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되기 전 나타나는 딱 1가지 징조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235

  • @리섭
    @리섭  Рік тому +148

    저도 강의팔이는 맞는데 저는 착한 강의팔이랍니다?
    내로남불 오진다고요?
    인생은 원래 내로남불임 ㅋㅋ
    leeseobtv.co.kr/
    세계최초 연예인과 결혼한 남자의 연애 강의 😎

    • @thegame3467
      @thegame3467 Рік тому +4

      데헷

    • @user-Yoonlukasneunpinkgay
      @user-Yoonlukasneunpinkgay Рік тому +5

      애초에 강의팔이 그 자체가 문제인 게 아니라 값을 못하는 강의를 파는 게 문제인데, 강의 판다는 이유만으로 "리섭도 똑같다"며 욕하는 놈들은.... 결국 퀄리티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언제나 응원합니다!

    • @오늘지수를알려드리겠
      @오늘지수를알려드리겠 Рік тому +4

      부인이 배슬기인데.. 이럼 킹정인데..

    • @yunchangchoi5686
      @yunchangchoi5686 Рік тому +6

      리섭님 유투브자주 보는데,
      리섭님 말씀대로 단순히 돈을
      번다는 관점에서는 독서가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독서를 통해서
      마음의 양식을 쌓고 좀더 깊이 있는 교양을
      갖춘다는 관점에서는 많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왜 그렇게 까지 독서를 폄하
      하시는지요? 꼭 독서를 해서 돈을 잘
      벌어야 지만 독서가 의미가 있는건가요?
      독서른 통해서 어휘력을 기르고, 다양한
      인생을 간접경험하고, 사고와 인식의
      영역을 넓히는 목적도 있는 겁니다.
      너무 독서 그 자체를 쓸데없다는 식으로
      매도 하시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 @리섭
      @리섭  Рік тому +15

      @@yunchangchoi5686 독서 좋은 거 맞아요. 독서가 나쁘다는 게 아닙니다. 제 자식을 낳아도 독서는 꼭 시킬 거예요. 근데 방구석에서 자기계발서만 읽는다고 해서 돈이 벌리는 것도 아니고, 그런 사람들 끼리 모여서 독서 모임을 하고 돈 버는 얘기를 해봤자 돈을 벌 수 있는 레벨이 유의미하게 오르는 것이 아니라는 말을 하는 겁니다. 저는 독서를 폄하한 적이 없어요. 선생님께서 언급하신 '단순히 돈을 벌려고' 독서를 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말이에요.

  • @cats_catnip
    @cats_catnip Рік тому +169

    어떤 사람이 여러분들은 왜 전자책 안쓰시냐고 전자책 쓰면 돈을 어마무시하게 번다고 다들 자기처럼 전자책 써서 돈벌라고 해서 그 사람이 무슨 전자책을 썼나 찾아보니 '전자책 써서 돈버는 방법' ㅋㅋㅋㅋㅋㅋㅋ

    • @cats_catnip
      @cats_catnip Рік тому +13

      @@34vcdfg5dc 혹시 귀하께서 쓰신 책 제목이 '전자책 써서 돈 버는 방법을 보고 전자책 써서 월수입 천만원 버는 방법' 인가요?

    • @화당-l5s
      @화당-l5s Рік тому +6

      댓글도 웃긴데 답글단 인간도 재밌네요 ㅋㅋ

    • @nous2praxis
      @nous2praxis Рік тому +1

      근데 사실 그 사람도 대단한 건 맞죠.. ㅋㅋ

  • @유유-r2y
    @유유-r2y Рік тому +61

    공감. 사업하면 직원 부리고 사장은 놀거라 생각하는데 그런 곳은 티남ㅋㅋㅋㅋ사업장에 사장이 붙어 있는 곳에 돈이 붙음..ㄹㅇ임

    • @moneysmith6681
      @moneysmith6681 Рік тому +2

      그건 사업규모에 따라 다릅니다.

