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 한 마리 못 죽이지만 돈 앞에서는 유대인급! 인도 0.4% 자이나교도 이야기 [강성용의 남아시아 인사이드 17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8 лис 2022
  • ■ 김경일 교수님과 함께하는 10시간의 "마음" 수업
    [ 열심히 살아가는 우리들 앞의 심리적 함정들 ]
    👉링크 클릭 : apps.3protv.com/3pro/home/lec...
    ■ 2023년이 다가오는 지금,
    송길영 부사장님의 깊은 인사이트가 궁금하다면?
    새롭게 공개된 ✨미래대학 확장판+✨에 함께하세요.
    어디에도 없는 송길영 부사장님의 신규 주제 "OOO" 강의가 포함된 [미래대학 확장판+]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링크 클릭 : apps.3protv.com/3pro/home/lec...
    ■ 2023년을 이웃을 위한 나눔과 함께 준비해보세요.
    2023년 삼프로TV 다이어리 & 캘린더 세트 판매 수익금은 자립준비청년을 위하여 기부됩니다.
    👉다이어리 & 캘린더세트 구매하러 가기 : smartstore.naver.com/withgodp...
    ■ 2023년을 목전에 둔 지금, 무엇이 반복되고 무엇이 달라질 것인가.
    오직 삼프로TV에서만✨
    삼프로TV 전문가 사단의 리뷰가 포함된 [트렌드 코리아 2023] 클래스 OPEN🎉
    👉링크 클릭 : apps.3protv.com/3pro/home/lec...
    ■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중국에 투자를 하려면 중국 정부의 생각을 반드시 알아야만 합니다.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가 5시간 압축 강의로 중국 정부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드립니다.
    👉 링크 클릭 : apps.3protv.com/3pro/home/lec...
    📞기업에서도 삼프로TV의 강연을 만나고 싶다면!
    edu@3protv.com 또는 02-2118-0705로 연락주세요.
    ---------------------------------------------------------------------------------------------------
    ★ 삼프로TV 고객센터 : 02-2118-0707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
    ★ 광고 및 협업 문의 :
    - 설문지 작성 : url.kr/yi4rpg
    - 연락처 : 010-2090-6748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
    - 이메일 : ad@ebroadcasting.co.kr
    #강성용 #남아시아인사이드 #자이나교
    [주의요망]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에 출연하시는 분들은 문자/카톡/전화를 통해 절대 주식 리딩방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 클릭하시어 스미싱 또는 사기 피해 받지 않으시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КОМЕНТАРІ • 344

  • @zoetrope76
    @zoetrope76 Рік тому +336

    교수님, 꼭 건강하셔서 저희들이 인도는 지겨워 죽겠다 말 나올 때까지 강의해주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주말이라고 친구들과 술처먹지 않고 강의를 듣고 있는 저를 칭찬했습니다ㅎㅎ

    • @user-xy3ps9yp4h
      @user-xy3ps9yp4h Рік тому +54

      지겨워 죽겠다 말 나올때까지 강의해달라는 님의 말씀에 무조건 급공감합니다

    • @sanghyunhan2982
      @sanghyunhan2982 Рік тому +18

      귀여우세요 :)

    • @user-im5oi6fq8l
      @user-im5oi6fq8l Рік тому +25

      술묵으면서 남아인사 보는 저는 뭡니까!

    • @danielpark2765
      @danielpark2765 Рік тому +14

      플라톤아카데이에서 처음으로 이분 강의를 들었는데 감동이었다 ~~~

    • @user-hk9vv3om4c
      @user-hk9vv3om4c Рік тому +5

      셀프 칭찬 굿입니다

  • @AskYourDNA
    @AskYourDNA Рік тому +125

    삼프로에서 강교수님 강의 다 챙겨보고 있습니다. 세상에는 정말 똑똑하신 분들도 많고, 언변 훌륭하신 분들도 많지만, 교수님 강의들이 특별하게 다가오는 이유는 어떤 냉철함을 잃지 않으면서도 알게모르게 느껴지는 약자와 인류를 바라보는 교수님만의 따뜻한 시선 때문인 거 같습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 @seongho1970
    @seongho1970 Рік тому +205

    설명 조차 배려가 묻어나는 강교수님 콘텐츠가 넘 좋네요.

