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농부 1,558] 장마철 수박밭에 물끊기. 터지기 전에 하세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0 чер 2024
  • 장마철에 수박도 터진다.

КОМЕНТАРІ • 53

  • @user-ms7wk5qe4s
    @user-ms7wk5qe4s 7 днів тому +1

    친절한 텃밭농부님~~~~
    늘 대단하신 열정에 탄복하고 실천하자니 우중에 나가기 싫고 비 그치면 나가봐야겠네요
    지혜 나눔 감사합니다~~

  • @mcgregor393
    @mcgregor393 7 днів тому +3

    어르신 화질 1080은 요즘 기본인데 화질좀 올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user-hl9ul2sy3j
      @user-hl9ul2sy3j  7 дн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

    • @user-mf5lp9kd9g
      @user-mf5lp9kd9g 7 днів тому +1

      수박물끊기를 이렇게하는군요. 좋은것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mc4zx8ly7j
    @user-mc4zx8ly7j 7 дн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

  • @user-th4hh6bj9z
    @user-th4hh6bj9z 6 днів тому

    선생님
    장마철 수박밭 물끊기 완벽해서 소방차가 부어도 끄떡 없겠습니다.
    최고의 기법
    특허감인것 같습니다.👍

  • @user-mh7gl4fb2i
    @user-mh7gl4fb2i 7 днів тому +1

    와 멋떨어지네요 최고 👍 😍 💕

  • @user-kn6fk4zz1l
    @user-kn6fk4zz1l 7 днів тому


    아이디어
    짱 입니다
    저도
    호박잎으로
    수박 이불씌워
    줘야
    겠습니다
    매일
    매일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 @user-hl9ul2sy3j
      @user-hl9ul2sy3j  7 днів тому


      그 정도로는 장마비 못막습니다.

  • @user-bq2gn9lh1x
    @user-bq2gn9lh1x 7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 @user-hh1eo3lf1s
    @user-hh1eo3lf1s 7 днів тому

    애플수박 지지대에 키우는중이라 고민중이었는데 아이디어 공유 감사합니다.
    덕부네 장마를 잘 견뎌 보겠습니다.

    • @user-hl9ul2sy3j
      @user-hl9ul2sy3j  7 днів тому


      잘 막아서 터지는 수박이 없길 바랍니다.

  • @user-qq3ki8bc6l
    @user-qq3ki8bc6l 7 днів тому

    박사님 아이디어 멋지십니다 ㅎㅎ 사실 저는 지난해는 그런가보다 했는데 겪어보니 아이쿠야 싶었어요 박사님 말씀 공감 확실하게 머리에 입력했습니다 이제 2가지 다 할수있습니다 영상 감사히 잘 보고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박사님

  • @dkkim8132
    @dkkim8132 7 днів тому

    수박이 탐스럽네요..😊

  • @user-uc2tk3dq9q
    @user-uc2tk3dq9q 7 днів тому +1

    선생님 활대구입 골고루 사려면 몆매다 짜리 사면대나요 오늘 사로 갑니다. 준비 ㅎ 😅수고하셨습니다 😅

    • @user-hl9ul2sy3j
      @user-hl9ul2sy3j  7 днів тому


      1.8m, 그리고 2.1m 가 있으면 유용하게 쓰입니다.

    • @user-uc2tk3dq9q
      @user-uc2tk3dq9q 7 днів тому

      선생님 장마끝나고나면 비닐 덥은거 어떻게 하나요?수박 딸때까지 그냥 나두나요? 감사합니다 😂❤

    • @user-hl9ul2sy3j
      @user-hl9ul2sy3j  7 днів тому

      @@user-uc2tk3dq9q 활대 꽂은것은 그대로 두고 수직으로 키우는 것은 비가 안올때는 걷어서 올려줘야 됩니다.
      그러다가 비오면 또 내리고..