  • @개돼지이
    @개돼지이 Рік тому +1

    그런 레버리지가 되려면 투자를 해서 그 투자회사들이 일만 해도 어느 정도 돈이 벌리는 사람들이 가능하고, 그거 잘하기로 유명한 사람 한 명 있습니다. 워렌버핏 이라고..
    그런 사람 아니면 저런거 생각도 하지마세요. 그걸로 부자는 커녕 먹고 살 돈 벌기도 힘들어요
    10:40
    그것도 사람 나름이라 봅니다. 어지간한 회사들의 경우 문과를 나오나 이과를 나오나 일단 들어가면 대우가 크게 다르지 않아요. 정말 기술의 경우엔 기술사/기능장, 연구의 경우 박사급 이상 아니면 이과 직무랑 문과 직무랑 월급을 어느 정도 맞춰줄 수밖에 없고 들어가는 난이도 자체도 노력을 비슷하게 한다는 가정 하에 비슷합니다.
    차이가 있다면 이과는 기본 공부량이 많다는 것일 뿐, 해야 하는 공부량은 큰 차이가 없다 봅니다.
    12:01
    이것 역시 사람 나름이라 봅니다. 중소기업도 그냥 다니면 배울거 없고 대기업도 다양한 직무에 관심만 많다면 배울거 많아요. 사람 마인드 차이지, 대기업 다닌다고 뭐가 안된다는건 없어요. 오히려 대기업에 배울만한 사람은 더 많다 봅니다.
    월급도 마찬가지입니다. 나와서 사업할 자본 벌기부터 대출 등등 유리한게 너무도 많아요.
    "사업 하려고 하면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좋다"
    이게 아니라
    "사업을 준비하기도 대기업이 좋지만, 중소기업에서 돈 많이 벌려면 창업이나 이직 밖에 없다"
    이게 더 가깝다고 봅니다.
    중소기업 나와 창업해서 성공하면 리섭님 이지만, 대기업 나와서 창업한게 네카라쿠배 입니다. 심지어 네이버 창업주는 삼성에서 나왔어요. 이런 상황에서는 사업하더라도 대기업이 유리한건 맞지만, 대기업 다니면 굳이 나가서 고생 안하는 사람이 많다는게 더 가까운 말 아닐지 싶습니다.

  • @시에티아
    @시에티아 Рік тому +128

    사람 좀 고용해보니 알겠더군요 성공한 사업가들이 왜 그렇게 사람을 강조하고 사람을 중요시하는지.... 진짜 제대로 된 인재는 정말 너무 없습니다 사장 없어도 사장 마인드로 하는 그런 사람 뽑기 정말 너무 힘들고 거의 없고 그사람을 내 사람으로 만드는거도 너무 힘듭니다

    • @λέξανδροςοΜέγας
      @λέξανδροςοΜέγας Рік тому +11

      맞아요.. 누군가에게 위임.. 그게 사업의 처음과 끝이라 생각합니다

    • @뭐야이거-d6e
      @뭐야이거-d6e Рік тому +7

      ㅇㅈ 사람이 중요하다 중요하다 그 이유를 알 것 같음 별의별 미친놈이 다 있음

    • @민석김-y9b
      @민석김-y9b Рік тому +32

      본인도 누군가의 직원이었을적에..
      사장처럼 일하셨나요?
      본인도 그런적 없으면서
      직원탓만하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주인정신 가진 우수한 직원들은
      야망이 큰 경우가 많아요....
      욕심히 크고 야망이 크기때문에
      안주하지않고 끊임없이 발전하려하고
      생각하고 고민하면서 업무를 수행하므로
      탁월한 성과를 내는겁니다..
      다만 그런 직원을 뽑으셔도
      나중에는 본인의 그릇을 훌쩍 넘는경우도많아요..
      탁월한 인재를 본인사람으로 만들기
      힘들다?
      그건 본인의 그릇을 넘는 사람일겁니다.🤔🤔🤔🤔
      주인정신과 탁월한 능력자 ..말고...
      주인정신 약간있는 ...노예를 찾으세요....
      물론 그런 주인정신가진 노예도 시중에는
      드물지만.......🎉🎉🎉

    • @시에티아
      @시에티아 Рік тому +6

      @@민석김-y9b 어딜 봐서 직원탓하는건지... 사람 찾기 어렵고 얻기 어렵다는 얘기 쓴건데 혼자 앞서가시네요

    • @민석김-y9b
      @민석김-y9b Рік тому +6

      @@시에티아 본인이 쓴 글 잘 읽어보시길.....

  • @kyuridaTV
    @kyuridaTV Рік тому +28

    저도 20대 전문직 준비하던 시절이랑 30대초반 영업하던 시절
    3년 이상 고독한 시간을 가졌던거 같습니다
    완전 공감 합니다 ㅎㅎ

  • @강환국
    @강환국 Рік тому +13

    19:58 리섭님이 뭘 해도 성공할 수밖에 없는 이유

  • @user-nj5go4vd5e
    @user-nj5go4vd5e Рік тому +31

    주인 없는 곳 표난다에 한표~~ 곧 망한데 많이봄.
    가게 들어가서 가장 열심히하고 젤 상냥하고 젤 하찮은일 하시는 분이 사장일 가능성 99퍼. 1퍼 사장 부모님.

  • @서승범-g8l
    @서승범-g8l Рік тому +24

    저것보다 훨씬 중요하고 근본적인거 알려드림 몸건강 정신건강하면 돈같은건 저절로 따라옴 돈은 사실 그닥중요한건 아님 몸정신 건강한 사람이 부자보다 넘사로 적음

  • @jhlee-qj7oo
    @jhlee-qj7oo Рік тому +25

    참으로 기가찹니다. 저보다도 많이 어리신데도 저보다더 깊고 높은 생각을 가진거 들으면 들을수록 감탄만 나오네요 저는 실제로 제가 느끼고 겪을거이기에 더 맞다는 생각이 드네요

  • @nickchoi285
    @nickchoi285 Рік тому +26

    직장인은 이것저것 경력사항 많지만, 사업가는 폐업 및 창업이 커리어예요... 사업의 제일 중요한것은 LCO입니다.. 머리속에 꼭 넣으세요.

