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사 박현철의 속공채비 공개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해결사 박현철 프로가 새롭게 개발한 속공채비를 공개합니다.
    구멍 봉돌과 도래를 이용한 새로운 붕어낚시 채비법.
    이 채비 하나면 전천후로 사용을 할수 있다고 합니다.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КОМЕНТАРІ • 380

  • @lstp120
    @lstp120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박프로님!! 고~~ 맙습니다 수십년 동안 이채비 저채비 돌고 돌다 드디어 박프로님의 속공 채비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늘 박프로님을 생각하며 낚시합니다 감솨~~합니다

  • @박의식-z2c
    @박의식-z2c 13 днів тому

    박프로님 설명하심에 감사드립니다 새해복많이받으세요

  • @이정환-q3y
    @이정환-q3y 2 роки тому +1

    두분 수고가많으십니다...붕어낚시인들을위해서 너무많은애를쓰십니다...

  • @민물바다조사-배준현
    @민물바다조사-배준현 2 місяці тому

    비바붕어박현철pro님,어신김철규pd님?안녕하세요.반갑습니다.대물속공채비에관한,영상잘보구갑니다.항상.늘~대리만족하고갑니다.오늘도,활기찬.11월마지막주,주중잘보내세요.영상편집하시니라,수고하셨습니다.~^^"😅😊😂❤🎉

  • @한방-n9u
    @한방-n9u 3 роки тому +1

    수년간 박프로님채비를 쓰고있는데 만족하고 쓰고있습니다 아직은 해결사채비로 하고있지만 조만간 속공채비도 해봐야겠어요

  • @유철종-u6q
    @유철종-u6q 4 роки тому +4

    채비설명 감사드립니다~
    현장테스트 해봐야겠습니다^^

  • @sanggill726
    @sanggill726 3 роки тому +26

    유속이 있는곳에서는 사용도 못합니다.자연지는 항상 변수가 있길 마련..자연지 붕어는 정직합니다.자연지에서는 그렇게 예민한 채비 필요없습니다.그리고 붕어 잘 잡는 채비 떡밥은 없습니다.그날 포인트에 영향이 크죠 얼마만큼 포인트에 붕어가 회유를 많이 하는지~~조과가 따릅니다

    • @smooth___kyung3476
      @smooth___kyung3476 3 роки тому +5

      님이 말씀하신 대로 자연환경에 따라서 조과가 달라지기에 ~ 채비나 미끼 운용을 전략적으로 해야겠지요
      유속이 있는 곳은 어떤 채비든 쓰는데 애를 먹기 나름입니다
      그리고 꾼이라면 포인트를 보는 눈도 좋아야 조과를 올리는데 도움이 되겠죠!
      그래서 예민한 채비와 포인트에 맞는 적절한 미끼 사용은 조과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님도 조과 향상과 채비 및 미끼 운용에 관심이 있으셔서 여기까지 오셔서 영상을 보시고 댓글까지 써 놓으신거 아닌가요?
      생각해 보면 님의 말씀에 모순이 있는 것 같습니다
      님은 아직도 부력을 미세하게 조절하지 않으시고 원봉돌 채비와 카본라인을 아무렇게나 사용하셔서 채비를 만드시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님 말씀대로 그날 그날 조황이 다르기에 운에 맞기는 낚시를 하시는건데...
      아직도 원시적인 채비를 사용하시는게 아니시라면 님의 말씀하신 댓글 내용은 모순이 있는 것 입니다
      어떠한 채비, 미끼를 쓰건간에 붕어가 물어줘야 좋은 것이지만
      붕어의 학습효과나 외래어종(육식어종) 그리고 환경의 변화에 붕어들이 예민해져 있어서 처녀지의 붕어처럼 쉽사리 입질을 하지 않으므로 그에 맞는 예민한 채비는 님의 말씀과 다르게 붕어를 잡는데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확률이 크다는 것입니다

    • @메기눈
      @메기눈 2 роки тому +2

      하고싶은데로하셔요

    • @sanggill726
      @sanggill726 2 роки тому +1

      @@메기눈 하고있어여

    • @badii1262
      @badii1262 2 роки тому +1

      @@smooth___kyung3476 터도 변수가 있지만 그만큼 자연지 변수가 많다는 뜻일겁니다
      유속은 터와 다르게 좀 더 있지요
      그걸 말하시는듯 합니다
      유속이 있으면 아무리 예민한 채비라도 흐르면 어려우니까요
      그래서 좀더 무겁게하고 유속이 없으면 잘라내서 하기도하고요

    • @명냥이-x7i
      @명냥이-x7i 2 місяці тому

      @@sanggill726 혹시 해결사채비 해보셨나요?

  • @escape-fishing
    @escape-fishing 4 роки тому +2

    속공채비 설명 잘보고 갑니다
    채비 대박 나시길 바랍니다

  • @kjs2030
    @kjs2030 3 роки тому +3

    제가 20년전부터 노지에서 원봉돌 쓰다가 양어장 낚시터로 짬낚하면서 사용하던 딱 그 채비네요.
    찌올림이 참좋습니다.

    • @fishcamp3125
      @fishcamp3125 3 роки тому +1

      원줄은 뭘 사용하셨나요?

    • @kjs2030
      @kjs2030 3 роки тому

      모노줄이나 새미플로팅 사용합니다.

