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B설계를 하는 공대생입니다 PCB색상을 녹색으로 하는 이유중 하나는 다른 색은 PCB생산 업체의 잉크재고에 따라 가격변동으로 가격이 오르기도 하는데 녹색은 재고가 항상 충분하기 때문에 동일한 가격으로 다른 색상에 비해 조금은 더 저렴하게 생산이 가능하기에 녹색으로주문을 많이 하게 됩니다.
진짜 소탐이네요 여러 가설이 있는데 1) 원재료인 글라스 레진이 본래 녹색 틴트를 띄워서 녹색으로 더 칠했다 2) 힌 글씨와 금 패드들 사이 녹색이 콘트라스트가 높았다 3) 영상에서 말한대로 그나마 덜 피곤한 색이다 등등 더 있는데 3번만 기정사실인양 말하는게 JTBC에서 만든게 맞군요
처음엔 보호 목적으로 녹색 사용 -> 녹색이 독점적이다보니 녹색 잉크 생산 설비가 많아짐. -> 녹색 설비는 대량으로 있으니 가격 단가가 쌈. -> 이제는 인과가 뒤집혀서 녹색잉크가 더 싸니까 녹색을 씀. 물론 요즘은 검은색이 고급진 느낌을 주다보니 검은색 비중이 매우 늘어남.
참고로 닷붙이자면 pcb기판중 흰색,검은색,빨간색, 보라색 등등 여러색상이 있고 이러한 기판은 일반적으로 , 다층기판 혹은 아주 복잡한 기판등으로 개당 단가가 녹색기판에 비해 배이상으로 올라갑니다. 잉크색은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발주업체가 pcb제작업체에게 색상을 지정하여 발주하는편인데, 잉크색에 따라 특성도 약간씩 달라집다. 예를 들어 고온,다습, 자외선,충격, 스크래치등등..
요즘도 사람이 검사하는건 동일 합니다. 하이닉스. 삼성 이런 대기업도 검사원이 존재함. 설비로 잡아내는 것도 결국은 AOI.LIS.AVI. 같은거 세팅하고 레시피 셋업 할 때 직접 검출되는지도 확인해야하고. 3D 장비라고 해도 사람이 잡아내는게 더 정확함. 그게 현실이요
잉크로만 염색하는것이 아닌.. 요즘엔 여러 재질의 기판들이 많습니다 저런 cem 기판 말고도 유리섬유 fr4등의 기판들도 많아요 전 그래도 레트로한 cem 녹색기판이 좋아요 ㅎ 커스텀 키보드를 하다보면 보강판이 없는 구조도 많이 있기때문에 pcb재질의 유연함이 타건감과 직결되는 경우가 많이 있어서 다양한 pcb가 좋습니다
솔더마스크 색상임. smd솔더링할때 집중 잘되는거 같아서 0.5피치 들어가거나 프로젝트가 커지면 녹색 사용. Tht소자만 있거나 겉멋 부리고 싶으면 다른색도 씀. 조명용 칩led 사용할땐 무조건 흰색. 마스크나 커퍼 손상면 잘 안보이는 청색이나 블랙은 잘 안씀 아래 댓글에 녹색과 친환경과는 아무관련없음 ㅋㅋㅋ기냥 합성염료 색상임 그래도 녹색이 눈에 좋으니 친환경 아니냐 라고 한다면 할 말 없음
PSR 잉크 색상에 따라 염색염료라고 해야하나.. 얼추 다 동일한데 특성 색의 경우 PCB성능에 조금 지장을 줄 수 있는걸로 알게 되었습니다. 보라색이였던가 ? 신기하죠 색상만 다른데 말이죠. 가장 보편화된 색상이다보니 PCB계열은 녹색으로 가장 많이 나갑니다. 검은색 무광, 파란색 유광도 생각보다 제작 많이 하는 추세 입니다.
