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데] #20 "개발자한테 맥북이 필수인가요?" "개발할때 m1 맥북 써도 될까요?" 에 대한 답변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528

  • @jocoding
    @jocoding 2 роки тому +2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유용해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ㅋㅋㅋ 조코딩님깨서 유용하다를...! ㅋㅋ
      게다가 갚진 후원까지!! 감사합니다 ^^

    • @elmo7816
      @elmo7816 7 місяців тому

  • @Minseok_Ko
    @Minseok_Ko 2 роки тому +23

    '개발자는 맥을 꼭 써야 하나요?'
    이게 궁금한 사람들은 저 질문이 왜 생겼을까 라고 뒤집어 생각해 봐야 합니다.
    저런 질문이 과연 왜 생겼을까요?
    하필 꼭 '맥'을 짚어서 써야 하나요? 라고 다들 질문을 한다는건 그걸 쓰는 개발자를 겁나 많이 봤다는 거고 그렇다는 이야기는 다수의 개발자가 맥으로 작업을 한다는 이야기죠.
    하지만 이 이야기의 실체는 좀 다릅니다.
    2020년 쯤에 스택오버플로에서 개발자들 대상으로 설문을 한적이 있습니다.
    그때 나온 수치 중 전문적인 영역에서 활용하는 OS 기준으로 보면
    윈도우 48.82%
    리눅스 39.89%
    맥기반 32.97%
    이 수치가 100%를 넘어가는 이유는 OS를 중복으로 사용하는 개발자들이 있기 때문 입니다.
    이 수치를 보면 아직 윈도우가 메인인 프로씬이 가장 수치가 높습니다.
    리서치에 참여한 개발자 전체중 절반은 윈도우가 메인 이라는 거죠.
    그리고 이 중 맥을 메인으로 사용하는 개발자는 전체 중 1/3 입니다.
    심지어 맥보다 리눅스를 메인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이런 수치가 나오게 된 이유는 개발자라는 직업의 특성 때문 입니다.
    개발자라는 직업은 모두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이 아닙니다.
    수많은 개발 언어가 있고 개발 영역이 있고 이러한 각각의 영역들은 활용하는 레퍼런스가 모두 다릅니다.
    때문에 어떠한 장비가 개발자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습니다.
    어떤 영역의 사람들이 쌓아놓은 레퍼런스는 윈도우를 기반으로 사용할때 가장 편하고
    또 다른 영역의 사람들이 쌓아놓은 레퍼런스는 리눅스를 기반으로 사용할 때 가장 편합니다.
    OS 기준은 그냥 표면적인 기준이고 더 깊이 파고 들어가면 개발해야 되는 내용이 CISC 연산이냐 RISC 연산이냐 까지 고려해서
    해당 연산에 적합한 컴파일러가 어느 OS에서 개발환경을 잘 맞춰 주느냐 까지 내려가야 하는 매우 복잡한 배경이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결국 장비를 고르는 기준은 내가 속하고자 하는 영역의 사람들이 주로 활용하는 레퍼런스가 어떤 장비에서 가장 편하게 접근할 수 있느냐가 됩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이 기준 이라면 그 장비의 기준 역시 결국 회사가 정해 주겠죠.
    우리 회사는 이러이러한 걸 개발하니 당신이 써야 하는 장비는 이것이다.
    떄문에 정작 현장의 개발자들 에게는 어떤 장비를 골라야 하느냐에 대한 고민이 없습니다.
    해당 장비에 얼마까지 태워야 되느냐에 대한 고민만 있을 뿐이죠.
    위와 같은 질문은 오히려 학생들 입장이기 때문에 나오는 질문 입니다.
    내가 어떤일을 하게 될지도 모르는데 어떤 장비가 내가 하는 일과 맞는지 알 수가 없으니 고민이 되죠.
    그럼 그 기준은 결국 내가 가고싶은 곳이 어떤걸 개발하느냐를 보고 그걸 따라하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이 기준으로 다시 처음 질문으로 돌아가 봅시다.
    '개발자는 꼭 맥을 써야 하나요?'
    위와같은 이유로 이런 질문에 맥이 짱이야 라고 말할 수 있는 개발자는 없습니다.
    맥을 쓰는 개발자들에게 물어보면 그들은 하나같이 똑같은 대답을 할겁니다.
    "꼭 필요한건 아니야. 그런데 쓰면 편해."
    이 말 뒤에 숨겨진 진짜 의미는
    '개발영역은 매우 넓기 때문에 꼭 맥을 써야 하는건 아니지만 내 영역에서는 맥이 짱이다'
    입니다.
    결정이 어려운 분들께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아직 본인이 어떤 영역의 개발을 하고 싶은지 결정 못 하셨다면 그냥 맥 사세요.
    현 상황에서라면 M1 맥북에어 중급형 이상을 중고로 사세요.
    그게 현 시점에서 가장 베스트 입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좋은 견해의 말씀 감사합니다^^

  • @user-Kchola
    @user-Kchola 2 роки тому +6

    8:05
    최근에 제가 IntelliJ IDEA(정확히는 Rider) 처음 써봤는데, 램 엄청 먹더라구요 ㅋㅋ
    안그래도 평소에 크롬 탭 여러개 켜놓는데다가 게임 엔진에 연동시켜서 쓰다보니까 인생 처음으로 램 16gb가 부족한 걸 느꼈습니다 ㅋㅋ(거의 램 점유율 14,15gb까지 감)
    역시... 맘편하게 램은 32gb로...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이래서 회사에서 32를 빌려주나봅니다 ㅎㅎㅎ

    • @sinwindis
      @sinwindis 2 роки тому +1

      intellij쪽이 파싱을 싹 다 해서 메모리에 때려박아 두나 보더라구요. 다른 ide들에 비해 메모리를 엄청 많이 먹고, 대신 개인적으로 정확하고 빠른 것 같다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 @gonniLife
    @gonniLife 2 роки тому +4

    제가 조만간 웹프론트엔드 개발자 관점으로 리뷰영상을 올려보겠습니다 ㅋㅋㅋ
    m1pro 14인치 --> 회사꺼
    m1pro 16인치 --> 회사꺼
    m1air -> 내꺼
    이렇게 써봤는데 자체적으로 빌드를 돌리고 로컬서버를 돌리고 앱 에뮬레이터나 시뮬레이터, xcode / 안드스튜디오 같은 거 다 한꺼번에 올려도 별 문제가 없더라고요. 프론트엔드 개발쪽에서 m1 칩은 가히 축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오.. 좋은 소감문 감사합니다 프론트에선 축복이군요

  • @임커밋
    @임커밋 2 роки тому +4

    1:37 옛날부터 인코딩때문에 스트레스로 사망하는 개발자가 속출해서(특히 옛날 파이썬은 ascii가 기본이었어서 이중 encoding 번역을 해야하는 번거로움까지..) 이제 windows에서도 cp949 - utf8 호환이 어느 정도 잘 이루어집니다. 이제 인코딩때문에 깨지거나 하는 일은 가끔 간지럽긴 하지만 큰 문제는 안됩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오.. 역시 제가 너무 옛날얘기를 했군요 ㅎㅎ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 @빵실한피글렛
    @빵실한피글렛 2 роки тому +1

    최근에 프론트 쪽 배우려고 에어 깡통 구매해서 쓰고있긴한데... 살짝 버벅임이 있어요. 입문이고, 당시에 M2 나오면 환승하려고 기본사양으로 맞췄는데, 지금은 못할건 없지만 살짝 업그레이드 할 껄 하는 생각이 드네요. 갑자기 쓰던 노트북이 죽어서 급하게 구매했는데, 혹시 맥 고민중이신 분들은 m1 에어 깡통보다는 살짝 더 업글하시는게 정신건강에 좋을 것 같아요ㅎㅎ 고민중이신 분들 참고하시길!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ㅋㅋㅋ 좋은 댓글 감사드립니다 에어사실분들 참고하세요 ㅎㅎ

    • @ISeeAnything
      @ISeeAnything Рік тому

      어떨때 버벅이셨나요?!!

