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누룩 건강식품 사망사건으로 난리 난 일본의 상황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 кві 2024
  • 일본에 사는 한일부부가 일본의 다양한 정보를 투머치토크!
    한국에서는 알 수 없는 시사/경제/생활/문화등의 정보를
    일본 현지인의 시선으로 알기 쉽게 이야기합니다.
    [촬영날짜] 2024년 3월30일
    ◆라이브(생방송)◆
    매주 수,토,일에 토크 생방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말에는 일본 여러 동네를 여행하는 야외방송도^^
    ◆자기 소개◆
    ー오상(박준식)ー
    울산 출신 한국인, 2003년부터 일본거주, 교토대 졸업,
    일본기업·외자계 기업 근무 경험, 일본어 네이티브 수준
    ー츄미코(박미사)ー
    아이치/미에현 출신 일본인, 도시샤대 졸업,
    나고야대 법대 중퇴, 전 항공사 승무원, 한국어 계속 공부중(TOPIK 6급 취득자)
    ◆비즈니스 문의◆
    parkgane84@지메일.com
    ※구체적인 안건 내용 및 조건이 적혀 있지 않은 메일, 개인적인 메일은 답장하지 않은 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후원하기◆
    (투네이션)
    toon.at/donate/63679079637391...
    (멤버쉽 가입)
    / @parkganetv
    ◆팬레터등의 주소◆
    pf.kakao.com/_DGJxkxl
    위의 링크에서 카톡을 보내주시면 사서함 주소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 답변은 일주일 정도 걸립니다. )
    #일본정보 #일본경제 #박가네
  • Розваги

КОМЕНТАРІ • 381

  • @philly1276
    @philly1276 2 місяці тому +43

    수고하셨습니다
    고바야시 회사에 대한 말씀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두분 행복 하십시요

  • @gaoan1
    @gaoan1 2 місяці тому +85

    こんにちは。初めて動画を見させていただきましたが日本の下手な報道番組より情報が正確だったので笑ってしまいました😂日本ではサプリは通常普通の製薬会社は作らず、ファンケルやDHC、食品会社などが作っているので小林製薬もそれ系の会社という位置付けです。今回の問題、小林製薬側は特定のロットに有毒物質が含まれていたという説明ですが、死亡例の中には長期服用者もいて、特定のロットだけに問題があったのであれば長期服用と死亡との因果関係が説明できるのか、など不明な点がまだ多いですね。

    • @0ortCloud
      @0ortCloud 2 місяці тому +2

      한국말 다 알아들으시는건가요??ㄷㄷ 대단하시네여

    • @totoroda740
      @totoroda740 2 місяці тому

      @@0ortCloud 자막달고 보겠죠..웃길려고 쓴거죠?

    • @0ortCloud
      @0ortCloud 2 місяці тому +1

      @@totoroda740 일어자막이 없는데여... ?ㄷㄷ

  • @user-yk2jf7ib4x
    @user-yk2jf7ib4x 2 місяці тому +118

    마침 후쿠오카 여행하면서 숙소에서 테레비 보는데 저 약에 대해서 하루종일 보도하더라구요. 생각보다 심각한 사안인듯 합니다.

    • @inthemine2
      @inthemine2 2 місяці тому +3

      일본 뉴스 유튜브(ANN NEWS, TBS NEWS DIG)에선 연일 다룰 정도로 꽤 심각합니다.

    • @Wind-fy9op
      @Wind-fy9op 2 місяці тому +1

      우리나라였어도 난리났을 사항임

    • @blueorange_s
      @blueorange_s 2 місяці тому +6

      우리나라도 가습기 살균제 때문에 난리났듯이 비슷한 상황인듯

    • @user-6626
      @user-6626 2 місяці тому +1

      @@Wind-fy9op 난리는커녕 윤석열은 담화만봐도 얘는 민생자체에 관심없음
      오로지 천공하는 말 따라하는 애임

  • @user-kx2it5gm9c
    @user-kx2it5gm9c 2 місяці тому +218

    육각수나 은나노, 마그네슘 팔찌라거나
    일본발 건강관련 유사과학은 사례가 많이 있었지요

    • @kyungsunkim3584
      @kyungsunkim3584 2 місяці тому +28

      게르마늄 팔찌 , 자석 파스..... ㅠㅠ 유사과학

    • @Gundam_RX78-2
      @Gundam_RX78-2 2 місяці тому +20

      발바닥 패치도요..

