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시작할지 감도 안 잡히는 문제! 최소한의 계산으로 바로 푸는 법!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 тра 2024
  • 놀면서❤️수학만점~ 인공지능수학 깨봉!
    #깨봉수학 #도형 #깨봉도형
    [깨봉수학 바로가기] ▶ bit.ly/4aU6etw
    [조봉한 박사 섭외문의] ▶ bit.ly/3S5icYg
    [깨봉 유튜브 구독하기] ▶ bit.ly/36blgM9
    [카카오톡 상담하기] ▶ bit.ly/3dgDA7F
    [미래를 함께할 인재모집] ▶bit.ly/3lkLYN1

КОМЕНТАРІ • 27

  • @quebonmath
    @quebonmath  Місяць тому

    놀면서❤수학만점~ 인공지능수학 깨봉!
    #깨봉수학 #도형 #깨봉도형
    [깨봉수학 바로가기] ▶ bit.ly/4aU6etw
    [조봉한 박사 섭외문의] ▶ bit.ly/3S5icYg
    [깨봉 유튜브 구독하기] ▶ bit.ly/36blgM9
    [카카오톡 상담하기] ▶ bit.ly/3dgDA7F
    [미래를 함께할 인재모집] ▶bit.ly/3lkLYN1

  • @crankylim7365
    @crankylim7365 Місяць тому +1

    고맙습니다.

  • @user-vo4sx1yh9i
    @user-vo4sx1yh9i Місяць тому +1

    어렸을때 풀어봤던 문제네요^^

  • @kokopam1
    @kokopam1 Місяць тому

    참 기계적으로 했었는데 볼 때마다 경이롭습니다.

  • @RemoveWholeChinese
    @RemoveWholeChinese Місяць тому +4

    깨봉에서 항상 강조하던 거군요. "관계 짓기" 그리고 이 관계 짓기는 인공지능 시대가 오면 단순히 수식이나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문제에 대한 시각적인 관계 짓기도 포함이 된다는 것이고요. 이 문제는 여러분들이 라우터의 입장에서 Node를 잇고 네트워크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간단한 원리를 알려줍니다.
    도형 문제는 꼭짓점에서 반드시 아무 곳이나 선을 이어봐야 해요. 꼭짓점에 있는 플랫폼들의 네트워크 통신을 연결하듯이 말이에요. 그러다보면 관계를 짓듯이 길이의 관계를 알 수 있고 길이의 관계를 알게 되니까 길이의 위치를 무시하고 위치만 바꾸면 도형을 떠올릴 수 있고, 오늘도 하나 잘 배우고 갑니다. 박사님

  • @user-bk8kf6ip1d
    @user-bk8kf6ip1d Місяць тому +1

    문과였지만 수학을 좋아해던 50대입니다 깨봉수학 제대로 배우고 싶에요

  • @user-us7yn4hj3j
    @user-us7yn4hj3j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 다

  • @user-aosdi8adifu0sdfa
    @user-aosdi8adifu0sdfa Місяць тому +2

    사각형 안에서만 해결하려고하니 어려운 거였군요 ㅠㅠ

  • @user-mk3go7qq5j
    @user-mk3go7qq5j Місяць тому +1

    개꿀잼

  • @moniquejeong3767
    @moniquejeong3767 Місяць тому +1

    혹시 1차원부터 3차원을 제외한 4,5차원 에 대해서 설명해 주실수 있으세요?

  • @Snowflake_tv
    @Snowflake_tv Місяць тому

    마이 비디오스낵!

  • @bradleysbullm1673
    @bradleysbullm1673 Місяць тому +1

    일단 대각선부터 찾을 생각을 한 나 칭찬해...

  • @user-cc3fw1jz5l
    @user-cc3fw1jz5l Місяць тому

    정사각형 대각선 길이의 제곱
    -> (14+9)^2+7^2=578
    이 값을 2로 나누면 정사각형 면적
    289

  • @bizquality
    @bizquality Місяць тому

    혹시 라플라스 변환에 대해 풀어주실 수 있나요?

  • @hyukjang9648
    @hyukjang9648 Місяць тому +1

    아....난 기계에 지배당하겠구나ㅜㅜ

  • @bestlove9850
    @bestlove9850 Місяць тому

    이건 많이 알려져 있는 문제

  • @user-is5vu2rz5p
    @user-is5vu2rz5p Місяць тому

    14cm가 정사각형 가로길이보다 짧아 보이고, 15×15=225
    16×16=256
    17×17=289
    225아니면 256아니면 289?289였음ㅋㅋ

  • @bird-honey
    @bird-honey Місяць тому

    설명을 봐도 이해가 안가네유. 돌머리인가봐요.ㅠ

  • @user-lt3uj4dg9l
    @user-lt3uj4dg9l Місяць тому +6

    아 머리가 나쁜것 같아요

  • @user-ng7uy9rj7g
    @user-ng7uy9rj7g Місяць тому

    네 깨봉식 사고로 사람이 되어가고 있는 거 같아요

  • @mr.k2010
    @mr.k2010 Місяць тому

    솔직히 이번 풀이는 많이 실망했습니다. 해당 문제는 피타고라스정리를 배우기 이전의 학년들에게 주어진 문제로 알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중학교 과정의 선행이 꼭 필요할까요?

    • @mr.k2010
      @mr.k2010 Місяць тому

      초등 4학년 1학기 평면도형의 이동
      초등 5학년 1학기 사각형의 둘레와 넓이.

    • @mr.k2010
      @mr.k2010 Місяць тому

      쉽게 푼다는 것. 중요합니다. 하지만 어려운 문제를 쉽게 풀기 위해 선행을 해야 하는 듯한 풀이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seaup1900
      @seaup1900 Місяць тому +2

      지능이 안되시면 그냥 지나가시면됩니다 ㅎㅎ 힘내세요

    • @user-ix1yf3if6z
      @user-ix1yf3if6z Місяць тому +1

      작도라도 하거나 함수 도입하는 거 아니면 결국 피타고라스 정리를 쓸 수 밖에 없는데 무슨 개소리? 애초애 정사각형 면적도 1:1:루트2 라는 삼각비를 이용한 거구만 이거부터가 초등 수준 넘어선거다

    • @showphistes8101
      @showphistes8101 Місяць тому +1

      피타고라스 없이 풀 수 있다고? 와... 풀이 좀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