    • @user-dp7hd4yc3t
      @user-dp7hd4yc3t Рік тому +9

      크... 교수님의 화법을 적확하게 표현 하셨습니다!

    • @user-xy3ps9yp4h
      @user-xy3ps9yp4h Рік тому +16

      맞아요 강교수님은 인간을 바라보는 시각이 따뜻함이 기본적으로 깔려 있는
      분 이란걸 말씀을 듣다보면 느낄수 있습니다

    • @sonheejeon5604
      @sonheejeon5604 Рік тому +1

      간단한성당말씀으로오해를하게되는것이오니 다시한번돌려보시고알아보사고수정해주시면감사하겠습니다

  • @eunhyangkang6187
    @eunhyangkang6187 Рік тому +44

    강성용 교수님은 정말 강의를 즐기시는 분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 @mesomething83
    @mesomething83 Рік тому +50

    실리콘밸리 쪽 사람들과 일할 일이 많은데 워낙 인도인이 많다보니 , 여기가 미국인지 인도인지 모를 정도인 경우도 있어요. 강교수님 강의로 그분들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 @chsho81
    @chsho81 Рік тому +20

    강의를 잘한다, 쉽게 강의한다 이런것은 그 이상의 배경지식이 탑재되어 있고, 머릿속에 개념이나 기승전결 등 팩트체크가 완벽하며, 항상 그것을 생각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대부분의 강의 잘하시는분들은 인상도 선하다. 교수님 제식견을 넓혀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 덕분에 웃으면서 세상을 보는눈이 넓어졌습니다

  • @75umberto20
    @75umberto20 Рік тому +72

    참고로 교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슈라마나는 한자어로 사문(沙門)이라고 합니다. 불경에 보면 사문이 많이 나오죠. 그 외에 출가자라고 나온 부분도 그냥 슈라마나-사문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른바 '사문유관'이란 고사에서 석가모니가 생노병사를 보고 인생무상을 느꼈는데 출가자를 보고 깊은 인상을 받게 되었다고 하죠. 그 이야기에서 보듯 석가모니는 그의 생전에 이미 존재했던 사문의 전통에 깊게 매료되었고 사문들 중의 한명이었습니다. 자이나교의 창시자 마하비라도 석가모니와 같은 사문이며 신분도 같은 크샤트리아 출신 입니다. 교수님 말씀처럼 불교와 자이나교는 같은 지역, 비슷한 시대에 나온 사문 전통의 종교이다 보니 많은 부분을 공유합니다. 마하비라가 석가모니 보다 좀 더 빨리 태어났습니다.
    철학에서 재밌는게 비슷한 시기에 나온 사상들은 많은 부분을 공유하면서도 약간 다른 그 부분 때문에 의외로 격렬하게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자면 중국 송대의 주희-육구연의 관계나 19세기 유럽에서 맑스와 다른 좌파 사상가들의 관계를 생각해보면 될 것 같습니다. 바로 불교-자이나교의 관계도 그렇습니다. 굉장히 많이 닮았습니다만 서로 자신들의 경전에서 상대방 교리를 비난하고 논쟁하는 장면이 심심치 않게 나온다고 합니다.
    사문은 간단히 이해하자면 요가수행자들의 기원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요즘 학설에 의하면 요가의 기원은 아리안족 보다는 인도 토착민의 문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베다는 아리안족의 종교, 제사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게 발전이 되서 우파니샤드의 형이상학까지 발전을 합니다. 여기에 인토 토착민들의 요가 수행 전통이 결합이 되서 사문들의 사상적 기원이 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불경을 봐도 사문들은 브라만교와는 대립되는 입장을 취했던 것 같습니다. 브라만들이 석가모니를 찾아와 행패를 부리고 욕을 했다든지 그런 내용들이 제법 있습니다. 반대로 석가모니의 가르침에 감동해서 불교 승려로 출가한 브라만들도 나오고요.
    석가모니 당대의 사문들에 대해서는 이른바-육사외도에 관한 언급을 보면 일부 엿볼 수 있다고 합니다. 유가에서 이단이란 개념이 나온 것처럼 어느 종교, 사상이든 나오다 보면 같은 시기 다른 사상들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치열하게 대립하는 면이 보입니다. 브라만교-사문-불교-자이나교도 이런 관계였습니다. 서로 비슷한 부분도 있고 영향을 주기도 하고 받기도 하는데 그러면서도 다르기도 하고 사이도 썩 좋지만은 않은 그런 사이라고나 할까요.

