2

      자막 작업은 따로 안해서 인공지능이 멋대로 만든거라 오타가 많아요 ㅠㅠ

    • @saeolahn
      @saeolahn 5 років тому +1

      ㅇㅈ
      자막 진짜 웃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