    • @jdfserf
      @jdfserf 2 місяці тому +7

      게임뇌ㅋㅋㅋ

    • @parkherenow
      @parkherenow 2 місяці тому +12

      비싼 소금도...정수기도..

    • @parkherenow
      @parkherenow 2 місяці тому +10

      노인들 등쳐먹던 지렁이액기스 토룡탕...ㅎㅎ 지렁이

  • @peterchoi6598
    @peterchoi6598 2 місяці тому +32

    콜레스테롤을 잘 분리한다더니 육체에서 영혼을 분리해버렸구나.

  • @user-dz4vj2vc4z
    @user-dz4vj2vc4z 2 місяці тому +29

    생각보다 이런 어처구니 없는 사건이 일본에서 자주 일어난다

  • @유리카와
    @유리카와 2 місяці тому +77

    코바야시 제약 꽤나 큰 회사인데
    집에 있는 다른 건강기능식품도
    다 버려야할판..

    • @off7970
      @off7970 2 місяці тому +24

      우리나라로 치면… 종근당건강이나 일동제약이 주요 의약품에 독성 물질 들어가 있는데 식약처에 제조 과정에서 위험성에 대한 검사 신청도 안 하고 무해하다고 자체 검증한 뒤 시장에 바로 팔러 내놓은 격

    • @user-dq6do3ri4o
      @user-dq6do3ri4o 2 місяці тому +8

      @@off7970 근데 우리나라도 과대광고로 벌금 매해 내면서 광고하는 약품 있어요 치아인가 무릎관련

    • @user-6626
      @user-6626 2 місяці тому +1

      @@off7970일본이 철강품질 조작도 30년간 했다는 걸리지만 않았을 뿐....
      거짓말도 100번하면 진실이 된다고 하는 괴벨스나 더러운건 뚜껑으로 덮는다는 일본이나...

  • @areferee
    @areferee 2 місяці тому +157

    제약회사라서 약을 파는줄 알았더니 주둥이로 약을 팔고 있었네 ㅋ

    • @user-6626
      @user-6626 2 місяці тому +1

      일본이 제품 잘 만드는것도 옛말
      오히려 철강 품질 30년동안 조작해서 했다함..

  • @seonoil6554
    @seonoil6554 2 місяці тому +9

    잘 보겠습니다~

  • @dischpjy
    @dischpjy 2 місяці тому +4

    영상 잘 봤어요. 감사합니다. ~

  • @sipit2890
    @sipit2890 2 місяці тому +74

    일본 드럭스토어에서 파는 물건보면 뭔가 효과가 과장된 물건들이 많긴하죠 다른나라에서 보기 힘든 제품들

    • @bluekitsune3008
      @bluekitsune3008 2 місяці тому +9

      근데 효과좋긴함 내가 혈압 170대였다가 일본 나토키나제 1년 먹고 138까지 내려감, 동전파스도 국내산파스보다 좋고

    • @user-sx7zu7hw2q
      @user-sx7zu7hw2q 2 місяці тому +1

      @@bluekitsune3008한심하다 한심해

    • @user-qo5pe9zr9t
      @user-qo5pe9zr9t 2 місяці тому +17

      일본 제약기술이 세계 최상위권인건 사실이긴 함 검증된 약들은 진짜 좋음

    • @user-se3ih6fn9m
      @user-se3ih6fn9m 2 місяці тому +12

      우리나라 사람 이라면 열불 나는 역사 때문 이지만 일본 의약품이 효과 좋은건 사실임

    • @user-zf6yc8lk1u
      @user-zf6yc8lk1u 2 місяці тому +4

      @@SL-jn8cz 일본 제약 어느 부분이 후달리고 최첨단에서 딸리나요?

