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2C1베이스로 한 6.8밀리 차세대 소총 모델 잘 봤습니다. 여러 사람들이 지적했던 이게 무슨 K2개량형이냐 하고 지적했던 레일과 고정식 가늠쇠를 접의식으로 바꾸고. 레일도 엠락 타입으로 바꾸는 등 트렌드를 나름 따라가려고 노력하고 있는 거 같지만, 기왕이면 하부도 대대적으로 변경 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해외에 수출하려면 개인에 취향대로 커스텀해서 쓸 수 있게 권총 손잡이가 AR-15랑 호환 할 수 있게 재설계 해주셨으면 합니다. 요즘 나오는 총기 대부분 그런 식으로 나오니까요. 그리고 가능하다면 K2C1 접의식 가늠자를 가스마게까지 레일을 깔 수 있게. 가늠쇠 자체를 없애 버전도 고려해 주실길 바랍니다. 요즘은 가늠쇠와 가늠자가 포함한 하이 마운트 옵션이 있으니 굳이 가늠쇠가 필요 없으니 말이죠
snt가 살아남을 길은 미국과 외국에 직원들을 연수 보내는겁니다. 그리고 k1a, k2등 기존 있는 총기들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다양한 국가의 총기들을 제작및 계량하며 연구하고 그에 대한 기술과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뿐입니다 그게 아니면 snt는 다산기공에 밀릴수 밖에 없습니다.
STC-16의 상, 하부리시버는 일반 AR-15(m16, m4)의 리시버와 호환이 되나요? STC16의 상부 리시버에다 AR-15 하부 리시버를 결합하는 식으로 말이죠 HK416의 경우 416 상부에다 일반 AR15 하부 리시버를 결합해서 운용하는 경우가 종종 보이던데, STC도 그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k2 의 저 뭉툭하고 무딘 몸통 디자인은 도대체 언제 바꿀건가. 좀 샤프하게 못 만드나. 디자인하는 사람이 맨날 그 사람이 그 사람인가보네. 그러니 K2 계열이라고 오해를 받지. 머 당연히 광고 영상인데 좋다고 하지 안 좋다고 하겠나. 마지막에 다른 총기에 견줄만하다고 말할 때 눈빛은 내려 앉고 떨렸다. 자신 없다는 얘기.. 광고말고 진짜 사용자들의 후기를 보고 싶다.
@@snttv5968 우리 밀덕들이 진짜 총을 접할 기회는 적으니 우선 보는게 디자인 아닐까요 경쟁사인 다산에 비하면 성능은 잘모르지만 디자인은 영 아닙니다 아무리 무기라 할지라도 디자인 신경써야 합니다. 솔직히 STC16 하고 DSAR15PC 하고 디자인 투표 해보세요 누구 표가 많이 나오는지...솔직히 저도 군대에서 K2 썼지만 디자인 적으로 K2는 너무 합니다 특히 총구쪽 파이프 두개 노출 시킨거 총열덮개로 좀더 덮었으면 좋았을텐데 그리고 하이라이트는 게머리판 그게 제일 짜증나는 디자인 입니다. 전혀 총하고 안맞는 디자인...그리고 앞으로 총기 디자인 할때 말많은 오너한테만 결정권 주지 말고 밀덕들 한테도 여론조사 해보세요 그럼 한결 좋은 총기 나올듯
님이 복무했던 곳이 꾸진데라 그런거 아님?? 난 모든 부대가 똑같을줄 알았는데 다른데는 아직도 k1옛날거 쓰고 k2쓰는데도 많더라 심한곳은 11k 04k가 뭔지도 모르고 방탄도 구형에 판초우의도 구형 ㅋㅋㅋ 그래놓고서 전역하고 욕함 그렇게 좋은 장비 쓰고싶었으면 최전방수호병을 하던 특전사를 가던 그랬어야지 후방 안전한곳에 가놓고 장비가 이게 뭐냐 툴툴거려
K2 사용해본 예비역으로 ...K2 반대합니다...솔직히 예비역중 외국의 이름있는 소총과 K2고르라면 누가 K2를 집을까요? 우리나라 장병들도 이제는 자부심을 가지고 사용할 수 있는 총기를 가질때라 봅니다 그리고 총기도 경쟁을 통한 발전이 절대 필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그동안 한개 회사에서 독점의 지위를 누리면서 정말 우리나라 총기가 아프리카만 못한 지경이 되었지요
평소 꾸준한 관심드립니다. 1. 가스피스톤 숏스트로크 방식의 가스배출방식은 가스압력을 줄이기 위해 앞으로 일부분출시키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부분은 비슷한 작동방식의 해외화기들도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2. 이것이 초기모델에서 사격시 가스로 인한 사수에게 방해가 될 수 있을 것같아서 현재는 수정적용을 해놓은 상태입니다. 3. 현재 몇가지 수정사항을 더 적용해 최종시제버전은 ADEX2021에 선보일 예정입니다.
답변드립니다. 1. STC16의 최종버전은 특수작전용기관단총-II형 구매사업이 끝나는대로 선보일 수 있으며 이전까지는 보안사항이라 공개가 어려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2. STSM-21 기관단총은 개발을 거의 완료하여 소요군 및 고객사의 구매절차 대기중에 있습니다. 서울ADEX2021에 그 버전을 공개예정이며 관련 홍보영상으로 먼저 선보일 것입니다.
