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과학자들은 명왕성을 버렸을까? 보이지도 않는 별이라서? 심채경 천문연구원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4 тра 2024
  • 출연 및 제작문의
    knoutube@gmail.com
    본영상은 "혜화책방" 원본 영상을 유튜브 형식에 맞게 편집한 콘텐츠이며,
    풀버전은 추후 방송대지식+, 꽁교육+ 채널에서 공개됩니다.
    👉강연자 심채경
    -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 천문학자
    - 저서 :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등
    #심채경 #별 #명왕성
    - 세상에 모든 전문지식!
    여러분의 교양채널입니다.
    👉재미지다 꽁교육+ 채널
    / @knoukkong
    👉방송대 정보+
    / tvoun
    👉유노캠퍼스(대학강의)
    ucampus.knou.ac.kr

КОМЕНТАРІ • 95

  • @user-wd3ov3bv6h
    @user-wd3ov3bv6h 4 дні тому +11

    요약하면 명왕성은 천문학자들이 보기에 행성의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여겨 지위를 박탈시킴.
    첫 번째 조건은 태양과의 안정적인 궤도, 두 번째는 충분한 질량을 가지는 것임.
    첫 번째의 경우 명왕성은 상당히 불안정한 궤도를 갖고 있음. 행성의 궤도는 이심률과 기울기가 있음. 이심률은 0이면 원이고 1이면 타원임. 명왕성의 이심률은 약 0.248임. (지구는 약 0.016, 목성은 약 0.048이라는 걸 감안하면 상당히 타원임.) 또한 기울기는 태양의 적도 기준 약 12도 기울어져 있음. (지구가 약 7도, 목성이 약 6도라는 걸 감안하면 꽤 기울어진 채 돌고 있음.)
    두 번째는 좀 더 디테일하게 얘기하면 위성을 충분히 붙잡을 만한 중력이 있는 것임. 명왕성을 보니까 카론이라는 위성이 있는데, 자세히 보니까 명왕성과 카론은 달이 지구 중력에 일방적으로 붙잡혀 도는 게 아니라, 서로 상호 작용을 하면서 돌고 있다는 것임. 보통 쌍성계가 이런 경우인데, 명왕성과 카론은 항성급의 질량은 아니니 크게 두드러지지 않지만 태양의 주위를 돌면서 동시에 그 주변을 미미하게 같이 돌고 있는 것임.
    거기다 가장 중요한 건 명왕성을 행성으로 인정할 경우 명왕성 바깥의 명왕성과 비슷한 것들이 많은데, 이걸 다 행성으로 봐야 된다는 것임. 상황이 이렇다 보니 과연 명왕성을 계속 행성으로 봐야 되냐? 논쟁의 대상이었다가 2006년 행성에서 퇴출되고 왜행성으로 분류된 것임.

  • @kimws33
    @kimws33 18 днів тому +27

    재미나요
    조용조용 자근자근하게
    이쁘시고 순하게 보이시는 심채경 연구원님

  • @user-pv1xg4ok4i
    @user-pv1xg4ok4i 11 днів тому +3

    재미 있군요
    한국 천문학이 나사를 넘어서는 날을 기약하며
    강의 참여 합니다.

  • @user-ci2ic9pi6u
    @user-ci2ic9pi6u 4 дні тому

    잘 들었습니다!! 아주 즐거웠어요~ 감사합니다!!

  • @parao4176
    @parao4176 14 днів тому +5

    좋은 강의 너무 잘 들었습니다
    다른 것도 더 들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kh4jf8ji7w
    @user-kh4jf8ji7w 18 днів тому +5

    성채경선생님의 설명 잘듣고 많이 배웠어요. 우주의 얘기는 늘 재미 있어요. 감사합니다.
    성채경선생님 왕팬.

    • @kdyu178
      @kdyu178 18 днів тому +4

    • @user-rz1db7we3v
      @user-rz1db7we3v 17 днів тому +2

      아니 왕팬이라시면서 왜 족보를........