같은말 반복하며 시간만 질질끄는 쇼츠에 지친 나에게 정보만 빠르고 깔끔하게 제공하는 너무 유익한 채널
맨날 영상 70퍼 다지나서야 결론 말하는거 개역겨움 ㄹㅇ
@@호-f4x 그러다가 댓글 읽거나 딴짓하다가 결론 지나가면 개빡침
겨우 1분 남짓한 영상에 왜 그래들
각 채널마다 추구하는 영상미가 다른거지 뭘 또 비교해
@@후우꾸꾸우후오오후우 ㄹㅇ 자기가 원하는게 아니면 전부 악질이래ㅋㅋㅋ
@@후우꾸꾸우후오오후우 양산형은 양산형인데 영상은 제대로 만들지도 못하고 사람 답답하게만 만드는 채널들 진짜 많음
그리고 유익하지도 재밌지도 않은 걸 갖다가 영상미가 다르다고 보기엔 좀 어렵지
오... 원래 눈 보호용이었군요 전자공학과 다니면서 왜 다 녹색일까 안예쁜데 이런 생각 했는데ㅋㅋㅋㅋㅋ 저는 흰색 PCB가 제일 예쁘더라고요
그래요
케이스 색깔도 여러가지나오는데, 핑크색 메인보드 나올까봐 무섭습니다.
@@nogenchan 납땜질하다가 눈 찢어질듯.. ㄷㄷㄷ
@@nogenchan 으아악 그건 좀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눈아플것 같아요
@@부농콩-n9k 사람이 하는거 아닙니다
녹색이 제일 많이 쓰던 이유가 작업자 눈도 있지만 단가가 가장 저렴하고 유해물질도 안뿜고 친환경적입니다. 그나저나 저거 납땜 ㅈㄴ 동글게 하는거 킹받네요. 패드도 안지지고 나중에 저거 무조건 냉납으로 떨어지고 전기도 안통하거나 쇼트납니다.
울타리가 초록색인것과 비슷하네용
납땜 ㄹㅇ ㅋㅋㅋㅋㅋ
개같은 냉땜 ㅋㅋㅋㅋㅋ
나만 납땜보고 빡친거 아니구나.. 다행~
나만 그런 줄 ㅋㅋ
PCB 인쇄회로기판 회사다니는사람입니다ㅎㅎ
요새는 고객사요청대로 색상이결정되는데 약 90프로가 녹색 8프로가 파란색 ,2프로 기타색상으로 생산됩니다ㅎㅎㅎ
흰색도 가능한가요?
무지개색 가능한가요
대덕 심텍 코리아써킷 이 셋중 하나려나요?? ㅋㅋ
@@할박사 심텍이요ㅎ
애플이랑 일하면 매트블랙 검정이에요 ㅋㅋㅋ
에폭시도 매트블랙, rtv도 매트블랙
이런 숏츠 너무 재밌어
전 파란색 하고 녹색 쓰는데 웬지 녹색이 많아서 그런지 파란색이 좀더 멋져 보이는 효과
이젠 녹색이 익숙하다보니 다른색쓰면 뭔가 어색함ㅋㅋ
녹색이 대중화되다 보니 그게 더 저렴하니까 녹색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기도 하죠,
이게 정답
녹색은 멋있잖아 ㅋㅋㅋㅋ
검은색 기판이 젤예쁨... 기판들 전부 깔맞춤까지하면 와....
예전 라데온은 뻘건색이고 지포스는 파란색이
였는데 언젠가 부터 거의 검은색으로 다변함
PCB에 물감칠하는 장면 너무 아찔하다
ㅋㅋㅋㅋ
납땜 저래하면 뒤통수 맞아요
ㄹㅇ 개불편..
학창시절 납땜 연습할때 빵판에 아무것도 안꼽고 그냥 다 채운다음
자기 볼에 문질러 보라 했습니다ㅋㅋㅋ
얇고 잘된건 볼에 문질러서 부드러울뿐.
중소전자 기업에서는 아직 납땜이나 검수를 사람눈 으로 하는곳도 있더라구요 잠깐 단기프로젝트 알바했었는데 꽤 힘들 었어요..
PCB설계를 하는 공대생입니다
PCB색상을 녹색으로 하는 이유중
하나는 다른 색은 PCB생산 업체의
잉크재고에 따라 가격변동으로
가격이 오르기도 하는데 녹색은
재고가 항상 충분하기 때문에 동일한
가격으로 다른 색상에 비해 조금은 더 저렴하게 생산이 가능하기에 녹색으로주문을 많이 하게 됩니다.