@@jingukang5482 그거야 SNT가 내수용 기업이고 미국이나 기타 민수용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것도 아니니까 R&D에 부을 예산도 비즈니스 모델도 없는 거임. SNT 전체에서 총기 사업은 전체 매출 비중이 생각보다 엄청나게 작음. 그걸 감안했을 때 충분히 품질은 보장이 돼서 나옴. 문제는 여기 사람들이 최신 트렌드를 잘 베끼기라도 해야 하는데 K2 플랫폼에서 벗어나지를 못하고 우려먹는다는 건데 STC16은 지금도 확정된 완성 모델이 아니기 때문에 피드백을 받으면서 점진적으로 계속 개선되고 있음. 유일하게 현재 보이는 단점이라면 신뢰성을 의식해서 가스피스톤을 너무 두껍게 설계한 탓에 다른 숏스트로크 AR15계 소총이랑 비교했을 때 연사력이 다소 낮고 반동이 큰 편이라는 정도임. 그리고 방산업체에서 중소기업 우대정책이 불러오는 폐해는 이번 워리어 플랫폼 사업에서도 여실히 드러나는 거 아닌가? 멀쩡한 삼성 현대 SK 한화 같은 기존 대기업 계열사들 놔두고 낚시줄 같은 거 만들고 중국산 제품 수입해서 이름표 바꿔 팔아먹던 기업들한테 신형 방탄복 사업 맡기니까 계속 문제 나오는 거 보셈. 다 가져갈 수는 없는 거임. 그게 시스템이라는 거고 꼬우면 국가 수준 자체를 끌어올리는 수밖에 없음
그냥 봐도 연발 사격시에 반동이 경쟁 모델 대비 커 보이고 반동도 어깨 방향 뿐만 아니라 윗쪽으로도 같이 튀는 걸로 보이는 데요. 이러면 실제작전시에 애로 사항이 많겠죠. 조준사격에서의 정밀도도 떨어질거고요. 인질구출 작전 같은 정밀 사격이 중요한 작전에는 못 쓰겠네요.
관심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 사항에 대한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자 UDT및 특전사출신들을 섭외해서 STC16에 대한 솔직한 평을 듣기 위해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영상에 나오지는 않았지만 해외 유수총기 대비 STC16의 우수한 점을 직접비교한 부분도 있었으며 사격반동에 대한 부분은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snttv5968 아침부터 홍보팀에서 열일하시네요. 뭐 돈 받고 섭외되어서 광고 촬영하는 건데 당연히 좋은 말 하겠죠. 일하는 건데요. 뭐 잘 아시면서. 그래요 뭐 SNT 직원 분들이니까 이해합니다. 그런데 이쪽 분야에 관심 있는 사람이나 군에서 사격 해본 사람들이면 아무도 동의 하지 않는 다는 건 알아두시면 좋겠네요.
@@user_aoub36vhwtv답변드립니다. 소요군에서의 구매사업은 수년간 다양한 시험평가를 거친후 합격하게 되면 군에서 구입이 가능하게 됩니다. SNT모티브는 2000년대 이후부터는 국방과학연구소에서 탈피하여 독자적으로 개발, 양산, 생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내수시장만으로는 매출과 성장의 한계가 있으므로 세계수출시장에 집중하고 있으며 K시리즈의 우수성을 갖고 세계업체들과 경쟁해 나가야하는 숙명을 안고 있습니다. 어떤 부분에서 SNT모티브 대한 아쉬움을 표하시는지는 알 수 없지만 소비자들과 소통하며 새로운 제품개발에 노력하는 모습에 관심있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단 현재 군에서 앞사람이 쓰던 총을 돌려서 쓰는걸 보면 기본적으로 내구성은 확실한듯싶고 사격시 신뢰성은 앞서 영상에서 어떤지 잘 설명해주고있네요. 겉모습만 바꾼다라는건 옳지 않은 말인듯 싶군요 현재 여러가지의 개선과 개량을 통해 기존의것보다 훨씬 나은 버전의 총기들을 만들어냈고 무엇보다 새총을 만드는것보다 가성비있기 때문이죠
총은 다산 기공이지.. K-2에 껍데기만 바꾼 총을 이렇게 까지 비호 하시네.. 이러니 특전사 개인장비가 후졌다고 욕먹지.. UDT 전역자들은 자기 부대에 악영향 미칠까봐 이런 총 좋다고 않한다.. 특전사를 사랑하는 한사람으로써 SNT 모티브 총은 절대 반댈세 다시 20년 후퇴하는 길이야
보기만해도 조끈네
.
가만 생각해보니까.
야비군용으로 치장물자로 돌린 M16A1들 대충 100만정 있을 건데.
저거 상부랑 개머리판, 손잡이만 가져다가 M16A1 하부랑 결합하면. 야비군 무기 현대화 쌉가능이겟당
좋습니다 더 많은 시네마틱 영상 부탁드립니다
관심감사드립니다.