  • @user-hn1hy8sw9v
    @user-hn1hy8sw9v Рік тому +30

    3년전쯤 리섭님 디지털 노마드 영상보고 블로그 시작했었고 일 방문자 400명까지 찍으면서 저도 노력하면 뭐든 할 수 있다는 용기를 얻었습니다. 그 뒤로 적성에 안맞는 직장 때려치고 알바부터 시작해서 지금은 사업체 운영하고 있네요. 돈이 들어오면 디지게 바빠서 제시간도 없고 몸도 힘들고 혼자서 고독한 시간을 보내고 있었는데 역시 답을 얻어가네요. 어쩜 이렇게 사람을 간파하고 계시는지 신기합니다.

  • @user-sdpl657
    @user-sdpl657 Рік тому +1

    13:13 맞습니다. 일부러 자기분야만 딱 하게 해놓죠.
    어떤 분야는 그 분야 하나가 돌아가는데 수십명이 많게는 수백명이 연관되서 내가 회사 나가서 그 분야에 대해서 다른회사에 유출하지 못하게 합니다 .ㅋㅋㅋ
    그 분야를 다른회사에서 빼가기 위해서는 그 분야에 관련된 100명이상의 사람을 동시에. 빼가야가능..심지어 그 한팀의 100명이지 이팀 저팀에서 100명 합쳐놓으면 또 그 분야가 유출이 안됩니다 .ㅋ ㅋㅋ

  • @우주소녀-s8l
    @우주소녀-s8l Рік тому +17

    현장에서 부딪혀봐야 나중에 관리자가 되서 직원들 다루는 법과 돈의 흐름을 알기에 잘 운영할수 있을듯.. 안그러면 관리자되서 중간에 누가 돈을 횡령해도 직원들 불만 폭발해도 모를거같아욤.

  • @MrSmomo620
    @MrSmomo620 Рік тому +25

    ㅋㅋㅋㅋ 저도 제 블로그에 항상 하는 말이 '네 주제를 알아라' 랑 '남의 철학이 아닌 자신의 철학을 만들어라'인데ㅋㅋㅋㅋ공감 꾹 하고 갑니다 ㄹㅇ...

  • @user-shinsedae
    @user-shinsedae Рік тому +12

    사업을했으며 시행착오도 수많이 경험했고 좋소좋소 중소기업 다녀본 자만이 할수있는 뼈가되고 살이 되는 좋은 내용 공감 100% 찍고갑니다~~

  • @하나로냉동
    @하나로냉동 Рік тому +7

    책들은 제목이나 관점을 새로운 것 처럼 유행을 자극하는게 많은데 기본 원리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거의 같다고 봅니다. 그냥 내가 많이하고 잘해야 되는거라고 생각해용. 예를들면 내가 만약에 운동화 전문가가 되고싶다면 인도네시아 공장에서도 일해보고 수입판매사에서도 일해보고 중고거래도 해보고 수천종을 신어보고 세탁도 해보고... 많이 해야된다는 것 그거 하나뿐이죵

  • @mesher4828
    @mesher4828 Рік тому +30

    맞는 말입니다.
    이런 얘기하는 유튜버가 필요합니다.

  • @BEARprime
    @BEARprime Рік тому +13

    레버리지가 망하는 이유
    천길 물속은 알아도 사람속은 모른다.
    천체의 움직임은 예측할 수 있어도 인간의 광기는 예측할 수가 없다.
    이걸로 설명 가능

  • @bellajo
    @bellajo Рік тому +5

    와 진짜 독서모임50번보다 노점상 해보라는 조언 무릎을 탁 쳐요 제가 저런식으로 헛발질하다가 진짜 저렇게 하고 있거든요 ㅋㅋㅋ

  • @insomnia6992
    @insomnia6992 Рік тому +15

    시험, 운동도 고독을 겪어야 길이 보이던데 사람상대하는 장사도 마찬가지였군요. 어쩐지 장사의신이 자영업자에게 주문하는 수많은 것들도 결국 고독을 동반하는 것이었는데 정리가 되네요

  • @supersoniclove53
    @supersoniclove53 Рік тому +24

    역시 현실만을 알려주는 극현실주의 유투버 리섭ㅋㅋㅋㅋ 저도 저런거 볼때마다 저거 믿을만 한건가? 저것도 일종의 잘포장된 과장광고 아닐까? 궁금했는데 시원히 해석해 주셨네요ㅋㅋㅋㅋ

  • @이태훈-d3x9b
    @이태훈-d3x9b Рік тому +18

    와 미쳤다ㅋㅋㅋ주말에 일하고 있는데 마침 딱 알맞게 이영상을? 엄청난 센스....