  • @elara1020
    @elara1020 2 місяці тому +16

    아 얼떨결에 일찍 보고있는...오늘도 떡상기원!!!!

  • @MaestroZZIN
    @MaestroZZIN 2 місяці тому +159

    제약인데 제약이라 부르지 못하는 어처구니가 없는...

    • @parkherenow
      @parkherenow 2 місяці тому +9

      한국에도 제네릭..그럴듯하겐 바이오시밀러 만들고...건강식품을 대량판매하는 회사가 많은것 같은데요..!

    • @hardgroove614
      @hardgroove614 2 місяці тому +26

      ​@@parkherenow한국에는 없다는 말이 아닌것 같은데요

    • @bethebrave
      @bethebrave 2 місяці тому +30

      제약이 아닌데 제약이라 부르고 있었다는 거지요.... 명칭 부여에도 제한을 둬야하겠네요.

    • @seung-jeyang3746
      @seung-jeyang3746 2 місяці тому +17

      ​@@parkherenow그 놈은 한국도 어쩌구

    • @TaeyangGunes
      @TaeyangGunes 2 місяці тому +5

      뭔 소린지? 제약이 아니니까 제약이 아니라고 하죠. 해당 논란이 된 붉은누룩 제품은 제약이 아니고 건강보조제입니다. 건강식품 뜻이나 알고 댓글 쓰시길.

  • @JyY-yv8sv
    @JyY-yv8sv 2 місяці тому +15

    잘 볼게요

  • @user-wv7dz1zc4j
    @user-wv7dz1zc4j 2 місяці тому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하나 더 배우고 가네요 ^^

  • @empirecamping
    @empirecamping 2 місяці тому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응원드립니다

  • @user-dp6is3zh7l
    @user-dp6is3zh7l 2 місяці тому +6

    추미코님 몸조리 잘해요
    목이 많이 잠겨있네요
    요즘 일본도 감기의 계절인듯

  • @user-en2ue4nm4b
    @user-en2ue4nm4b 2 місяці тому +1

    콜레스테롤 때문에 빨간쌀 먹을뻔했네요
    정보 잘 들었네요
    오상 추미코 감사합니다

  • @user-oh3qq3gu9u
    @user-oh3qq3gu9u 2 місяці тому +2

    영상 잘보았습니다 😊

  • @user-sg1jc1sb9n
    @user-sg1jc1sb9n 2 місяці тому +7

    오늘도 박가네 화이팅!!!

  • @SOMJERSSI
    @SOMJERSSI 2 місяці тому +6

    이집 컨텐츠각 잘잡음 ㅋ 박가네 100만 구독 가즈아~

  • @jaque720
    @jaque720 2 місяці тому +8

    대충 인터넷에 올라오는 글만 봤었는데 아이봉... 쿨시트.. 회사였다니 박가네 덕분에 알게되었네요 ㅠㅠㅠ

  • @user-de6uw3ke5l
    @user-de6uw3ke5l 2 місяці тому +3

    설명을 잘 해주셔서 귀에 쏙쏙 박혀요. 중요한부분에서는 강조도 해주시고 발음을 정확히 해주려고 하는노력이 보입니다. 잘 듣고 보고 좋은 정보 얻고 갑니다❤

  • @madeun
    @madeun 2 місяці тому +14

    역시 아침은 박가네🎉

  • @DongGeonKim-zu7mz
    @DongGeonKim-zu7mz 2 місяці тому +15

    뭔가 발효과정에 곰팡이랑 관련해서 독소가 생성된건지...아무튼 정말 무섭더군요.

  • @TV-jg2kj
    @TV-jg2kj 2 місяці тому +20

    고바야시 제약에는 자문을 해주는 의사나 연구소라던가 실험등은 없었나요? 더군다나 회사에서 밝혀낸 것도 아니고 국가가 밝혀낼 정도면 알았어도 내부에서 입막음이나 쉬쉬하던 것이 존제한 것 같습니다.

