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orTimes 1097회] DOD 이펙터 Overdrive Preamp 250 50th Anniversary Edition VS Overdrive Preamp 250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5
  • SOUTH KOREA GEARS VARIETY SHOW!!
    -상품 바로가기
    DOD 이펙터 Overdrive Preamp 250 - 50th Anniversary Edition
    www.buzzbee.co...
    DOD 이펙터 Overdrive Preamp 250
    www.buzzbee.co...
    -버즈비 TV 바로가기
    goo.gl/vKNkta
    -기탐 페이스북가기
    / geartimes3000

КОМЕНТАРІ •

  • @choi0781
    @choi0781 2 години тому +4

    과연 정마토는 어디까지 안써봤을것인가

  • @Cokun-s9i
    @Cokun-s9i Годину тому +1

    16:55 DOD에 타라 정마토

  • @danielson8325
    @danielson8325 2 години тому

    나 맨날 뭐 비교하면 차이 못느꼈는데 오늘은 느껴진다 ㅋㅋ 50주년이 더 좋게들리네

  • @MTE-URGS-3000
    @MTE-URGS-3000 Годину тому

    요건 JHS 오버드라이브프리앰프랑 비교해보는것도 재밌을듯

  • @박멸한남
    @박멸한남 Годину тому

    콜트 주제에 너무 비싸다

  • @marziolee3637
    @marziolee3637 Годину тому

    토글스위치에 따른 출력 레벨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토글스위치를 정하고 세팅을 해야 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게인 스테이지에서 증폭한 신호를 그대로 출력볼륨 거쳐서 출력시키는 것이 가운데인 LIFT모드(부스터모드)이고 Si과 Ge는 다이오드 2개 사용하는 클리퍼 회로에 의해 잘리게 되는데 자르는 레벨이 다릅니다. Si가 0.6V근처, Ge가 0.4V근처에서 잘립니다. 동일 게인에서 드라이브 걸리는 양은 Ge가 Si보다 조금 더 걸리고 출력레벨은 살짝 낮습니다.
    영상에서 두 페달의 톤차이가 나는 것은 다른 제품이라 실제 회로에 적용되는 부품의 용량을 다르게 썼을 가능성도 있구요, 또는 capacitor 용량의 공차에 의한 산포차이일 수도 있습니다. (톤에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부분이 게인스테이지에서 OP-AMP -입력의 션트노드에 저항과 직렬로 걸리는 capacitor(용량이 크면 저역이 살아나고, 작으면 저역이 감쇄됨), 그리고 게인볼륨팟과 병렬로 연결되는 capacitor(용량이 크면 고역감쇄, 작으면 고역이 살아남)가 영향을 많이 줍니다. 일반적으로 capacitor가 부품공차가 ±20%가 많이 쓰이기 때문에 톤차이가 제품마다 날 수밖에 없습니다.
    그나마 수제작이라고 한다면 극한의 튜닝을 통해 용량값을 정하고 부품을 선별해서 사용하면 많이 산포를 줄일 수는 있습니다. 이러면 원가가 많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