  • @user-minso0
    @user-minso0 Рік тому +5

    무슨말 하고싶은지 확실하게 공감이되네요.
    솔직히 책도 무슨이론도 어느정도 실행력 실천력같은 사람이 해야지 그게 펼쳐지는법이지
    그저 이론만쌓아가고 그러는건 답없어보입니다

  • @2fr3
    @2fr3 Рік тому +11

    제가 알바하는 곳 사장님도 명퇴하고 전재산 다 몰빵해서 자영업 하는 사람들 이해 안 된다고 그렇게 할 바에는 처음부터 자영업 하는 게 맞는다고 말씀하시는데 사장님이랑 똑같이 말씀하셨어 소름 돋네요...

  • @blblst2
    @blblst2 Рік тому +3

    학원강사시면 공부방이나 과외부터 추천요. 주변에 그렇게 시작해서 지금 원생 늘어서 연봉 1,2억 버는 친구들이 있어요..꼭 학원을 차려야되는것도 아니고 한 친구는 자기 집에서 하다가 대출 조금 내서 자기집 바로 옆동 집 하나를 더 사서 공부방으로 써요. 재테크도 되고 학원건물 임대보다 훨씬 나은듯~
    물론 지방이고 친구집은 그중에서도 외곽이라 아파트가 좀 싸다는 장점도 있고요.

  • @hknmttj8545
    @hknmttj8545 Рік тому +14

    정말 많이 공감해요 ! 사업하는데 사장놀이가 아닌 자기사업을 해야하는건데요 소자본으로 현재 사업하는데 돈이별로없이 시작해서 홍보부터 하나하나 본인의 발로 뛰어서 키우고 있습니다.. 초기사업자가 직원둘생각부터 하는건 참 건방진생각같네요. 옳고 넓은 생각들 너무 공감하고 주변에도 영상보여주려구요. 중소기업 대기업 비교설명과 내현실에서 어떻게 받아드리고 대응하시는지, 부자가 되기전 전조증상 사실상 말도안되는 꿈같은 얘기들보다도 지금리섭님이 하신 말씀이 너무 당연한 것들인데 생각보다 이당연한것들을 인지 못한 사람이 천지입니다.. 그래서 사업시작할때도 사장놀이가되는 사람들이 많은것 같네요.. 너무 속시원하게 들었습니다

  • @각궁이Gakgung2
    @각궁이Gakgung2 Рік тому +44

    우와 진짜 이건 많은 사람들이 봤으면 하네요 현실적인 조언도 있고 저도 경험해보고 느낀 바랑 비슷한 부분이 많아서요 🙂

  • @이승규-n6i
    @이승규-n6i Рік тому +3

    음 ... 일단 자신의 정의하는 성공,부자,자수성가 간절해서 그런 목표를 세웠다면
    그것을 하고 있나 없나 성공했나 실패 했나 이런거 관계 없이 그러고 있으면 유튜브 보는 시간도 사치임 ㅋㅋㅋ
    일단 성공하고 부자가 되고 싶다는 사람한테 자신이 생각하는 성공이나 부자에 대한 정의가 뭐냐 물어보면 말못함
    거기서 부터 메타인지가 안되고 있는거임
    뭘 말하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목표란 나오긴 불가할거고 돈은 많이 벌고 싶어서 강사팔이 사짜한테 사기만 당할것이고 악순환만 반복일것임
    내가 생각하는 성공,부자, 자수성가 정의가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내가 정의한 성공에 가장 합당하게 이뤄내거나 그걸 하고있는 사람이라고 판단드는 사람 한태만 조언구하거나 배우고 그런거 아니라면 실전으로 실패를 통해 배우는게 더 효율적임

  • @이경재-n9m
    @이경재-n9m Рік тому +15

    씨름하기전 산호국민학교 강호동과 5학년때 같은 반 했든사람으로서 다른건 모르겠고 참놀기 좋아했고 리더십 강했고 마음이 여린건 기억남!! 그때본거 가끔 컨텐츠로 활용도하고 있네요 !! ㅋㅋ

  • @하양하양e
    @하양하양e Рік тому +11

    리섭님 너무 좋아요.. 요즘 바빠서 리섭님 영상 잘 못보고 있어서 아쉽지만😂 리섭님에게 가는 돈이니 영상 잘 못보고 있어도 멤버십 구독료 나가는거 안아까운 1인ㅋㅋㅋㅋㅋㅋ

  • @sangbumtv
    @sangbumtv Рік тому +10

    마지막 부분 정말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잘하고 있었던 거네요.. 감사합니다!