2021년 출시될 신제품 소개영상을 조만간 공개예정입니다.
K2C1베이스로 한 6.8밀리 차세대 소총 모델 잘 봤습니다.
여러 사람들이 지적했던 이게 무슨 K2개량형이냐 하고 지적했던 레일과 고정식 가늠쇠를 접의식으로 바꾸고. 레일도 엠락 타입으로 바꾸는 등 트렌드를 나름 따라가려고 노력하고 있는 거 같지만, 기왕이면 하부도 대대적으로 변경 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해외에 수출하려면 개인에 취향대로 커스텀해서 쓸 수 있게 권총 손잡이가 AR-15랑 호환 할 수 있게 재설계 해주셨으면 합니다. 요즘 나오는 총기 대부분 그런 식으로 나오니까요. 그리고 가능하다면 K2C1 접의식 가늠자를 가스마게까지 레일을 깔 수 있게. 가늠쇠 자체를 없애 버전도 고려해 주실길 바랍니다. 요즘은 가늠쇠와 가늠자가 포함한 하이 마운트 옵션이 있으니 굳이 가늠쇠가 필요 없으니 말이죠
3:59 연사
잼있게 잘봤습니다.
바라건대 STC-16 K1A K2C1은 FN SCAR처럼 보이고 보이는 일본 TYPE-20을 능가합니다 😄😄😄
Stc 16 제법 이쁘장하게 생겼네
ㄹㅇㅋㅋ
그..좨송한데 다음 s&t 모티브에 k2c1 소총을 전시 해주실 건가요?..
STC-16 STSM-21 화이팅! 평소 총기 관심이 많은 SNT그룹 직원입니다. 기회가 되면 꼭 한번 총기를 다뤄보고 싶습니다. ^^♡
STC-16외에도 STR-R19, STR-R19A1라는 총기들이 더 있더군요. DX 코리아 사진이었나...?
STR-R19는 완전히 M4/M4A1 카빈(가스직동식)이고, STR-R19A1은 가스 피스톤 식인듯...
K2C 레일이 마침내 일체화 되었군요!!!
K5가 너무 오래되었는데 요즘 권총 흐름대로 스트라이커 폴리머 권총 개발 좀 부탁드립니다.
? 이미 있어 ㅋㅋㅋㅋㅋㅋ
Cct 분들이 k2c1 착용하고 조종수구하고 가는데 소총이 길어서 질질끌고가는모습이 전술이나 즉각사격시 힘들게 보입니다 차라리 k2c단축형이 훨낳을듯
다신기공을 응원 합니다.
거기 총 타 회사 총기보다 녹이 잘슬고 비리 저지름.
왼손 총열 잡는부분 왜이리 어색하게 잡나요? 그냥 밑에 손잡이 장착해서 다니는게 편해보임.....
질문드립니다.
1. 몇인치 모델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2. 만약 14.5인치 이상 바렐이 있다면 혹시 특전사 화기주특기 인원들이 쓰는 k2이상의 정확도나 총기능력이 나오겠습니까?
3. 피스톨그립도 ar계열 타사 제품들이랑 호환이 가능한가요?
1. 총열은 현재 10.5" / 11.5" 제작되어 있음
2. 총열은 이외에 14.5" / 18.2"(K2)버전 제작해서 성능을 검증 필요한데 총열길이에 따라 정확도는 높아질것으로 보여집니다.
3. 권총손잡이는 타사제품들과 호환가능합니다.
@@snttv5968 혹시 k7에 5.56탄창이호환된다고아는데요 k7에 5.56탄창끼고쏘면 k2그냥쐈을때보단 소음효과볼수있나요??
@@황미르-s2o 호환 안 됨
@@황미르-s2o 총열 약실 노리쇠 등등 다 뜯어 고쳐야하는데 호환이 된다고 보는게 맞을런지 모르겠네요
다산기공 나락갔죠? ㅋㅋㅋ
왜나락감?
@@_Amaranth 기밀유출
우와우 재밌게 잘봤습니다 생각보다 이쁘게 잘빠졌네요
질문이 있습니다. 2019년에 개봉했던 AK-47 베이스로 만든 STR-K-17 소총의 현황이 궁금합니다.
K1a, k2c1은 말 많은 조정간 위치만 수정해줘도 좋을텐데.
궁금합니다 stc16의 스톡튜브는k2c1와 동일한 스톡봉이 장착되는지 아님 다른 m4계열과 동일한 밀스팩의 스톡봉이 장착이 되는지, 보급되는 소총의 기본 개머리판이 k2c1처럼 도구없이 분리가 불가능한 스톡이 장착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드립니다
1. M4 또는 AR계열의 개머리 스톡봉이 장착이 되어 M계열의 개머리 호환가능함.
2. 개머리를 총몸과 분리 시 별도 공구없이 가능함.
@@snttv5968 확인감사합니다
자체규격 스톡때문에 상용품 사용 못하는게 불만아닌 불만이였는데.. 개선되었네요
방아손잡이 부분은 다른 AR15 손잡이와 호환이 가능한가요?
처음 공개됐을때보다 덜두꺼워진것같아서 좋네요
굵기는 그대로입니다.탄창삽입구 크기가 더 커져서 그렇게 보일수도 있습니다.
