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24.DATABASE함수_DCOUNT, DCOUNTA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예제파일 : blog.naver.com...
    카톡문의 : open.kakao.com...
    메일 : excelator79@gmail.com
    1)DSUM과 DCOUNT와의 차이
    2)DCOUNT함수의 인수2는 원래 필요없는 인수이다.
    엑셀레이터 알림
    1)제목 보시고 필요한 부분만 골라보시면 됩니다.^^
    2)단기간 엑셀실무 업로드 준비중입니다.
    3)생방송 스트리밍 준비중입니다. (자격증-컴퓨터활용능력1,2급, 엑셀실무)
    희망자나 관심있으신 분들은 메일이나 댓글 남겨주세요^^
    email : excelator79@gmail.com

КОМЕНТАРІ • 50

  • @yeoni88
    @yeoni88 3 роки тому +1

    찍지마 그냥 아사리~ ㅋㅋㅋ
    너무 재밌고 강의는 더 재밌어요
    정말 잘 보고 있어요 :) 선생님 최고~

  • @평탄-h2e
    @평탄-h2e 4 місяці тому

    샘 최고 👍
    잘못찍으면 빵이야😂 ㅋㅋ
    앗싸리 찍지마. 기억에 쏙쏙
    특징인 야가 가장 핵심입니당 ㅎㅎ

  • @이태주-z5l
    @이태주-z5l 6 місяців тому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재밌게 잘 이해하고 갑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

  • @너도그렇다-u8l
    @너도그렇다-u8l 5 років тому +1

    다른 강의를 듣다가 너무 이해가 안됐는데 정말 한 번에 이해가 됐습니다. 그리고 말투가 시원시원하셔서 답답하지도 않고 좋네요 감사합니당!!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5 років тому

      다행입니다. 사투리때문에 거부감은 없을지 항상 걱정인데...^^

  • @김은지-r1b7h
    @김은지-r1b7h 4 роки тому +2

    ㅋㅋㅋㅋㅋ뭔가 혼나면서 배우는 기분 ㅋㅋㅋㅋㅋ 아튼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됐어요 ㅎㅎ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4 роки тому

      집중잘하라고...ㅎㅎㅎㅎㅎㅎ
      좋게 봐주셔서 저도 감사합니다.^^

  • @토맛토맛토
    @토맛토맛토 4 роки тому +1

    와 그러쿠만 진짜 머리아팠는데...
    감삼다!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4 роки тому +1

      예전에 제가 처음 공부할때도 머리아팠었기에 그걸 유념하고 강의했습니다.ㅎㅎ

  • @김원영-g4t
    @김원영-g4t 2 місяці тому

    dcount에서 제조국이 독일인이면 아무것도 없는 셀에 둘다 붙여넣기를 해서 입력해야되나요?아니면 더 쉬운 방법 있나요?

  • @봄봄-x3z
    @봄봄-x3z 3 роки тому +1

    와...컴활 공부하면서 DCOUNT함수 두번째 인수때문에 진도가 안나갔는데 여기서 해결하고 가요 감사합니다!!

  • @LEEVON_24
    @LEEVON_24 6 років тому +4

    아사리 찍지마~~ 찍지마~~ ㅋㅋㅋ 완젼 빵터지고 구독 누르고 갑니다~~ 재밌어요~~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6 років тому +1

      흥분하면 주체할수 없습니다. 침튀기기, 사투리 연발....
      창피스럽지만 좋게 봐주시니 기분좋습니다.

  • @user-fy4ib
    @user-fy4ib 4 роки тому +1

    와 진짜 설명잘하신다... 영진닷컴 이기적 책사서 인강보고있는데 인강하시는분이 설명의 시옷자도 모르고 수업준비도 대충해서 문제 계속 잘못읽고 잘못풀던데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4 роки тому

      ㅎㅎㅎ 좋게 봐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저도 그 인강은 봤는데... 성의가 너무 없는거 같습니다. 원리설명도 없고...

  • @sue1893
    @sue1893 3 роки тому

    2번칸에 뭐넣는지 너무 헷갈려서 들어왔는데 도움 많이 됐어요!!

  • @팩트-m9k
    @팩트-m9k 4 роки тому

    유동근쌤 듣고 있지만 유동근썜은 정석대로 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다면 이분은 잘나가는 학원강사쌤처럼
    처음 컴활 시작하는 사람들의 간지러운 부분을 잘 긁어줌 ㅋㅋ 지금 유동근썜 듣다가 이해안가는 부분 이 쌤걸로 채우는데 더 흥하셨음~

  • @greenforest104
    @greenforest104 6 років тому

    와 데이터베이스 함수 독학중이다가 여기서 고민됐는데 강의 보니까 이해가 확 되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6 років тому

      제가 예전에 데이터베이스함수 독학할때 힘들었던 부분 강조했는데...
      저랑 똑같은 부분에서 고민하신듯...
      저역시 혼자 독학하면 배워서 혼자 독학하시는 분 심정 잘알죠^^

  • @lilykim2935
    @lilykim2935 6 років тому +2

    ㅋㅋㅋㅋㅋ 감사합니다 속 시원하게 잘듣고 갑니다 ㅋㅋㅋㅋ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5 років тому

      잘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속시원하게 잘 들으셨다니 저도 따라 속시원하면서 뿌듯합니다.^^

  • @hongjooo
    @hongjooo 4 роки тому

    좋은강의

  • @user-qf7ei9bg6n
    @user-qf7ei9bg6n 6 років тому

    감사합니당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6 років тому

      도움많이 되셨다니 저도 기분좋습니다.^^ 잘 봐주셔서 저도 감사합니다.^^

  • @abnew849
    @abnew849 4 роки тому

    와 구독하고 갑니다......