  • @C.H-j4z
    @C.H-j4z Рік тому +7

    깡통끼리 부딪쳐봐야 깡통소리 밖에 더나더냐

  • @하띄빵이
    @하띄빵이 Рік тому +4

    플라스틱 사출성형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는 30대초반 대표 입니다 리섭님 말씀 너무너무 공감되고 사람 뽑는거 진짜진짜 신중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주변에선 제가 쓰러질정도로 힘들어하니까 사람좀 쓰라고 하는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사람을 쓰는건 어느정도 궤도에 올랐을때 뽑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이런점들을 보았을때 주변에 성공하신 사장님들 진심으로 존경합니다

  • @p태빡
    @p태빡 Рік тому +12

    문과는 전문직테크 타야합니다 전문직 자격증을 따고 마케팅능력 향상시키면 월에 최소 천못벌면 바보소리 들어요 문과는 회사에서 생존하기 어렵습니다😢

  • @홍닥터-q9r
    @홍닥터-q9r Рік тому +10

    와 ㅋㅋ 이런 현실적인 이야기 잘 듣고 갑니다 역시 사업가는 다르네요

  • @user-sdpl657
    @user-sdpl657 Рік тому +1

    대기업은 아니지만.. 13년 동안 에 퇴직하려고 시도를 3~4번 했는데,
    퇴직할수 있었던 마지막기회가 지나고보니 첫번째 시도였더라구요.
    첫번째 시도할때는 연봉이 2800 이었는데,
    두번째는 4000 세번째는 5000 지금은연봉 7200받고있는데..
    이제서는 퇴직하고 어디 다른데 들어가서 7200받을수 있을지....
    점점.. 나가서 이연봉 보존받을수 있을까 생각하면서 늪에빠진것처럼 그냥 현실안주한것 같네요.

  • @박체리마루란
    @박체리마루란 Рік тому +7

    정말 현실적이셔서 좋음

  • @손실근-k4f
    @손실근-k4f Рік тому +3

    문송하다고 할게 아니라 게으름을 탓해야 합니다. 저는 문과나오고 30 넘어서 공부해서 IT업체와 커뮤니케이션도 가능하고, 업종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화공관련 회사 운영합니다. 대학 홈페이지 가면 커리큘럼도 나와있고 대학교 구내서점가면 전공책도 살 수 있어요. 공부하다 막히면 이과 친구한테 물어보구요. 한바퀴 돌리고 실무 구현하러 뛰어다니면 필요한 부분 학습 방향 잡힙니다. 요즘 시대에 혼자 공부하고 몸으로 배우기 너무 좋은 세상이고 효율은 오히려 좋아요.
    문과라고 갇혀있지 않으셔도 됩니다. 여러분 주변 이과생들과 이공계 취업자들도 똑같은 사람이지 천재들이 아닙니다. 후회되면 빨리 공부하는겁니다.

  • @heej02216
    @heej02216 Рік тому +3

    오늘 진짜 공감간다 자기계발은 혼자하는게 맞음

  • @merongmerongkk
    @merongmerongkk Рік тому +6

    마침 창업준비중인데 알찬 영상이네요 제생각이랑 똑같습니당

  • @율이-z2y
    @율이-z2y Рік тому

    여자인데 리섭님 통창력에 무릎을 칠떼가 많아 영상보러 자주옵니다👍

  • @무식은죄야
    @무식은죄야 Рік тому +3

    진짜 아무도 모른다고 생각했던, 경험으로 겪었던 일들과 생각들이 똑같이 다른 사람 입에서 나오고 같은 생각이 느껴지니 신기할 정도.. 내가 관심이 없었나

  • @codnjswl5243
    @codnjswl5243 Рік тому +9

    진짜 찐이십니다. 가장 객관적인 조언은 리섭님이 최고!!!강의팔이 무료버젼들으면 ㅋ헛웃음이 납니다😅

  • @프린스크리스
    @프린스크리스 Рік тому +1

    정말 주옥같은 조언인데 딱 하나 나와 틀리다면 책을 가까이 해야 성공한다는 생각인데 나는 책을 가까이 하는게 맞다고 생각하지만 리섭씨는 틀린생각? 틀린생각보다 책의 내용을 마치 성경처럼 맹신하고 주접떠는건 아니라는 생각 이란건데 그렇게 생각 하면 맞는 말이긴 하네요 책의 내용과 나의 경험과 거기서 오는 깨달음에서 교훈을 얻는거지 책내용이 깨달음도 없이 전가의 보도 같은 것은 아니란 말이면 나역시 리섭씨 말과 같다는 생각입니다 ㅎㅎ

  • @Cocolim88
    @Cocolim88 Рік тому +3

    ㅋㅋㅋㅋㅋㅋㅋ오뎅꼬치 하나 팔아본적 없는 인간들이 ㅋㅋㅋ 맑은 눈의 광인ㅋㅋㅋ 집단광기 넘나 인정해요😊 내가 사업가다 ㅋㅋ 사업병(?) 사업광(?) 들 뼈때리는 영상이네요...
    저도 사업도 레버리지도 조금 일찍 해서 작게나마 월세받고 있는데... 사업할땐 너무 힘들어서 사람들과 수다떨 시간도 힘도 없었던 기억이😂 그냥 인생을 갈아넣는다 싶을때쯤 돈이 재산이...생기더이다. 다시 기억도 하기 싫은 식겁하게 힘들었던 시절이에요😢 이젠 추억이지만요ㅋㅋㅋ

  • @킹콩캡틴
    @킹콩캡틴 Рік тому +2

    중소기업운영중인데..기가찬다...리섭은 어떻게 알았지..정확함..