    • @user-jl2bh1lw6r
      @user-jl2bh1lw6r 6 днів тому +2

      성채경 교수님 저도 팬입니다 !!!

  • @user-ql8hb7cd1k
    @user-ql8hb7cd1k 12 годин тому

    어... 좋은 강의입니다. 고맙습니다.

  • @user-rk9nu6lw6l
    @user-rk9nu6lw6l 8 днів тому +4

    너무 이쁘세요

  • @user-rs9ou1tx4n
    @user-rs9ou1tx4n 8 днів тому +3

    명왕성도 행성이면 좋겠다😊

  • @bleedkaga8630
    @bleedkaga8630 17 днів тому +3

    명왕성이 위치해 있는 카이퍼벨트에 대해 간단한 설명이 있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네요 ^^

  • @ziopa5671
    @ziopa5671 7 днів тому

    명왕성에도 삼체 문제가 적용이 되나요?

  • @Az-oc9li
    @Az-oc9li 11 днів тому +1

    삼체경 선생님..

  • @universe8979
    @universe8979 3 дні тому +1

    명왕성은 행성이에요 지인 외계인이 관광하고 지나가다 알려줬어요~~~

  • @user-gz1cf7go2o
    @user-gz1cf7go2o 4 дні тому

    우주는 너무 신비롭다..

  • @user-rs9ou1tx4n
    @user-rs9ou1tx4n 8 днів тому

    명왕성은 어떡해ㅠ😢

  • @LaMusique4885
    @LaMusique4885 8 днів тому +4

    자막 공존이 맞는건가요? 공전이 아니고?

  • @jak4639
    @jak4639 5 днів тому +2

    인간들이 뭐라 하든지 말든지 그래도 명왕성은 태양 주위를 돈다

  • @edinkim
    @edinkim 7 днів тому +3

    몇 가지 오류가 있어서 적습니다. 명왕성의 지위를 결정하는 회의는 국제천문연맹이 2006년 프라하에서 개최한 것으로 2008년이 아닙니다. 그리고 뉴호라이즌스 탐사선의 발사연도 역시 2008년이 아니라 2006년입니다.

    • @user-hg6up4zs3b
      @user-hg6up4zs3b 6 днів тому +1

      그래서??

    • @sewankim892
      @sewankim892 5 днів тому

      @@user-hg6up4zs3b 싸우자구?

    • @youth_kr
      @youth_kr 5 днів тому

      답글 수준 떨어진다 어휴

    • @user-loveverkim
      @user-loveverkim 4 дні тому

      지식을 전달하는데 정확한 걸 전달해야죠

  • @user-ci2ic9pi6u
    @user-ci2ic9pi6u 4 дні тому

    공전의 자막을 공존이라고 쓴 부분들이 있네요...

  • @jodhi2068
    @jodhi2068 4 дні тому +5

    이분 완전히 여대생 같았는데 ㄷㄷㄷ 세월이 많이 흘렀구나 시집은 가셨나

    • @user-dc7ew7xu7n
      @user-dc7ew7xu7n 4 дні тому +1

      82년생이고 고등학교 때 만난 선배와 결혼해서 두 자녀가 있습니다.

  • @user-nb3qs3zo4e
    @user-nb3qs3zo4e 10 днів тому

    현실에 맞지 않아요 ㅡ상상 ㅡ

  • @yjljami7850
    @yjljami7850 5 днів тому +2

    쌩뚱맞지만...눈이 참, 예쁘시네요...

  • @user-rz1db7we3v
    @user-rz1db7we3v 17 днів тому +1

    명왕성은 행성의 막내에서 탈출해 카이퍼벨트의 왕이 되었다

  • @user-qc7dx4nz8y
    @user-qc7dx4nz8y 7 днів тому +2

    명왕성과 같은 행성이 20개정도 계속 생기니 전부 없애버림

    • @user-yo9fv9rw1e
      @user-yo9fv9rw1e 6 днів тому

      맞음 명왕성보다 더크고 위성까지 거느린 왜소행성들도 있는데 왜 명왕성만 태양계 행성으로 불류함 ㅡㅡ

  • @user-wv7ed1xr1w
    @user-wv7ed1xr1w 9 днів тому

    명왕 레일리

  • @TV-jn8zx
    @TV-jn8zx 3 дні тому

    제외됐다. 명왕성!