  • @sykim6327
    @sykim6327 4 роки тому

    와 씨발 답이 여기있었네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4 роки тому

      ㅎㅎㅎㅎㅎㅎㅎㅎ 찰진 감탄사~~~ 굿입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nclebusan2661
    @unclebusan2661 4 роки тому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호마-b6f
    @호마-b6f 3 роки тому

    필드에 뭘 넣어야하는건지 감이 안와서 디카운트 영상 찾아온건데, 궁금했던 부분 딱 짚어주셔서 해결됐어요! 감사합니다!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3 роки тому

      ㅎㅎㅎ 저 역시 처음 배울 때 정말 이상했죠. DCOUNT함수 정말 머리 아픈 함수였습니다.^^

  • @yamamaya4444
    @yamamaya4444 4 роки тому

    그럼 실기 시험에서 dcount, dcounta중 알맞은 함수 선택하라하면 둘중에 아무거나 해도 채점에 영향이 없는 거겠죠?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4 роки тому

      당연하죠~ 사용하라는 함수를 사용해서 올바른 정답이 나오면 됩니다

  • @user-he2sb2bt9h
    @user-he2sb2bt9h 5 років тому

    궁금한게 만약 제조국이 독일인 함수를 구하려면 어떻게지정해야되나요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5 років тому

      제조국이 독일인 함수??? 제조국이 독일인 ~~의 합계는 sumif이고 제조국이 독일인 ~~의 평균은 averageif입니다.
      제조국이 독일인 함수보다 조금더 정확하게 질문해주세요~^^

  • @Moonstudent001
    @Moonstudent001 5 років тому

    컴활 시험에 나와도 2번째 인수는 입력하지 않아도 채점에 불이익은 없는건가요?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5 років тому

      만약 정답이 두번째인수를 삽입하나 삽입안하나 같은 결과값이라면 입력 안하셔도 됩니다.^^

  • @dgsh20
    @dgsh20 3 роки тому

    DCOUNT함수나 DCOUNTA 함수에서 인수2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은 것이, 실기 시험에서 감점 요인이 되지는 않나요?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3 роки тому

      네 되지 않습니다. 사용하라는 함수 사용했고 결과값도 같이 나왔기 때문에..
      그리고 인수 생략가능한 함수 많습니다.

  • @gimwon
    @gimwon 5 років тому

    카운트는 원래 숫자있는 셀만 세는 것인데, 디카운트에서는 숫자도 문자도 모두 세는 건가요... 그러면 디카운트나 디카운트에이나 굳이 구분해서 쓸필요가 없는건가요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5 років тому

      답이 늦어 죄송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실무에서는 숫자만을 세야 하는 경우는 많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카운트a가 많이 쓰입니다. 아예 카운트a만 알고 계신분들도 많습니다. 그것만 많이 쓰이니깐요^^ 하지만 데이터를 많이 다루다 보면 간혹 쓰이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알아놓으시면 나쁘지는 않습니다.^^

  • @nakolyya
    @nakolyya 4 роки тому

    선생님 그러면 itq 시험에서 2번째 인수에 열 번호를 입력해도 되는 건가요???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4 роки тому

      당연하죠^^
      열번호 넣는게 틀린것도 아닌걸요~^^

    • @nakolyya
      @nakolyya 4 роки тому

      엑셀레이터 선생님 그리고 2019년 1월~8월 기출 함수를 다 풀 수 있으면 함수 다 맞을 수 있을까요?? 갑자기 생소한 게 나오거나 하지는 않겠죠ㅠㅠㅠㅠ??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4 роки тому +1

      @@nakolyya 생소한게 나올수도 있죠. 하지만 6개월치 기출문제를 모두 이해하셨다면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1개정도는 틀려도 괜찮거든요. 맘편하게 먹으시고 화이팅입니다.

  • @eh1829
    @eh1829 6 років тому

    최고!!!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6 років тому

      딱 한마디이고 딱 두글자인데... 정말 기분좋게 만드네요~^^
      감사합니다.^^

  • @JungjoongLee
    @JungjoongLee 4 роки тому

    강의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구수한 사투리와 억양으로 지루할 틈이 없네요..
    DCOUNT함수이건 COUNT함수이건 모두 숫자 데이터의 갯수를 세는 거면
    DCOUNT함수 예제에서 제조국 필드를 선택했을 때 0이 나오는게 맞는 거 같습니다.
    왜냐하면, 제조국 필드에는 숫자 데이터가 없기때문에.
    대신 데이터 숫자가 있는 생산량 또는 금액 필드를 선택해 주어야 논리적으로 맞는 거 같네요.
    그런데, 필드명을 따로 지정하지 않은 경우 결과값에 5가 나오는 것은 이해가 잘 안되네요. 혹시 버그는 아닌지...
    아니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필드 선택안하면 조건 필드를 기본적으로 계산하는 건지...
    그렇다 하더라도 숫자 데이터가 아닌데 계산을 하는 것은 기본원칙에 벗어나지 않나 생각되네요.
    차라리 필드를 필수인수로 했어야 낫겠다는 생각입니다.
    DCOUNTA함수는 제조국 필드를 선택하든 안하든 결과값은 동일하게 나오네요.

    • @엑셀레이터-u3f
      @엑셀레이터-u3f  4 роки тому

      정중님 좋은 의견 정말 감사합니다.
      "DCOUNT함수 예제에서 제조국 필드를 선택했을 때 0이 나오는게 맞는 거 같습니다."--> 제 생각도 같은 생각입니다. 그리고 이게 참... 사실 count계열의 데이터베이스함수는 인수2 자체가 필요없는건데 데이터베이스함수의 형태를 갖추기 위함이니 기본적으로 혼란스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 일단 사용자가 알아서 잘 사용하는수 밖에 없는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