    • @Queen-sk8bb
      @Queen-sk8bb Рік тому +1

      혹시 철학 전공하셨나요?
      통찰과 이해가 대단하네요!

    • @75umberto20
      @75umberto20 Рік тому +6

      @@Queen-sk8bb 제 생각이 당연히 아니고 불교사 책들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ㅎㅎ 혹시 도움이 되실까 해서 예전에 읽은 불교사 책들의 내용을 간략하게 적어 봤습니다.

    • @jhunterkim
      @jhunterkim Рік тому +1

      ㅎㄷㄷㄷ

    • @user-ng5uk2ys6d
      @user-ng5uk2ys6d Рік тому +1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user-vw6vj2ol8k
      @user-vw6vj2ol8k Рік тому +1

      말씀 잘 들었습니다. 중간에 사문유관에서의 사문은 4개의 문을 의미하는 건데, 혼동의 여지가 있어보여 댓글 남깁니다.

  • @user-lm2yi6bo7p
    @user-lm2yi6bo7p Рік тому +23

    언제 어떤 주제로 말씀하셔도 모든 사람들의 머릿속에 쏙쏙~ 들어가게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mo7qw3md5v
    @user-mo7qw3md5v Рік тому +13

    아침 커피 한잔에 두번째 들으며 인도 여행 떠납니다, 강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qf1nk5pn7r
    @user-qf1nk5pn7r Рік тому +42

    강성용 교수님의 강의는 언제들어도 흥미롭고 재미있습니다. 인도와 남아시아에 대해 알게 되어 참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katarina5709
    @katarina5709 Рік тому +35

    정말 귀에 쏘옥 들어오는 설명이세요.
    말씀하시는 걸 듣고있으면 상상이 마구 머리에서 “팡”팡 터져요. 참 한결같은 어린아이같은 모습의 지성인이세요. 감사합니다!!❤

  • @windforest2421
    @windforest2421 Рік тому +47

    혹시라도 금방 끝나버릴까 걱정했는데 매 회차 보면서 그럴 일은 없겠다 생각합니다. 매주 감사합니다

  • @usinokaori
    @usinokaori Рік тому +20

    교수님,,,또나오셨어요?라고 50년뒤에 말할께요,,,,,제발 일주일에 한번은 꼭 나와주세요,,,,,기다리다 지쳐요,,,

  • @Hwa-ng60
    @Hwa-ng60 Рік тому +51

    제일 재미있는, 새로운 문화를 엿보는 남아시아 인사이드.

  • @user-et3gd9qt4j
    @user-et3gd9qt4j Рік тому +17

    교수님의 인도 강의는 들을때마다 새롭고 흥미진진합니다.
    매회차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daisypurple786
    @daisypurple786 Рік тому +11

    강의가 넘 알차고 지식으로 무장했네요 인도를 이해하고 세계를 이해하는데 큰도움이 되네요^^♡♡♡

  • @lucysoo7347
    @lucysoo7347 Рік тому +28

    교수님 너무 멋있으세요!! 다음 강의도 기대하겠습니다 ~❤

  • @kimshinwook9162
    @kimshinwook9162 Рік тому +19

    강교수님 강의를 들으며 인도에 대해 참으로 많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앞으로도 많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 @didwjddk
    @didwjddk Рік тому +13

    인도에 대한 편견과 오해가 너무 많았군요... 감사합니다

  • @user-rf2ew6yw5h
    @user-rf2ew6yw5h Рік тому +24

    귀한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강성용 교수님 항상 감사드려요~

  • @user-ve8oz7pu5o
    @user-ve8oz7pu5o Рік тому +20

    정말 매주 기다리는 시간입니다, ~~~

  • @JYLee-iv6dz
    @JYLee-iv6dz Рік тому +12

    늘 잘 보고있어요 감사합니다

  • @kyungheepark9563
    @kyungheepark9563 Рік тому +19

    오~~~ 예 ~~ !!
    오늘 계 탔네요 ❤❤ 선물 보따리 궁금궁금 ~❤❤❤ 고맙습니다~~ 교수님 ~~ 삼프르 TV . YOU 선생님~~ 복 많이 받으세요 ~~

  • @user-umma70
    @user-umma70 Рік тому +28

    일주일을 손 꼽아 기다리는 즐거움,,,,
    강교수님 감사합니다 ^^

  • @user-yy2pt5br5y
    @user-yy2pt5br5y Рік тому +12

    정말 재미있어요.