  • @user-eb2ty4dx3i
    @user-eb2ty4dx3i 2 місяці тому +11

    의학적 검증이 안되었던거네

    • @JOOYUN1
      @JOOYUN1 2 місяці тому

      홍국 자체는 검증된 원료이고 기능성분도 밝혀진 것 입니다. 그냥 저 회사가 관리가 안된 것....

  • @sunnysunny-rx6ce
    @sunnysunny-rx6ce 2 місяці тому +15

    고바야시 제약 어디서 많이 들어봤더니
    열 내릴때 쓰는 쿨패치 파는회사네?

  • @user-lk2qy1bn7r
    @user-lk2qy1bn7r 2 місяці тому +6

    제약이란 말을 저렇게 장사수단으로 써먹고 있었구나.

  • @TAPIgom
    @TAPIgom 2 місяці тому +3

    의약품 생산을 하긴 하니까 제약회사라는 이름이 맞긴 한데 참...
    한국에도 건강기능식품으로 사기치는 회사들 많은데 그런 계열같네요

  • @lowlanz
    @lowlanz 2 місяці тому +7

    영양제나 건기식들은 과다하면 안먹느니만 못한게 많은듯요

  • @user-ej8rf5mz1q
    @user-ej8rf5mz1q 2 місяці тому +2

    우리나라에서도 제약회사가 만들고 선전하는 건강식품이 엄청 많다.

  • @arumdri500
    @arumdri500 2 місяці тому +4

    일본의 2종3종 약품들 좀 사지말고 쓰고 있어도 버리세요. 효능효과도 의심스러운 제품들 많아요.

  • @ginashin9043
    @ginashin9043 2 місяці тому +3

    ^^좋아요

  • @jungwanlee8062
    @jungwanlee8062 2 місяці тому +17

    아이봉 눈청소로 한국에서 인기 있었던

  • @mundison50
    @mundison50 2 місяці тому +2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임. 약국에서 파는 통약. 약품도 있긴 하지만 자세히 보면 제약회사 이름을 달고는 있지만 이름을 빌려준 건강식품에 불과함. 일반 건강식품 회사가 제약회사에 상표 로열티 주고 약국서 판매 함.

  • @user-ee9cm6wh2b
    @user-ee9cm6wh2b 2 місяці тому +18

    가급적 건강보조 식품등은 먹지않는게 좋습니다..운동하세요

  • @lisazz3036
    @lisazz3036 2 місяці тому

    익숙한 회사네요, 유명한 해열시트 만드는 곳인데 아이봉까지.... 진짜 엄청 샀던 물건들이네요...

  • @user-od2kd1cr6s
    @user-od2kd1cr6s 2 місяці тому +11

    원래는 아이봉도 안과에서는 권장하지 않는 제품인데 다 이유가 있었구나...

  • @mrmr7415
    @mrmr7415 2 місяці тому +30

    저두 아파서 병원가니 영양제, 건강보조식품 즙, 한약 등 다 끊어 보라고, 특히 먹었을 때 몸이 이상하다 싶으면 바로 끊어야 한답니다.

    • @chj950
      @chj950 2 місяці тому +2

      한약에 대한 생각은 아닌거 같아요 ᆢ병원가면 갸들 절대 한약 좋게 얘기 안해요ᆢ근데 의사들도 양약은 몸에 해롭다고 한약 먹는 사람들 많습니다

    • @user-zp9jt9kr1o
      @user-zp9jt9kr1o 2 місяці тому +1

      @@chj950 무슨 말인지 이해는 하는데 한약에 대한 공격 보다는 영양제, 양약 모두 체질에 안맞는데 명현현상이니 뭐니 하면서 억지로 먹으면 큰일 나니까 그런 겁니다.