  • @타공-d8g
    @타공-d8g 4 роки тому +4

    저는 양어장 낚시를 주로 합니다만 오래 전부터 박프로님 팬입니다.
    박프로님께서 더 개선된 채비를 소개하는 내용이라서 반갑고 흥미롭게 보았습니다.
    사실 양어장 낚시에서는 오래 전부터 사용해 온 채비구조이고 특히 1m~2m 장찌를 사용하는 낚시에서는 본봉돌을 몸통상단에 찌맞춤하는 방식은
    거의 2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설명 내용 중에서 본 봉돌의 찌몸통 상단에 찌맞춤하고, 찌톱을 내려주는 무게의 도래를 달아 준다고 하시면서 찌톱무게 만큼의 도래를 달아 준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찌톱을 끌어내리는데 필요한 무게는 찌톱무게와 상관있는 것이 아니고 찌몸통을 끌어내려서 찌탑을 모두 침수시킬 수 있는 무게와 동일합니다.
    결국 도래의 무게는 찌탑을 모두 끌어내리는데 필요한 부력(정확히는 본봉돌에 의해서 상쇄되고 남아 있는 부력)이 되는 것이죠.
    동일한 재질, 굵기, 길이의 찌탑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저부력찌일수록 도래가 작아지고 고부력일수록 도래가 커지게 됩니다.
    대부분의 찌톱재질은 튜브톱을 제외하면 부력이 없기 때문에, 찌톱이 굵고 길면 찌자중만 증가해서 몸통크기가 동일하다면, 찌톱을 끌어내리는데 필요한 무게는 더 작아집니다.
    결론적으로 찌톱을 끌어내리는데 필요한 도래의 무게는 찌톱의 무게와 상관있는 것이 아니라 찌몸통의 부력크기와 관계된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찌톱이 길어지면 끌어내리는데 필요한 무게가 증가되어 도래는 더 무거운 것을 사용해야 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본봉돌을 찌몸통 상단에 찌맞춤 했다면, 도래의 무게는 노출되어 있는 찌탑의 길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찌탑의 길이가 길면 무거워지고 짧으면 가벼워집니다.
    찌맞춤해서 사용하는 과정은 동일하지만 도래의 무게는 찌탑의 무게와는 관련이 없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양어장 낚시에서는 도래와 본봉돌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찌의 상승속도와 상승폭에 상당한 차이가 생깁니다. 뿐만 아니라 먹이를 흡입한 붕어가
    먹이를 오래 물고 있는가 빨리 밷어 버리는가 하는 차이도 많이 생깁니다.
    자연지에서는 어떤 기준이 없이 적당한 간격을 두고 하다가 수초 등으로 안착이 잘 안되면 도래까지 내려서 원봉돌 형태로 하고 하는 것 같은데,
    바닥 여건이 좋다면 도래와 본봉돌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도 입질 형태는 반드시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양어장에서의 기준을 말씀드리자면 본봉돌과 도래 사이가 짧을수록 찌의 상승속도는 빨라지고 붕어가 미끼를 빨리 밷어 내게 되고, 사이가 길수록 찌의 상승속도는 느려지며 붕어가 먹이를 물고 있는 시간은 길어집니다. 그러나 그 사이가 지나치게 길어지면 찌가 조금 상승하다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무너집니다. 마치 도래를 너무 가볍게 사용해서 더 이상 올리지 못하는 현상과 같습니다. 사이 간격을 최적하게 맞추면 찌가 조금씩 서서히 부상해서 찌톱 전체를 드러낸채로 1시간 이상 버티는 경우도 자주 생깁니다. 결국 장찌낚시는 그런 찌올림을 즐기기 위해서 하게 되는 것이죠.
    박프로님께서 새롭게 고안한 채비가 제가 사용하는 채비와 너무 유사해서 반가운 마음에 이렇게 글을 적어봅니다.
    제일 궁금한 것은 현재의 채비에서 도래와 본봉돌 간격의 길이가 자연지 낚시에서도 영향을 주는가 하는 것입니다.
    말씀 드린 것처럼 양어장에서는 그 간격이 입질빈도수와 찌올림에 분명히 매우 큰 영향을 줍니다.
    자연지에서도 그것을 염두에 두시고 낚시대 별로 간격을 다르게 해서 테스트 해 보시면 그 효과를 확인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자연지 대물낚시에서 항상 앞서가는 채비를 고안하시고 소개해 주시는 박프로님을 좋아하는 분들이 많고 저 역시 그렇습니다.
    2021년도 어복 충만하시고 항상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 @김진은-c8s
      @김진은-c8s 11 місяців тому

      박프로보다 훨씬 이론적으로 정립되어 있네요^^ "짱"입니다^^

  • @메기눈
    @메기눈 2 роки тому

    수고많으셨습니다.

  • @붕어잡는곰
    @붕어잡는곰 3 роки тому +1

    속공채비 잘 배워갑니다

  • @낚시의시간
    @낚시의시간 4 роки тому +3

    속공채비 설명 감사합니다.
    중요한 꿀팁을 얻었네요.^^
    감사드립니다.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낚시에 도움이 되셨다니 행복합니다...^^

  • @물만두-y3g
    @물만두-y3g 4 роки тому +2

    속공채비 잘보고 배워갑니다 ^^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2

      낚시에 도움이 되셔야 할텐데...^^

  • @가수최태조TV친구야인
    @가수최태조TV친구야인 4 роки тому

    붕어 소콩체비 잘보았읍니다
    감사합니다 응원합니다

  • @고종학-f8u
    @고종학-f8u 3 роки тому

    잘배우고 감니다!😉

  • @타공-d8g
    @타공-d8g 4 роки тому +1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저는 양어장 낚시를 주로 합니다만 오래 전부터 박프로님 팬입니다.
    박프로님께서 더 개선된 채비를 소개하는 내용이라서 반갑고 흥미롭게 보았습니다.
    사실 양어장 낚시에서는 오래 전부터 사용해 온 채비구조이고 특히 1m~2m 장찌를 사용하는 낚시에서는 본봉돌을 몸통상단에 찌맞춤하는 방식은
    거의 2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설명 내용 중에서 본 봉돌의 찌몸통 상단에 찌맞춤하고, 찌톱을 내려주는 무게의 도래를 달아 준다고 하시면서 찌톱무게 만큼의 도래를 달아 준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찌톱을 끌어내리는데 필요한 무게는 찌톱무게와 상관있는 것이 아니고 찌몸통을 끌어내려서 찌탑을 모두 침수시킬 수 있는 무게와 동일합니다.
    결국 도래의 무게는 찌탑을 모두 끌어내리는데 필요한 부력(정확히는 본봉돌에 의해서 상쇄되고 남아 있는 부력)이 되는 것이죠.
    동일한 재질, 굵기, 길이의 찌탑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저부력찌일수록 도래가 작아지고 고부력일수록 도래가 커지게 됩니다.
    대부분의 찌톱재질은 튜브톱을 제외하면 부력이 없기 때문에, 찌톱이 굵고 길면 찌자중만 증가해서 몸통크기가 동일하다면, 찌톱을 끌어내리는데 필요한 무게는 더 작아집니다.
    결론적으로 찌톱을 끌어내리는데 필요한 도래의 무게는 찌톱의 무게와 상관있는 것이 아니라 찌몸통의 부력크기와 관계된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찌톱이 길어지면 끌어내리는데 필요한 무게가 증가되어 도래는 더 무거운 것을 사용해야 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본봉돌을 찌몸통 상단에 찌맞춤 했다면, 도래의 무게는 노출되어 있는 찌탑의 길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찌탑의 길이가 길면 무거워지고 짧으면 가벼워집니다.
    찌맞춤해서 사용하는 과정은 동일하지만 도래의 무게는 찌탑의 무게와는 관련이 없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양어장 낚시에서는 도래와 본봉돌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찌의 상승속도와 상승폭에 상당한 차이가 생깁니다. 뿐만 아니라 먹이를 흡입한 붕어가
    먹이를 오래 물고 있는가 빨리 밷어 버리는가 하는 차이도 많이 생깁니다.
    자연지에서는 어떤 기준이 없이 적당한 간격을 두고 하다가 수초 등으로 안착이 잘 안되면 도래까지 내려서 원봉돌 형태로 하고 하는 것 같은데,
    바닥 여건이 좋다면 도래와 본봉돌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도 입질 형태는 반드시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양어장에서의 기준을 말씀드리자면 본봉돌과 도래 사이가 짧을수록 찌의 상승속도는 빨라지고 붕어가 미끼를 빨리 밷어 내게 되고, 사이가 길수록 찌의 상승속도는 느려지며 붕어가 먹이를 물고 있는 시간은 길어집니다. 그러나 그 사이가 지나치게 길어지면 찌가 조금 상승하다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무너집니다. 마치 도래를 너무 가볍게 사용해서 더 이상 올리지 못하는 현상과 같습니다. 사이 간격을 최적하게 맞추면 찌가 조금씩 서서히 부상해서 찌톱 전체를 드러낸채로 1시간 이상 버티는 경우도 자주 생깁니다. 결국 장찌낚시는 그런 찌올림을 즐기기 위해서 하게 되는 것이죠.
    박프로님께서 새롭게 고안한 채비가 제가 사용하는 채비와 너무 유사해서 반가운 마음에 이렇게 글을 적어봅니다.
    제일 궁금한 것은 현재의 채비에서 도래와 본봉돌 간격의 길이가 자연지 낚시에서도 영향을 주는가 하는 것입니다.
    말씀 드린 것처럼 양어장에서는 그 간격이 입질빈도수와 찌올림에 분명히 매우 큰 영향을 줍니다.
    자연지에서도 그것을 염두에 두시고 낚시대 별로 간격을 다르게 해서 테스트 해 보시면 그 효과를 확인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자연지 대물낚시에서 항상 앞서가는 채비를 고안하시고 소개해 주시는 박프로님을 좋아하는 분들이 많고 저 역시 그렇습니다.
    2021년도 어복 충만하시고 항상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 @МсМ-у9м
    @МсМ-у9м 3 роки тому