@Sofia Melborn 동일하진 않고 더 나아가서 말해준거 같은데요
@Sofia Melborn 보완해서 설명한거쥬ㅋ
이게 정답.
그건 그 회사 재고에 따라 다른거임
그리고 신규 개발제품은 고객사 요구사항에 따라 다릅니다
잉크값은 제품 단가의 큰 영향 없음
층이 높냐 아니냐에 따라 다름
+ 녹색잉크색이 친환경적이랍니다. 빨강 이나 파랑 그것들 잉크 발암물질있답니다.
진짜 소탐이네요
여러 가설이 있는데
1) 원재료인 글라스 레진이 본래 녹색 틴트를 띄워서 녹색으로 더 칠했다
2) 힌 글씨와 금 패드들 사이 녹색이 콘트라스트가 높았다
3) 영상에서 말한대로 그나마 덜 피곤한 색이다
등등 더 있는데 3번만 기정사실인양 말하는게 JTBC에서 만든게 맞군요
인쇄회로기판(PCB)이라고 보여주는것 중 구멍 뽕뽕뽕뽕 뚤려있는건 PCB가 아니라 만능기판입니다.
가끔 그냥 뭉뚱그려 PCB라고 부르는 경우가 없는건 아니지만 저건 회로를 인쇄해서 만드는게 아니라 직접 납땜해서 배선하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선 다릅니다.
처음엔 보호 목적으로 녹색 사용
-> 녹색이 독점적이다보니 녹색 잉크 생산 설비가 많아짐.
-> 녹색 설비는 대량으로 있으니 가격 단가가 쌈.
-> 이제는 인과가 뒤집혀서 녹색잉크가 더 싸니까 녹색을 씀.
물론 요즘은 검은색이 고급진 느낌을 주다보니 검은색 비중이 매우 늘어남.
참고로 닷붙이자면
pcb기판중 흰색,검은색,빨간색, 보라색 등등 여러색상이 있고 이러한 기판은 일반적으로 , 다층기판 혹은 아주 복잡한 기판등으로 개당 단가가 녹색기판에 비해 배이상으로 올라갑니다.
잉크색은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발주업체가 pcb제작업체에게 색상을 지정하여 발주하는편인데,
잉크색에 따라 특성도 약간씩 달라집다.
예를 들어 고온,다습, 자외선,충격, 스크래치등등..
기판이 검은색인 경우
높은 확률로 내열성이 더 높은 기판이기도 합니다.
납땜 존나 둥글게 하는거 ㅈㄴ 킹받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ㄹㅇ 납 낭비 오지네
ㄹㅇ 고정도 약한데
개못함ㄹㅇㅋㅋ
전문가들은 다르넼ㅋㅋㅋㅋㅋ 표면장력 오진다
... 이러고 있었는데
ㄹㅇ 보면서 개킹받음 동박에 물감 칠하는거랑
현제블루코팅 쓰는 회사..
n층이상 쌓는 보드 내부 패턴 보는것이 아니라면 어차피 육안검사가 답이더라구요ㅠ
더 예전에는 갈색비스므리한 색이었어요.
페놀기판들이 그랬고, 지금은 에폭시류 들을 사용하지요.
그리고 제가 들은 버전은 납 크랙이 더 잘보이는 색이라 녹색을 쓴다고 알고 있는데 이 채널에선 다른 얘기하네요
누런건 베이클라이트나 페놀기판인데 내구성 내열성이 약하다는 이유로 지금의 조낸튼튼한 애폭시 먹인 유리섬유(FRP)로 바뀌었읍니다
녹색이 수요가 많다보니 재고가 충분하고, 또 그냥 다른색보다 단가책정 자체를 싸게잡음..
녹색이 제일 많이 생산되니 잉크색을 바꾸면 단가가 올라갑니다.
ㅎㅅㄷㅈㅌ
요즘 나오는 컴부품은 검은색이 많죠
흰색도 있고
오히려 녹색은 거의 없어진듯
꼼쀼따 부품중 메인보드나 그래픽카드, RAM 등의 경우 아크릴이나 강화유리로 표현하는 케이스가 많아져 못생긴 파랑-초록보단 검은색을 많이쓰는것 같아요...