  • @user-go9eb1om5g
    @user-go9eb1om5g Рік тому +35

    알찬 지식을 이렇게 쉽게
    전달하는 교수님께 경의를 표합니다

  • @yuk4858
    @yuk4858 Рік тому +6

    교수님 늘 건강하세요!! 계속 뵙고 싶어요!

  • @suroob
    @suroob Рік тому +11

    흥미롭네요
    동물을 넘어서 식물에게까지 살생하지 않는다..
    궁극의 종교네요 ㅎㅎ

  • @user-kw4ou4yy3t
    @user-kw4ou4yy3t Рік тому +21

    감사합니다.
    덕분에 인도 공부 잘합니다.

    • @shreyasingh4919
      @shreyasingh4919 Рік тому

      당신은 인도에서 공부하고 있습니까?

  • @user-tm7fj9my8h
    @user-tm7fj9my8h Рік тому +16

    오늘도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jhunterkim
    @jhunterkim Рік тому +19

    강성용교수님은 국민들이 보호해야할
    이 나라의 소중한 지적자산중 한 분입니다. 건강을 기원드립니다😻🙏

  • @DJrobin75
    @DJrobin75 Рік тому +6

    와ㅡ.ㅡ교수님 정말 재미있게 들었습니다. 항상 다음이 기다려집니다.

  • @user-qn7qj1gg2o
    @user-qn7qj1gg2o Рік тому +8

    언제나 흥미진진하고 새롭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ox3yc5nv1t
    @user-ox3yc5nv1t Рік тому +5

    처음엔 뭔지잘모르겠더니 듣다보니
    아주 흥미롭게 들었어요
    다음번 방송기대하겠습니다.ㅋ

  • @user-wb8ut3pr3v
    @user-wb8ut3pr3v Рік тому +21

    5대 교리 중 하나만 얘기한 건데 이렇게 잼나다니ㅎ 잘 들었습니다

  • @carpe1447
    @carpe1447 Рік тому +8

    인트로 음악 너무 좋아요~

  • @chanjinny
    @chanjinny Рік тому +10

    남아시아 인사이드 !!!기다려요~~

  • @sujinkim2244
    @sujinkim2244 Рік тому +7

    우연히 보게된 강성용 교수님 강의영상으로.. 흥미로운 인도이야기 .. 고전 인도베다 철학까지 넘 재밌어서 찾아듣기 시작했습니다 ~!

  • @friendwhale8086
    @friendwhale8086 Рік тому +31

    새롭고 재밌는 이야기가 끊임없이 나오네요 감사합니다.

  • @user-mn4do3gw3e
    @user-mn4do3gw3e Рік тому +21

    강교수님을 맨날 눈빠지게 기다리는 1인입니다^^항상 너무재미있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시니 완전감동~~~~
    정프로님~~ 더길게 시간 할애해주세요!!
    너무 짧아요!!!!!😡

  • @user-sz4mm6ti7h
    @user-sz4mm6ti7h Рік тому +25

    교수님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역시 진행은 정프로.....정프로도 수고많았어요^^

  • @Liliiip
    @Liliiip Рік тому +51

    주말에, 아점 차리면서 너무나 재밌게 들었어요^^감사합니다!
    강교수님, 정프로님🙏

  • @kangsj1977
    @kangsj1977 Рік тому +27

    오늘도 넘넘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ro5lb8ly4w
    @user-ro5lb8ly4w Рік тому +13

    농업은 생명을 살리는 것 같지만, 실상은 살생업이죠.
    내가 원하는 하나를 키우기 위해 나머지 100을 죽여야 하는.

  • @MRSi0103
    @MRSi0103 Рік тому +15

    감사합니다 언제나 진짜로 재미있음

  • @user-og4yy9ko1p
    @user-og4yy9ko1p Рік тому +6

    강의요약!
    1.인도인구의 0.4퍼센트에 해당하는 자이나교도들이 인도에서 상당한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떨치고있다.
    2. 자이나교란?
    인도의 동북부지역에 있던 Śramaṇa (고행,금식,금욕을 통해 해탈함) 전통의 종교중 한갈래. 불교와 견해가 다르지만 탄생과정은 동일한 쌍둥이임!
    3. 자이나교도들은 사물에 생명이 있다고 간주하여 불살생을 중요하게여김. 따라서 직업선택의 제한이 있었으며 이들은 주로 금융업에 진출하여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있음.