    Best Korean fisherman!!!!💪💪💪👍

  • @jone2824
    @jone2824 3 роки тому

    박현철프로님~~~ 정말대단합니다
    이채비를 누가 다른채비와같다고하는지 그분들은 일단 채비를 완벽이해못했다고보면됩니다
    진짜 모든면에서 장점만 많은 완벽한채비입니다
    과연누가 찌탑부력만을 계산해서
    찌맞춤할 생각했을까요
    세상세 처음나온 채비입니다
    너무완벽하구요 감사합니다~~~~

  • @jjddhh0123
    @jjddhh0123 4 роки тому

    늘 좋은 영상 잘 보고 있군요 ,,감솨

  • @오창덕-d1b
    @오창덕-d1b 3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 @김순기-x1k
    @김순기-x1k 5 місяців тому

    자연 저수지에서 바닥채비로 합니다ㆍ
    1ㆍ7대부터 약간 더 긴 대를 씁니다ㆍ
    제게는 3호찌가 좋을 듯해요ㆍ
    혹시 3개 구할 수 있을까요?
    채비를 완성한 상태로요ㆍ
    감사히 잘 봤습니다ㆍ
    감사합니다

  • @김용태-i1v
    @김용태-i1v Місяць тому

    본봉돌과도래의길이에간격은 어느정도를유지해야하는가요,

  • @mdkim4872
    @mdkim4872 4 роки тому +3

    동영상 잘봤습니다 원줄이나 목줄 매듭법은 어떤걸 쓰시는지도 궁금하네요 목줄은 8자매듭하시는지요?

  • @tvkimchance
    @tvkimchance 2 роки тому +1

    어부도 아닌데...
    주말 하룻밤,
    30년전 원봉돌 묵직하게 달아놓고,
    라면 하나 끓여먹고,
    소주 한잔 하고,
    2~3마리 잡으면 좋고,
    아니면 말고,
    아침에 돼지국밥 한그릇하고,
    사우나에서 한숨자고,
    그렇게 주말 보내면..
    이 또한 좋치 아니한가!
    지난 30년,
    온갖 좋다는 채비 바꿔봐도
    끝내는 항상,
    맨처음 어린 시절 처음 낚시하던
    그 원봉돌채비로 가더라는...
    뭔 붕어들이
    학원 다니는것도 아닐거고,
    휴...
    공부하고 도전하지 않으니
    난 죽어도 프로는 못되는게벼..ㅋㅋ

  • @김용태-i1v
    @김용태-i1v Місяць тому

    속공채비 마련시 도래외바늘은포함인가요,제외인가요,죄송합니다.

  • @물새-u9m
    @물새-u9m 2 роки тому +2

    이게 스웨벨채비와 무슨 차이가 있나요?

  • @서귀성-r4l
    @서귀성-r4l 4 роки тому

    속공채비 잘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낚시에 도움이 되셨음 합니다

  • @구름에달가듯이-h8e
    @구름에달가듯이-h8e 2 роки тому

    아아아~이제야 바보 도터졌네요...좋은정보감사드립니다.^^

  • @월풍-u4z
    @월풍-u4z 3 роки тому +2

    도래를 사용할뿐 목줄에 소형 구멍봉돌을 사용하는 것보다 특별히 더 효과적이라고 볼수는 없는 채비로 보여지고요 새로운 채비법이라고도 할수없네요

    • @월풍-u4z
      @월풍-u4z 3 роки тому +2

      저는 0.5그램 구멍봉돌을 목줄에 스토퍼를 채결하여 하용하는지가 벌써 10년도 넘없는데 제 채비보다 단점이 더많이 보이고 새로운 채비법이라고는 할수없을거 같아요

    • @메기눈
      @메기눈 2 роки тому

      당신체비로하셔요..

  • @붕어사랑-y4f
    @붕어사랑-y4f 3 роки тому +1

    사장님
    원줄은 주로 몇호 쓰시나요
    지금 구매 할려고 하는데#ㅡㅡㅎㅎ

  • @son-cy8bt
    @son-cy8bt 3 роки тому +3

    본봉돌에 와셔를 추가해서
    찌톱 무게를 찾아으면
    도래 셋팅후 본봉돌에 추가된 와셔를
    제거해야되는것 아닌가요?
    그대로 사용하면 더 무거운 채비가되는것같은데요

  • @메기눈
    @메기눈 2 роки тому

    목줄은무슨줄로하슨게좋은지요...그리고길이는얼마가좋은지요

  • @FreeMan.Korea.
    @FreeMan.Korea. 4 роки тому +6

    ㅎ 막상 해보면
    붕어 모든 채비가 거기서 거기 이지요
    문제는 붕어와 닿을수 있는곳 잘 찾아야 하쥬 ㅡ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1

      네 맞습니다.붕어 없는곳에선 어떤채비도 소용 없습니다.
      그러나 붕어잇는곳에서 낚시를 해도
      채비에 따라서 입질빈도나 찌올림폭은
      큰차이가 납니다.