  • @2naff0109
    @2naff0109 2 роки тому +11

    머신러닝에서 이야기를 남겨보자면 먼저 pytorch를 통해 지원되는 fastai는 지원이 안됩니다 또한 텐서플로우나 파이토치도 gpu러닝을 지원합니다만 아직 베타버전이라 충돌이 가끔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요.. 정식버전을 내놓을 때까진 꽤나 시간이 걸릴 것 같지만 m1의 성능이나 활용도를 생각하면 꾹 참고 기다릴 수 있어요 .. :)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머신러닝쪽은 제가 아예 모르는 상황인데 후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byeol2395
    @byeol2395 2 роки тому +1

    C, C++, JAVA, 파이썬 정도 기초만 할 줄 아는 컴공 학부생입니다
    윈도우 노트북을 쓰다가 오래돼서 새 노트북을 구매하려고 하는데 윈도우 기반을 구매할지 맥북을 구매할지 고민입니다ㅜ
    저학년일때 학교에서 교수님들은 윈도우를 많이 쓰셔서 윈도우 노트북을 사용하는게 수업 따라가기 좋을거라는 말도 있긴 합니다.. 비주얼 스튜디오같은것도 맥에서 사용 못한대서..ㅜㅜ
    고학년 이후부터 쓸걸로는 다들 맥북을 추천하더군요!
    이왕 사는김에 비싸더라도 졸업 취준 그 이후까지 오래 쓸만한 성능 좋은 노트북을 구매하고싶어서요
    지금 2학년이라 곧 고학년이 되긴 하지만.. 어떤선택이 좋을지 고민입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음.. 솔직히 말씀드리면 현재 그 상황이라면 굳이 맥북이 아니어도 될 거 같습니다 ^^;
      말씀하신거처럼 수업에선 윈도우 기준으로 뭔가 세팅하는 걸 알려줄텐데.. 그런거를 다 직접 알아서 잘 하셔야 되고요
      그리고 굳이 고학년 돼서도 맥북 아니어도 됩니다 ㅎㅎ
      하지만.. 진짜 돈을 들여서 오래쓰고싶으시다면.. 자꾸 맥북이 아른거린다면 구매 추천! ㅋㅋㅋ

  • @user-fn4px4cb3s
    @user-fn4px4cb3s 2 роки тому +39

    학부생 입장에서 예전엔 윈도우에서 개발환경 설정하려면 이상하게 꼬이는 것도 많고 자료도 부족해서 불편한 점이 많았었는데... 요즘엔 그냥 WSL 쓰면 되니 딱히 맥북이 꼭 필요할 일은 없긴 합니다. 하지만 맥북을 구매하기 전까지는 맥북병이 치료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ㅠㅠ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20

      역시 근본적인 문제는... 그냥 사고싶다는 병 이라는 점 ㅠㅠ... ㅋㅋㅋㅋ

    • @swift4367
      @swift4367 2 роки тому +9

      업무에 wsl2 쓰다가 도커 업데이트 하면서 오류 발생해서 도커 엔진 안켜지고 이미지랑 컨테이너 다 날아간 뒤로는 윈도우에서 개발 안합니다 ... ㅠㅠ...

    • @kimjio2556
      @kimjio2556 2 роки тому +3

      도커같은 건 mac os에서도 완벽하게 호환이 안되긴하죠 클라우드 인스턴스 리눅스를 추천드립니다

  • @devjang33
    @devjang33 2 роки тому +16

    앱,웹 개발자로 일하고 있는데 한정된 예산으로 CPU,메모리,SSD중 하나에만 투자해야 한다면 메모리를 추천합니다(cpu가 애플실리콘일 경우), 이유는 외장모니터 2개, 맥북을 연결해서 작업하는데 각 모니터 별로 IDE, 사파리 창등을 켜두기도 하고 앱,웹 개발의 경우 디자인 시안을 보면서 작업하게 됩니다 보통 피그마,어도비xd를 사용하는데 이것들이 정말 많은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또한 스마트폰 시뮬레이터도 작동시키고 작업하는데 이것도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작업 시작하면 끝날 때 까지 메모리 스왑을 기본적으로 1.5기가를 먹습니다
    이렇게 되면 디자인 툴이 자주 리프레쉬돼서 다시 페이지 이동하고 확대하고 은근 불편합니다 또한 IDE에서도 자동완성 기능이 가끔 매우 느리게 떠서 불편합니다
    저는 M1Pro 14인치 맥북 10코어 cpu,16기가 메모리를 사용하는데 만약 맥북을 구매하신다면 메모리는 32기가를 추천드립니다
    맥북에어의 경우 인텔맥보다는 좋지만 발열이 은근 안잡힙니다 전에 m1맥북에어 사용했는데 오랫동안 작업하면 90도,80도 요 정도로 계속 가고 노트북 만져보면 정말 정말 뜨겁습니다
    GPU는 앱,웹 개발자도 거의 필요없는 옵션이기에 업그레이드 하지 않으시길 추천드립니다.
    CPU는 10코어 가시는게 생산성을 키울 수 있기에 추천드리지만 비용으로 한가지만 골라야한다면 메모리 옵션을 추천드립니다(애플실리콘CPU일 경우)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오..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많은 분들께 선택에 많은 도움이 될 거같습니다 ^^
      근데 닉넴이 데부장....? ㅋㅋㅋ

    • @devjang33
      @devjang33 2 роки тому

      @@pan-ddu 제가 성이 장씨라서 Developer + 장으로 만든건데 뚜벅쵸님의 지인분과 겹치더라고요....ㅋㅋㅋㅋ신기했어요

    • @devjang33
      @devjang33 2 роки тому

      @@fanofhiphop7513
      먼저 저의 의견은 cpu업글입니다
      모바일,웹 개발자에 한정해서 대답을 드린다면 보통 CPU를 최대치(100%)로 사용하는 상황은 패키지가 변경 된 후 빌드 또는 배포시 아카이빙하기 위한 빌드 정도가 일반적으로 CPU를 최대치로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가 아니면 100%로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기는 합니다만 간혹 급하게 배포하게 되는 상황들이 있을 때 CPU성능이 좋아서 속도가 빠르면 마음이 편하고 좋습니다
      꼭 배포가 아니여도 오래 작업하다보면 CPU사용률이 80% 언저리로 돌아가기도 합니다
      ssd의 경우 개발프로그램들의 크기들이 100단위의 기가바이트를 차지하다보니 1테라가 마음이 편하기는 하지만 512기가로도 가능은 합니다 대신 개발프로그램의 캐시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없애줘야 합니다 캐시데이터가 수십기가라서 금방 ssd가 차거든요
      선택하실 때 캐시데이터를 수시로 지우는게 귀찮으시면 ssd업글, 수시로 지우는건 감수할 수 있고 빌드 및 배포시 속도가 조금이라도 빠른게 더 중요하다 싶으시면 cpu업글을 추천합니다

  • @user-vp9fm6mu5x
    @user-vp9fm6mu5x 2 роки тому +17

    머신러닝 개발자인데 2020년에 m1 pro 살 당시만해도 pytorch에서 gpu가 안돌아가거나 transformers, tensorflow, sklearn 등 라이브러리가 안 깔리거나 그런 경우가 많았음 .. 하지만 지금은 다 깔리고 gpu도 코랩 베이직보다 훨씬 빠름 펜돌아가는 소리 들어본적도 없고 가상환경 만드는 것도 터미널 하나면 간편하게 만드니까 넘 좋음요 .. .. 정말 만족하면서 사용중 ..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오.. 머신러닝쪽 소중한 소감 감사합니다^^

    • @신정태-w8h
      @신정태-w8h 2 роки тому +2

      텐서플로우는 안 깔리는 경우가 꽤 있는데 파이토치는 언제나 잘 깔리더라고요. Nightly Build에서는 GPU도 되긴 하는데, Nightly Build는 사용하기 좀 꺼려지기도 하고(회사에서 사용하는 모듈 중 특정 버전의 libboost와 파이썬 버전에 종속된 모듈이 있어서...) 로컬 단말에서는 모듈이 돌아가는지만 테스트하면 돼서 아직 깔아보진 않았습니다.

  • @Developer_kyo
    @Developer_kyo Рік тому +3

    저는 작년 초에 M1 맥북 에어 구매했는데 공부하는 입장에서는 불편함이나 호환이 안 됐던 건 없었고 편하게 공부했던 거 같아요
    저는 애플만 자주 사용하고 지금 공부하는 건 프론트 엔드이지만 iOS랑 Ui/UX에도 관심이 많아서 맥을 선택했었죠
    인텔 맥도 예전에 업무, 공부용으로 사용하다 M1으로 바꾼 후 이제 업무는 회사용 노트북으로만 해야한다고 해서 업무용만 회서 노트북에 윈도우에요
    M1으로 바꾸고 후회하는 2가지는 화면이 작아서 아쉬웠지만 그래도 아이패드랑 같이 사용하면서 괜찮았는데 이보다 더 아쉬운 것이... M1으로 바꾼 후 몇 개월이 지나니 M2 에어가 나오더라고요...
    이럴 줄 알았으면 M1 PRO 16인치로 살 걸 그랬나 봐요
    지금은 또 15인치 맥북 에어 M2 출시 예정이고 4개월 전 나온 M2 PRO 16인치 있어서 둘 중 하나 바꾸고 싶어서 엄청 고민이에요 ㅋㅋㅋ