  • @jhyoon6688
    @jhyoon6688 Рік тому +25

    오, 일주일만에 다시 뵙네요 강교수님, 정프로님. 오늘도 남아시아 인사이드로 출발합니다!

  • @snowpark1982
    @snowpark1982 Рік тому +16

    교수님 기다렸어요 ^^

  • @cocoonmong
    @cocoonmong Рік тому +8

    저도 짱팬입니다

  • @user-hb5gm5ip1r
    @user-hb5gm5ip1r Рік тому +9

    드디어 나오는군요~

  • @currykim91
    @currykim91 Рік тому +36

    인도이야기 너무 재밌어요~~ 강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if4do1qr7d
    @user-if4do1qr7d Рік тому +5

    나의 세계가 넓어지는 느낌 매우 흥미롭게 듣고있ㅇ습니다

  • @jaewookjang8000
    @jaewookjang8000 Рік тому +25

    세상은 정말 넓고 다양한 사람이 있다는걸 알려줘서 감사합니다

  • @user-zl1fj3qy9d
    @user-zl1fj3qy9d Рік тому +26

    넘 재밌어요❤❤남아시아 인사이드 최고!!!

  • @user-gw5gn3ro7y
    @user-gw5gn3ro7y 2 місяці тому +1

    지금 교수님 강의 정주행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 @neoleft5064
    @neoleft5064 Рік тому +4

    설명이 너무 좋아빠져드는거 같습니다

  • @user-qu3qt8nr2p
    @user-qu3qt8nr2p Рік тому +11

    일요일의 즐거운기다림
    매번 감사하게 잘보고갑니다

  • @user-hu3zp7gv9m
    @user-hu3zp7gv9m Рік тому +7

    교수님 정말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user-hy9id2fz7p
    @user-hy9id2fz7p Рік тому +9

    우와~~?
    감사합니다 ^^

  • @user-nd7cu1wp2n
    @user-nd7cu1wp2n Рік тому +10

    너무 쉽고 재밌어서 !
    쥐콩도 모르는 저도 넘 재미나게 들었어요
    고마워유

  • @user-hj1bz4pr7i
    @user-hj1bz4pr7i Рік тому +23

    늘 느끼지만 참 이야기를 재미지게 잘 해 주십니다.
    말씀하시는 교수님은 이미 다 아시는 얘기일텐데도 본인도 재미있어 하시는 듯한 표정이라 같이 미소짓게 되고 계속 듣고 싶게 만드는 능력이 있으세요..
    어떤 정보인가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전달하는가가 진짜 중요하다는 걸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

  • @user-pb4lq8hn7c
    @user-pb4lq8hn7c Рік тому +10

    넘 재밋게 들었습니다~~감사합니다!

  • @user-hx8qt1cp1v
    @user-hx8qt1cp1v Рік тому +7

    (우리가 먹는)감자는 줄기(덩이줄기, 괴경)이고 고구마는 뿌리(덩이뿌리, 괴근)입니다~

  • @user-ew8tl2bb9c
    @user-ew8tl2bb9c Рік тому +4

    젤좋아용

  • @hungger717
    @hungger717 Рік тому +13

    교수님 수염이 멋지신데 귀여워요 ㅋㅋㅋㅋ 내용 너무 재밌어요

  • @VenDharmaocean
    @VenDharmaocean Рік тому +6

    저 스님인데, 정말 객관적인 내용만을 말씀하시네요. 감사합니다

  • @user-bw8ib5zb9r
    @user-bw8ib5zb9r Рік тому +12

    주말을 헛되지 않게 무언가로 늘 채워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 @balveniemacallan8372
    @balveniemacallan8372 Рік тому +16