    • @FreeMan.Korea.
      @FreeMan.Korea. 4 роки тому

      @@박현철-i3k 답글 감사 드려요 ㅡ응원 함니다

    • @메기눈
      @메기눈 7 місяців тому

      현철사장님말씀에 한표..

  • @jaysfamily462
    @jaysfamily462 3 роки тому +1

    박프로님 목줄길이는 대략어느정도 하는게 좋을까요? 전 양바늘 옥내림만 했는데 나이드니 올림이 그리워요.ㅎ 마침 이 방송이 나와서 감사합니다. ㅎ

    • @smooth___kyung3476
      @smooth___kyung3476 3 роки тому

      10~15센치가 적정한 목줄길이 같습니다
      속공채비 다른 영상에도 나와있습다

    • @마요지니
      @마요지니 3 роки тому

      영상도안보고 질문하나요?

  • @신서동사령관
    @신서동사령관 Рік тому +1

    결국 박프로님 채비쓰라는 이야기 네요..
    카본줄은 안된다니..

  • @니뽕이다-x9j
    @니뽕이다-x9j 4 роки тому

    찌맞춤을 어떻게 하시는지요 0점맞춤인지 아니면 현장에서 찌맞춤을 어디까지 맞추시는지 궁금하네요

  • @권기홍-h6v
    @권기홍-h6v 3 роки тому +6

    프로님 그런데 수심별 본추와 도래의 간격은 어떻게 하나요

    • @kjs2030
      @kjs2030 3 роки тому

      저는 찌톱 총길이 에서 한마디 정도 짧게 간격을 둡니다.

  • @밍고-z4i
    @밍고-z4i 2 роки тому +1

    내가 개발한 스위벩 채비랑 같네요.

  • @메기눈
    @메기눈 2 роки тому

    영상에서...도레추가.찌무게보다조금무거운거다는게좋다고했는데요...그렇게에민한찌맞춤이필요한건지요

  • @한성일-x7z
    @한성일-x7z 4 роки тому

    유용한 정도 감사합니다 박현철 프로님^^
    노지에서 만날수 있다면 차한잔 정도 대접하고 싶네요 ㅎ 감사합니다

  • @윤철용-o1q
    @윤철용-o1q 4 роки тому +1

    잘보고갑니다 저도 재비했서 실전에 사용해보게습니다 고맙습니다

  • @칸타타-b4t
    @칸타타-b4t 3 роки тому +1

    채비 만드는 영상도 보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인생무상-x7k
    @인생무상-x7k 6 місяців тому

    스위벨채비와 뭐가 다르죠?

  • @로아-g4r
    @로아-g4r 2 роки тому +1

    낚시는 포인트다 !!그걸 증명해주는것이 베스터에서 10대를 깔고 입질이 들어 오는 대는 1대 2대 가 전부 고기가 있는곳을 찾아 찔러 넣으면 몬채비든 몬 미끼든 고기는 나온다
    고로 내가 고기를 잡길 원한다면 포인트 찾는 법을 배우자!!! 그걸 또 증명하는것이 보트 낚시 포인트 찾아 이동!!!

  • @b.m.e7128
    @b.m.e7128 3 роки тому +1

    내림낚시하다가 유속때문에 스위벨식으로 7목맞춤후 나머지 부력은 도래에 편납감아 맞춰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제가 사용하던 방식과 흡사하네요~ 테스트 영상 잘봤습니다.

    • @jaysfamily462
      @jaysfamily462 3 роки тому

      답이 영상에 놔와있네요 ^^;;감사합니다

  • @무아-x3j
    @무아-x3j 3 роки тому +2

    궁굼한게 있어 질문드릴께요.
    찌톱의 무개를 측정하기위해 추가한 링을 제거 한 후에 찌톱보다 약간 무거운 와샤를 다는건지요.
    아님 그대로 와샤를 다는건지요

    • @마요지니
      @마요지니 3 роки тому

      저도여기서 궁금증이 있었는데 답을해주지않네요 ㅎㅎ

    • @류광선-f4h
      @류광선-f4h 3 роки тому

      저도 그게 궁금했는데 영상 보면 세가지정도 링을 추가했는데 본봉돌 영상나올때 링이 보이지않더군요. 찌톱무게 측정후 링을 제거하고 도래를 다시는것이아닐까합니다

  • @가람엔산넘어
    @가람엔산넘어 2 роки тому

    그럼 합사2호정도를 원줄로
    쇼크리더 연결로 카본이나 나일론
    줄로 쓰면어떨지요 궁금합니다

  • @뽀또-t2e
    @뽀또-t2e 3 роки тому

    속공채비는 그러면 한목 내놓고 낚시를 하는건가요 ??

  • @정상길-w6b
    @정상길-w6b 2 роки тому

    고기가 먹이 활동을 안하거나 없어도 채비에 따라서 조과가?

    • @어신김철규
      @어신김철규  2 роки тому

      에이...
      붕어가 활동 안하면 백약이 무효이지요.

  • @박인용-o5j
    @박인용-o5j 4 роки тому +2

    영상 잘받았습니다 궁금한것이 세미풀로딩 바다, 민물 따로있는지?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2

      네 그렇습니다.비바세미라인은
      수초대에서 낚시를 많이하는 붕어낚시특성상 코팅을 한번더 추가하여 원줄에발생하는 스크래치를
      줄여주고 파마현상이나 줄꼬임현상을 현저히 감소 시켰습니다.
      비반라인 광고좀 했습니다.
      죄송합니다...^^

    • @박인용-o5j
      @박인용-o5j 4 роки тому

      @@박현철-i3k 예 그려면 다른가계에 있는지요?

    • @박인용-o5j
      @박인용-o5j 4 роки тому

      3,5라인은없지? 3,0은 좀불안해서요 지금은 카본30사용중있니다?

  • @칸타타-b4t
    @칸타타-b4t 4 роки тому +1

    바늘 목줄은 어떤게 좋은가요? 바늘목줄 길이는?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저는 비바블랙라인을 목줄로 사용 합니다.직진성과 유연성이 좋아
      원줄및 목줄용으로도 적합합니다.
      목줄길이는 15~20센치가 적합합니다.
      바늘은 벵에돔바늘 5~7호를 사용합니다.

    • @칸타타-b4t
      @칸타타-b4t 4 роки тому

      @@박현철-i3k 원봉돌과 도래간 목줄은 비바블랙라인을 15~20cm 사용하고 도래와 바늘간 목줄도 블랙라인 15~20cm를 사용한다는건지요?

