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의대 말고" 中 인재들 몰려간 곳...한국과 정반대 열풍 / YTN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중국의 연례 정치행사 양회에 제출할 정부 업무보고서 작성을 위해 마련된 각계 대표 좌담회.
    더벅머리에 안경을 쓴 젊은이가 리창 총리 앞에서 열변을 토합니다.
    전 세계를 중국발 AI 쇼크에 빠뜨린 딥시크 창업자, 마흔살 량원펑입니다.
    [량원펑 / 딥시크 창업자 : V2 모델 개발엔 해외 유학파가 없고, 모두 본토 출신입니다. AI 분야의 상위 50명 인재, 우리가 만들어 갈 수도 있겠죠.]
    150명 규모의 AI 스타트업 딥시크는 주로 중국 본토에서 갓 대학을 졸업한 청년들로 구성됐습니다.
    특히 1995년생 뤄푸리는 샤오미로부터 연봉 20억 원을 제안받을 만큼 '토종 천재'로 평가됩니다.
    [뤄푸리 / 딥시크 개발자 : 저는 파이선(프로그래밍 언어)도 할 줄 모르는 사람이었는데, 4개월 만에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최고의 논문을 투고했어요.]
    인력 확충에 나선 딥시크는 연구원 3억6천만 원, 개발자 2억5천만 원의 연봉을 내걸었습니다.
    딥시크를 비롯해 동부 항저우의 신생 유니콘 기업 6곳을 가리켜 '육소룡(六小龍)'이란 신조어도 생겼습니다.
    춘제 갈라쇼 때 로봇군무를 선보인 유니트리, 흥행 대박을 터뜨린 서유기 게임 개발사 등입니다.
    전국의 수재들이 의대로 몰리는 우리나라와 달리 중국에선 공대 열풍이 부는 배경입니다.
    중국 전역에 설치된 AI 학과만 535곳, 매년 대졸자의 60% 이상인 700만 명이 이공계입니다.
    최근엔 시골의 초등학교에서도 AI 응용 교육에 나설 정도입니다.
    [중국 관영 CCTV 보도 : 네트워크 플랫폼을 활용하여 도시와 농촌 학교 사이 인공지능 교육 관련 과정의 상호 연결을 실현합니다.]
    그러나 중국의 정치·사상 검열과 미국의 AI 반도체 수출 통제는 여전히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
    촬영편집ㅣ고 광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 기사 원문 : www.ytn.co.kr/...
    ▶ 제보 하기 : mj.ytn.co.kr/m...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КОМЕНТАРІ • 32

  • @fislen-e1d
    @fislen-e1d 15 годин тому +13

    심각성을 인지해야 한다 중국은 과학에 올인하고 신기술개발하면 지원금 준다던데 정부와 정치권은 정신차려라

  • @lwsman213
    @lwsman213 10 годин тому +9

    부동산과 의대에 몰빵친 미친나라. 결국 기성세대의 엇나간 욕심이 후손들 대도 끊어놓고 기성세대 노후도 박살낼 것임.

  • @무소-g8y
    @무소-g8y 18 годин тому +12

    중국산 AI 도입으로 10~20년 안에 의사, 변호사들은 모두 실직자 된다.

  • @wincia752
    @wincia752 18 годин тому +6

    중국을 욕하거나 찬양할 필요는 없지만, 시대의 흐름에 맞게 국가가 장기적으로 정책을 만들고 길을 유도하는건 중국이 확실히 잘하는 것이라고 본다. 이런걸 보면 정책을 만들고 집행하는 정부의 중요성을 알겠다...