    • @pan-ddu
      @pan-ddu  Рік тому +1

      저도 15인치 맥북에어가 무척 궁금합니다 ㅎㅎ 다만 전 맥미니를 갖고싶네요

    • @Developer_kyo
      @Developer_kyo Рік тому +1

      @@pan-ddu 저도 맥미니가 궁금해요 ㅎㅎ
      처음에 아이맥에도 관심은 있었지만 맥미니가 더 인기 많고 더 나은 느낌이 들어요
      아이맥 디스플레이 보다 그냥 좋은 모니터에 맥미니 연결해서 사용한다 생각하면 더 나은 거 같아요
      그래서 제가 만약 독립하면 집에서는 맥미니 고정으로 사용하고 밖에서는 맥북으로 쓸까 계획 생각 중이에요
      저는 프론트 엔드 위주로만 할 거기에 프로까지는 과할 듯하고 15인치 에어 생각 중에요
      한국 출시하면 애플 스토에서 처험해 봐야죠 ㅎㅎ
      더 열심히 저축해야겠어요 ㅎㅎ

  • @Mir2SKY2
    @Mir2SKY2 Рік тому +3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맥이 필요한 개발자들 : iOS, macOS등 swift 개발자, back-end 개발자
    맥이 필요없는 개발자들 : 게임 클라이언트 개발자, 윈도우 클라이언트 개발자
    나머지 분야는 개인 취향에 따라 mac, window 선택해서 사용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pan-ddu
      @pan-ddu  Рік тому

      저도 비슷한 생각입니다 🙂

  • @nam-choon
    @nam-choon 2 роки тому

    우선 영상과 관련 없는 질문 죄송합니다. 백엔드 공부 중인 대학생인데 주변에 조언을 받을 개발자가 없어서 판뚜님께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ㅜㅜ... Rest API에서 조회 api 지만 parameter가 너무 많거나 복잡해서 query string으로 받기 힘든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GET이 아닌 POST로 받고 있습니다. 현업에서는 애초에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설계를 하나요 아니면 POST로 받는 경우도 있나요...? 만약 POST로 받는다면 URL 네이밍은 어떤 식으로 하시나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그런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설계하긴 어렵더라구요 ㅎㅎ 그런 상황이 생길수 밖에 없고..
      이건 케바케겠지만 저를 비롯한 동료분들은 post로 걍 만듭니다
      네이밍도 그냥 get의 기능이니 get 만드는 패턴처럼 만드는 경우도 많고.. 그때그때 다릅니다^^

    • @nam-choon
      @nam-choon 2 роки тому

      @@pan-ddu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 @sebin_1ee
    @sebin_1ee 2 роки тому +4

    M1 맥 미니 출시때부터 써서 m1 max 맥북 쓰고 있습니다
    앱 개발 프로젝트는 문제 없이 빠릿하게 잘 돌아가는데, 유니티쪽이 좀 속이 많이 터집니다. 애플 실리콘용 빌드가 있긴 한데, 이게 아직 lts는 커녕 정식 버전도 아니여서 함부로 쓰기는 조금 어렵습니다. 제 경우에는 연구 프로젝트 때문에 다른 조직이랑 협업해야 해서 이전 lts 버전을 쓰는데, 이 경우에는 너무 느려서 그냥 윈도우 노트북 별도로 지급받아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니티 VR 하실 분들은 m1 절대 사시면 안됩니다. 많은 분들이 오큘러스로 VR 개발 많이 하실텐데, m1 칩셋에 오큘러스 링크 구동을 위한 instruction set이 없습니다. 이건 하드웨어적인 문제로 구동이 불가능한거라 가상머신이나 기타 꼼수 생각하셔도 절대 해결되지 않습니다. 유니티 하실 분들, 특히 VR 하실 분들이라면 윈도우쪽 추천합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오... 이쪽은 제가 잘 모르는데.. 감사합니다 관심있는분들께 많은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 @곰곰-p8i
    @곰곰-p8i 2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뚜벅쵸님, ios 앱개발자가 되고 싶은 컴공생 3학년입니다. 아직까지는 윈도우밖에 안 써봤지만 이제 제 진로상 맥북을 사야할 것 같아 사양이 고민되어 알아보고 있는데요, 현재는 프로14인치 램16 ssd512 로 생각중인데 적당할까요? 또 맥북을 지금 사면 보통 몇년 정도 쓰나요? 맥북 가격이 만만치 않아서 4,5년은 쓰고 싶은데 2,3년 정도 지나면 바꿔야하나요? 이렇게 자세한 부분까지는 알려주는 글이 없어 여쭤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안녕하세요 ^^ ios 개발이면 맥북이 꼭 필요하시겠군요
      제 생각에는 메모리가 16이어도 충분할 거 같습니다만.. 정말 오래오래 쓰고싶으시면 32로 올리시는것도 방법입니다.
      맥북은 워낙 사양이 뛰어나다보니 오래쓰는 편 입니다.
      저희 회사에서는 교체주기를 2년으로 삼는데요. 사실 까먹고 3~4년씩 쓰시는분들도 있고 그렇습니다.
      다만, 제가 ios 개발은 10년전에 잠깐 해봤기 때문에^^; 저 보다는 쫌 더 ios 경험이 있는분의 의견을 들으시는게 좋겠습니다 🙋🏻‍♂️

  • @yondoreu
    @yondoreu 2 роки тому +1

    저도 2012년에 맥북에어 mid 2011년형을 시작으로 여태 맥을 잘 쓰고 있습니다 ㅎㅎ 당시엔 고등학생이었고 지금은 개발자인데 개발하기에 맥이 참 편한건 정말 동의해요!
    전 회사 컴퓨터랑 개인 컴퓨터를 따로 두고 쓰는데 아직 인텔맥이라 ㅠㅠ 실리콘맥 한번 써보고 싶네요 ㅎㅎ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2011년에 맥북을 첨 접했을때의 감동이란... ㅎㅎ
      나중에 애플실리콘도 꼭 써보세요 넘 좋네요 ㅎㅎ

  • @vcjsm
    @vcjsm 2 роки тому +326

    맥북 나눔 이벤트 하신다고 하시니 감사히 받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74

      예...? 제가요.....? ㅎㅎ....

    • @bbuing1
      @bbuing1 2 роки тому +6

      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도 감사합니다!!!

    • @CunJD
      @CunJD 2 роки тому +1

      와! 맥북!

    • @lethe_yoon
      @lethe_yoon 2 роки тому +2

      네~ 드렸습니다~

    • @DiversOcean
      @DiversOcean 2 роки тому

      가즈아ㅏㅏ

  • @JAE-sm4dw
    @JAE-sm4dw Рік тому

    이번에 32기가램, 512ssd m2pro(290만원정도)하고 18기가램, 512ssd m3pro(260만원정도)하고 고민중인데 어떤게 나을까요? 도커 몇개띄우고, 인텔리제이 주로 사용합니다!

    • @pan-ddu
      @pan-ddu  Рік тому +1

      제가 질문자님의 댓글을 보면서 느끼기로는 30만원의 차이가 그렇게 부담이 되지 않으신 상황으로 느껴집니다 🙂
      부담이 가지 않으신다면 무조건 다다익램으로 가시길 추천드립니다.
      생각보다 인텔리제이가 메모리를 많이 먹고요 도커도 많이 먹습니다 32GB 고고^^
      그리고 제 생각에 m2냐 m3냐는 개발 작업에서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JAE-sm4dw
      @JAE-sm4dw Рік тому

      @@pan-ddu 추천 감사합니다!

  • @플라티나-v7b
    @플라티나-v7b 2 роки тому +2

    저는 인공지능 개발쪽인데 아직은 실리콘 칩에서딥러닝 관련 프레임워크가 지원이 안되거나 최적화가 안되어 있어서 맥으로 넘어오실거면 아직까지는 고민이 좀 필요하지 않나 싶네요 그래도 파이썬은 잘 지원되는거 같아서 만족스럽습니다 차차 좋아지겠죠!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그렇군요 좋은 후기 감사합니다 차차 지원되었음해요 ㅎㅎ

  • @why4han5lr7
    @why4han5lr7 Рік тому

    질문이 있습니다. 영상에서 살짝 언급하긴 하셨지만 저도 환경변수니, 뭐 디렉토리가 다르다느니, 분명 다운로드 했는데도 package를찾을 수 없다느니... 간단한 프로그램을 만들어보고 싶어서 튜토리얼을 따라해가며 공부를 하려고 해도, 처음 세팅부터 계속 막혀서 진도 못 빼고 있는 1인입니다. 어쩌다 해결을 해도 다시 껐다 켜면 또 에러나고.. 초보자라 그런 시스템(?)적인 오류가 뜨면 해결에 애를 먹고 개발공부를 제대로 시작도 못하는 게 너무 스트레스인데 이런 경우, 맥북을 사용하면 확실히 더 나은지 궁금합니다.