@@germanysas669 감사합니다
관련 업체와 콜라보로 에어소프트건으로 발빠르게 퍼뜨릴 필요도 있슴.친숙도,숙달훈련,홍보,매니아들 만족
stc-16 진짜 써보고 싶다... 저 사격하시는 분들 장비들 봐라;;; 개간지다... 그나저나 택티컬리스트 최영재 캡틴님 외모가 장혁+남궁민 섞어 놓은 외모 같습니다 ㅋㅋ 존잘 이시네여
stc16 갖고싶습니다!!!
snt 응원합니다
간지..
snt가 살아남을 길은 미국과 외국에 직원들을 연수 보내는겁니다. 그리고 k1a, k2등 기존 있는 총기들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다양한 국가의 총기들을 제작및 계량하며 연구하고 그에 대한 기술과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뿐입니다 그게 아니면 snt는 다산기공에 밀릴수 밖에 없습니다.
STC 16은 쏴보고 싶다
개머리판의 견착 상태를 보면 다들 아래삼각 모서리만 어깨에 견착되고 개머리판의 면은 어깨와 안닿고 있던데요,,아마 총열과 개미리판이 일자로 이어져서 조준상태로 총열을 눈과 맞출려다 보니 그런거 같은데요,,,차라리 개머리판을 총신에서 사선으로 아래로 향하게 만들면 좀더 어깨 견착이 견고해지지 않을까 싶네요.어깨와 닿는 면도 일자형태보다는 오목하게 해서 어깨와 아구가 맞게 하면 어떨까싶네요..총쏘기 편할려고 만드는 개머리판인데 이왕이면 좀더 인체 공학적으로 만들면 더 좋지 않을까해서 말합니다...추가로 개머리판을 사선으로 만들때도 위아래 각도 조절도 가능하면 더 좋구요.,,견착자세에 대해서 맞다 틀리다 할거 없이 편하게 견착이 가능하게 만들면 좋을거 같네요.
택티컬리스트!!! 탑티어!!
미국에서 한국산 라이플 구매 가능한가요?
중고는 구매가능함.
@@둠상필-c7z 오 답변 감사합니다~!
K-1A 기관단총 K-2C 카빈소총 STC-16 카빈소총 우리군 보급했으면 좋겠다 👍👏😁
stc16은 출시되면 저렇게 탄색으로 출시되나요?
#최영재 #박도현 #탑티어 #택티컬리스트
k2는 조정간 바꿀때 너무 불편함... 단발에서 안전넘어갈때 쉽게 바꾸기가 어랴움
엄밀히 따지면 k2c는 저 라인업에 안끼지 않나요? 제식도 아니고 정식체용도 된적없는 민수용 개조총기라 성능면에서도 k1a워리어플랫폼 보다 못한걸로 아는데
7.62mm탄도 사용 가능한가요?
조금더 모듈화가 되었으면 합니다
👍👍👍👍👍👍👍👍
특전사부터 빨리 stc-16으로 바꿔주고, 특공에는 k2c, 일반보병부대는 k2c1으로 가면 될것 같은데.
상상만해도 ㄹㅇ 좋은데 K국방부라서 어림없지 ㅋㅋ ㅅㅂ...
특공도 stc16줘야지..
@@김민수-s3d 글쵸? 근데 예산이라는 현실적인 문제에서 좀 더 자유로운 방안이 아닐까? 해서입니다.
@@judosin267 우리나라는 특공을 너무 저평가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희한하게,,피복류 장구류 화기전부
특수임무에 맞게 지급해야하는데
예산이 참..
@@김민수-s3d 그러게요
우와 멋짐 군대 생각나요
아 다산이 채택 되어야 했는데
이건 뭐 이미지 광고만 번지르 하네
k-2 소총 연발하는거 보여주세요.
K2소총 연발사격은 이전에 언박싱 시리즈에서 볼수 있었습니다. 조만간 재공개되면 알려드리겠습니다.
k2c1 스톡은 변경할 수 있나요? 독자규격으로 알고 있어서 밀스펙 기준으론 안들어간다는 소리가 있어서 궁금합니다!
답변드립니다.
K2C1의 개머리(스톡) 형상은 타사제품과 비슷하지만 아랫총몸과 붙는지점이 흰지에 나사형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타사제품도 이 부분의 흰지와 나사규격만 맞으면 호환가능합니다.
@@snttv5968 오... 그렇군요 주말에도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STC-16의 상, 하부리시버는 일반 AR-15(m16, m4)의 리시버와 호환이 되나요?
STC16의 상부 리시버에다 AR-15 하부 리시버를 결합하는 식으로 말이죠
HK416의 경우 416 상부에다 일반 AR15 하부 리시버를 결합해서 운용하는 경우가 종종 보이던데, STC도 그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치수차이 약간 있다고 들었습니다
답변드립니다.