    • @doogy777
      @doogy777 18 годин тому

      중국은 자본이 많으니까

  • @lycos888
    @lycos888 18 годин тому +7

    솔직히 연구직 아닌 임상의는 성적 상위 10% 정도 안에 들고 그것보다 중요한 건 정상적 사고 가진 학생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어차피 진단, 처방은 현재 기술 수준으로도 AI가 인간 의사보다 월등하게 낫고 20년 안에 로봇 공학 발전으로 어려운 외과 수술까지 커버할 수 있다고 보는데 너무 치우친 것 같다. 현재 의사라면 몰라도 이제 막 의대 가면 머지않아 의사로서 입지도 흔들릴텐데 신중한 선택을 하기를.. 우리가 막는다거나 안 한다고 다른 나라들도 안 하는 게 아님. 중국은 이미 법을 정비해서 일부 질환에 대해 AI로 진단하고 처방도 가능함.. 오진율은 인간 의사 진단보다 비교가 부끄러울 정도로 훨씬 낮고 과잉 처방도 없다. 의료 비용도 낮아지지만 품질도 넘사벽으로 나은데 인간 의사가 살아남을 수가 없지.

  • @김선구-w5i
    @김선구-w5i 18 годин тому +7

    우리나라 국뽕에 빠져 지금 나락으로 가고있다는 현실을 알면서도 방관하고있는 정치권과 기득권 집단 세력.

  • @风清扬-l4c
    @风清扬-l4c 19 годин тому +10

    우리나라는.......... 삼성전자 가느니 의사 한다.

    • @akirayagami4226
      @akirayagami4226 19 годин тому +1

      Add kpop and plastic surgery to the list 😂

  • @khllimiimk2338
    @khllimiimk2338 14 годин тому +4

    나라 발전 시켜야 할 인재들이 돈많은 아줌마들 레이저 토닝이나 쏴주고 있는 나라니깐~~😊

  • @sungbokahn
    @sungbokahn 5 годин тому

    얼마전에 초딩에게 커서 뭐 될래 했더니 국개의원 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이유는 일도 안하고 돈 벌수 있어서…대한민국 현실

  • @hosupsim5981
    @hosupsim5981 Годину тому +1

    한국이 사실 가전 반도체 빼고는 뭐 그닥

  • @btg2371
    @btg2371 18 годин тому +4

    우리 정치인들 이거 보고 좀 깨달았으면

    • @zirhful
      @zirhful 4 години тому

      정치인은 100% 유권자가 만듭니다😅

  • @AppleEater8104
    @AppleEater8104 19 годин тому +2

    의료만 강국된다 이러다가 ㅋㅋ

  • @진아-x6s9h
    @진아-x6s9h 5 годин тому

    대한민국 의사 초특권 집단 살인 강간해도 면허 재발급 80세 까지 해먹을 수 있는데 누가 공대가나 .. 의사 수 모자란다는데 밥그릇 지키겠다 극렬 저항하는것 봐라 의대 증원 환영한다 5000명씩 뽑자

  • @박기표-d9x
    @박기표-d9x 8 годин тому

    😅

  • @푸른메아리
    @푸른메아리 5 годин тому +1

    중국이 무서운 까닭.
    RND삭감하는 한국.

  • @soyoungshin-k8c
    @soyoungshin-k8c 16 годин тому +3

    아마 중국도 40년후면 공대보다 의대를 갈듯,,
    한국도 80년대는 의대보다 공대가 인기가 좋았다
    하지만 반도체와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나이가 들면 따라갈 수 없어 젊은 사람들에게 치이고
    50살이 넘어 회사에게 퇴출당하기 시작하자
    공대의 매력이 사라지고 오랫동안 직업을
    유지할 수 있고 부를 창출할 수 있는 의대를
    선호하기 시작되었다

    • @李罪名
      @李罪名 14 годин тому

      의대는 화교가 장악함

    • @hammerfist6847
      @hammerfist6847 12 годин тому +2

      40년/? 10년후에 의사의 70%이상 로봇이 대체될텐데..

    • @jack-k3p9k
      @jack-k3p9k 2 години тому

      @@hammerfist6847 저런 ㅄ 때문에 한국이 망하는거야

  • @차태식-q1w
    @차태식-q1w 19 годин тому +4

    종말이 오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