    • @pan-ddu
      @pan-ddu  Рік тому +1

      실제로 나은건지 아닌건진 모르겠지만 맥에서는 그런 경험을 덜 한거 같습니다
      brew 라는 패키지 매니저가 의존성 관리를 쉽게 해줘서 편리하기도 하고요 🙂

  • @박찬솔-m3b
    @박찬솔-m3b 2 роки тому +2

    리액트 네이티브 0.6 이하 버젼 혹은 xCode 12 이하 버젼들은 m1에서 자잘한 오류들이 매우매우매우매우 많습니다 물론 최신버젼에서 수정된 경우도 있지만 업데이트 하지 않고 유지한채로 사용하는데 꽤 고생했습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ㅠ 역시 기존꺼를 새로운 시스템으로 컨버팅 할때가 가장 난감한거 같습니다 ㅠ

  • @msDhKim
    @msDhKim 2 роки тому +2

    판뚜님처럼 제가 생각하기에도 디자인, 배터리, 편리성 전부 생각해보면 어쩌면 가성비가 제일 좋은 랩탑이 아닐까,,, 하면서 분수에 안맞는 맥북 꽤 오래 잘 쓰고 있습니다 ㅋㅋ 트랙패드랑 Shell 에 적응하고나니까 윈도우가 필요할 상황이 게임 말고는 전혀 안찾게되더라구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ㅋㅋ 보통 상황 말고 게임만 하게되는 윈도우 머신....

  • @이승민-l7s
    @이승민-l7s 2 роки тому

    Mac 쓰시니까 혹시 영상편집도 Final Cut Pro로 하시나요?
    기존 인텔에서 애플 실리콘으로 넘어갔을 때 영상편집 시(꼭 Final Cut Pro가 아니더라도) 경험은 어떻게 체감되셨나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파컷은 제가 영상에 얘기하진 않았지만.. 엄청난 속도 향상이 있습니다 ㅎㅎ
      인텔맥에선 그냥 작업 내내 팬이 도는데 이건 거의 돌지가 않고.. 최고입니다

  • @armarius_jacob
    @armarius_jacob 2 роки тому +17

    갓고리즘 추천으로 방문했는데, V로그까지 정주행했습니다 ^^ 저희 부부는 판교/분당 IT회사 기획자 부부인데.. 뭔가 비슷한 점 또는 공감가는 점들이 많아서 재밌게 봤습니다!! 극집돌이이자 장비 좋아하는 점, 화요같은 증류소주 애호가인 점도 비슷하네요! 두분 행복 하세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ㅋㅋㅋ 같은 판교 IT인 반갑습니다 ㅎㅎ 증류주 애호가이긴 한데 .. 비싸서 잘 먹진 못하고있네요 ㅎㅎ ㅋㅋㅋ

  • @양양-r4v
    @양양-r4v 2 роки тому +2

    저도 m1 칩으로 맥북 사용 중인데, 오라클 공부하려고 sql developer 켤 때마다 기도합니다. 렉이 장난 없어요.
    그리고 학교에서는 모든 걸 윈도 기준으로 하기에 맥북이 생각보다 서칭 시간이 많이 필요하더라고요. 지금은 tomcat 맥 vscode로 연결했지만 전에는 방법을 몰라서 페럴렐즈 사서 했네요.
    그래도 맥북에 대한 후회는 없습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저도 학부생때 맥북썼더니 강의에서 알려주는 세팅을 할 수 없어서 다 알아서 했던 기억이 납니다 ㅠㅠ 그래도 저도 맥북 넘 좋았어요 ㅎㅎ

    • @medalofduty8935
      @medalofduty8935 2 роки тому

      격공합니다. 학부 수업 디폴트가 윈도우라 맥용 세팅법은 안알려주시는 교수님 원망해가면서 구글링 했던 기억이 있네요 ㅋㅋㅋㅋㅋ

  • @승환-m6c
    @승환-m6c 2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매번 영상만 보고 가던 학생입니다. 대학 원서 접수 시기가 되었는데 컴공을 진학하려고 보니 경쟁률이 넘 높아져 다른 학과를 찾아보고 있었어요..! 앱 개발자나 판뚜님처럼 멋있는 회사 개발자가 되는 것이 꿈인데, 산업공학이나 ict공학 같은 컴공 관련 학과를 진학하는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욥..? 영상과 다른 내용의 댓글이라 죄송합니다ㅠㅜ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음.. 어쩌죠 제가 그 다른과에 대해서는 잘 모르기 때문에 답을 드리기가 어려울 거 같습니다 ㅠ

    • @KimPhilos
      @KimPhilos 2 роки тому

      아직 전공에 관하여 '정통'이라는 인식이 남아있습니다. SW개발은 많이 열려있지만, 백엔드 개발에는 컴공만 뽑으려는 경향이 있으니 일반적으로는 컴공으로 선택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개발분야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른 전공에 비해 실력이나 경험, 공모전수상, 등 다른 스펙으로 경쟁이 가능한 분야인 것 같기도 합니다.

    • @승환-m6c
      @승환-m6c 2 роки тому

      @@pan-ddu 괜찮아요!! 감사해요 판뚜님은 당연히 컴공 나오신건가요??

    • @승환-m6c
      @승환-m6c 2 роки тому

      @@KimPhilos 요즘 다른 학과에서도 다 컴공 배운다던데 그정도 배우는 깊이와 컴공에서 배우는 깊이랑 차이가 많이 큰건가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네 전 컴공나왔습니다^^
      근데 컴공이 배우는 깊이라는게.. 컴퓨터 사이언스 쪽이라서 깊은거지 사실 개발 코딩 관련은 어차피 알아서 따로 공부해야하거든요
      물론 다루기는 다룹니다만 컴터 관련 여러 지식을 다루지 막 코딩만 하는 과는 아니기 때문에..
      암튼 깊이있고 더 제대로 하는건 컴공이지만 다른과나 컴공이나 본인만의 개발공부를 따로 해야하는건 같다... 가 제 생각입니다
      물론 전 대학 졸업한지가 벌써 거의 10년이 되서^^; 요즘분들 생각은 다를수도 있습니다

  • @ckpark6070
    @ckpark6070 2 роки тому +1

    옆건물에서 일하는 사람입니다만
    다들 말하시는 저 wsl, 다시말하면 wsl2가 참 물건이라.. 리눅스를 많이 써본사람이라면 요샌 윈도우가 너무 편합니다. 예전엔 우분투데탑만 찬양했었는데 윈도우가 100% 대체가 가능하달까요 ㅎ 그래도 리눅스를 주로 쓰던 개발자들은 윈도우가 대부분 흡수한것같네요.
    macos는 특유의 불편함, 예를들면 전체화면이나 창크기조절이 불편한거.. 다음 버전에 조금 나아진다지만 불편한 시스템 설정 ui 등등, 그리고 떨어지는 안정성/호환성 이런게 좀 큰것같네요. ㅠㅠ

    • @ckpark6070
      @ckpark6070 2 роки тому

      물론 os말고 하드웨어는 애플은 넘사.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아무래도 ui적인 요소들은 적응의 문제도 있는거 같네요 ㅎㅎ

    • @Ndkkn
      @Ndkkn 2 роки тому

      저도 os쪽엔 딱히 관심 없는데 하드웨어는 좋다길래 나중에 하나 사서 깔린 맥 밀어버리고 리눅스 머신으로 쓰면 어떨까 생각 중이네요.

  • @YJ-cx8fm
    @YJ-cx8fm 2 роки тому +10

    요청했던 주제인데 잘봤습니다 !! 전 아직 학부생이고 m1에어 16gb 사용하면서 규모가 크지 않은 스프링 기반 플젝 하고있는데 이정도는 m1 에어로도 충분한 것 같습니다!! 그대신 말씀하신것처럼 프로그램 여러개를 띄우고 사용하다보니 메모리는 16gb로 업글했는데, 진짜 메모리 최소 16gb는 필수 인것 같습니다 ㅎㅎ 영상 감사합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쾌적하게 쓰고 계신다니 다행입니다 ㅎㅎ 다른 비슷한 상황의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될법한 댓글이네요 감사합니다^^

  • @수고하세요-q8e
    @수고하세요-q8e Рік тому

    뚜벅초님.
    이번에 맥북을 사려고 하는데, 맥북으로 C언어 개발 불편함이 없나요??
    제가 이제 막 시작하는 단계라서 C를 먼저 공부하고 있는데 맥북에서 문제가 없는지 궁금해서 댓글 남깁니다!