STC16과 다른총기와의 호환성은 아직 검토해보지 않았습니다만, 총열의 가스피스톤 방식 높이가 조금씩 달라서 이 부분에 조율이 필요할것이라 봅니다. 하지만 작동방식이 비교적 일정하기 때문에 호환가능할거라고 추측됩니다.
k2 의 저 뭉툭하고 무딘 몸통 디자인은 도대체 언제 바꿀건가. 좀 샤프하게 못 만드나. 디자인하는 사람이 맨날 그 사람이 그 사람인가보네. 그러니 K2 계열이라고 오해를 받지. 머 당연히 광고 영상인데 좋다고 하지 안 좋다고 하겠나. 마지막에 다른 총기에 견줄만하다고 말할 때 눈빛은 내려 앉고 떨렸다. 자신 없다는 얘기.. 광고말고 진짜 사용자들의 후기를 보고 싶다.
hello friends 👋
STC16은 충격반동이 적을거같다 개머리스프링이 흡수해주니까!
1:57 엠락이라면서 레일을 다 깔아놓으면.....
뗄수있잖아...
엠락에 붙여놓은 건데 문제 있음?
@@siwonyeo1666 그럼 엠락이 의미가 없어지죠..
예비역으로 한말씀 드립니다...
저는 최소한 다산기공에서 생산하는 총기 정도는 우리나라 젊은이들이 사용해야 한다고 봅니다
관심 감사드립니다.
아직 현역군인들께서 경쟁업체의 총기는 사진이나 자료로만 보고 직접 접해보지는 않은 것으로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경쟁업체의 어떤 총기를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를 알려주시면 분석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5.56mm 탄의 특성상 한두발로 제압이 불가능. 하다는거죠
경기용 이나 홈 디폔스가 아닌 밀 스펙에 맞는 내구성 사용자 편의성이 보장댄 총기 보급이 필요하다는거
전군이 힘들다면 최소한 전방 이라도 우선공급 해야 한다는거죠
@@팩트불패 한발로 제압이 가능한 건 미사일 뿐임 그렇게 좋아하는 6.8mm 7.62mm 싹다 한 발로 제압 안 됌 50구경으로도 안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무슨...
@@snttv5968 우리 밀덕들이 진짜 총을 접할 기회는 적으니 우선 보는게 디자인 아닐까요 경쟁사인 다산에 비하면 성능은 잘모르지만 디자인은 영 아닙니다 아무리 무기라 할지라도 디자인 신경써야 합니다. 솔직히 STC16 하고 DSAR15PC 하고 디자인 투표 해보세요 누구 표가 많이 나오는지...솔직히 저도 군대에서 K2 썼지만 디자인 적으로 K2는 너무 합니다 특히 총구쪽 파이프 두개 노출 시킨거 총열덮개로 좀더 덮었으면 좋았을텐데 그리고 하이라이트는 게머리판 그게 제일 짜증나는 디자인 입니다. 전혀 총하고 안맞는 디자인...그리고 앞으로 총기 디자인 할때 말많은 오너한테만 결정권 주지 말고 밀덕들 한테도 여론조사 해보세요 그럼 한결 좋은 총기 나올듯
STC-16 소총 괜찮을것같은데^*^
이렇게 좋은데 안쓰는게 문제지.. 심지어 줘도 전시치장물자로 쟁여놓기만하고
님이 복무했던 곳이 꾸진데라 그런거 아님?? 난 모든 부대가 똑같을줄 알았는데 다른데는 아직도 k1옛날거 쓰고 k2쓰는데도 많더라 심한곳은 11k 04k가 뭔지도 모르고 방탄도 구형에 판초우의도 구형 ㅋㅋㅋ 그래놓고서 전역하고 욕함 그렇게 좋은 장비 쓰고싶었으면 최전방수호병을 하던 특전사를 가던 그랬어야지 후방 안전한곳에 가놓고 장비가 이게 뭐냐 툴툴거려
@@朴仁錫 홍천 11사단 근무했었고 그리 후방도 아니고 편하다는 사단도 아니었는데 그리고 언제부터 국방의 가치를 전 후방으로 나누었음? 당신 논리대로면 후방은 편하기때문에 낙후된 장비를 사용해도 투덜거리지 말라는 건가?
k2c1이외의 다른 k2의 개선버전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군생활 때도 느꼈지만 k2c1의 견고함이 참 좋았는데 이대로 사라지기에는 너무 아까운 플랫폼인거 같습니다...
그래서 k2플랫폼 개량해서 stc만든거잖아요
k1 전차 재설계해서 k1a1만들고 세대교체 해서 k2만들듯 k-2소총에서 페이스리프트로 k2c1으로 개량하고 풀체인지해서 stc가 나온겁니다 그리고 stc뿐만 아니라 st계열로 나옵니다
K2 사용해본 예비역으로 ...K2 반대합니다...솔직히 예비역중 외국의 이름있는 소총과 K2고르라면 누가 K2를 집을까요?
우리나라 장병들도 이제는 자부심을 가지고 사용할 수 있는 총기를 가질때라 봅니다
그리고 총기도 경쟁을 통한 발전이 절대 필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그동안 한개 회사에서 독점의 지위를 누리면서 정말 우리나라 총기가 아프리카만 못한 지경이 되었지요
@@Beijingjournal k2나쁜 총 아닌데요.