  • @user-mc5fw5dj6w
    @user-mc5fw5dj6w 7 днів тому

    텃밭농부님 영상으로 농사공부를 거의 다 하고있는 초보 텃밭러입니다.
    내년 스승의 날에는 주소를 확인해서 선물이라도 보내드려야겠다 생각합니다.
    텃밭농부님께 거의 다 배웠지만 한 가지는 다르게 하고있어서 그 점에 대한 의견을 구할까 합니다.
    저희 텃밭은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비닐멀칭을 하지 않았습니다.
    자연멀칭이라고 해서 수명이 다 한 누런 이파리들이나 연못에서 건진 마른 부들대를 이용하여 모종의 주변에만 멀칭을 했습니다.
    퇴비장을 따로 만들어 둔 상태라 거름이 좋은지 제 텃밭에는 충해나 감염성질환에 걸린 작물이 하나도 없습니다.
    텃밭농부님께서 알려주신 것 중에 유일하게 따라해 보지 않은 것이 천연방충방역제 사용입니다.
    그렇다보니 작물이 심겨진 땅 외의 부분에는 잡초가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잘 관찰해보니 벌레도 새들도 작물 보다는 잡초를 더 좋아하는 것 같았습니다.
    특히 새들은 잡초에 있는 벌레들을 잘 잡아먹는 것이 보였습니다.
    진딧물은 조뱅이나 지칭개에 집중되어있고 조뱅이와 지칭개를 집중적으로 뽑아서 햇빛에 던져두었더니 많이 사라졌구요
    그 다음으로는 개망초에 조금 몰리는 것 같았지만 개체수는 눈에 뜨이게 줄었습니다.
    개망초 중에서 진딧물이 오른 것이 보이는 것만 몇 뿌리 뽑아서 햇빛 아래 버렸습니다.
    저는 잡초에 관한 연구가 조금 더 의미있는 농사에 도움이 되지않을까 생각합니다.
    잡초 덕분에 제 밭은 작물에 병이 없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거든요.
    시들어 죽은 잡초는 모아서 액비 만들 때 사용하기도 하고 햇빛에 잘 말려서 태워서 잿물액비를 만들기도 하고 그럽니다.
    그러고도 남는 부스러진 잡초 찌꺼기는 자연멀칭에 사용합니다.
    텃밭과 그 주변 까지의 상호적인 순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저는 텃밭농사를 통해 참으로 마음이 편하고 행복함을 느낍니다.
    멀칭에 사용한 비닐도 버리지 않고 재활용 또 재활용합니다.
    비가 올 때는 빈 그릇들을 있는대로 늘어놓고 빗물을 받아서 물줄 떄 활용하고있고
    장마가 아닌 떄, 평소에는 연못의 물을 떠와서 줍니다.
    바로 옆에 있는 연못이 제법 큰데 물 속에서 찌꺼기로 취급되는 물이끼나 연꽃이파리 등등과 함께
    물고기 똥도 때로 뿌리와 함께 뽑혀져 나오는 뻘흙도 토양에는 엄청난 미네랄 공급원이라 생각됩니다.
    물을 떠오는 수고가 매일 있기는 하지만 연못 물과 밭이 이어져있는 조건이 가장 장점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텃밭농사를 적극적으로 하면서 몇 가지 의문과 궁금증이 있는데
    일단 오늘은 잡초가 방제에 효과적이라는 제 의견에 대한 텃밭농부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늘 감사 또 감사드립니다.^^

    • @user-hl9ul2sy3j
      @user-hl9ul2sy3j  7 днів тому


      대단한 관찰력을 갖고 계신 점 먼저 존경합니다.
      저도 31년째 텃밭농사를 하면서 인터넷이 없든 시절 부터 온갖 서적이나 관계자의
      교육을 통해서 공부를 열심히 했지만 아직 부족함이 많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잡초에 대한 선입견은 첫째 대단한 생명력과 자생력 이라고
      생각합니다. 물을 주지 않아도 아무리 가물어도 잡초는 말라 죽지 않고 거름을 전혀 주지 않아도 엄청난 활작력과 번식력으로 살아 남습니다.
      그래서 때로는 저 잡초의 특성을 작물에 접목 시킬 수 없을까? 하는 생각은 해 봤습니다. 그러나 병해충이 작물 보다 잡초에 더 많고 취약하다는 말에는 동의가 어렵습니다.
      다만 건강하게 자라는 작물은 스스로 병해충에 대한 방어력이 있어서 이긴다고
      하지만 잡초 보다는 분명히 약하다고 생각합니다.
      개망초에 붙어 있는 정도의 진딧물이 배추에 붙어 있다면 배추가 온전하게 자랄까요?
      저도 앞으로 농부님께서 던져 주신 그 의문점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한가지 말씀 드릴 수 있는 것은 친환경적이고 순환농법적인 측면에서는 저보다
      적극 적이고 훌륭하다고 인정합니다.
      제가 650평의 텃밭을 가꾸는데 혼자서 힘에 부쳐서 400평 정도 가꾸어 보면
      비닐의 힘, 재초매트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잡초와의 전쟁에서 도저히 이기고
      농사를 지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지금 혼자서 그렇게 하셔서 몇평의 농사를 짓고 계시는지 궁금하네요..
      감사합니다.