  • @user-coolC1
    @user-coolC1 2 дні тому +1

    명왕레일리

  • @hishamlee3654
    @hishamlee3654 3 дні тому

    14:00 자기 자리 지키지 못하면 밥그릇 빼앗긴다.

  • @user-ef7qx5ic4g
    @user-ef7qx5ic4g 2 дні тому

    명왕성 : 보잘거 없는 인간 니네들이 뭔데 나를 행성인지 아닌지를 가늠한것이냐...하찮은것들가소롭기 짝이 없구나..

  • @user-im4mz1nd7s
    @user-im4mz1nd7s 4 дні тому

    명왕성이 탈락 하지않으면 현재 우리가 배울 행성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 세레스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에리스 하우메아 마케마케 콰오아 세드나 오닉스 ..... 너무많은 행성이 생길뻔..

  • @gina-p
    @gina-p 2 дні тому

    세일러 플루토..🫢🥲

  • @spin2902
    @spin2902 8 днів тому

    재분류는 맞지..너무 많아지니까..

  • @user-dd8tt2bh2v
    @user-dd8tt2bh2v 7 днів тому

    별 하나 정복 못했는데 버리긴 뭘 버림... 포기한거지

  • @-memoge
    @-memoge 3 дні тому

    아마 태양계를 중점으로 태양을 위주로 공전하느냐 자유공전을 하느냐로 판단하는듯
    태양을 위주로 공전은 하되 주변의 영향에 휘둘리면 인정 안하는듯
    앞으로 기술이 더 발전해서 지구에서 화성으로 테라포밍기술이 이뤄질듯
    그래봐야 이 은하계의 태양계의 첫 발걸음이지만 말이죠
    또 그게 언제 가능할지도 모르고 ㅎㅎㅎ
    우주는 너무 넓어서 진짜 철학적 생각을 하게됌
    이 넓은 우주에 그것도 수도없는 여러계중 은하계에 거기서 많은 태양계중 여기 태양계에 거기서 지구에 거기서 대한민국의 누구누구 자식으로 태어났는지 ??? ㅎㅎㅎ

  • @wooc5405
    @wooc5405 9 днів тому +1

    행성들 왈, 지구인 저거들 끼리 넣고 빼고 난리야~~😂😂 오는것도 못하면서

  • @user-ek6qp9ky4g
    @user-ek6qp9ky4g 2 дні тому

    너무나먼 그곳까지 얻지가

  • @user-uj4tj6rh3l
    @user-uj4tj6rh3l 6 днів тому

    메오 레이리

  • @user-mg3sk4wb5p
    @user-mg3sk4wb5p 11 днів тому +1

    와..이쁘다 ㅎㅎ

  • @potatopizza9386
    @potatopizza9386 2 дні тому

    17:19 지식채널에서 공전을 틀리네

  • @user-mv8hf4fy2y
    @user-mv8hf4fy2y 8 днів тому +1

    죄송합니다
    형편이 안좋아서 버렸슴니다
    왕성아 미안하다

  • @user-ii1tl4sc3r
    @user-ii1tl4sc3r 5 днів тому +2

    몸매좋아보이세요 지적이고
    ㅠ 남자들 워너비!!

  • @ics3143
    @ics3143 4 дні тому

    명왕성은 해왕성의 위성이었음. 에너지 입자포에 의해 말데크행성이 폭발후 천왕성의 자전축이 심하게 기울어졌고 명왕성은 해왕성궤도에서 이탈하게됨. 목성과 화성사이에 위치해있던 말데크행성은 폭발후 지금의 목성 토성 근처의 잔재들이 말데크행성의 폭발후의 잔재들임.