    • @pan-ddu
      @pan-ddu  Рік тому +1

      안녕하세요^^ 막 시작하는 단계시라면 딱히 불편한 건 없으실겁니다 🙂

    • @수고하세요-q8e
      @수고하세요-q8e Рік тому

      @@pan-ddu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 맥북 사왔습니다 ㅋㅋㅋ

  • @sjpae
    @sjpae 11 місяців тому

    학원이나 인강으로 웹이나 앱, 풀스택 개발자를 목표로 공부하려 하는데요 IOS개발을 안할거라는 전제 하에 윈도우 노트북으로 공부해도 문제 없을까요? 죄송하지만 답변해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pan-ddu
      @pan-ddu  11 місяців тому

      네 전혀 상관없습니다 🙂🙂

  • @RX-0-s2m
    @RX-0-s2m 2 роки тому

    2018년형 인텔칩 맥북프로 15" 사용자인데요.
    16인치 맥북프로 거치대 추천받고 싶습니다. 사용하시는 같은 모델도 좋고요. 저는 이번에 나올 M2 Pro 모델 구매를 고려중입니다.
    프로젝트 작은거 큰거 하나씩 IDE 동시에 두개 돌리고, 크롬 브라우저 탭 60개에 Docker 띄어놓으면 램메모리16GB로는 감당이 안되더라고요. 32GB로 업그레이드 하려고요.
    물리메모리가 16GB 인데 스왑 메모리가 14GB 뜨는 상황이거든요 ㅋㅋㅋㅋㅋ 쓰로틀링 많이 걸리고 곶통의 연속입니다. 비행기 엔진 소음은 일상이고요. 거의 36시간 맥북을 켜놔야 되서 비행기인줄
    M2 Pro 칩이 이미 M1 Max칩보다 성능이 좋은데 M2 Max칩으로 업그레이드 해야할까 고민중입니다. 가격차가 360달러정도이고.
    M1 Max쓰시는데 아무런 불편함 없으시겠지만, 혹시 게임하시나요? 저는 롤 정도는 합니다만... GPU 업그레이드 해야하나..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거치대는 사실 너무 용도에따라 다양해서 ㅋㅋ 저의경우 책상에 노트북을 고정해두고..
      부족한 usb 포트도 채울겸 www.coupang.com/vp/products/6197667468
      이거를 사용중입니다. 지금 단종이 됐는지 직구도 구하기 어려운 거 같군요
      아니면 모니터암에 노트북 스탠드를 다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보니까.. 메모리는 진짜 최소 32로 가셔야겠네요 ㅎㅎ
      저는 게임은 하지 않고 작업용도로만 써서 그런지 M1 Max로도 무척 쾌적하게 잘 지내고 있습니다만..
      저에게 Max는 너무 오버스펙인거 같습니다. 자비로 돈을들여산다면.. max말고 m2 pro로 타협을 할 거 같네요 🙋🏻‍♂️

  • @youngminkim2038
    @youngminkim2038 2 роки тому +19

    친구들이랑 하는 스타트업에서 웹 개발 (주로 프론트엔드)를 담당하고 있는 M1 AIR 사용자입니다.
    학교가 마이스터고라 9 to 9인데 IDE를 쓰는 상황에서는 반나절 기본적인 웹서핑에서는 2~3일까지 사용 가능했던걸로 기억합니다.
    코딩할때 딱히 불편한 점도 없고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2

      2-3일까지 버티는군요 ㅎㅎ 저도 그렇게 오래 전원없이 써볼일이 없었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youngminkim2038
      @youngminkim2038 2 роки тому +3

      @@user_YTK_1748 이런식의 시비성 댓글은 보기 좋지 않네요. 현직에 계신 프론트엔드 개발자분도 많으실텐데 본인의 사적인 생각으로 직업군에 종사하시는 모든 분을 무시하는 댓글입니다.

  • @애루미
    @애루미 2 роки тому

    인텔 에어 막차 탑승해서 샀는데 진짜 안고장나고 트랙패드 처음에 썼을때 진차 그 느낌은 말로 표현할 수가 없쥬!! (지금은 마우쓰 쓰는건 함정) 그리고 배터리는 진짜 신경써서 충전해주고 사용했더니 풀충전하면 6시간 이상은 가는거같아요. 혹시나 해서 충전기 들고다니지만 거의 충전할일 없었네요.
    M1 나왔을 때 그렇게 쩐다그래서 써보고싶었는데 아직 고장날라면 멀은거같아서 못써볼지도..🫠
    진짜 돈만있으면 개추천!!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역시 문제는 돈이긴 하지만 진짜 돈만 있다고 하면.. 저는 마구 추천하게 되더라구요 ㅎㅎ

  • @josephjeong9163
    @josephjeong9163 2 роки тому +1

    m1 맥북프로 램8기가/512ssd 사용하는 학부 연구생입니다. 머신러닝 서버컴 리모트를 위한 RDP, 자료 만드는데 쓰는 포토샵, 카톡, 크롬 탭 20개정도에 듀얼모니터로 두고 쓰면 메모리 스왑이 꽤나 됩니다... 기본적인 웹서핑 + 그래픽 작업 정도는 문제 없겠지만 그 이상으로 쓰실 분들은 적어도 램은 16기가 이상으로 추천드립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맞아요 메모리는 거거익선 ㅎㅎ 뭐 안해도 기본적으로 많이 차지하고 있더라구요

  • @jiwonkim2982
    @jiwonkim2982 2 роки тому +3

    M1에어에 램 16으로 ML/DL 개발 서버 접속용으로 쓰는데, 쾌적합니다! (공식 외부모니터지원이 1개라 디스플레이 링크로 2개를 써야하는 단점 빼구요.)5년 째 맥 os를 쓰니 윈도우로는 못넘어 가겠어요. 개발 뿐만아니라 keynote, 미리보기, 가라지밴드 같은 기본 앱도 좋은거 같아요. 단말용으로는 최고인듯 합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2

      오.. 에어로도 꽤 괜찮으신가보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 @jiwonkim2982
      @jiwonkim2982 2 роки тому +1

      @@pan-ddu 어디까지나 vscode, iterm2, 구글링 등만 사용하는 '서버접속용' 한정입니다. 네이티브로는 코드 못돌려요 ㅠㅠ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아.. 원격 실행이었군요 ㅎㅎ

    • @jiwonkim2982
      @jiwonkim2982 2 роки тому

      @@pan-ddu 분야 특성상 VRAM이 40~50기가 필요할 때가 있어서 엔당 GPU만이 가능합니다 ㅠㅠ...여러 장점들이 결국 원격용으로 편하다는 말씀 드리고 싶었어요 ~

  • @mjmjmjmj____
    @mjmjmjmj____ 2 роки тому +1

    14인치 깡통에 10코어로 올려서 쓰는데 아직 대학교 1학년이다보니까 성능 상 이슈로 속썩였던 적은 없네요. 한 번 갑자기 개발환경 꼬여서 애 좀 먹었는데 그거 빼곤 전반적으론 만족하면서 쓰고 있는데
    팔아버리고 그램 사고싶네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그램도 가볍고 넘 좋다는 의견 많더라구요 ㅎㅎ

  • @kimqhahqhah
    @kimqhahqhah 2 роки тому +2

    지금까지 윈도우 쓰다가 이제 공부할 때 점점 윈도우로 할 때 짜증나는것들이 생겨서 리눅스로 넘어가고,
    리눅스 쓰고있다가 나중에 좋은회사가면 맥북지급한대서 똑똑하신 분들이 쓴다는데 다 이유가 있겠지 하고 무작정 m1맥 프로로 오늘 넘어왔는데 이 영상보니까 마음이 더 편해지네요 감사합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무작정 지르셨다면 아주 잘하신겁니다 ㅎㅎ 몇번 만져보시면 후회 안 하실 거얘요 ^^

  • @박세준-g6q
    @박세준-g6q Рік тому +1

    전 이번에 어쩌다보니 맥북m1을 얻게 되어 그거로 학부 수업 실습을 준비하는데 오라클 설치하고 돌릴때 좀 성가시더라고요. 그거 말곤 전부 만족!

    • @pan-ddu
      @pan-ddu  Рік тому

      오.. 요즘은 학부에서 오라클도 다루는군요!!ㅋㅋ

  • @준성박-z4o
    @준성박-z4o Рік тому

    개발자로 취업준비중인데요? 지금 맥북프로m3 vs 그램프로 울트라7
    둘중에 고민중인데 하나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저는 웹앱 풀스택 전향 공부중에 있습니다ㅠㅠ 뭐가 좋을까요?