    • @chj950
      @chj950 2 місяці тому +1

      @@user-zp9jt9kr1o 명현현상은 실제로 있어요ᆢ저도 경험했고 뭐 나른해지고 피곤한거 같기도하고 그랬죠ᆢ근데 원장님 말씀 믿고 계속 침치료하고 한약복용후에 좋아졌어요ᆢ전 시키는대로 잘 따라했고 믿는게 중요한거 같아요ᆢ한약을 영양제 취급하는 분들이 있는데 영양제 아무리 먹어봤자 몸 좋아지는거는 모르겠더라구요 건기식도 그랬구요

    • @rangrang86
      @rangrang86 2 місяці тому +4

      신장내과 전문의가 한약 먹지 말라고 하던데 신장 한번 망가지면 못 돌아오는데 한약 먹고 신장 망가질 각오 있으면 먹길 바란다

    • @chj950
      @chj950 2 місяці тому

      @@rangrang86 근데 양방쪽 원장들이 한약에 대해 저리 이야기하는 이유가 뭔지 참ᆢ근거가 뭐래요? 의사가 한의학도 아나? 솔직히 왜 그러는지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데 ㅋㅋ 중국 과 대만사람들은 신장 망가진 사람 엄청나겠네 ㅋㅋ

  • @reserapim2023
    @reserapim2023 2 місяці тому +1

    고바야시제약꺼 배불뚝 그림에 내장지방 어쩌구 써있는 그제품 두통째 먹고있는데 계속 먹어야할지 고민되네요

  • @rhyn1759
    @rhyn1759 2 місяці тому +2

    의약품이 아닌데 뭔가를 먹어서 해결한다는 식의 광고는 거르는 게 맞다고 배웠습니다.

  • @user-em1cv5oj1d
    @user-em1cv5oj1d 2 місяці тому +29

    궁금했는데 잘 이해했습니다. 우리나라도 비슷한 상황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번 이번의 상황을 좋은 삼아 우리도 좋은 방향으로 갔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나라도 너무 많은 건강식품이 있습니다. 알 수 없는 것들이지요.

  • @user-nb5wi9zt4v
    @user-nb5wi9zt4v 2 місяці тому +7

    일본이나 되니까 저런 사고도 밝히고 대처하고 사과하지.
    한국 가습기 살균제로 사망한 사고 아직도 책임공방하고 배상금 50만원에 퉁치곸ㅋ

  • @jakekim1489
    @jakekim1489 2 місяці тому +1

    일본에서 프로야구 중계 중간에 cm으로 많이 나오죠. 저도 일본에 있을때 안약으로 알고 있는 회사죠.조제약을 안 만드는 회사인지는 몰랐네요

  • @abusemachine1945
    @abusemachine1945 2 місяці тому +5

    우리나라도 의약품으로서 성능이 입증되지 않거나 부족한 제품들이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광고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이런거 때려잡아야 할텐데

    • @JOOYUN1
      @JOOYUN1 2 місяці тому +2

      그러니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증된 것만 드시면 됩니다. 우리나라는 검증된 것이 아니면 기능성표시 못합니다. 국내 건강기능식품은 인증제 입니다. 건강식품은 건강기능식품과 다릅니다. 기능성을 표시 못하죠....

  • @defender_1303
    @defender_1303 2 місяці тому +4

    집에 코바야시제약에서 만든 나이시토루 있는데 번역기 돌려보니깐 오사카공장에서 만든거네요.........

  • @Nallari_
    @Nallari_ 2 місяці тому

    이건 진짜 난리난 거 맞아요 ......

  • @user-rw7ki9vh2l
    @user-rw7ki9vh2l 2 місяці тому +3

    저거 무서운게 신장이 망가져서 이식전꺼지 평생 혈액투석 해야됨.

  • @ranmia99
    @ranmia99 2 місяці тому +7

    JTBC만 보도했던데 일본발 EM미생물 미신도 파헤쳐주세요

  • @user-yu8lw3nf2k
    @user-yu8lw3nf2k 2 місяці тому +2

    헐 아이봉 냉각시트 집에있는데,,,

  • @user-jy8wo2wn5o
    @user-jy8wo2wn5o 2 місяці тому +10

    너의 건강과 생명은 어떻게 되든 신경 쓰지 않아. 너의 돈을 내 호주머니로 가져오는 것 만이 중요해.