  • @user-ui3ze4tn7i
    @user-ui3ze4tn7i 6 днів тому +1

    아직도 대학생 같으세요ㅎㅎ 진심 어려보이시네요ㅎㅎ

  • @ohmygod9822
    @ohmygod9822 День тому

    우리땐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이라 배웠다.

  • @user-ew2ge2zz5u
    @user-ew2ge2zz5u 12 днів тому +1

    맹왕성 같은넘 겁나
    많다잖아
    그렇게 행성 부여하다 보면 외워야 할 행성 무지하게 많데

  • @brianlee8923
    @brianlee8923 18 днів тому +1

    크기도 중요함

  • @user-mv5lw8yx5s
    @user-mv5lw8yx5s 4 дні тому +1

    명왕성아 행성탈락했다고 슬퍼하지마라..
    왜소행성 최강자가 되었잖느냐..

  • @dongwonoh9527
    @dongwonoh9527 4 дні тому

    명왕성 : ?? 뭐래 ㅋ

  • @TheDeath19791
    @TheDeath19791 6 днів тому

    잉.. 음양의 오행이 왜 나오죠 ㄷㄷ 행성을 말하는게 아닐텐데...

  • @Bloodking1234
    @Bloodking1234 4 дні тому +2

    명왕성은 수만년을 묵묵히 자기자리를 지키고 있는데 고작 100년도 못사는 인간이 행성이다 아니다를 논하고 있으니 가소롭다.

  • @user-tx1tk5qy8z
    @user-tx1tk5qy8z 3 дні тому

    한낱 인간따위가 별을 지들 맘대로 하네~ 명왕성이 별꼴이야 하며 콧방귀 끼겠군

  • @user-vv5pj3rs2i
    @user-vv5pj3rs2i 3 дні тому

    이 아닌 이라고 부르면 않되는겨?!

  • @castle_87
    @castle_87 4 дні тому

    명왕성 노이즈 마케팅 쩌네

  • @user-xz9ny6cu9n
    @user-xz9ny6cu9n 5 днів тому

    태양계에 명왕성급 행성이 많다더만

  • @sewankim892
    @sewankim892 5 днів тому

    Mz들이 지금 나이가 44살인데 mz세대에요.

  • @user-jj2bs6op2m
    @user-jj2bs6op2m 13 днів тому

    AI로봇을 보내라

  • @user-xq1wu1gw5t
    @user-xq1wu1gw5t 12 днів тому

    계속 논란이 되는 건 미국 때문이지. 자기들이 발견한 유일한 행성이었는데 퇴출이란 소식은 자존심에 타격을 입은 거야.

  • @user-eo8uu8ot5s
    @user-eo8uu8ot5s 14 днів тому

    간단함 논문하나 올리려고~

  • @jununy_92
    @jununy_92 3 дні тому

    근데 이제 위성이라는 말도 사라졌나요??? 달을 위성이라고 안하시길래...

  • @user-lp5rt3nd2e
    @user-lp5rt3nd2e 7 днів тому

    누구냐 넌 무섭다

  • @stratkimstratkim4686
    @stratkimstratkim4686 8 днів тому

    퇴출이 아니라 그냥 재분류

  • @user-qm5ox3ve8g
    @user-qm5ox3ve8g День тому

    이걸 아직 모르는 사람이 있나. 내 알고리즘 파괴됐네

  • @user-df5pz6kg1s
    @user-df5pz6kg1s 14 днів тому +4

    명왕성은 자전주기가 공식적으로는 137년인데 실제는 측정이불가합니다

    • @user-yz5fc9du3p
      @user-yz5fc9du3p 12 днів тому +1

      천문학 공부 좀 하셔야 할듯 ㅋㅋㅋ 명왕성 자전주기는 6.39일인데 137년은 어디서 본 거임? ㅋㅋㅋ

    • @user-ej1zt8xg3c
      @user-ej1zt8xg3c 12 днів тому +7

      @@user-yz5fc9du3p
      지식은 모르거나 틀리거나 하면 그냥 알려주면 되는 것이지,
      뭐 대단한 엄청난 거라고, 사람을 무시하고 비웃고 하시는지요?