    참 많은 것을 배우는 인사이드

  • @agkgh2322
    @agkgh2322 Рік тому +5

    진짜 재미있게 공부시켜 주시네요 ㅎㅎ 👍구독과 좋아요 박습니다🕺

  • @user-ml7tc3ot5u
    @user-ml7tc3ot5u Рік тому +4

    와 안다리 박사님이시네요
    넘 재밋쑝
    건강 잘챙기시고
    건강 하세요

  • @user-yo5rj5uv2u
    @user-yo5rj5uv2u Рік тому +17

    늘 흥미롭게 잘 보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hyesue6580
    @hyesue6580 Рік тому +19

    교수님덕분에 일욜아침이 기다려집니다.
    감사합니다🙏

  • @simonjuk.8561
    @simonjuk.8561 Рік тому +13

    강교수님 강의는 최고중에 최고 👍 💕

  • @jiroma3916
    @jiroma3916 Рік тому +6

    기다리는 컨텐츠 1순위

  • @user-pd9fm7oz6r
    @user-pd9fm7oz6r Рік тому +8

    믿고 청취하는, 늘 기다리는 강교수님 강의입니다
    정프로님과의 케미가 제일 듣기 편합니다~

  • @ghu6838
    @ghu6838 Рік тому +17

    초반에 수리수리마수리 여래나 불상의 형태 등을 보면 인도 문화가 동아시아 문화와 연관점이 상당한 듯한데 막상 인도에 대해선 거의 모르고 살았네요
    굳이 알 필요 있냐? 라고 묻는다면 이 재밌는 걸 모르고 살긴 너무 아깝다고 답하고 싶네요

  • @user-xv1bv1xu8l
    @user-xv1bv1xu8l Рік тому +14

    참 감사한 일요일 아침 시작합니다. 강성용교수님

  • @evenride
    @evenride Рік тому +9

    삼프로 최고의 코너

  • @user-qi3jb2ej9b
    @user-qi3jb2ej9b Рік тому +8

    정말 재미있고 귀한 얘기 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uk2un3zl3x
    @user-uk2un3zl3x Рік тому +9

    잘봅니다 수고하십니다

  • @user-cc1tf9es6u
    @user-cc1tf9es6u Рік тому +19

    강성용 교수님 덕분에 인도 를 많이 배우게됐습니다.

  • @schragwerk
    @schragwerk Рік тому +20

    서론만 26분 한거 같은데 왜이리 재밌지

    • @user-by9xj7cg2u
      @user-by9xj7cg2u Рік тому +7

      조근조근 말솜씨와 손동작 덕분이요~~

  • @myongsukchoe1346
    @myongsukchoe1346 Рік тому +11

    강교수님의 인도 이야기 너무 재밌어요. 고맙습니다

  • @user-fy5rc1hx8i
    @user-fy5rc1hx8i Рік тому +9

    인도 종교 관련으로 이야기 하면 10편은 뽑을 수 있을 듯

  • @user-gg3tl8mf3u
    @user-gg3tl8mf3u Рік тому +7

    감자랑 양파는 줄기입니다 ㅠㅜ
    뿌리처럼 생겼지만
    고구마랑 다릅니다

  • @GyungLee
    @GyungLee Рік тому +6

    정프로님! 오늘보니 목소리 아나운서급! ! 김연아 남편 고우림이랑 목소리 많이 닮은듯!!

  • @333handle
    @333handle Рік тому +10

    이 분 정말 대단한 분 같아요.