    • @pan-ddu
      @pan-ddu  Рік тому

      사실 준비하시는 입장에서 크게 두개 중 하나를 추천드리는 게 의미가 없어보입니다
      어차피 둘 다 준비하시는데 나쁘거나 유리한 게 없거든요 ㅎㅎ 그냥 예산 안에서 휴대성이나 os의 익숙함이나.. 요런 것들 위주로 생각하셔도 됩니다 🙂

  • @greennuri
    @greennuri 2 роки тому +2

    m1 max로 ai 관련 업무 하는 현업 개발자입니다.
    장점은 터미널 환경이 별도의 설치 없이 바로 리눅스 환경으로 넘어가서 좋습니다.
    그리고 일부 라이브러리에서 제공 되는 (tf) 딥러닝 호환 라이브러리 설치로 사용하면 조금 느리긴 하지만 딥러닝을 돌릴수 있습니다.
    단점은 aarm64(arm 64 m1칩셋 인스트럽션) 때문에 일부 라이브러리가 호환성에 문제가 있습니다.
    python 에서는 connector-x나 torch(나이트 버젼에서 일부 지원됨) 같은 라이브러리에서 호환이 되지 않아서 코드로 os 체크하고 분기 코드를 작성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텔이던 m1이던 맥은.. 거의 터미널 정도로 생각하고 쓰시면 좋을듯 합니다( 굳이 에어 이상이 필요한지 모르겠네요, 저 같은 경우는 여러 서버에서 vs-code를 통해서 리모트로 개발을 해서 거의 터미널로만 씁니다 )

    • @greennuri
      @greennuri 2 роки тому

      참고로 제 주 업무 환경은 vs-code 리모트로 개발하고 크롬을 많이 띄워서 메모리는 좀 넉넉히 필요합니다.그외 주 업무 코드 개발, 빌드는 전부 서버에서 하고요 jupyter, vs-code를 주로 씁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오.. 많은걸 리모트로 하신다면 사양을 덜 타시겠군요 좋은 후기 감사합니다^^

  • @토마토불타는
    @토마토불타는 Рік тому

    대학생때 알바할 때 배민에서 알바했던 적이 있는데 ,거기서 thinkpad 를 쓰는데 노트북 안에 빨간색 포인트가 너무 이뻐서 그걸로 사서 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취준생인데. 나중에 맥북 안써봤어요? 라는 말 나올까바 걱정이네요..ㅠㅠ 지금이라도 중고로 m1 사볼까욥

    • @pan-ddu
      @pan-ddu  Рік тому

      ㅋㅋㅋ 그런말을 하는분이 계실까요...? 맥이 필수는 아닙니다 🙂

  • @chcbaram
    @chcbaram 2 роки тому

    전 펌웨어 개발자인데 윈도우보다 빌드속도도 빠르고 제가 사용하는 선에서는 크게 문제 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여기 댓글에 정말 다양한 분야의 개발자분들이 계시는군요 ㅎㅎ 소중한 후기 감사합니다

  • @zl3384
    @zl3384 2 роки тому

    현재 백엔드개발자를 꿈꾸는 대학생 1학년입니다. 이번에 m2 맥북에어가 괜찮다고 해서 프로랑 에어중에 고민중인데 맥북에어도 문제없이 사용 가능할까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대학생이시면 에어로도 어지간하면 충분합니다 ㅎㅎ

    • @zl3384
      @zl3384 2 роки тому

      @@pan-ddu 감사합니다!!

  • @야호-n5r
    @야호-n5r 2 роки тому +3

    판뚜님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ㅎㅎ 이제 졸업학기 개강을 앞둔 학부생이라 곧 취준을 하게 되는데 준비해야 할 것들이 많아서 눈앞이 깜깜해지더라구요.. 저도 판뚜님과 동일한 서버개발자로 일하고싶은데 코테준비를 파이썬으로 시작했고, 아직까지 자바는 정말 1도 손을 못대봤습니다. 혹시 자바 공부를 어떤 방향으로(?) 해야하는지, 개인프로젝트는 어떤 종류를 준비하면 좋을지에 대한 조언을 짤막하게라도 들을 수 있을까요?? 주변에 이쪽에서 일하는 지인이 하나도 없어서 물어볼 곳이 없습니다 ㅠㅠㅠ 프레임워크나 이런것도 사용해볼 필요가 있는것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일단 말씀해주시면 회사 채용공고랑 관련해서 나머지는 제가 열심히 구글링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5

      코테는 그냥 제일 편한거로 계속 준비하셔도 될 거 같습니다
      그리고 자바는.. 서버개발이면 자바 스프링이 많이 쓰이니깐 자바 어느정도 떼시면 스프링 관련 책이나 강의로 프레임워크 입문 하시는 거부터 추천 드립니다^^ 관련 강의는 많을거예요

    • @derulotaser4751
      @derulotaser4751 2 роки тому +2

      저랑 테크가 비슷하시군요. 저도 파이썬으로 코테 준비시작해서 회사에 첫 입사하면서 자바 배우기 시작해서 지금까지 왔습니다. 너무 크게 걱정하지 마세요. 느긋하게 마음먹고 내 실력 키우겠다고 열심히 하다보면 중간에 좀 에러가 생기더라도 다 어느 정도까지는 올라옵니다 그 이후부터는 자기 방향 설정이겠지만 실무에서 배우는게 절대적이기 때문에 입사전에 너무 큰 걱정 하실 필요없습니다. 그럼 취업 성공하시길~ 그리고 야근 은근히 눈치주는 곳은 가지 마세요. 지옥입니다 ㅎㅎ

    • @야호-n5r
      @야호-n5r 2 роки тому

      @@derulotaser4751 ㅎㅎ 정성스런 답변 감사합니다~

    • @야호-n5r
      @야호-n5r 2 роки тому

      @@pan-ddu 정성스런 답변 감사합니다 판뚜님 ☺️

  • @mjj2031
    @mjj2031 Рік тому

    게임개발로 밥벌어먹은지 15년정도 됐는데 모바일게임개발할때는 iso빌드용으로만쓰고 실질적인 개발은 윈도우로 했었습니다.그때당시 인텔맥이었고 3d사양쪽에서 확실이 맥으로할때 너무 날아갈거 같았어요. 지금은 또 어떨지 모르겠네요. 헌데 html5로 웹게임 개발할때는 맥으로 개발할때 정말 편했던거 같습니다. 그때는 한동안 죽어라 야근하면서 정기업데이트하고 나면 주말에 집에서 윈도우로 쉴때면 맥쓰던 버릇이 안지워져서 무쟈게 윈도우키 눌러댔던 추억이 있네요 . 지금은 또 유니티로 윈도우에서 iso빌드가 가능한거 같은데 담당은 아니라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ㅎㅎ

    • @pan-ddu
      @pan-ddu  Рік тому

      야근을 죽어라 하셨다는 부분이 매우 안타깝습니다 🥲🥲🥲

  • @JL-th5rr
    @JL-th5rr 2 роки тому

    wsl 좋아졌다고 해서 써봤는데 도커로 서버나 디비 띄울 때 로컬호스트로 바로 되는게 아니라 0.0.0.0으로 띄우고 추가적으로 뭘 해줘야 돼서 포기함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시스템 안에서 다른 컨텍스트로 뭐가 돌아가는 구조라서 그런 호스트 설정이 필요한가보군요 ㅎㅎ

  • @yyy912
    @yyy912 2 роки тому

    여제껏 윈도우로 개발했었는데 이번에 새로 들어간 회사에서 맥쓸래 윈도우쓸래 하는 상황에서 저도 모르게 맥쓰겠다고 질러버렸습니다... 근데 이게 후기를 보니까 누구는 맥북 적응하는게 쉽지 않다고 하는데 어떤가요 뚜벅쵸 님이 개발자의 입장에서 보시기에...? 금방 적응 하겠죠??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2

      ㅋㅋㅋ 금방 적응 하실겁니다 워낙 잘 만들어진 플랫폼이라서..

  • @uyeong97
    @uyeong97 2 роки тому +2

    하이브리드 안드앱 개발하는데 안드로이드 기기 연결하는 속도가 진짜 너무 빨라서 좋습니다 ㅎㅎ
    윈도우에서는 adb가 왜이리 안잡히는지.. 재부팅해야 잡히는경우도 있고..ㅋㅋㅋ
    아이맥쓴 이후로 컴퓨터를 끈적이 없어요 ㅋㅋㅋ 항상 켜놔도 오류가 없으니 출근하면 항상 쓰던상태 그대로 다시 쓸수있어 너무 좋아여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역시 개발도구들이 속을 썩이지 않는군요 ㅎㅎ

  • @nov02lsr
    @nov02lsr 2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파이썬으로 코딩을 공부하는 비전공자입니다. 파이썬을 m1 맥북에서 vs코드를 이용하여 하고있는데 듣고있는 강의 후반부에 막히는 부분이 생겨 문의 드려봅니다. Pyqt5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서 로그인하는 창을 만들려고 하는데 인스톨중에 에러가 발생하면서 설치가 안되어 올스톱된 상황입니다. 여기저기 뒤져보니 m1맥북과 pyqt5의 이슈가 있다는것을 알게되었고 여러가지 해결책을 찾고 검색하다 이곳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맥 개발자 사용환경에 해박하신것 같아 문의드립니다. 혹시나 pyqt5 관련 해결책을 아시는게 있으시다면 조언 꼭 점 부탇드립니다!! ㅁ;;;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어.. 제가 파이썬은 잘 다루지 않아서 답을 드리기 어렵습니다만
      혹시나 다른분들 아시는분 계시면 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 🙂