    • @user-mc5fw5dj6w
      @user-mc5fw5dj6w 7 днів тому

      @@user-hl9ul2sy3j 제 표현을 약간 오해하신 것 같습니다.
      잡초가 병해충에 더 취약하다는 것은 아니었구요
      다만 사람이 키우는 작물 보다 잡초에 벌레와 새가 더 많이 꼬이더라는 뜻이었습니다.
      그러니까 벌레와 새가 더 선호하는 것이 작물이 아니고 잡초여서 그 덕분에 주변 작물은 도리어 피해를 입지 않는 것이 아닐까 이런 의문이었습니다.
      선생님 말씀대로 그런 수 많은 벌레와 새의 공격에도 불구하고 잡초들은 강인하게 잘 자라더군요.
      저는 선생님의 이론 중 토양만들기를 제일 당연하고 멋진 원리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언젠가 책을 쓰게 되면 "흙 피고 지고 꽃 피고 지고"라는 제목을 쓸까 생각했습니다.
      책 제목만으로 보자면 농사책일 것 같지만 사실은 전혀 다른 분야입니다만 예전 부터 땅을 보며 참 비슷하다 생각했을 뿐입니다.
      흙이 살아야 꽃이 제대로 피어날 것이니 제가 연구하는 분야도 바탕이 살아나야 온전해진다는 의미였습니다.
      저는 밭은 겨우 50평 정도 텃밭으로 가꾸고 있고 올 해 처음 농사일을 합니다.
      전체 면적은 약 100평이지만 워낙 돌밭이고 처음 가꾸는 땅이라 맨 손으로 곡괭이질 해가며 밭 만들려니
      아직 까지 반 밖에 밭을 만들지 못 했습니다.
      그 덕분에 잡초가 무성한 곳도 많아서 잡초와 벌레들과 새들을 관찰하게 되었습니다.
      일을 안 할 때에도 저는 텃밭에 앉아서 그냥 바람소리 새소리 들을 때가 많거든요.
      제 텃밭은 넓은 농지 중의 일부가 아니고 숲에 둘러 싸인 그린벨트 지역의 농지라 숲 속에 있습니다.
      제가 텃밭에 나가면 꼭 날아 오는 산비둘기도 있습니다.
      제가 일할 때면 밭에 내려 앉아서 돌아 다니며 저를 보기도 하고 벌레를 잡아 먹기도 하고 그러면서 제 주변을 맴돕니다.
      오늘 처럼 비가 오는 날에도 제가 잠시 비가 주춤할 때 밭에 나갔더니 또 그 비둘기가 날아와서는 종종거리며 주변을 돌아다녔습니다.
      어떤 길냥이는 해거름이면 제 곁에 와서 2미터쯤 떨어진 자리에서 저를 바라보거나 잠들거나 그럽니다.
      처음에는 배가 고파 그러나 했는데 뭘 줘도 별로 관심이 없고 저만 봅니다.
      저는 텃밭에서 완전 인싸입니다. ㅎㅎㅎ~ 텃밭에서는 이렇게 다양한 이유로 행복합니다.
      농사일은 여전히 초보 수준이라 어제 감자를 캤는데 완전 폭망이었습니다.
      제가 텃밭농부님 채널로 공부해가며 하다보니 다 잘 되었는데 멋모르고 그냥 무작정 심어두면 되는 줄 알았던 감자는
      성장일수의 절대적인 부족으로 공깃돌만한 수준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역시 사람은 자기가 뭘 모르는지 알 때 배울 기회도 있다는 사실을 크게 깨닫고 지식 앞에 더욱 겸손하고 진지해지기로 했습니다.
      진지하고 친절하신 답변에 감사드리며 언제 시간 내서 한 번 찾아뵙겠습니다.
      유익하고 신나는 토론의 시간이 기대되어서 말입니다.
      텃밭농부 채널의 운영을 응원드리고 감사드립니다.^^

    • @user-hl9ul2sy3j
      @user-hl9ul2sy3j  7 днів тому

      @@user-mc5fw5dj6w 모든것이 잔심이고 자연을 좋아하시는 분인것 같아서 좋습니다.
      작물과 대화 한다고 제가 말하면 식물과 어떻게 대화를 하느냐? 라고 생각 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그런 마음이죠.
      기회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장마 준비 잘 하시기 바랍니다.