  • @SBHahn
    @SBHahn Рік тому +9

    29:00 '와타나베 쇼코'가 저자이고 법정스님이 번역한 '불타 석가모니'이란 책을 추천해봅니다. 석가모니 시대의 문화와 종교를 이해하는 데 좋아요. 그 중에 일부를 소개해봐요.
    "집이나 소유물 없이, 머리와 손톱과 수염을 깎고 바리때와 지팡이와 물병만을 가기지 걸식으로 생활을 한다. 인도에서는 옛날부터 이처럼 종교적인 의미를 가진 걸식 습관이 있었기 때문에 그런 생활을 당연한 것으로 알았다. 그리고 걸식을 하는 수행자는 세상 사람들에게서 존경을 받는다."
    ㄴ불교와 자이나교가 인도의 이런 전통으로부터 영향을 받았기때문에 비슷해진 것이겠죠.
    "부처님이 출현했을 때 이러한 사상(요가나 윤회 사상을 말함)을 바탕으로 종교 활동을 하는 사람들은 바라문이 아니고 사문(슈라마나 또느 사마나)이라 불렀다. 바라문은 태어나면서부터 가문에 의해 정해져 있었지만, 사문은 가문에 관계없이 누구나 될 수 있었다. 부처님 시대에는 대부분 크샤트리아 출신이 사문이 되었는데, 부처님이나 자이나교의 마하비(창시자)라도 여기에 해당한다. (중략) 드물기는 하지만 노예도 사문이 될 수 있었다."
    ㄴ인도에서는 전통적으로 고행자나 수행자는 신분에 관계없이 우대하는 풍속이 있는 듯 함.
    -바라문 대부분은 열심히 고행을 한다. 어떤 사람은 나뭇가지나 풀을 뜯어 음식으로 삼는가 하며, 어떤 사람은 쇠똥을 먹는다. 또 삼이나 풀로 옷을 만들고 또는 사슴 가죽을 걸치는 가하면, 낡아서 찢어진 가죽을 꿰매서 입는다. 땅바닥에 눕는 사람도 있고, 벌거벗은 채 가시 위에서 자는 이도 있으며, 머리에 빗질을 하지 않는 사람, 상투를 틀고 있는 사람, 머리카락이나 수염을 뽑고 있는 이 등 가지각색이다.
    석가모니가 그들에게 물었다.
    "무엇 때문에 그렇게 고행하고 있습니까?"
    그러자 이와 같이 대답한다.
    "천상에 태어나기 위해서지요."
    이렇게 육체를 괴롭힘으로써 그 갚음으로 다음 생에는 안락한 생활을 한다는 것이다.-
    ㄴ 석가모니도 고행을 해보다가 방향을 바꾸어서 자신만의 방법으로 깨닫게 되죠. 그리고 중도를 주장하죠.

  • @appletree567
    @appletree567 Рік тому +24

    자이나교와 불교의 차이를 설명하는게 재미있다니.. 보면서 웃음이 납니다.. 흥미진진합니다. ^^

  • @ssddff2246
    @ssddff2246 Рік тому +1

    교수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 @kyungheepark9563
    @kyungheepark9563 Рік тому +18

    잘 들었습니다~~ 꿀잼 꿀잼 입니다. 자이나교에 대해서 알 수 있는 흥미로운 시간 이었습니다~ 귀에 쏘옥 ~ 들어오네요 ❤❤❤ 고맙습니다. 교수님~~~ 복 많이 받으세요~~~

  • @zzanga9299
    @zzanga9299 Рік тому +6

    어쩌다 인도를 공부하셨는지 대단하시네요.

  • @cannothelpyou
    @cannothelpyou Рік тому +42

    진짜 그냥 삼촌이 들려주는 이야기같이 ㅋ 듣는사람 입장에서 친절하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좋아요~!!!!! (근데~ 삼촌..~ 백수인줄 알았는데 꽤 대단한 사람이었나보네...??ㅋ)

  • @galaxie.l
    @galaxie.l Рік тому +2

    바쁜데 이 강의 순서대로 챙겨 듣고 있는 나.. 꼭 다 열심히 들을테니 계속 좋은 강의 들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geunhyelee7359
    @geunhyelee7359 Рік тому +1

    교수님 존경합니다.
    이런 분이 계신다는 것만으로도 든든한 마음이 듭니다.

  • @hong-ba
    @hong-ba Рік тому +10

    김경일 교수님 강의가 생각나네요. 상황이 천재를 만든다 ㅋㅋ

  • @user-lo8gw5be6b
    @user-lo8gw5be6b Рік тому +17

    시크교에 대해서 강의 부탁드립니다~

  • @dudugou
    @dudugou Рік тому +1

    고맙습니다 강선생님

  • @user-bo7gw4zd6u
    @user-bo7gw4zd6u Рік тому +3

    1. 천주교와 무슬림에서 준 카스트가 있다는 말에 정말 놀랄 노자다.
    2. 오래 전에 자이나교도 다큐 본 적이 있는데, 강교수님 설명 들으니 이해가 간다.
    3. 인도는 확실히 뜨거운 감자임. 먹자니 뜨겁고, 안먹자니 아쉬움이 크고.
    4.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가 여기서 나온거군요. 우아~~~

  • @user-xx2ui4sz1l
    @user-xx2ui4sz1l Рік тому +5

    2등 ! 신납니다. 오늘 아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