    • @nov02lsr
      @nov02lsr 2 роки тому

      @@pan-ddu 네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koolkb06
    @koolkb06 2 роки тому +1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저도 얼마 전에 m1max 샀는데 현재는 원격으로 개발 중이라 제대로 쓰고 있진 않지만 어째뜬 저랑 기준이 거의 비슷하신거 같아서 판뚜님도 저도 개발자들은 생각하는게 비슷하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네여 ㅎㅎ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ㅋㅋ m1 max를 원격으로만 쓰시면 살짝 아깝긴 하겠지만 그래도 쾌적하게 쓸만하셔서 좋죠..? ㅎㅎ

    • @koolkb06
      @koolkb06 2 роки тому

      @@pan-ddu 그럼요~ㅎㅎ 엄청 쾌적하죠 ㅎㅎㅎ 당분간은 원격으로 쓰겠지만 앞으로 웹개발 많이 할꺼라서요 ㅎㅎㅎ기대하고 있습니다 ㅎㅎ

  • @tammini
    @tammini 2 роки тому

    제기준 판뚜님이 말씀하신 내용도 포함되지만 자바 버전 관리를 맥에서 jenv로 하면 편해서 맥에 푹 빠져있습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아하 그렇군요
      저는 그냥 ide의 도움을 받아 프로젝트 설정에 잘 하는 편 입니다 ㅎㅎ

  • @Hear_the_Wind_Sing
    @Hear_the_Wind_Sing 2 роки тому

    스위프트 가지고 앱 프로젝트 하나 열심히 참여하는 중인데 저같은 경우면 필수...!
    엑스코드의 편의성이라던가 홈브류가 진짜 여기에 적응돼서 너무 편함...
    물론 저는 아직 인텔맥을 쓰고 있긴 하지만...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스위프트로 앱 만드실거면 완전 필수이시네요 여유되실때 꼭 m1으로 오세요 신세계가 펼쳐집니다 ㅎㅎ

  • @koreanbrian
    @koreanbrian 2 роки тому

    지금 끝물 인텔 맥북 프로 2017년도랑 서피스 프로 7 같이 사용중인데.. 둘다팔고 맥북프로로 갈아타야 되나 심각하게 고민중입니다... ㅠ 뽐뿌가 오는군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앗.. 아.. 2017년이면.. 너무 교체하기에 적절한 시기인걸요...? ㅎㅎ ㅋㅋㅋㅋㅋㅋ (뽐뿌질)

  • @medalofduty8935
    @medalofduty8935 2 роки тому +21

    wsl가 나온 이후부터는 확실히 맥북만의 차별점이 줄은것 같아요. 터미널로 명령어를 자주 쓰는 입장에서 둘의 차이는 크게 못느끼는 것 같아요. 다만 맥이랑 윈도우 간 포맷 문제(인코딩, 줄바꿈 등..), 커서 이동 단축키, 트랙패드 같은 하드웨어 차이 측면에서 맥이 더 편리하더라고요.
    결정적으로 같은 코드를 돌려도 윈도우 노트북은 뭐만 했다하면 비행기 이륙해대서 첫 노트북으로 맥북을 쓴 사람 입장에서는 터질거 같아서 무서워요 허허헣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역시 이륙은 인텔이면 어쩔수 없는걸까요 ㅠㅠ ㅋㅋㅋㅋㅋㅋㅋ 윈도우 wsl이 나오고나서부턴 많이 개발자 친화적이 됐나봅니다 ㅎㅎ

  • @visualstudio07
    @visualstudio07 Рік тому

    i3 -1215u로 가벼운 유니티 돌리는 사람입니다.
    내장그래픽이 11세대 넘어가면서 매우 좋아졌고, 12세대부터 p코어 e코어로 나눠 코어 뻥튀기로 가벼운 작업들은 잘 돌아갑니다. 하지만 4060, 4070달린 노트북으로 가면 팬 소음이 미치겠더라고요.. 특히 배터리 타임이 1시간을 못넘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텔은 충전기가 칠수입니다.

    • @pan-ddu
      @pan-ddu  Рік тому +1

      인텔맥은 진짜 일하다 날아가겠구나 싶더라구요 🥲

    • @visualstudio07
      @visualstudio07 Рік тому

      @@pan-ddu 그냥 쓰다보면 라이젠 쓸까라는 생각도 듭니다… 그쪽은 전성비라도 좋아서 말이에요.

  • @Jayse_Ryu
    @Jayse_Ryu 2 роки тому +5

    5년쯤차 프론트엔드 같은 풀스택인데 MBA 2013 - MBP 15" 2015 - MBP 13" 2019 - MBP M1Pro 14" 이렇게 쓰고있네요.
    지금 회사에서 Dell Latitude 7420 이라는 랩탑을 제공해줘서 윈도우로도 해봐야겠다~ 하고 셋팅을 했지만 자잘한 부분에서 아주 불편해서 M1pro 14인치는 개인용으로 구매해서 쓰고있습니다.
    WSL셋팅을 해도 근본적으로 불편한 점이 몇가지가 있는데요,
    첫번쨰는 외장모니터 연결했을시 가상데스크탑 전환이 외장모니터 + 메인모니터 같이 이동합니다. 이게 뭔지 모니터별로 데스크탑이 주어지는게 아니라 윈도우는 한 세션이 한 데스크탑을 쓰는 느낌인데 이게 개인적으로 아주아주 불편합니다. 해결법을 찾아봐도 딱히 나오는게 없는걸 보니까 윈도우에는 그냥 외장모니터를 두개 연결하는게 최선인 것 같은..? (지금은 회사나 집이나 울트라 와이드 모니터 하나에 연결해서 씁니다.)
    두번째는 여기 나온대로 트랙패드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랩탑은 본체 + 충전기만 있으면 아무 문제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M1pro로 오면서 충전기도 막 필수는 아니게 된듯.. 로컬프론트 + 로컬백엔드 + 도커DB 띄워도 6시간은 충전없이 가네요. 방전까지 얼마나 되는지는 안해 봄.) 윈도우는 터치패드가 진~~짜 불편하네요. 서드파티 소프트웨어를 찾아봐도 없고 근본적으로 다른게 아닐까 싶은데. 개발 외적으로 스트레스 받을바에 그냥 맥으로 하는게 나아서 다시 맥을 선택했습니다. 윈도우가 필요한 경우는 집에 게임용 데스크탑이 있어서 그거로만 해결해도 충분합니다.
    아 그리고 애플실리콘으로 오며 생긴 부가적인 장점은 시원한 랩탑.. Dell도 i7에 발열이 있는 편인데 M1pro는 아주 시원해서 좋네요.
    현재 TG pro라는 앱으로 팬 속도 모니터링 하면서 쓰고있는데 약 6~70도 까지 가면 rpm 2000정도로 돌아서 다시 50도 정도로 식혀주고 그래서 소리가 안 나는 수준이네요. 6~70도 되어도 바로 식혀줘서인지 인텔 때 처럼 팜레스트가 따뜻하다거나 그러진 않고요. 전에 쓰던 13인치 프로는 기본 RPM이 항상 4~5000은 됐고 Fans Off 라는 글자를 거의 본적도 없는데 M1pro는 대부분은 실제로 대부분은 꺼져있네요.
    제가 쓰는 환경은 Vue, React, DRF, 도커(이건 이미지만 받아서 쓰는 상황입니다.) 베이스인 프로젝트들인데 문제없이 잘 되는 중입니다.
    사양은 14인치 기본형에 SSD만 1TB로 했습니다. 메모리 대신 SSD를 선택한 이유는 SSD 2TB까지(4였나?) 대역폭 향상이 있는데
    영상작업같이 실시간의 특성을 띄지 않는 제 작업 범위 상 1TB 정도만 해도 스왑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사실 50만원 돈 얹기 싫었음..)
    지금도 메모리 프레셔가 60% 정도 되는데 인텔 쓸 때랑은 비교안되게 쾌적합니다. 물론 32였다면 더 쾌적했을지도 모르지만 저에겐 이정도도 충분한거 같네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오.. 아주 상세한 후기.. 감사합니다 많은분들께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

  • @Hyeonseo_Lee
    @Hyeonseo_Lee 2 роки тому +24

    장인은 장비 탓을 하지 않는다 이미 쩌는 장비가 있기 때문에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2