    • @존기존기라
      @존기존기라 4 роки тому

      @@칸타타-b4t 저도 그렇게 알아들었습니다.

  • @한근식-l9m
    @한근식-l9m 2 роки тому +1

    찌 무게가 속공채비에 영향을 주나요?
    고부력 찌를 사용하고 있는데 가능할까요

  • @올꽝-p3x
    @올꽝-p3x 4 роки тому +4

    바늘빼고 찌맞춤 해야되나요?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1

      네! 바늘빼고 맟춤니다.

    • @FreeMan.Korea.
      @FreeMan.Korea. 4 роки тому +1

      붕어낚시팁 ㅡ
      동절기엔 바늘 달고 찌맞춤 하여 미끼 함몰 없도록 하여 붕어눈에 잘 띄도록 가벼운 채비가 유용 함니다 ㅡ
      올림을 보기위해서는 목줄 길이를 짧게(5~ 10 )으로 함니다
      목줄 길게 하면 내림 형태의 입질 보이며 옆끌기 형태의 찌 움직임 나타 남니다 ㅡ
      아섰쥬 ? ㅡ
      ★광주 양조사

    • @성열근
      @성열근 4 роки тому

      @@박현철-i3k 010 9974 8697
      찌 구매하고싶어서요 연락주셨으면 합니다

    • @파주벼리
      @파주벼리 4 роки тому +1

      @@박현철-i3k 프로님 제가 사용하는찌는
      찌톱무게가 와셔로 측정해보니
      0.35그람입니다 제가자주가는저수지는 수심이 깊고 거의 맨바닥 베스터라
      원줄모노 3호줄에 목줄모노 2호줄사용해봤는데 도래는 몇그람이
      적당할까요?동절기라그런지 아직 찌표현이 나타나지않아 도래무게가 잘못된나해서 질문드립니다
      포인트가 맨바닥이라 모노줄사용했는데
      세미로 교체해야할까요?

    • @FreeMan.Korea.
      @FreeMan.Korea. 4 роки тому

      @@한정현-d6d ????

  • @정인화-f2w
    @정인화-f2w 4 роки тому +5

    최근에 속공채비를 접하고 모든 채비를 바로 바꾸어서 낚시 중입니다!
    지금까지 유동분할봉돌채비를 사용하면서 막연하게 스위벨의 무게를 1g, 또는 더 예민하게 하고 싶다는 생각에 0.8g 을 사용했었습니다.(군계일학의 성제현 사장님도 자연지에서는 1g정도의 스위벨 사용을 권장하지요..)
    그런데 이 스위벨의 무게가 어떻게 정해지고, 어떤 무게가 적정한지가 늘 궁금했었는데 박프로님의 속공채비 소개에서 스위벨의 무게가 찌탑의 무게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고 무릎을 치게 되었습니다. 찌탑전체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스위벨의 최적의 무게!!
    결과적으로 본봉돌 밑의 스위벨 무게가 양어장에서나 쓰는 스위벨의 무게이지만(성제현 사장님의 채비는) 자연지에서 사용해 본 결과 안정적이었습니다. 흐름도 없고, 수초 속에도 잘 파고 들고 안정적으로 안착이 됩니다. 현장에서 투척을 해보면 바닥에 텅! 살짝 반발하며 바닥을 찍는 모습이 포착이 됩니다!
    무엇보다 반한 것은 환상적인 찌올림입니다. 몸통 바로 위까지 스멀스멀, 둥~둥~ 찌탑 전체를 슬로우 비디오로 올려 주는 입질이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그 숨막히는 찌오름이 멈추는 순간 여유있게 챔질을 하게 됩니다. 입질을 지켜보는 것도 한결 여유가 생겼습니다. 찌의 깔짝거리는 작은 움직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눈에 불을 켤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적극 추천하는 채비입니다. 옥내림 채비는 미련없이 접었습니다!!! 설령 몇 마리 덜 잡는다 해도 충분히 양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끔 채비에 대한 확신이 흔들리기도 했는데, 이런 불안감을 한 방에 날려 버린 속공채비!!
    물론 주관적이긴 하지만 써보면서 대만족하는 채비가 바로 이 채비입니다.
    속공채비를 알게 되서 감사하는 마음에 이렇게 긴 글을 남기데 되었네요~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1

      정인화님 속공채비 사용하시고 효과를
      보셨네요.
      장문의 댓글 감사드립니다...^^

    • @좌파는망한다
      @좌파는망한다 2 роки тому

      @@박현철-i3k 찌구입및 줄과 채비등등 물어볼께있어 쇼핑몰 전번이 없내요
      46대정도면 줄은 몇호이며 찌밎 봉돌은 몇호 신청하면 됩니까 그외 와샤는 몇그람짜리를 무얼신청하면되는지 소품들 부탁드려도 될까요

    • @파랑새-y7t
      @파랑새-y7t 2 роки тому

      님의 글에 공감합니다.
      더불어서 속공채비에 따른 찌맞춤에 변화에 한표 던집니다.
      수초에서는 사용 안해밨지만 맹탕 에서는 찌에 변화는 느끼겠드라구요!
      찌올림이 좋아 챔질 타이밍 을 가져갈수있어 좋았읍니다.
      저두 에민한 찌맞춤에 신경을 많이 쓰는데
      이거다 싶더라구요!
      앞으로 더 연구해 보겠읍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멋쟁이-r8m
    @멋쟁이-r8m 4 роки тому +3

    잘 보았습니다 전 주로 카본줄을 사용해서 해당 사항이 없는것 같네요 ㅎㅎㅎ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태식님. 세미줄로 바꿔보세요.
      찌올림도 좋아지고 조황도 좋습니다

  • @남박진호-g8i
    @남박진호-g8i 4 роки тому +1

    도래까지 달고 찌톱 무개를
    측정 하는거죠?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1

      찌톱무게 측정하는데 도래유무는
      상관 없습니다.

    • @son-cy8bt
      @son-cy8bt 3 роки тому

      채비 셋팅 할때 처음부터 도래를 제외한 상태에서
      원봉돌에 와셔를 추가해서
      찌톱 무게를찾으면
      그때 원봉에 추가된 무게를 계산해서 원봉돌 추가된 와셔를 빼고 그무게정도 되는 도래를
      셋팅하는것 맞으시죠
      예를 들어
      도래무게가 0.2그람이면
      0.25나0.3 그람

  • @갈끼다
    @갈끼다 4 роки тому +2

    동일 부력찌의 경우 하나만 맞춰서 같은 부력의 도래를 사용하면 되겠죠?