@@행복한매화 물론 k2가 그리 나쁜 소총은 아니지만 그래도 ar 계열 소총하고 k2중에 선택하라고 하면 저 같으면 전자를 택할 것 같습니다
와 탑티어다
내구성이 어떨란지
예전 전용준님이 와서 STC16을 사격한 적이 있는데
그날 비가와서 습기가 많았다 쳐도 가스튜브 전방에 있는 배출구에서 화염이 화이아 하고 나던데
고것이 조금 걱정이긴 한데 이번 영상을 보니 어떻게 잘 수정을 했나보네요
평소 꾸준한 관심드립니다.
1. 가스피스톤 숏스트로크 방식의 가스배출방식은 가스압력을 줄이기 위해 앞으로 일부분출시키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부분은 비슷한 작동방식의 해외화기들도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2. 이것이 초기모델에서 사격시 가스로 인한 사수에게 방해가 될 수 있을 것같아서 현재는 수정적용을 해놓은 상태입니다.
3. 현재 몇가지 수정사항을 더 적용해 최종시제버전은 ADEX2021에 선보일 예정입니다.
사용자는 둘중에 하나만 선택하면 되지만 선택 받기 위해 피나는 경쟁이 발전의 원동력! 두 회사의 무한한 발전을 빌어봅니다.
stsm의 5.56미리 버전이나 6.8미리 버전은 출시할 계획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1. STSM기관단총의 외관에 적용된 모듈화 방식은 향후 개발예정인 제품들에 적용계획에 있습니다.
2. STSM에 적용된 작동방식인 지연블로우백은 향후 비슷한 버전의 9mm기관단총 제작시 계속 적용시킬 예정입니다.
STC-16 최종형도 기대되는데 STSM-21쪽 정보좀 풀어주시면
답변드립니다.
1. STC16의 최종버전은 특수작전용기관단총-II형 구매사업이 끝나는대로 선보일 수 있으며 이전까지는 보안사항이라 공개가 어려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2. STSM-21 기관단총은 개발을 거의 완료하여 소요군 및 고객사의 구매절차 대기중에 있습니다. 서울ADEX2021에 그 버전을 공개예정이며 관련 홍보영상으로 먼저 선보일 것입니다.
@@das_media84 사업계약결과가 공개되면 알려드리겠습니다.^^
장전 손잡이 견고 하게 만들고
가스조절기 없애고
탄피 배출구 덮개 만들고
조정간 조준한 상태에서도 변경 가능하게 만들고 위치 좋게 바꾸고
탄알집 배출 버튼 위치 조정만 해도 욕 안먹음
제발 이것만 거ㅡㅗ챠도 중박은 간다
M-lok 채용한것까진 좋은데 제발 독자규격은 버리세요 STR-R19는 키모드 레일이긴 해도 타 ar15와 호환성은 높아보이던데 stc16은 진짜... 이건 너무한 수준인데요?
그만해 그동안 많이 해먹었자나
아니 k 11은 어케 된거냐고
탄피 맞는거 나만 웃겼나...ㅎㅎ
다산 빠들 적당히 좀 했으면 좋겠음. 어찌됐든 QC 역량 검증 안 된 중소기업에 이번 신형 기관단총도 문제 있었음. 무슨 SNT가 거악의 일부인 것마냥 적폐 취급하는 게 이해가 안 감
애초에 다산은 군 기밀 빼내려다 걸렸으니까ㅋㅋㅋ SNT도 범죄는 안 저질렀는데 말이죠.
적폐라기 보단 문제가 많은 기업은 맞는 거 같은데요.. 발전도 없고. 기술 투자도 안하고 ... 그리고 중소기업이라 안된다면 거의 대부분 방산 업체들이 중소기업인데...
@@jingukang5482 그거야 SNT가 내수용 기업이고 미국이나 기타 민수용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것도 아니니까 R&D에 부을 예산도 비즈니스 모델도 없는 거임. SNT 전체에서 총기 사업은 전체 매출 비중이 생각보다 엄청나게 작음. 그걸 감안했을 때 충분히 품질은 보장이 돼서 나옴. 문제는 여기 사람들이 최신 트렌드를 잘 베끼기라도 해야 하는데 K2 플랫폼에서 벗어나지를 못하고 우려먹는다는 건데 STC16은 지금도 확정된 완성 모델이 아니기 때문에 피드백을 받으면서 점진적으로 계속 개선되고 있음. 유일하게 현재 보이는 단점이라면 신뢰성을 의식해서 가스피스톤을 너무 두껍게 설계한 탓에 다른 숏스트로크 AR15계 소총이랑 비교했을 때 연사력이 다소 낮고 반동이 큰 편이라는 정도임. 그리고 방산업체에서 중소기업 우대정책이 불러오는 폐해는 이번 워리어 플랫폼 사업에서도 여실히 드러나는 거 아닌가? 멀쩡한 삼성 현대 SK 한화 같은 기존 대기업 계열사들 놔두고 낚시줄 같은 거 만들고 중국산 제품 수입해서 이름표 바꿔 팔아먹던 기업들한테 신형 방탄복 사업 맡기니까 계속 문제 나오는 거 보셈. 다 가져갈 수는 없는 거임. 그게 시스템이라는 거고 꼬우면 국가 수준 자체를 끌어올리는 수밖에 없음
@@jingukang5482 물론 다산이 현재 한국 총기제조기업 중에서 가장 트렌드를 잘 따라가고 있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제품이 검증됐다면 일부 특수전 부대 개인화기나 권총, 기타 소화기 사업에 지속적으로 참여시키는 것도 맞음
@@jingukang5482 발전이 없다는게 무슨뜻인지 모르겠네요 대표적으로 stc16만 봐도 처음 공개 했을때보다 많이 바꼈는데요??