  • @hoony076
    @hoony076 Рік тому +3

    이분 얘기하는거 보면 정말 나보다 20년은 더 사신분 같다. 제가 50다 되어가는 나이에 느낀 부분인데 리섭님은 얼마나 많은 경험을 하신거지?...

  • @Take_your_senses
    @Take_your_senses Рік тому +4

    나의 모닝은 절대로 굿모닝이 될 수 없고 현생을 버텨야하니까 마지못해 하는 게 대부분이고 굿모닝도 힘든 마당에 무슨 미라클임??? ㅎㅎㅎㅎ 미라클모닝이란 말
    너무 공감 안된다 진짜ㅠ

  • @user-to7hs3yi4s
    @user-to7hs3yi4s Рік тому +11

    대한민국 사람들 너무 열심히 살어.. 그냥 적당히 살아도 먹고 살수 있는 사회가 되야는데..

  • @PURPLE_RUT
    @PURPLE_RUT Рік тому +8

    책은 어디까지나 지식을 저장한 물건인데 그것의 본질을 망각하고 수단과 목적이 바뀐 인간들이 자기개발서가 인가가 많아진 후로 늘어난듯

  • @청담-o1z
    @청담-o1z Рік тому +2

    무슨 일이든 올인은 하지마라..사랑도 사업도 인생도..

  • @TheHappy1267
    @TheHappy1267 Рік тому +3

    정말 제대로 정리해주시네요.

  • @hh-gx6tk
    @hh-gx6tk Рік тому +7

    현실은 사업이 성공해서 어느정도 올라간사람은 대부분 전직 대기업출신이 많음. . 이건팩트..😮중소기업도 지들 밥그릇이라고 노하우 안알려줌 하다못해 공사판 노가다인력들도 지들 밥그릇 뺏기기 싫어서 새로온사람 텃세 오지게 부림

    • @꺼억-w6l
      @꺼억-w6l Рік тому +2

      그건 그냥 그사람능력이 좋은거 아닐까요. 대기업이라는 마약에 이겨낼정도로 결단력이랑 능력 그리고 운이 따라줫던 거겟죠

    • @꺼억-w6l
      @꺼억-w6l Рік тому

      중소기업사장 마음도 못 얻어내는데 그런 사람이 사업하는 것도 안될듯

    • @hh-gx6tk
      @hh-gx6tk Рік тому

      @@꺼억-w6l중소기업 사장 딸내미 꼬셔서 결혼하면 가능

  • @최윤정-z1x
    @최윤정-z1x Рік тому +2

    이 분 찐이네!! 고독의 시간!!!

  • @배근상-x9q
    @배근상-x9q Рік тому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통찰력과 혜안에 구독+알림 해두고 정주행하고있습니다👍

  • @junpyopark5679
    @junpyopark5679 Рік тому +10

    투자든 사업이든 레버리지를 굴리려면 리스크 관리가 제일 중요한데 사업 유튜버들은 그 부분은 어그로가 안끌려서 잘 이야기를 안하죠

  • @BoggleGoorm
    @BoggleGoorm Рік тому

    아 오늘도 오랜만에 리섭영상 보러와서 속 시원하게 긁고간다 ㅋㅋㅋㅋ 와 시원하네

  • @척추꺽기개미
    @척추꺽기개미 Рік тому +2

    레버리지??? 그거 딱 이 느낌이네요 ㅋㅋㅋ
    온라인게임에 고렙이 하나 있어야 버스도 타는데 고만고만한 레벨들이 모여서 버스니 뭐니 이야기 하는 꼴 ㅋㅋㅋ

  • @독고다이세상밖으로
    @독고다이세상밖으로 Рік тому +10

    대기업 다니면 기본적인 교육받는 것도 좋아요. 중소기업에서는 그런 기회가 없어요.

  • @kev2582
    @kev2582 10 місяців тому

    얼마 전에 알고리즘 때문에 떠서 이게 뭐지 하고 보는데
    진짜 깜짝 깜짝 놀라는 통찰력이 있네요. 주위에 널리 추천하겠습니다.

  • @sumimoon3852
    @sumimoon3852 Рік тому +3

    리섭님 존경합니다 😊

  • @stunmilk2
    @stunmilk2 Рік тому +8

    군대에선 강제 미라클 모닝 ㅆㄱㄴ ㅋㅋ;;;

  • @권성주-o4f
    @권성주-o4f Рік тому +1

    본인 주관대로 사시면 부자됩니다
    마음에 부자

  • @한민-e4x
    @한민-e4x Рік тому +3

    3개월 전에 용찬우 예언 ㄷㄷ

  • @안은진-j5b
    @안은진-j5b Рік тому

    마지막에 사업 관련 답변 큰 도움 됐어요! 감사합니다😊

  • @simpson412
    @simpson412 Рік тому +5

    대기업 생산직도 자식 등록금 복지 옛날부터 있었어요.