    • @어신김철규
      @어신김철규  4 роки тому

      저도 그렇게 하고있습니다.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정확한 동일부력찌라면 문제가 없는데
      동일부력이라도 0.05그램의 차이만 나도
      도래가 다를수도 있습니다.
      0.05그램이면 예민한찌톱은 두마디정도
      됩니다.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1

      죄송합니다
      제가 찌맟춤 과 착각을 했네요.
      같은도래 사용하시면 됩니다...^^

    • @갈끼다
      @갈끼다 4 роки тому

      답변 감사합니다 ^~

    • @전영국-o8l
      @전영국-o8l 3 роки тому

      @@박현철-i3k 찌좀구매할려는데전화번호좀주세요

  • @민주황제
    @민주황제 4 роки тому +3

    박프로님 궁금한게 하나 있습니다.
    도래 무게는 찌톱무게보다 같거나 살짝 무거운걸로 해야 찌올림이 좋다고 하셨는데요,
    찌톱 무게란게 케미 꽂은 상태의 무게인가요? 아님 케미 뺀 상태의 무게를 말하는건가요?
    요부분이 좀 애매해서 질문드려봅니다^^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1

      케미꽂은 상태로 찌맞춤을 하지만
      찌맟춤시 케미노출이 되기 때문에
      어차피 찌톱무게는 동일합니다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1

      여기서 찌톱무게는 찌톱과 찌고무무게까지 입니다

    • @민주황제
      @민주황제 4 роки тому

      @@박현철-i3k ㅇㅏ. 답글 감사합니다 박프로님.

  • @메기눈
    @메기눈 2 роки тому

    캐미까지모두장착하고 찌맞춤을하는지요..

  • @요산요술
    @요산요술 4 роки тому +16

    스위벨채비와 속공채비의 차이점 설명좀 해주시면 좋겠습니다ㅎㅎ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2

      두채비는 비슷해 보이지만 많은 차이가
      잇습니다.
      원줄.목줄.찌맟춤.목줄길이 다 다릅니다.
      지면으로 설명이 어려우니 매장에 한번 들리세요.

    • @고광이-w8c
      @고광이-w8c 4 роки тому

      매장지점과이름을알러주이소.감사합니다

    • @고광이-w8c
      @고광이-w8c 4 роки тому

      속공채비로잉어.항어낚시시역시속공인가요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고광이-w8c 경기도시흥시 금이동 43번지 비바붕어 031 317 6806

    • @노을지기64옥천
      @노을지기64옥천 3 роки тому

      잘배워서 두대에 사용중인데 역시 좋네요

  • @이정환-q3y
    @이정환-q3y 7 місяців тому

    도래와 본봉돌 간격은 몇cm가좋은지요..

  • @정상길-w6b
    @정상길-w6b 2 роки тому

    낚시의 프로는 자격증이 있나요?어떤 사람이 프로인가요

  • @babygato286
    @babygato286 3 роки тому

    전 스위벨 채비 애용하는데 가끔 채비 중에 한가지 바꿔서 찌맞춤 다시해서 낚시하곤합니다. 바꾸는건 스위벨 자리에 오링으로 변경해서 낚시하는데 이쁘게 잘 올라오더라구요.

  • @sea42861
    @sea42861 4 роки тому

    해결사의 슬림버전 같군요 이물감을 최대한 줄여줘서 멋지게 밀어올릴수가 있겠네요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네 그렇습니다.
      멋진 찌올림과 조과도 확달라질 겁니다.
      조과엔 내림채비를 따라갈 채비가 없었는데 내림채비조과를 능가하는
      유일한 바닥올림채비라 할수있습니다.

  • @임민수-k4s
    @임민수-k4s 3 роки тому

    수조에서맛추어가지고필드에서바로사용해도되나요

  • @맹군-s8l
    @맹군-s8l 4 роки тому +1

    프로님 ...수조에서 찌맞춤하면 ...현장에서 원줄무게때문에 조금 무거워지지 않나요?

  • @권혁수-m2h
    @권혁수-m2h 3 роки тому

    잘보고갑니다
    궁굼한게있는데요 동영상처럼 똑같이 다하구요 원동돌을 도레까지 다내려서
    던지면 2목그대로인가요? 아니면 수심을다시 측정해야하는건가요?

  • @maguni59
    @maguni59 4 роки тому +1

    전자찌 몸통의 기준은 어디로 정해야 할까요? 전자찌 배터리 425 쓰고 있습니다.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찌톱하단부 찌톱이 시작되는 부분부터 입니다

    • @메기눈
      @메기눈 2 роки тому

      ㅋㅋㅋ...많이하셔요

  • @용접붕어
    @용접붕어 2 роки тому

    돌돔도래는 몇호인가요?
    검색해보니 무게 표시가 없어서요?

  • @소리바다-o2e
    @소리바다-o2e 2 роки тому

    0.01 0.02. 0..03 어디서 판매하시나요

  • @주춘호-d9u
    @주춘호-d9u 4 роки тому +2

    궁금합니다 프로님!! 채비완벽하게하고 현장찌마춤까지 해서 낚시를 하는데 왜 도래와 원봉돌 간격이 15센티일때 2목이 나오도록하고 정상적으로 낚시를했는데 풍덩채비(원봉돌채비)로 전환하면4목이 될까요 ? 혹시 바닥에도래보다 본봉돌이 먼저닿아서 원상으로직립이 안되는것 아닐까요?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3

      도래가 찌톱보다 가볍거나 원줄이 너무 두꺼워도 그런현상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찌맟춤이 가벼워도 그런현상이
      나타나죠.
      원줄과 도래사이의 밸런스가 무너져
      직립이 안되고 휘어져 있는 겁니다.

  • @잉어콧털
    @잉어콧털 3 роки тому +3

    요약 : 특별한 채비 새로운 채비도 아닌 그냥 분할봉돌 입니다
    군계일학의 좁쌀봉돌 도래 스위밸채비와 똑 같습니다.
    주저리 주저리 어렵게 설명 해 놓은것 뿐이네요

    • @뀨뀨-h7x
      @뀨뀨-h7x 3 роки тому

      ㅇㅈ

    • @fishcamp3125
      @fishcamp3125 3 роки тому

      찌탑 무게만큼 분할 봉돌을 달아야 된다는 말은 박현철 프로가 처음임
      성제현사장은 분할봉돌을 왜다는지 설명안하고 그렇게 하세요라고함 그리고 원줄도 카본줄임 올림에 쥐약
      박현철프로는 처음에 세미프로팅줄로 찌올림 저항 줄일려고 노력함 현재는 세미보다 더가벼운줄 개발하고 판매중

  • @정보안관-q2j
    @정보안관-q2j 3 роки тому

    낚시대는 비싼거 필요없다 채비가 중요하만 채비는 각자 장단점이있고 차이가 ㅈ있기 때문에 정답은 없다 고로 본이의 경험으로에 토대로 개발해서 하는것도 재미 있게 하는거죠