    • @leedpt7089
      @leedpt7089 2 місяці тому

      타락한 자본주의

  • @illeohan5407
    @illeohan5407 2 місяці тому

    nhk뉴스를 통해서도 접했지만, 진짜 심각한것같아요

  • @han_kki_man_du
    @han_kki_man_du 2 місяці тому

    유투브야 일해라!! 최신 영상으로 업로드 해줘~

  • @user-pv8ou4pf7e
    @user-pv8ou4pf7e 2 місяці тому +1

    우리나라도 인사x 이가x 같은 제품들 십수년째 방치중

  • @user-dk9nv6me1g
    @user-dk9nv6me1g 2 місяці тому +2

    우와😅😅

  • @user-of3wh5em3v
    @user-of3wh5em3v 2 місяці тому +2

    고바야시 제약은 엄청 유명한곳 아닌가요? 한국인들중에도 이 회사제품 많이 썼을텐데

  • @user-cp5yh8re9l
    @user-cp5yh8re9l 2 місяці тому +1

    추미코님 분량이 적네요 ㅜㅜ

  • @user-gz6qu5xt1w
    @user-gz6qu5xt1w 2 місяці тому +8

    우리나라 도 홍삼제품에 저런것들 많아요.
    인증받지 않은 홍삼제품이 수두룩함. ㅋㅋㅋㅋ 인증받은 홍삼제품은 GMP 마크(건강기능식품) 가 있어요.
    그리고 성분표에 진세노사이드 얼마나 들어있는지 나와있고요.
    아닌제품들은 그런거없고 졸라 그냥 싸게 팜.
    추가로 한국도 건강기능식품 / 건강보조식품 이라고 나뉘는데, 건강기능식품이 식약처 인증된거고, 보조식품은 인증안된거임.

  • @user-gw1fp3lq6r
    @user-gw1fp3lq6r 2 місяці тому +1

    박가네 응원합니다 파이팅

  • @mitchellr4107
    @mitchellr4107 2 місяці тому +3

    아침의 시작은 박가네~~

  • @user-zw4wb3fx5r
    @user-zw4wb3fx5r 2 місяці тому

    오상님! 죄송하지만 꼭 물어보고싶은것이있어서요
    혹시 아신다면 답변부탁드립니다!!
    저희어머니가 파키슨이신데
    파키슨에 나토키나제가 좋다고해서
    지금 문제가되고있는 회사제품은 아니고 노구치의학연구소제품인 나토키나제를 드시고계신데
    일본지인분이 그제품도 붉은누룩이
    들어갔으니 드시지말라고하는데 다른제약회사인데도 먹으면 안되는건가요?
    혹시 아는것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꼭 답변부탁드리겠습니다😢

  • @user-mb9yd4yq1u
    @user-mb9yd4yq1u 2 місяці тому +1

    홍국은 원래도 조심히 먹으라고 하는건데 장기복용이면 ㅡㅡ. 저거랑 상관없이라도 한국도 홍국 포함된거 있는데 드실때 조심히 드셔야됨. 영양제들도 중간에 끊었다 드셔야 할것들도 있고..

  • @user-kg5zo4oe6k
    @user-kg5zo4oe6k 2 місяці тому

    저 쿨시트 엄청 많이 사용하는 거잖아요 ;;;;; 아이고야

  • @b-koonk5943
    @b-koonk5943 2 місяці тому +2

    아침을 여는 소식!!

  • @han_kki_man_du
    @han_kki_man_du 2 місяці тому +5

    나도....제약...시작해 볼까?