대표적으로 ASUS라는 회사의 ROG라인업이 대부분 그런것같아요.
요즘도 사람이 검사하는건 동일 합니다.
하이닉스. 삼성 이런 대기업도 검사원이 존재함. 설비로 잡아내는 것도 결국은
AOI.LIS.AVI. 같은거 세팅하고 레시피 셋업 할 때 직접 검출되는지도 확인해야하고.
3D 장비라고 해도 사람이 잡아내는게 더 정확함. 그게 현실이요
관련 업계 계시는 듯..FBCB 최종검사 있을 떄 2D, 3D AFVI 검사...목시(현미경 보면서 사람 눈으로 직접 불량 검출), 그 후 이런 저런 공정 후 출하까지.. 옛날 생각 나네요..
채널 ㄹㅇ 개좋다
납땜 저렇게 하면 높은 확률로 냉납 옵니다.
지금도 계속 녹색을 많이 쓰는 이유는 psr잉크가 녹색이 대량생산되서 가장 가격이 싸기 때문입니다. 익숙한것보단 생산량 자체가 압도적으로 차이나서 L당 가격이 차이가 많이 나거든요
보통 녹색을 제외한 색을 대량으로 사용하지 않는 이상 가격대를 못맞추는게 대부분인거죠
녹색보다도 저렴한 황색도 있죠. 요즘엔 잘 안보이는데 오래 지나면 바스라지는 단점이 있어섭니다. 간혹 중국산 초저가 건전지 완구 뜯어보시면 황색 기판이 나옵니다. 베이클라이트 기판이라고 들었습니다.
귀뚜라미보일러 까보시면 보실수도있습니다
그리고 요즘 PCB는 2중 3중 중첩해 만들기 때문에 사람 눈으로 불량 확인하는게 사실상 불가능 하기도 해서 색을 다양하게 쓰는 편인.
매트블랙 솔더마스크가 진짜 예쁜듯
애플은 깔쌈하게 검정으로 만들더라구요 ㅋㅋ
아무래도 녹색을 많이 쓰니까 아무래도 많이 만들거고 그러다보니 녹색 잉크가 더 싸지 않을까요?
기승전결 겁나 깔끔하다
잉크로만 염색하는것이 아닌.. 요즘엔 여러 재질의 기판들이 많습니다 저런 cem 기판 말고도 유리섬유 fr4등의 기판들도 많아요 전 그래도 레트로한 cem 녹색기판이 좋아요 ㅎ 커스텀 키보드를 하다보면 보강판이 없는 구조도 많이 있기때문에 pcb재질의 유연함이 타건감과 직결되는 경우가 많이 있어서 다양한 pcb가 좋습니다
여전히 사람이 눈으로 검사하는 부분이 존재 합니다. 목시라고 하죠. (전 광학장비 검사 작업자)
납땜 진짜 잘하신다 완전 동글동글..
주문시 녹색은 기본이고 다른색은 비용이 추가됩니다..
서울에 아파트 옥상 바닥이 거의 대부분 녹색이라 할리우드 배우들이나 외국 사람이 신기해 함
영화 CG 합성 할 때 녹색판 안깔아도 되고 개꿀 ㅋㅋ
예전에 어떤분은 초록색 잉크가 제일 싸서 그랬다고 하더라구요 여러가지 설이 있는듯 해요
뭔가 불빛이 빨간색이라 눈에 잘 식별하기위해서라도 녹색으로 했을 가능성이 옅보인다
녹색이 안심되는 색이자
방사능과 독을 표현할때쓰는 색이죠
롱롱어고우 녹색기판 나오기 전엔 황색기판이 있었죠
심지어 어떤 사람은 기판사서 구멍뚫고 패턴그려 에칭해서 만들어 쓰기도 했다니깐요
다른색으로 하면 단가오르고 납기일 밀려서 초록이 편함
대량양산으로 들어갈땐 블랙이나 다른색으로 하기도 함
녹색기판이 배경이면 밝은 색의 회로가 잘보이는 효과도 있습니다
들은 것 중 가장 유용한 정보였습니다
아니 영상 어떻게 이렇게 고품질이지
jtbc에서 만드니까~
땜질은 ㅈㄴ저품질인데. 중학생 기술시간에도 저렇게 하면 뒤통수 맞아야함
꼭 기계가 검수해서 색이 다른 이유만 있는게 아니구요
색별로 들어가는 금 동 의 비율이 다릅니다
그래서 재활용 폐자재로 분류할때도 급이 다르고 가격도 다르죠
멀티레이어임 ? ㅋ
무슨 psr사양으로 동두께 금두께 비율이 다르냐 ㅋㅋ
유일하게 다른 말이 필요없는
갓 채널......!!!!!!!