  • @김정용-r8x
    @김정용-r8x 4 роки тому +2

    혹시 찌이름이 어떻게 되나요? 직접가서 설명듣고 살수있나요?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찌명은 속공찌 입니다
      촬영없는날은 매장에 잇습니다.제가 잇을때는 1대1 채비설명 해드립니다.
      방문전에 매장으로 연락주세요 .
      매장전번 031 317 6806 입니다

    • @김정용-r8x
      @김정용-r8x 4 роки тому

      네 감사합니다

  • @oh-ss6zh
    @oh-ss6zh 4 роки тому +3

    안녕하세요
    원줄과목줄은 세미줄 몇호가 적당하나요?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2

      2~4호 정도가 적당합니다
      목줄은 사용하는 원줄보다 한.두홋수
      낮게 사용합니다.
      저는 원줄은 세미화이트 2.5호
      목줄은 세미블랙 1.7호나 2호를
      사용합니다.
      동절기목줄은 1.7호 하절기목줄은
      2호를 씁니다.

  • @김명성-t3o
    @김명성-t3o 4 роки тому

    잘봤습니다 도래를 달기전 와샤늘 빼고 다는지 아님 찌마춤 끝나고 도래를 다는건지요?
    세트로는 안파시나요?
    찌 도래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찌톱무게측정이 끝나면 노지낚시경우 찌톱무게보다
      약간 무거운 도래를 선정합니다.
      다음 와샤를 빼고 도래를 단다음
      찌맞춤을 하면 됩니다.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비바붕어 매장에 속공채비전용찌
      도래 판매 합니다.
      031 317 6806

    • @마요지니
      @마요지니 3 роки тому

      와샤를 빼는게맞군요 영상에그게안나와서 우리같은초보는 참힘드네요 의문점이 많아서요 뭔가있나틀별한게있나 하고 계속 댓글 찾는중에 답변을 찾아서 속이시언

  • @하울요정
    @하울요정 4 роки тому +1

    프로님 나중에 시간되시면 찌맞춤 채비설명및 채비방법좀 영상으로 부탁드려봅니다~~^^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엄정하게 재고해 보겠습니다...^^

  • @Dancing_Bear
    @Dancing_Bear 2 роки тому

    김창렬인줄요 ㅎㅎ

  • @오정승-d9s
    @오정승-d9s 3 роки тому

    찌톱무게를 상쇄한 0,17g을끼운채 도래를다는지요?아니면 0,17g와샤를뺀후 0,25g도래를다는건지 자세한설명부탁드립니다.

    • @NamdoInterests
      @NamdoInterests 3 роки тому +1

      찌톱무게가 0.17g으로 확인되면,
      도래(스위벨)의 무게를 0.17g ~0.25g중에서 0.25g의 도래를 사용하라고 이번 영상에서 추천을 합니다. 다만. 여러편의 영상을 살펴보니,
      점점 도래의 중량이 늫어나면서 최근관련 영상에서는 0.35g의 도래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 @오정승-d9s
      @오정승-d9s 3 роки тому

      @@NamdoInterests 감사합니다 참고할께요.

    • @오정승-d9s
      @오정승-d9s 3 роки тому

      @@NamdoInterests 찌톱무게계산한 와샤는빼는거죠 요거이 헷갈립니다.ㅎㅎㅎ

    • @NamdoInterests
      @NamdoInterests 3 роки тому

      찌맞춤할때 무거워서 빼지말라고 하여도 뺄것 같습니다.
      전체 아래 댓글의 답댓글을 박현철님이 달아 주심 내용이 원줄의 호수별로 권장하는 도래의 무게가 달라지는 내용이였습니다.

  • @찰스리-v6t
    @찰스리-v6t 3 роки тому

    도래는 봉돌 아래쪽에 있나요?

  • @user-apluski0
    @user-apluski0 4 роки тому +2

    수조 찌마춤시 세미2호에 찌톱 무게가 0.28g나가는데 0.3도래는 없고 0.35g 스위벨을 써도 무방할련지요?
    답변 꼭 부탁드립니다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결론부터 말하자면 0,3보단 0.35도래가
      좋습니다.
      노지낚시에선 아주예민함보단 적당히
      예민한게 더 좋습니다.
      이론상으론 도래와 찌톱무게가 같으면
      좋치만 실전에서 이렇게 쓰면 원줄의 무게.바람.조류.낚시대길이등.
      변수가 잇기 때문에 약간의 잔존침력이
      있어야하기 때문 입니다.
      어느정도 잔존침력이 있어야 낚시할때
      채비운용에대한 피곤함이 없어지죠.
      물론 외부의 영향이 없는 양어장.실내낚시터 같은곳은 예민할수록
      좋겠지요...^^

    • @user-apluski0
      @user-apluski0 4 роки тому

      @@박현철-i3k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둥굴게-u2w
    @둥굴게-u2w 3 роки тому

    영상 잘 봤습니다 좀 신기 하네요 근대...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찌 톱 무게를 강조 하시는대.... 찌 톱 무게를 어떻게 알수 있을까요? 아시는분 댓글좀 부탁합니다

    • @어신김철규
      @어신김철규  3 роки тому

      윗봉돌로 몸통까지만 맞춤니다.
      나머지는 찌톱 무게 만큼의 도래를 맞춰 달아주지요.
      그 도래 무게가 찌톱무게입니다.

    • @황철우-j3m
      @황철우-j3m 3 роки тому

      @@어신김철규 현장에서 본봉돌과 도래로만 찌가 맞앗다면 그대로 낚시를 하면되나요
      아님 봉돌이 그거밖에 없다면 봉돌을 깍을수가 없지않나요
      수조와 현장이 다르기에 그런변수가 생기더라구요

  • @oh-ss6zh
    @oh-ss6zh 4 роки тому +1

    안녕하세요
    혹시 돌돔도래0.3그램은
    호수로는 몇호인지 알려주세요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돌돔도래 5호 0.26~0.28그램
      4호 0.32~0.34그램
      3호 0.4 ~0.43그램 입니다
      도래홋수는 홋수가 낮을수록 무게가
      무겁습니다.
      6호는 0.18~0.21그램 입니다
      이정도홋수를 갖추고 잇으면
      어떤찌던 사용가능 합니다.

    • @한정현-d6d
      @한정현-d6d 4 роки тому

      @@박현철-i3k 3

  • @돌부처예수
    @돌부처예수 3 роки тому +1

    이젠 전천후 속공채비가 대세다 질문요 송전ㆍ고삼 박닥이 밑걸림이 심한데 괜찮을까요?