  • @user_bro77
    @user_bro77 2 місяці тому +2

    우리나라도 이런업체 많지않음 ? 다이어트 되네 근육에 좋네 이런약들

  • @gomapda8425
    @gomapda8425 2 місяці тому +2

    😊😊😊😊😊

  • @romancepower1482
    @romancepower1482 2 місяці тому

    봄 꽃이 휘날리는 흔적 투척 툭 데굴데굴 엎드려 터진다 빵

  • @user-jp2bb1pe3w
    @user-jp2bb1pe3w 2 місяці тому

    정확한 원인을 찾고 문제를 해결 해야되는데
    그냥 빨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먹구구식 어느나라에도 있지만
    일본은 선진국이라는 나라에서 식품회사에서 아니 제약회사에서

  • @AK-xw5yc
    @AK-xw5yc 2 місяці тому

    진짜 이게 뭔일인가 싶어요

  • @mooher7969
    @mooher7969 2 місяці тому +4

    언젠가 의사분한테 고지혈증 콜레스테롤 관련 보조제에 대하여 물어보니 이렇게 대답합디다.
    "그렇게 좋은거면 그걸 의약품으로 만들었겠지요"
    그말 듣고 나서부터 어떠한 보조제도 안먹습니다.
    다만, 비타민은 의약품이 아니니 상관없겠지만...

    • @JOOYUN1
      @JOOYUN1 2 місяці тому +1

      실제 홍국에서 기능성분으로 되어있는 것으로 콜레스테롤 저해제 만든 것 입니다. 스타틴이랑 같은거에요.... 홍국 자체는 그냥 유효성분이 좀 낮은 약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 @user-nm5or8gy1o
      @user-nm5or8gy1o 2 місяці тому

      국내에선 모나콜린을 아무 문제 없이 사용 할수 있지만 외국에선 스타딘과 또같은거라 의사 통제 하의 섭취 하라 합니다.

  • @km-mp4oo
    @km-mp4oo 2 місяці тому

    일본에 20년 살았는데 코바야시제약이 제약회사 아닌 건 첨 알았어요 😅 제약회산데 먼가 제품들도 잼있고 CM도 옛날스런 느낌이어서 친근감까지 느끼고 있었다는ㅋㅋㅋㅋㅋㅋㅋ

  • @MM-hi7cy
    @MM-hi7cy 2 місяці тому +1

    이런거 보면 한약도 좀 꺼려짐. 특히 생약쓰는건 진짜 위험해 보임.

  • @user-wh5gj7jt5z
    @user-wh5gj7jt5z 2 місяці тому +1

    제약회사가 아닌데 제약회사라는 이름을 옛날부터 써왔으니까 21세기에도 계속 쓰다니 ㄷㄷ 참 희한하네. 우리나라는 "피곤은 간때문이야" 를 "피곤한 간때문이야" 로 바꿀 정도로 작은 부분까지 시비를 따지는데

  • @pickone1727
    @pickone1727 2 місяці тому +1

    우리나라도 이런 회사들이 있을거 같은데...

  • @user-rh1ot9ze8h
    @user-rh1ot9ze8h 2 місяці тому +3

    홍국
    우리나라도 팔리는중인거같던데...

  • @bcan5110
    @bcan5110 2 місяці тому +1

    의약품은 만큼은 어쩔 수 없이 추축국(나, 일) 것 써야 한다는 게 불변의 진리였는데...

  • @userskorea
    @userskorea 2 місяці тому

    건기식 챙겨먹는 돈으로 그냥 맛있는거 사먹거 헹복한게 건강에 나은 경우가 많습니다.

  • @jameskim9376
    @jameskim9376 2 місяці тому +10

  • @user-qw5xo9tr9k
    @user-qw5xo9tr9k 2 місяці тому +1

    ❤❤❤

  • @racerblaze
    @racerblaze 2 місяці тому +3

    철야 고생많으셨습니

  • @Thebattleofsalsu
    @Thebattleofsalsu 2 місяці тому +8

    홍국 자체는 효과 있는 건강기능식품?인데 제조한 기업 실수로 심각한 문제가 생겼는데 홍국은 죄가 없어 ㅠㅋ 근데 사람들 심리가 그렇지 뭐 ㅠ

  • @user-qp2im6tr6k
    @user-qp2im6tr6k 2 місяці тому +8

    일본 식품이나, 건강보조식품 첨가물 들어있어 불안하죠!

  • @user-ne2cy8ly8v
    @user-ne2cy8ly8v 2 місяці тому +2

    우리집에도 이회사 제품이습니다!

