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남창 평조 초수대엽동창이 노래 박문규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제30회 월하문화재단 정기연주회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문화유산
    歌客 21세기__
    나랏소리 나랏노래

    국악당공연 : 2018년 9월 11일 (화) 19시 30분 / 장소: 서울남산국악당
    풍류방공연 : 2018년 9월 13일(목) ~ 14일(금) 19시 30분 / 장소: 월하예당
    주최:(재)월하문화재단 주관: 한국正歌·樂연구원 후원: 신나라 Synnara
    인사말
    ‘나랏소리 나랏노래’ 온 누리에 퍼지다.
    무덥고 지루한 올 여름을 보내시느라 얼마나 힘드셨습니까! 그러나 순환의 법칙에 따라 어느새 가을도 문턱에 접어든 느낌입니다.
    지난번에는 세기의 명가 김월하선생의 서거 20주년 공연에 이어 탄신 100주년 기념 공연 등 무게 있는 공연이 2년에 걸쳐 성황리에 끝맺음을 하였습니다. 이는 정가(正歌)를 사랑하는 강호재현의 깊은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제 다시 지난해에 이어 금년에도 정가를 아끼고 사랑하는 여러분들을 모시게 되었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가곡(歌曲)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체계적으로 발전해 온 순수예술로서 본래는 지식인들 사이에서 선호되던 노래였습니다. 그런 점에서 인성개발과 덕목의 방편으로 불리던 정가의 역할이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는 것은 바로 우리 모두의 책임이요 의무라 생각됩니다.
    근세 가곡(歌曲)은 선가 하규일(河圭一)선생의 유음을 이어 받아 이주환(李珠煥)선생에게 근원을 대이고 있습니다. 특히 금세기 최고의 명가이며 한국가계에 큰 족적을 남기신 김월하선생의 훈도는 후진들에게 규범이 되고 있습니다.
    이분들의 고뇌가 아니었다면 가통의 맥을 온전히 전하여 꽃 피우기는 어려웠을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정가로 대변되는 가곡이야 말로 오늘날 가치기준의 혼란 속에서 방황하는 현대인들에게 올바른 정신적 길잡이의 역할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봅니다.
    특히 사죽(絲竹)을 거느리는 가곡은 고도의 예술음악으로 반주자와의 호흡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습니다.
    이번 공연은 표제에서 말해주듯이 21세기 가객들의 열린 무대로 연 사흘에 걸쳐 창자와 반주자가 하나 되는 가악(歌樂)한마당이 될 것입니다.
    폭염이 지난 자리에 풀벌레 소리는 더욱 청아한 가을의 서막이 될 것입니다. 귀한 걸음으로 하나 되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18년 9월 11일
    (재)월하문화재단 이사장 김 경 배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예능보유자
    제30회 월하문화재단 정기연주회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문화유산
    2018년 9월 11일 (화) 19시 30분 서울남산국악당
    歌客 21세기__
    나랏소리, 나랏노래
    사회: 김혜경
    1부 - 가곡(歌曲)
    ▪ 남창가곡 평조 초수대엽(동창이~) 노래_박문규
    ▪ 여창가곡 평조 두거(일각이~) 노래_이승윤
    ▪ 남창가곡 반우반계 편락(나무도~) 노래_김경배
    ▪ 여창가곡 계면조 평롱(북두칠성~) 노래_황숙경
    ▪ 여창가곡 계면조 편수대엽(모란은~) 노래_김영기
    (반주: 가야금_정해임, 거문고_유영주, 대금_노부영 피리_박영기, 해금_김현희
    단소_김정수, 장고_김웅식)
    ( 휴 식 )
    2부 - 가악(歌樂)
    ▪ 창작가악 “추천사” 황병기 작곡 노래_강권순
    (반주: 25현가야금_송정아)
    ▪ 창작가악 “춘면곡 주제에 의한 ‘여정’ 이유나작곡 노래_이유경
    (반주:25현가야금_송정아, 단소_안헌영, 생황_이민하)
    ▪ 창작가악 “해가(海歌)_수로부인을 돌려다오” 김나리 작곡, 정신혜 편곡
    노래_김나리
    (반주: 25현가야금_송정아, 대금1_전인근, 대금2_안헌영, 해금_고윤진)
    ▪ 고가신조 김기수 작곡, 김현정 편곡 음악지도 및 지휘 박문규
    노래_하윤주, 정진아, 장명서
    ‘심의산 세네 바위’ ‘남산메 어드메만’ ‘ 말이 놀라거늘’ ‘논밭갈아 기음 매고’
    (반주: 가야금_송정아, 거문고_강혜진, 대금_안헌영, 피리_이민하,
    해금_고윤진, 소금_전인근, 타악_이건형)
    출연진
    정가
    김경배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예능보유자
    (재)월하문화재단 이사장
    박문규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이수자
    한국正歌·樂연구원 원장
    김영기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예능보유자
    (재)월하문화재단 이사
    이승윤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이수자
    국립국악고등학교 교사
    황숙경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이수자
    단국대· 수원대 출강
    강권순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이수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이유경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이수자
    백석예대· 국립국악고 강사
    김나리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이수자
    정가앙상블 Soul지기 대표
    하윤주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이수자
    국립국악원 준단원 역임
    정진아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이수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사 졸업
    장명서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전수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1부 반주자
    가야금 정해임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국악과 교수
    대가야가야금연주단 대표
    거문고 유영주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
    서울시 국악관현악단 수석역임
    대금 노부영
    국가무형문화재 1호 종묘제례악 이수자
    국립국악원 정악단 부수석 역임
    피리 박영기
    국가무형문화재 제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자
    경기도립국악단 단원
    해금 김현희
    서울대학교 음악박사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부수석 단원
    단소 김정수
    국가무형문화재 제20호 대금정악 이수자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수석
    장고 김웅식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단국대·서울대·수원대·한양대 출강
    사회
    김혜경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국악FM방송 PD
    편곡 김현정
    작곡가, 사운드디자이너
    연금술사 작곡연구소 대표
    2부 반주자(예당악회)
    가야금 송정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전문사 수료
    세종예술고등학교 강사
    거문고 강혜진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국악학 박사 수료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강사
    대금 안헌영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이수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전문사 졸업
    피리(생황) 이민하
    국가무형문화재 제46회 피리정악 및 대취타 전수자
    한양대학교 국악과 졸업 및 동 대학원 수료
    해금 고윤진
    단국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국악그룹 동화 동인
    소금(대금) 전인근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사 졸업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
    타악 이건형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전수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사 졸업

КОМЕНТАР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