  • @user-ih9nk2nv1y
    @user-ih9nk2nv1y 4 дні тому

    투명비닐은 어디서 구매하셧나요 인터넷이면 링크좀주세요

  • @user-zi4xv8ut7m
    @user-zi4xv8ut7m 5 днів тому

    질문있습니다
    화분에 접수박(통큰)을 심었는데
    착과후 20마디쯤 아들순2줄기 전부 적심했습니다
    아들순 잎이 착과한위치 뒷쪽으로 잘 크지가 않습니다
    영양이 부족한걸까요?

    • @user-hl9ul2sy3j
      @user-hl9ul2sy3j  5 днів тому


      수박이 착과 되면 거름이 많이 필요합니다.
      웃거름으로 액비를 3~4일 간격으로 주세요. 물도 자주 주시구요.

    • @user-zi4xv8ut7m
      @user-zi4xv8ut7m 4 дні тому

      알겠습니다~감사합니다^^

  • @estheticindiba8406
    @estheticindiba8406 6 днів тому

    활대없이 비닐만 쒸어노으면 않되나요?
    수박이착과되었다가 떨어지는건 왜인가요?

    • @user-hl9ul2sy3j
      @user-hl9ul2sy3j  6 днів тому


      비닐만 덮으면 달라 붙어서 좋지 않습니다.
      그것은 꽃가루받이가 안 되어서 그렇습니다.

  • @user-ow9rx1uj7q
    @user-ow9rx1uj7q 7 днів тому

    수박받침대는 어디서 구입하나요

    • @user-hl9ul2sy3j
      @user-hl9ul2sy3j  7 днів тому +1


      온라인 쇼핑몰에서 "수박받침대"를 검색 해 보세요.
      다양한 격이 있습니다. 수박은 좀 큰걸로 구입하세요.
      단호박과 참외는 작은걸로...

  • @user-fi8tz8dy9y
    @user-fi8tz8dy9y 7 днів тому

    토마토 장마 대비는 어떻게 해줘야할까요?

    • @user-hl9ul2sy3j
      @user-hl9ul2sy3j  7 днів тому +2


      뿌리쪽에 고추처럼 물끊기를 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 터져서 못먹습니다.

  • @user-od9jv5qt6v
    @user-od9jv5qt6v 7 днів тому

    비닐에 하얀색 숫자 뭐로 쓰신 거예요?

    • @user-hl9ul2sy3j
      @user-hl9ul2sy3j  7 днів тому +2


      유성팬으로 씁니다.
      꽃가루받이 한 날과 수박을 수확 할 예정일 입니다.

    • @user-od9jv5qt6v
      @user-od9jv5qt6v 7 днів тому +1

      @@user-hl9ul2sy3j 네 감사합니다

  • @user-kn6fk4zz1l
    @user-kn6fk4zz1l 7 днів тому +1

    저희 수박은
    정상으로
    열매가
    양호합니다
    그런데

    참외는
    눈사람 처럼
    생겼습니다
    우짜마
    좋습니까~~?
    도움 요청 드립니다

    • @user-hl9ul2sy3j
      @user-hl9ul2sy3j  7 днів тому

      여러가지 거름성분과 수분 부족인데 액비 웃거름 자주 주시고 물도 충분히 주세요.
      장마철에는 너무 많은 빗물이 뿌리로 들어 가지 못하게 해 주세요.

    • @user-ow9rx1uj7q
      @user-ow9rx1uj7q 7 днів тому

      정말 대단하십니다.
      저희는 힘들다고 감히 이런생각을 해보지도 못했어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user-hl9ul2sy3j
      @user-hl9ul2sy3j  7 днів тому

      @@user-ow9rx1uj7q 네
      그래도 장마철에는 막아야 합니다.
      수박이 터집니다.

    • @user-tm1jr6wj7j
      @user-tm1jr6wj7j 7 днів тому

      대단하십니다. 다년간의 경험과 연구때문이겠지요~~항상 감사합니다

    • @user-hl9ul2sy3j
      @user-hl9ul2sy3j  7 днів тому

      @@user-tm1jr6wj7j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