아두이노는 파란색이고 타사에서 만든 아두이노 호환기판은 검은색이 많지
저걸 만든 사람은 누구 일까 ..
인류를 편리하게 해주는 발명가들 그리고 천재들
항상 고맙습니다
그들의 재능이 없었다면 지금과 같은 세상에서 살지 못 했겠죠
녹색이 단가가 쌈. 반면 가장 고급스럽게 보이는건 검은색. 자신의 기기 기판 색이 검은색이라면 속까지 신경 쓴 프리미엄급 제품이란 의미
호기심을 갖고 살자..
호기심 해결 1타 쇼트 ㅋㅋ
중간에 냉납은 킹받네
미국 3D프린팅 기업, 나노디멘션(티커:NNDM)은 갈색으로 PCB기판을 만듭니다
솔더마스크 색상임.
smd솔더링할때 집중 잘되는거 같아서 0.5피치 들어가거나 프로젝트가 커지면 녹색 사용.
Tht소자만 있거나 겉멋 부리고 싶으면 다른색도 씀. 조명용 칩led 사용할땐 무조건 흰색.
마스크나 커퍼 손상면 잘 안보이는 청색이나 블랙은 잘 안씀
아래 댓글에 녹색과 친환경과는 아무관련없음 ㅋㅋㅋ기냥 합성염료 색상임
그래도 녹색이 눈에 좋으니 친환경 아니냐 라고 한다면 할 말 없음
노란색 기판과 격자무늬 기판이 추억이 되었네
나만 ’소탐대실‘ 나올 때 따라함? ㅋㅋㅋㅋ
월광보합 기판 중 빨간 게 있는데 그중 전설의 레드기판이란 게 있어서 품질과 호환성이 월등한 기판이 존재함~
그래서인지 빨간색기판이 좋아보임~
호기심 자극을 초반에 한번 빡 해주고 '어? 진짜 왜그러지?'하는 마음에 계속 보다보면 중반부에서 그냥 알려줌. 너무 재밋음ㅋㅋ
이야 몰랐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 이런 사실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존나 안궁금했는데 첫마디 듣고 궁금해져서 끝까지 봐버림
요즘은 가격 때문에 녹색을 쓴다고 봐야함.
의료 수술 옷도 마찬가지도 녹색을 쓰는 이유가 사람을 빨간 피를 보다가 다른 곳 특히 흰색 벽 또는 흰색 옷을 보면 현기증을 일으키죠. 그걸 방지하기 위해 수술 옷은 녹색으로 만들죠
아직까지 기계로 검사하는 공정도 있고 사람이 검사하는 공정도 있는데 보통 색을 칠하면 사람눈으로 검사를 합니다.
헉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psr잉크는 녹색이어서 pcb를 (산화방지)보호하는게 아니라 psr잉크 자체가 기판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인데 녹색이어야 된다는식으로 써놨네 녹색을 쓰는이유는 눈을 보호하는게 아니라 가격이 싸고 품질이 괜찮아서 쓰는거다
약 20년 전에는 초록색은 보급형 기판
빨간색 검정색은 고급 기판이라는 인식이 있었는데
굳이 다른 색으로 바꿀 이유가 없는 거지~
지금도 사람이 QC 합니다
Ic 부분은 검사기에서 검열이 힘들어서
Ic. 리드가 직각으로 뜨는경우 사람이 잡아야합니다. 그리고 흰색은 램프종류에 쓰입니다
눈 보호가 나와서 말하는거지만... 컴 불끄고 하고 rgb 도배하신 분들 초록색으로 해두면 눈의 피로가 매우 줄어듭니다 ㅎㅎ
여기 나오는 이유는 나중에 추가된 이유고... 애초에 PSR 이 녹색이었음.... 그 예로 당시에 나오던 만능기판은 PSR을 칠할필요가 없어서 갈색이었고.. 다른색 PSR이 개발되면서 점점 다양해진건데... 인과가 바뀌었음.