  • @jsklffgd-dys2
    @jsklffgd-dys2 Рік тому

    맞아 되게 내생각대로 논리대로 뭔가 주류에 어긋나는 말하면 미친사람취급하더라 그게 더 미친거같아 그러면서 어떻게든 이기려하니까 논리나 근거나 예시가 굉장히 선택적임

  • @user-vs5sv8li2q
    @user-vs5sv8li2q Рік тому +2

    역쉬똑똑햐
    우리똘똘이🥰

  • @Sungerum-f7e8w
    @Sungerum-f7e8w Рік тому +1

    그런 사람들은요 똑같은 얘기 표현만 다르게 해도 못알아듣더라고요

  • @ggglue2868
    @ggglue2868 Рік тому +7

    ㅋㅋㅋ 맑은눈의광인 ㅋㅋㅋㅋ 광인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김경미-q4v
      @김경미-q4v Рік тому

      😢😢😢😢😢😢😢😢😢😢😢

  • @평창동-f8z
    @평창동-f8z Рік тому +2

    책을 읽은거
    당연히 좋긴 하지만
    여건이 안되다면
    유튜브 시청도 좋다고봅니다

  • @우와리
    @우와리 Рік тому

    내가 알려줄께
    대기업 왜 그만두냐면 사회초년생이 회사 처음으로 들어가는곳이 대기업이면 그 복지 그 업무량 그 지위를 몰러
    남의 떡이 커보인다고 대기업이 진짜 고생만 하는곳으로 알거든
    공대면 지방 생활이 많은데
    난 그만두고 중소기업 서울에서 할끼야..그러면서 헬이 시작되는거쥐...
    중소기업은 커도 왠만한 대기업 일차벤더 아니면 진짜 생존자체가 문제거든
    갑자기 은행에서 만기연장을 안해줄때도 있고...예전 외환은행을 론스타가 인수했을때 중소기업 만기연장 헬이었다고 들었음
    우야튼 대기업 걍 쉽게 들어가서 이건 아니다 싶어서 중소기업 오면 그때서야 .............아 진정한 헬을 맛볼수 있는거구
    그러다가 경력직으로는 중소에서 대기업으로는 못가거든....대부분....
    우야튼 그러면서 다시 공사 공무원 준비하고....안정적인 직장을 가지게 되는 수순....
    내 야그야. ㅋㅋㅋ

  • @롤본계챌린저
    @롤본계챌린저 Рік тому +2

    오늘도 잘봤습니다. 리섭님 말씀들은 전부 피뼈살이 되는거 같습니다

  • @user-wm7ml7pk3e
    @user-wm7ml7pk3e Рік тому +1

    진짜 요즘 미라클 모닝이라 독서모임 제일 미스터리... ㅋㅋㅋㅋ

  • @forthewin88
    @forthewin88 Рік тому +11

    사업도 대기업 출신이 훨씬 유리한데요? 거래처 확보자체가 넘사벽인데?

    • @푸우푸우-o2w
      @푸우푸우-o2w Рік тому +5

      직접적으로 배우는건 중소기업이 압승이요 거래처확보만 보고 무슨ㅋ

    • @낑깡-x2s
      @낑깡-x2s 5 місяців тому

      인맥 말고 내공..

  • @TRUMKING.2025
    @TRUMKING.2025 Рік тому +18

    난 수학이 좋아서 공대갔는데. 그냥 수학만 좋은거였음ㅋㅋ😊

    • @d.ong_ho
      @d.ong_ho Рік тому +2

      공대는...물리죠ㅋㅋㅋㅋ 수학은...그 물리를 잘 포장한 껍데기??

    • @imbunggun
      @imbunggun Рік тому

      컴퓨터 쪽은 물리적이지 않아서 수학 입니다. 음 뭐 그렇다구요

  • @victor-dw3nw
    @victor-dw3nw Рік тому +2

    결론: 이세상 공짜 는 없다.....

  • @기묘-z2r
    @기묘-z2r Рік тому +2

    혼자만의 사색 정말 중요 하다고 생각합니다 😊

  • @user-minso0
    @user-minso0 Рік тому

    맞아요 ㅋㅋ 지금 자기계발 대부분그럼
    자기계발을 해서 돈번게아니라
    자기계발을 다른사람한테 가르쳐 줘서 돈번거죠

  • @elp9511
    @elp9511 Рік тому +2

    내가 아는 레버리지는 선물밖에 없는데;; 어어 밀지 마라~

  • @nana_pauli_again
    @nana_pauli_again Рік тому +4

    좋은 말씀 감사합니당

  • @명품현기차
    @명품현기차 Рік тому +1

    레버리지란 쉽게 설명하자면,
    은행대출금으로 부동산투기하는 것

  • @HOO8520
    @HOO8520 Рік тому

    사업규모가 커진다면 모를까, 초기에는 당연히 본인이 다 챙겨야지.
    결국 인적자원 관리라는게 지속적인 감사와포상, 징계의 연속인데 뭘 알아야 감사를 할거 아닌가?
    나중엔 이게 다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거고.

