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 토양습도센서 아두이노와 연결하고 코딩하기!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아두이노와 토양습도센서를 사용하여 화분의 습도를 알아봅시다!
    ※ 준비물 : 아두이노 우노(+케이블), 토양습도센서 세트, 암수 점퍼선
    아두이노와 토양습도센서를 활용해 화분에 물을주면 수치값이 증가하는 간단한 스마트팜을 만들어봅시다!
    #토양습도센서 #토양수분센서 #아두이노 #코딩 #스마트팜
    -
    비피랩 커뮤니티
    홈페이지 : bplab.kr/
    블로그 : blog.naver.com...
    스토어 : smartstore.nav...

КОМЕНТАРІ • 5

  • @eating_kj
    @eating_kj 3 роки тому

    오랜만에 보내요 ㅎㅎㅎ
    제가 전자공학과 출신이라서 아두이노 가지고 여러가지 해봤거든요 ㅎㅎㅎ

    • @BPLAB_Coding
      @BPLAB_Coding  3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앞으로 도움 되실 수 있는 콘텐츠로 많이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 @무한공상
    @무한공상 3 роки тому

    시작이 반이라고 질러야 공부할 마음이 생기기에 기초지식도 없이 무턱대고 준비물 부터 매입을 했네요. 구입하고 보니 릴레이가 발목을 잡내요. 구입한것이 글쎄 Dc 12v구동용 릴레이 모둘을 구입해 버렸네요. 그런데 12볼트 구동용 릴레이에 대한 영상이 하아도 없네요. 5볼트 출력의 아두이노로 12v구동용 릴레이를 구동하려면 어떻게 해야 될 까요.

  • @이준혁-d1p
    @이준혁-d1p 3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아무리 생각해도 모르겠습니다 ㅜㅜ
    정확히 100이 나오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 @BPLAB_Coding
      @BPLAB_Coding  3 роки тому +1

      안녕하세요. 비피랩입니다!
      map 함수를 이용해 400~1023까지 사이의 값을 100~0까지의 값으로 범위를 바꾸어 출력했으나 토양의 습도값이 400보다 더 떨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 범위 밖의 값들의 경우, 매핑 함수 값을 넘는 값들은 그 범위를 분할 했던 기준으로 계산하여 출력을 합니다!
      이 경우, map 함수를 사용하기 전에 최대치와 최소치를 확인하여 매핑하려고하는 값을 조정하시면 됩니다!
      + 추가적으로 토양습도센서의 모듈에는 가변저항이 달려있어 가변저항을 돌리면 최대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혹시 토양습도센서를 물에 넣었는데도 값이 많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가변저항을 조절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