  • @dedicatus010
    @dedicatus010 2 місяці тому +6

  • @agljhdth3638
    @agljhdth3638 2 місяці тому

    한국은 홍국이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사용될 경우 시트리닌 (진독균) 규정이 있는데 일본은 거의 식품수준으로 팔아서 기준 관리가 안됬나 보네요....

  • @wingspoet
    @wingspoet 2 місяці тому +5

    중의적 의미로 진짜 약파네....

  • @user-xt8xh6pu4l
    @user-xt8xh6pu4l 2 місяці тому

    그래도 혼다랑 소니 알파 시리즈.
    그리고 각종 음향기기들은 좋은데...

  • @user-ep6cd5nf7y
    @user-ep6cd5nf7y 2 місяці тому +2

    제약회사인줄 알았는데 약파는 회사였네요

  • @isfp777
    @isfp777 2 місяці тому +1

    헉 뭐야 아이봉 ㄷㄷ
    제약회사란이름 못쓰게해야할듯

  • @kscho0207
    @kscho0207 2 місяці тому

    여행갈때 코바야시제약 상품들 사는거 피해야겠네요

  • @sujinc9746
    @sujinc9746 2 місяці тому +2

    헐 제약회사라고 해서 의약회사인줄

  • @user-rk1de3hk1y
    @user-rk1de3hk1y 2 місяці тому +2

    '제약=화학chemical'이란 이름을 '의약medical'으로 이해했기에 일어난 사단이군요~~

  • @user-rd9ti7vo9d
    @user-rd9ti7vo9d 2 місяці тому

    헐 아이봉...

  • @-HKKang
    @-HKKang 2 місяці тому +1

    소비자들이 '건강식품'이라 말하는데, '건강기능식품'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에 대해서 엄밀히 구분하기 위해 제품에 넣는 광고문구에 대해서도 규제나 제한을 강하게 내리기도 하고.. 여러모로 절차가 상당히 까다로운 편입니다.
    원래라면 해당 문제가 되는 제품에 대한 원료를 집중적으로 전수검사를 하고 분석한 뒤 조치를 취하는 방식이라면.. 일본은 일단 가장 이슈가 되는 원료 자체를 원천봉쇄 해서 일처리를 하는 걸 보면 역시 일본스럽다는 느낌이..드네요.

  • @sms2942
    @sms2942 2 місяці тому +3

    떡상 떡상 떡상!!!!!

  • @JOOYUN1
    @JOOYUN1 2 місяці тому

    홍국 자체는 오래전 부터 먹어오던 식품원료이고 국내의 경우 건기식으로 분류되어 곰팡이 독소 등 독성물질에대한 관리지표가 설정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그냥 저 회사가 제조상 결함이 있었던거 같네요....

  • @TheCar1129
    @TheCar1129 2 місяці тому

    제2종 의약품은 의약사 면허가 있는 드럭스토어에서 약제사랑 상담을 거친후에 파는것이 정석입니다만. 일본의 드럭스토어는 올X브영 이나 미국의 CVS그대로 옮겨놓은듯한 느낌이라. 약사나 판매원이나 별 차이가 없어 보이는거 같습니다. 그냥 이약 어딧어요? 저약 주세용? 하면 하잇 하고 바로 있는 자리 찾아 주는 경우가 많더군요. 한국의 동네 약국에 좀 작은 곳에 가면 그래도 약사들이 [왜 그러시는데요? 그약 뭐하는데 쓰시려구요?] 라고 일단 확인하고 잠깐이나마 약리랑 증상이랑 맞는지 안맞는지 한번은 체크 해주더군요. (참고로 일본가서 사오는 2종 위의 특약품 / 건보식품류는 용량 갯수 불문하고 6개까지만 들고올수 있습니다. 그이상 사오면 세관에 통보하고 신고해야됩니다.)

  • @jungjinkyoung
    @jungjinkyoung 2 місяці тому

    건강식품을 기능성건강약품처럼 취급하는 곳이 전세계에서 일본과 한국 뿐이라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