  • @이로이-f1p
    @이로이-f1p Рік тому +1

    창업하려는사람 진짜 이영상 무조껀봐야됨
    나는 될꺼야
    응 안됨

  • @스릉-u1v
    @스릉-u1v Рік тому +1

    이분이 왜 인기가 많은지 배슬기님이 왜 이분과 결혼했는지 이 영상 보니까 알거 같음 마인드가 빌게이츠고 일론 머스크네

  • @빛수저
    @빛수저 Рік тому +1

    형님… 아우가 이렇게 무릎을 꿇습니다

  • @skippityskoppetty4568
    @skippityskoppetty4568 Рік тому +3

    대기업 인사과에서 매년 사람들 자연스럽게 쳐내느라 얼마나 고생하는데요. 자기도 모르는 새 그냥 그만두게 되는거예요...전 내자식은 교수나 연구원 시켰으면 싶네요 ㅎㅎ 대기업 너무 살벌해서

  • @shjung6418
    @shjung6418 Рік тому +2

    맞어맞어맞어 진짜 인정!!❤

  • @user-minso0
    @user-minso0 Рік тому +1

    진짜 내가 기업대표한다는사람중 저런사람맣이봄 에고가 쌔고 다 지가 뭐가될거래 일론머스크급이될거래 뭐가될거래
    정작 작은것부터 하진못하고 실천력도 부족함

  • @jjijjiabcd
    @jjijjiabcd Рік тому +1

    우와 속시원하다 오늘 ㅋㅋㅋㅋㅋㅋㅋ

  • @ddhru222
    @ddhru222 9 місяців тому

    7:34 ~ 9:00 ( 고독한 시간 = 폐관수련 )

  • @정기수-b8q
    @정기수-b8q Рік тому +11

    하... ㅅㅂ... 4년 솔로에 2년째 안정화시키고 싶은 사업 몰빵한다고 독고다이 인생 살고 있어서 발버둥거리다 이러다 외로워 죽겠다 싶어 데이팅앱 들낙거리는데 이 영상을 보고 가네요... 일이나 해야지...

  • @derggt
    @derggt Рік тому

    결국 남의 컨텐츠를 모방하느냐 재창조하느냐의 차이다

  • @choichoi0812
    @choichoi0812 Рік тому +4

    무식하고 가난하고 감정에 휘둘릴수록 종교 (사이비 포함)에 빠지는 이유

  • @tv-fw3zl
    @tv-fw3zl Рік тому +1

    오늘 영상들에서 예시들어준 인간들 썰 들어보니 저런 생각들 초등학생들도 할 수 있는 생각인데 참...

  • @유프로-e3k
    @유프로-e3k 2 дні тому

    올바른 레버리지=현금 흐름 창출>레버리지 발생>더 많은 현금 흐름 창출
    틀린 레버리지=레버리지 발생>현금 흐름 창출>더 많은 레버리지 발생
    제 생각에 레버리지로 망하는 이유가 이런 이유가 아닌가싶네요.
    월급이든 배당이든 뭐든 현금 흐름으로 레버리지 리스크를 막아야 제대로 돌아가는데 레버리지를 먼저하고 그것으로 현금 흐름을 만들려고하니 잘되면 이게 되는구나 이거구나!하겠지만 역시 레버리지를 먼저 일으키다 삐끗하면 망하는거죠.

  • @예술인-l2t
    @예술인-l2t Рік тому

    지식으로 돈 버는건 사업가가 아님. 경험으로 돈을 버는게 사업가지. 이게 배울때는 이렇게 하면 됐는데 지금 기후 상황에서는 이게 안통한다. 어떻게 해야되냐부터 당장 컴플레인 수백건 들어오고 돈 다 떨어지고 그 상황을 어떻게 유연하게 극복하느냐 이것이 문제지 글이나 말로 배우는건 정신자위밖에 안됨. 오로지 몸으로 반복으로 수많은 상황으로 밖에 못배움.

  • @chriswoo5098
    @chriswoo5098 Рік тому

    레버리지 한다는 자체가 직원을 고용하고 월급을 주는만큼 사장 자체가 신중 그 자체에(사업가들이 가장 아깝다는게 인건비죠) 본인이 그 가게에서 어떤 일이 돌아가는지 세심하게 모니터링하고 관찰하고 개선할건 즉각 개선하고 직원교육도 간간히 해야 돌아갈까 말까할 판인데 무슨 자기는 부재하고 직원한테 다 맏긴다는 거에요.. 말도 안되는겁니다.. 믿지 마세요.

  • @koreankimgo
    @koreankimgo Рік тому +3

    리섭님 요즘 나는신이다 때문에 사이비종교가 사회의 어떤 화두?로 올라와있는데 리섭님의 견해가 궁금합니다. (사이비종교에 빠지는심리라든가 소위 말하는 메시아 라고 주장하는사람들이 많은이유,리섭님 주변의 사이비종교 신도가 있다면 설득을 할것인지 냅둘것인지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