독일제 흥국이인지 뭔지 이젠 뒷전이다! 우리 국산 소총 쓸날이 왔구나!!
대기업이라 돈을많이쓰는구나 다산은 ㅠ ㅠ
다필요없고 쓰레기같은 조정간에 변화가 생긴거같아 다행이네요
권총이나 스트라이커 방식르로 새로 개발해라 그래야 9mm 기관단총하고 세트로 팔지
stc는 왜 특수부대가 쏘는데도 반동이 심하게 느껴지나 물론 특수부대답게 조준점은 잘 컨트롤 하겠지만 개인의 능력으로 힘들게 제어하는 느낌이 든다..
snt 차기소총사업 따내자 가즈아
K2C카빈소총 워리어플랫품 잘어울리는것같은데^*^
궁금한게 특전사 분들도 멀티캠 군복 입나요?
707,UDT,SART,CCT는 착용합니다. 특전사도 얘기는 나오고 있어요.
@@rooftopkoreans 사제로 구입해서 입는경우도 있다는 말을 들은적있어서...
@@이성재-v3h 아크부대 갈때 사막지형이라 그런지 도입하신 것 같아요!
707도 특수전사령부 소속이니 예. 입습니다 작전팀 제외한 707은
STC-16이 향후 한국군의 주력소총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그냥 봐도 연발 사격시에 반동이 경쟁 모델 대비 커 보이고 반동도 어깨 방향 뿐만 아니라 윗쪽으로도 같이 튀는 걸로 보이는 데요. 이러면 실제작전시에 애로 사항이 많겠죠. 조준사격에서의 정밀도도 떨어질거고요. 인질구출 작전 같은 정밀 사격이 중요한 작전에는 못 쓰겠네요.
관심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 사항에 대한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자 UDT및 특전사출신들을 섭외해서 STC16에 대한 솔직한 평을 듣기 위해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영상에 나오지는 않았지만 해외 유수총기 대비 STC16의 우수한 점을 직접비교한 부분도 있었으며 사격반동에 대한 부분은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snttv5968 아침부터 홍보팀에서 열일하시네요. 뭐 돈 받고 섭외되어서 광고 촬영하는 건데 당연히 좋은 말 하겠죠. 일하는 건데요. 뭐 잘 아시면서. 그래요 뭐 SNT 직원 분들이니까 이해합니다. 그런데 이쪽 분야에 관심 있는 사람이나 군에서 사격 해본 사람들이면 아무도 동의 하지 않는 다는 건 알아두시면 좋겠네요.
@@user_aoub36vhwtv
STC16돌격소총은 소요군에서 요구하는 기준과 성능면에서 검증을 거친 후 구매사업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따라서 영상에서 나오는 몇가지 모습만으로 성능에 대한 억측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snttv5968 네 그렇군요. 그런 건 상관 없이 소요군에서 구매하겠다고 하면 ok라는 거군요. 네 잘 알겠습니다. 1985년 K-2 개발 후 무려 30여년간 군납에 기대서 총기사업쪽을 이어오셨으니 어련하실려고요. 잘 알겠습니다.
@@user_aoub36vhwtv답변드립니다.
소요군에서의 구매사업은 수년간 다양한 시험평가를 거친후 합격하게 되면 군에서 구입이 가능하게 됩니다.
SNT모티브는 2000년대 이후부터는 국방과학연구소에서 탈피하여 독자적으로 개발, 양산, 생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내수시장만으로는 매출과 성장의 한계가 있으므로 세계수출시장에 집중하고 있으며 K시리즈의 우수성을 갖고 세계업체들과 경쟁해 나가야하는 숙명을 안고 있습니다.
어떤 부분에서 SNT모티브 대한 아쉬움을 표하시는지는 알 수 없지만 소비자들과 소통하며 새로운 제품개발에 노력하는 모습에 관심있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산이 함정에 빠져서……안타 깝다~~
무슨일 있었어요?
@@inx2853 다산이 군사기밀 유출해서 사업 다 나가리 될뻔함
그르게 누가 뇌물주고 사업정보 빼오래?
그 함정 니가팠나 보네
이제 K1A도 돌격소총으로 인정받는 세상이....
카빈도 돌격소총 인가?
@@FMJ556 원래는 기관단총 분류였고, 일부 카빈도 돌격소총의 범주에 들어가기 시작한지 좀 됐다고 압니다
S&T는 이미 군인장병과 전국민의 신뢰를 잃은지 오래다. 소총은 외부 모습이 중요한게 아니라 사격시 신뢰성과 총열의 내구성이 제일 중요한데..겉모습만 조금씩 바꿔 새총인 것처럼 주장한다
일단 현재 군에서 앞사람이 쓰던 총을 돌려서 쓰는걸 보면 기본적으로 내구성은 확실한듯싶고 사격시 신뢰성은 앞서 영상에서 어떤지 잘 설명해주고있네요.