    • @TV-cr5un
      @TV-cr5un 3 роки тому

      갠찬습니다 ^^

  • @강동일-k2l
    @강동일-k2l 4 роки тому +3

    속공채비잘봤습니다
    그런데 봉돌무게는 왜 안나오는거죠

    • @강동일-k2l
      @강동일-k2l 4 роки тому

      링은 왜 다시 다는지 이해가안대서요

    • @강동일-k2l
      @강동일-k2l 4 роки тому

      제가 비바 스웨벨 채비 사용중입니다 현재까지
      그런데 지금 속공채비 교환하려고 하는중입니다

    • @강동일-k2l
      @강동일-k2l 4 роки тому

      아하 스위벨을 달지말고 맨봉돌사용하라는뜻인가요??

    • @강동일-k2l
      @강동일-k2l 4 роки тому

      세미 5호줄 사용중입니다

    • @강동일-k2l
      @강동일-k2l 4 роки тому

      세미5호 원줄 요수찌 5,7g

  • @테리-d9k
    @테리-d9k 3 роки тому

    이번에 속공채비로 다바꾸려하는데요 궁굼한것이 저는 낚시를 아마존같은곳에서 하는걸 좋아하는데 2.5는 좀약한거같은데 비바세미 3.5나4.0으로 해도상관없는지와 목줄은 모노사용해도 상관없는지요?

  • @고펙타클
    @고펙타클 3 роки тому

    십수년전부터 사용하는 채비입니다 유동간격은 목줄만큼만주고 사용했습니다

  • @육봉다르
    @육봉다르 4 роки тому

    찌톱 무게는 와샤를 통해 측정하는건가요??? 도래를 장착하기전에 찌톱 무게를 알아야 도래선택후 찌맞춤 할텐데요, 찌톱무게를 미리알수있는방법이 있나요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와셔측정이 어려우시면 찌톱을 잘라서
      저울에 측정하는 방법도 있어요.

    • @haramara-m9m
      @haramara-m9m 4 роки тому +1

      찌톱무게가 정확한 표현이 아니라 실은 찌탑부력이겠죠? 찌탑무게라고 하니 그냥 무게인줄 알고 짤라서 저울질하라네요ㅋㅋㅋ 짜르고 다시 붙이는 방법도 같이 알려주심 고맙겠습니다

  • @Nic7891.
    @Nic7891. 3 роки тому

    바늘의 무계는 상관 없는건지요

    • @박현철-i3k
      @박현철-i3k 3 роки тому

      바늘을 빼고 찌맟춤을 하기에 바늘무게는
      찌맟춤과 상관 없습니다.
      다만 바늘이 클수록 입질빈도는 떨어 집니다.

  • @longyupiao1630
    @longyupiao1630 4 роки тому +1

    이채비가 내림보다 예민하다고요? 내림낚시에도 이렇해 찌맞추고 낚시하면 찌도 시원하게 올려주는대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그게 옥올림 채비 입니다.옥올림채비에도 찌올림이 괜찬습니다만 옥올림채비의 기본봉돌이
      약 2~3그램정도를 사용하는데 2~3그램봉돌을 들어올리는것과 0.2~0.3그램도래를 들어올리는것중
      어떤것이 붕어입장에서 저항이 적을까요?

  • @트리플크라운-w9c
    @트리플크라운-w9c Рік тому

    박현철님 술한잔 하신것 같은데ᆢ

  • @조현욱-t5o
    @조현욱-t5o 3 роки тому

    속공채비 방법 배우러
    가고 싶은데 주소 좀
    가르쳐주세요 부탁
    드립니다.

  • @윤예성-u6z
    @윤예성-u6z 3 роки тому

    제가 화이트줄2.5호를 쓰고 있는데요 찌톱무게는 모르는데 아랫봉돌 은 0.3그람쓰고 있거든요 근데 자연지에서 계속
    낚시하는데 이단입수현상이 나타나네요 한마디 내어놓으면 이따보면 스르륵 가라앉고
    스트레스받아서ㅠㅠ 이거 어떻게 없애는 방법 없을까요???ㅠㅠ

    • @NamdoInterests
      @NamdoInterests 3 роки тому

      원줄을 물속으로 가라앉히고, 바늘을 떼고, 현장찌맞춤을 하여 보세요. 가감이 가능한 봉돌을 사용하시면 채비를 50cm정도 바닦에서 띄워 찌탑 반목찌맞춤을 하고, 가지고 있는 제일 가벼운 쇠링 또는 와셔를 더하시어 케미고무딸각을 하시면 됩니다.
      낚시히실때는 이목을 내놓고 하시다가 찌탑의 목수변화가 없으면 내려서 한목으로 맞쳐서 하시면 됩니다.

    • @윤예성-u6z
      @윤예성-u6z 3 роки тому

      @@NamdoInterests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NamdoInterests
      @NamdoInterests 3 роки тому

      박현철님의 댓글 중에 이단입수가 발생이 되면, 속공채비에서는 도래의 무게를 늘리고, 조금 무겁게 찌맞춤을 하라고 합니다

  • @메기눈
    @메기눈 2 роки тому

    영상중0.17g짜리와샤를빼준다고야그를아하네요..여샤를 그냥달고 도래를다는건지요...

  • @박동호-v9l
    @박동호-v9l 3 роки тому +2

    프로님 수조찌맞춤후 현장찌맞춤시
    확인방법이 있을까요?
    속공찌 부력편차가 있고 낚시대 길이에 따른 변화가 있어서요.
    꼭 답변부탁 드립니다.

  • @똘이-e7v
    @똘이-e7v 3 роки тому

    스위벨채비와 동일한거 아닌가요ㆍ무엇이틀린가요

  • @nrdssm-w6h
    @nrdssm-w6h 3 роки тому

    스위벨 상위버전이군요.
    스위벨무게를 선정하는 기준 잘배웟습니다.
    성재현보다 훨낫네요

  • @J원-w2o
    @J원-w2o 3 роки тому

    박프로님 이채비도 바닥채비의 일종 인거죠? 봉돌이 떠있으니 아닌건가..헷갈리네요..

  • @갈끼다
    @갈끼다 4 роки тому

    세미 줄 검은색과 흰색의 차이가 있나요?

    • @박현철-i3k
      @박현철-i3k 4 роки тому

      네 갈끼다님
      블랙라인이 비중이 약간더 무겁고
      직진성이 강한편이라
      라인입수가 좀더 수월합니다.
      인장강도도 좀더 강해서 노지낚시에
      유리하죠.
      저는 원줄은 화이트를 목줄은 블랙을
      사용합니다.
      블랙라인이 직진성좋고 줄꼬임.파마현상이 거의 없어 목줄용으로도 강력추천 합니다.

    • @갈끼다
      @갈끼다 4 роки тому

      @@박현철-i3k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