  • @Groomedby
    @Groomedby 6 днів тому

    2부리그 강등

  • @user-ik5zz1qn4p
    @user-ik5zz1qn4p 3 дні тому

    음...행성이냐 아니냐.....마치...국회의원이 사람이냐 아니냐의 문제이군....

  • @ohmygod9822
    @ohmygod9822 День тому

    ㅅㅂ 이런식이면 지동설도 천동설로 바뀌겠구만.

  • @user-hx9kt1yi1i
    @user-hx9kt1yi1i 6 днів тому

    몇광년 멀리의 은하를 관측하고...이름을 붙이고...우주를 나름 정의 하려 하지만~고작 우리 은하의 끝에 있는 행성이 무엇인지...논쟁하고
    장님이 세상을 보는 노릇 아닌가

  • @user-un1wh5zp5c
    @user-un1wh5zp5c 10 днів тому

    잘못된 것이다. 저들 멋대로.

  • @user-kaisarMvP
    @user-kaisarMvP 7 днів тому

    2008년 이라는 말에 갸우뚱했는데 역시나 2006년이 맞았네요.. 일단 좀 더 명확한 데이터로 말씀하시는게.. 그리고 천왕성도 이론상 육안으로 볼수 있습니다. 잘 안보일뿐이죠..

  • @jkwoo5982
    @jkwoo5982 11 днів тому +1

    명왕성이 행성이냐 아니냐가ㅜ중요하냐?

    • @user-hu6um7nd6g
      @user-hu6um7nd6g 10 днів тому

      학자 들 생각 으로 생각좀 이해 ? 무삭하게 단순 말허는것 보이 ㅋ

  • @herorush
    @herorush 4 дні тому

  • @user-oe6lu3kj8h
    @user-oe6lu3kj8h 7 днів тому

    수십억년 전부터 인간보다 먼저 존재하는 우주를 고작 지구의 인간이 뭐 움직이는게 어떻고 조건이 어떻기때문에 행성이네 아니네 하면서 분류하고있는 현실.
    인간이 분류하고 정의내리면 뭐 달라지는게 있나요. 명왕성은 지구의 인간이 다 멸종한 후에도 여전히 지금그대로 존재하고있을것임.
    명왕성입장에선 잠깐 왓다 스쳐갈존재들이 뭐라고 행성 지위가 강등이네 마네 하는격

    • @junghasuh6357
      @junghasuh6357 5 днів тому

      인간이 자연을 나름 이해하기 위해 분류를 하는 거니 당연히 인간 중심이지

  • @user-zc1dy6yx6n
    @user-zc1dy6yx6n 3 дні тому

    설명은 아주 잘하시는데 친구란 용어는 아주 부적절한 표현인거 같으네요 친구가 뭡니까

  • @sj3160
    @sj3160 7 днів тому +25

    명왕성은 가만히 있는데 지구라는 별의 인간들이 행성이네 아니네 왈가왈부 하는것도 어이없긴 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jongheelee6301
      @jongheelee6301 6 днів тому +1

      지구는 별이아닌데요 ㅋㅋ

    • @user-go5dh7ty1f
      @user-go5dh7ty1f 4 дні тому +1

      우주 공부하는 사람들이 왈가왈부해야지 그럼 싀발 냅둠?

    • @user-qf1if8dd8g
      @user-qf1if8dd8g 4 дні тому +1

      @@jongheelee6301 별 인간들 다있다는 말 아닐끼요?

    • @user-qf1if8dd8g
      @user-qf1if8dd8g 4 дні тому

      @@jongheelee6301 별의 별 인간들이 있다는 얘기!

  • @user-rw8mn2cv9p
    @user-rw8mn2cv9p 6 днів тому

    명왕성이 기분나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