겉모습만 바꾼다라는건 옳지 않은 말인듯 싶군요
현재 여러가지의 개선과 개량을 통해 기존의것보다 훨씬 나은 버전의 총기들을 만들어냈고 무엇보다 새총을 만드는것보다 가성비있기 때문이죠
에휴 생각좀하자
최영재님하고 이근님 하고 마인드가 다르네 소신이없는거같에
Oksy
k2나k1기반은 퇴출시킬때가 됐지
국감에서 보고된 K2 총기의 고장율이 어마어마 하던데..
외형만 번지르르 하고 작전환경에서 터지는 고장은 어찌 할 런지?
그래서 애초에 다산기공에서 밀린것 아닌가?
멀쩡한 상황에서야 어떤 총이던 쏘면 나가고 조준 잘하면 명중이지..
극한 상황에서 고장없이 안정성 확보는 다루지 않고... 그저 눈가리고 아웅하는 S&T
이래 해놓우명 뭐함 국방부가 안바뀌면 아무 의미없지
대한민국의 주재를 알라,
육군 신형소총이 k2c1이 이니라 k2c가 들어왔어야 하는데..
미군처럼 장거리 교전하는 환경도 아닌데, 좀 잘라도 되지 않았나 싶긴 하네요.
우리나라 야전환경 Gop.gp등 전방 야전 부대용으론 k2c1이 맞습니다. 특공부대용이라면 k2c가 적당하겠죠.
@@judosin267 600까지 유효사거리인 총기가 있어도 그에 맞는 훈련을 안하는데요. 그럴바에는 차라리 좀더 가볍고 휴대하기 편한 c형이 효율적일듯 하네요.
@@버프코트 k2c가 총열만 줄인거라 문제가 좀 많은듯요 중동쪽에서도 몰래 노획은 했는데 쓰다가 버린거보면... k2c1이랑은 좀 다른거같네요
다산에 DSAR-15P 헐신좋다 100배는더 좋다
그 회사 무기 녹 잘 슬던데???
해경 특공대,UDT에 납품했다가 개같이 망했죠.
다산dsar-15가더 멋남..디자인이나 기능다차기 특수전기관단총에서도 snt를제치고 선정된걸로 아는데요.
총 장사한다고 기밀 지정된 전술까지 빼다가 쇠고랑 찬 애들은 그만 좀 이야기합시다... ㅋㅋㅋㅋ
ua-cam.com/video/eeqd_51NoCU/v-deo.htmlsi=NX8RI-9BP6c9-37O 이런총기 3/2 내구성만 된다면 우리나라 차기소총으로 선정해도 될듯 합니다.
그냥 6.8mm 바꿀거 아니면, STC-16를 전군에 보급해줬으면 좋겠다.
K1A돌격소총 개량형
반동봐라 쥑이네 막쏘는데는 제격이겠네
그래도 총하면 독일제가 갑이지..
snt m16(ar15계열)못만드는거 아니였나???
Ar15계열은 특허권이 끝나서 지금 전세계어디나 만들수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단 손잡이만 같지 않으면 됩니다 그래서 미국내 민수 시장에 나오는 ar계열브랜드가 엄청많습니다. 심지어 중국도 만들어 쓰고 있죠
@@gwagth 특허권 말고요 법적인 문제가 있었으니까요
@@RayBolt775 콜트사랑 최근에 해결돼서 문제없어요
@@opticalfiber6505 해결된줄은 몰랐네요
다산으로 바꿔 주삼
다산 걔들 품질 저하.
@@이동연-c6d 답은 강제로 인수해서 다산디자인으로 가는게 ㅋㅋㅋㅋ
해외에서 경쟁력있냐? 으휴 언제까지
STC16돌격소총은 현재개발중인 제품이나, 해외시장에서 수출문의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개발완료되어 상품화되면 해외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보일 수 있을것으로 보여집니다.
멋지네. 총도 군인도.
전군 빨리 다바꿔라
K2언제적꺼를 지금도쓰냐
다산총기가 훨 트렌드다
총은 다산 기공이지..
K-2에 껍데기만 바꾼 총을 이렇게 까지 비호 하시네..
이러니 특전사 개인장비가 후졌다고 욕먹지..
UDT 전역자들은 자기 부대에 악영향 미칠까봐 이런 총 좋다고 않한다..
특전사를 사랑하는 한사람으로써 SNT 모티브 총은 절대 반댈세 다시 20년 후퇴하는 길이야
다산 방산비리땜에 특수전 화기 도입이 나가리 될뻔한거 아닌가요??? 뉴스로 본거 같은데?
오호 기밀유출해서 영업에 써먹은 간첩들을 옹호하시겠다? 매국노세요?
않한다... ㅋㅋ
특전사세요?
다산 망했어 그나마조금 특수부대에 납품했던 총들도 성능 개판이라 대부분반품 처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