이 채널 JTBC꺼 였구나ㄷㄷ
방금알았누 ㄷㄷㄷ
띄우자
지금 알았누
마지막 엔딩화면 우측아래에 적혀있음ㅋㅋㅋ
헉어쩐지퀄이
아이폰 깠는데 녹색 기판 있는거 봤나? 녹색기판 뭔가 싸구려느낌남
노란색 PCB
고통 그 자체
옛날 아수스가 썼음 ㅋㅋㅋㅋ 그나마 샛노란게 아닌 좀 어두운 색이라 다행임
또한 초록색 기판은 친환경적이여서 많이 사용합니다.
17년도에 전자회사에서 일햇을때 초록 말고도 파란색 검정색도 있더라구요
검정색 기판을 쓰는 이유: 간지
빨간색 기판을 쓰는 이유: 가오
물론 요즘나오는 중고급형 마더보드나 글카들은 검정색이 많음
흰색 기판 BGA로 수리할대 제일 스트레스 받아...
컴퓨터를 계속 보다보면 번쩍번쩍한 컴퓨터보단 초록초록한 오리지널이 좋아지는 이 느낌.....
애플은 하청업체에 까만색 쓰라고 하죠
품질검사 기계도하지만 아직 사람 눈으로도 하는데요...
기판 아직 눈으로 검사하는곳들 있긴 해요ㅋㅋ.. 여기 따로 기판 돋보기로 검사하시는분들 계세요
솔직히 눈보호는 부차적 이유고
단가가 가장 컸죠
기판을 칠하는거보다 초록색 보안경이 더 비쌌으려나
누구나 PCB 납땜을 모르면 저럴수 있습니다.PCB와 부품리드에 납땜 잘하려면 PCB동박과 부품이드선에 동시에 인두팁 열을 가해서 납을 녹여주면 납 소모 덜된 깔끔 하게되고, 부품리드에만 열 가해서 생기는 납땜은 저렇게됩니다.
리페어/PCB 기판 관련 as작업할때도 녹색 기판이면 눈이 덜 피로하죠
중간에 냉납 똥그란건 좀 킹받네요
아직도 사람 눈 으로 99% 회사제품 PCB 는 검사하고있어요 ㅡ.,ㅡ 그짓 하는데 죽을맛임... 기계로 검수하는건 최종품질검사 이전에하는 회로검사입니다. 제대로 알고만들어주시길
요즘은 검정 파랑 빨강 흰색 등등 많죠
요즘 검은색으로 많이들 바꾸지만 그래도 시금치라 불리는 삼성 램
애플은 검은 기판을 쓰는 것으로 유명하죠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아이맥 까보면 다 흑색기판입니다
PSR 잉크 색상에 따라 염색염료라고 해야하나.. 얼추 다 동일한데 특성 색의 경우 PCB성능에 조금 지장을 줄 수 있는걸로 알게 되었습니다. 보라색이였던가 ? 신기하죠 색상만 다른데 말이죠. 가장 보편화된 색상이다보니 PCB계열은 녹색으로 가장 많이 나갑니다. 검은색 무광, 파란색 유광도 생각보다 제작 많이 하는 추세 입니다.
전자공학하면서도 몰랏던 지식을 여기서..ㅋㅋㅋ
애플은 검정색 기판을 즐겨쓰죠...
아니 애플 제품은 모든 제품에 검정색 기판이 쓰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난 오늘까지 저게 반도체라는거인줄 알았는데
현직 시제품 PCB 설계 제작 하는 사람 입니다.
중간에 납땜 하실때 전부 냉땜내신거 겁나 킹 받네요...
아 이래서.. 유독 눈에 띄는 초록색이라 일체감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이유가 있었네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