      쩌는 장비를... (대여) 받았읍니다 ㅎㅎ

  • @Paradoxx03
    @Paradoxx03 2 роки тому +4

    맥북에어 m1은 코딩은 괜찮은거 같은데 가끔 보고서 작업한거랑 ppt공유할 때 윈도우랑 서로 충돌나서 불편한 경우도 있더군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웬만하면 애니메이션 빼시고 pdf로 공유하는것도 방법이긴 합니다 ㅎㅎ

  • @아무것도몰라요-d3l
    @아무것도몰라요-d3l 2 роки тому

    프론트 개발을 하고있는데 WSL에서 빌드돌릴때 빌드 시간이 굉장히 오래걸리는 이슈가 있었습니다. ( 맥이면 2초, WSL에서 2분 20초 ) 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그냥 개발은 맥에서 하는게 젤 맘 편해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컥 그정도로 차이가 나나요...? 좋은 소감 댓글 감사합니다 ㅎㅎ

    • @사이다콜라-e2p
      @사이다콜라-e2p 2 роки тому

      wsl1은 파일io에서 성능저하가 있었기때문에 빌드에서 이슈가 있었어요
      혹시 wsl1 사용중이시라면 wsl2 로 갈아타보시면 눈에 띄는 성능향상이 있으실거에요

  • @밥먹고하자-u5x
    @밥먹고하자-u5x 2 роки тому

    저도 수능 끝나면 코딩 공부해보려고요..
    웹 개발 쪽에 관심이 많은데
    코딩 공부도 인강보면서 하나요? 요즘은
    아님 책보나요??

    • @MD-te1lz
      @MD-te1lz 2 роки тому

      인강 엄청 잘 되어있어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말씀하신거처럼 각종 강의 플랫폼에 인강이 잘 돼있는 거 같더라구요 ㅎㅎ

    • @밥먹고하자-u5x
      @밥먹고하자-u5x 2 роки тому

      @@pan-ddu 감사룽

  • @pj281
    @pj281 2 роки тому

    저는 x86-64 docker image가 필요하거나(애플 실리콘에서 돌아는 가는데 제대로 구동 안됨) vm을 구동해야할 일이 있어서 아직 애플 실리콘 제품을 살 수가 없습니다ㅠㅠ 나중에 x86 아키텍처도 완벽하게 에뮬레이션이 되면 좋겠네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그런 경우는 아직 어렵겠군요 ㅠ 도움 되는 댓글 감사합니다 ㅎㅎ

  • @johjaesung
    @johjaesung 9 місяців тому

    저는 구글 클라우드 중에서도 마이너에 속하는 환경에서 개발하기 때문에, 호환에 어느정도 문제는 감수했는데 불편함이 없네요.
    가장 큰 장점은 보안이고 하드웨어적으로는 프로도 좋고 에어도 좋고, 당분간은 맥으로 계속 갈거 같습니다.
    sk-learn이용해서 텍스트 데이터 머신러닝도 업무상 하는데, sk-learn이 gpu를 지원하지 않으니까 cpu 실행은 x86 데스크탑보다 더 빠른거 같구요. (최신 14900정도는 안써봤습니다만, m3 max면 14900보다 느리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 @pan-ddu
      @pan-ddu  9 місяців тому

      오.. 제가 잘 모르는 분야를 다루시네요 반갑습니다 🙂🙂

  • @균서
    @균서 2 роки тому +18

    WSL덕분에 요즘은 윈도우 노트북도 웹개발하는 데에 크게 무리가 없는 거 같아요 =)
    그냥 wsl docker로 db 서버 호로록 띄우고, 프론트는 vscode에서 devcontainer 접속해서 호로록하면 되고, 백엔드는 intelliJ에서 docker로 run하기 하면 돼서...
    그리고 패키지 관리 툴도 winget이 나와서 괜찮고
    이제는 결국 IOS앱 개발 여부가 맥북 선택의 기준점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ㅎㅎ
    근데 대기업 취직한 선배들 말 들어 보면 회사가면 그냥 맥북 주고 그걸로 작업을 한다고는 하더라고요 ㅋㅋ 그거 생각하면 미리 학부생 때 맥북으로 적응력을 키워보는 것도??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오... 윈도우가 요즘 뭐가 많이 바뀌었군요 ㅎㅎ 좋은 소감 댓글 감사합니다

    • @김홍수-b2l
      @김홍수-b2l 2 роки тому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 @박종수-d6o
      @박종수-d6o 2 роки тому +2

      애플실리콘 이전이라면 동의하는데, HW자체가 가성비가 되어버린 지금 기준으로는 잘 모르겠습니다. wsl이 최적화가 잘 안되어있어서 메모리누수&전력사용량이 좀... 만만치 않습니다ㅠㅠ

    • @user_YTK_1748
      @user_YTK_1748 2 роки тому

      윈도우 노트북도 요즘에는 충분히 가능하긴 함...
      근데 본인이 애플 세팅을 원하거나 하면 맥북으로 가는거지 ㅋㅋ

    • @user_YTK_1748
      @user_YTK_1748 2 роки тому +2

      근데 윈도우 개발을 경험해본 입장에서 뭐 별에 별 세팅하다가 좀 빡침..

  • @mu1201
    @mu1201 2 роки тому

    오.. 그래서 저 이번에 m2 air 기본형 구매했습니다! 이걸로 공부랑 이것저것 하다가 나중에 더 스펙이 요구되면 프로로 바꿀려고요!!
    패드, 워치, 에어팟, 아이폰 등 애플 유저로써 맥북을 왜 이제 썼나 생각이 들 정도에요 하하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역시 사과농장 차리실거면 얼른 차리셔야^^

  • @무검검
    @무검검 11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본영상이랑 상관은 없지만 아이맥은 어떤용인가요?? 코딩에 관심이 있어서 집에서 조금씩 퇴근하고 연습해보고 싶은데요.
    좀 큰 화면을 선호해서 아이맥27인치 중고가 보이더라구요. 아이맥은 ios 인가요? 아이맥으로도 코딩연습 가능할까요? 맥북은 비싸고 맥미니 보다는 아이맥이 인테리어 목적으로도 이쁘더라구요.

    • @pan-ddu
      @pan-ddu  11 місяців тому

      아이맥으로도 충분히 코딩 공부는 가능합니다.
      사실 코딩 입문은 뭘로하든 아무거나 상관이 없거든요 ㅎㅎ 그러니 말씀하신 거처럼 인테리어에 플러스가 되는 요소이기도 하니까 여유 되시면 아이맥도 괜찮습니다

  • @스트릿개발자
    @스트릿개발자 2 роки тому +5

    유니티, 파이썬(장고) 둘다 하는 개발자입니다.
    개인 장비로 m1맥북 프로 사용 중인데 웹서버 개발시에는 맥북만한게 없습니다. 반대로 유니티에서는 VS code 자동 완성이 제대로 안돼서 삽질을 좀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추가로 인텔버전 유니티는 엄청 느리고 발열도 심해져서 원격으로 윈도우 켜서 할때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유니티가 아직 쾌적하진 않은가보군요 ㅎㅎ 좋은 소감 감사합니다

    • @sooh2
      @sooh2 2 роки тому

      유니티 M1빌드버전쓰면 그럭저럭 쓸만합니다
      전 유니티+젯브레인 라이더 조합으로 쓰고있는데 될거 다되고 좋은거같네요

  • @sohyounyoun5326
    @sohyounyoun5326 2 роки тому +1

    웹 프론트 m1 air 16업그레이드 해서 사용한지 2년차입니다.
    무지개 돌아간적 본적도 없고
    발열도 없고
    달랑 노트북만 챙겨서 외부 작업도 거뜬하고
    가격과 성능 생각하면 m1 air는 애플의 실수 라고 해도 될 듯 해요 ㅋㅋㅋ
    이전 2015 mid 는 4년차 가니까 웹검색도 버벅일정도로 버거워하긴 했습니다ㅋㅋㅋ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인텔맥은 기분탓인지 진짜인지 모르겠지만 오래쓰면 무지개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ㅎㅎ 하지만 저도 m1은 아직 무지개를 못봤네요

    • @kostralia442
      @kostralia442 2 роки тому

      @@pan-ddu 무지개가 뭔가요 ..?ㅠㅠ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kostralia442 윈도우의 모래시계? 같은 마우스 포인터... 로딩중 마우스 포인터 상태라고 보심 됩니다 ㅋㅋㅋ

    • @kostralia442
      @kostralia442 2 роки тому

      @@pan-ddu 오…그런식으로 표현을하는군요 감사합니다 !! 근데 왜 이렇게 표현하는건가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kostralia442 ㅋㅋ 특별한 이유는 없고 그냥 그때 무지개 색깔로 마우스 포인터가 나타납니다 ㅋㅋ

  • @남장궁
    @남장궁 2 роки тому +8

    학부생인데 창업 준비중이라 심각한 고민에 빠져있었는데 구매버튼 대신 눌러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 보면서 정보 많이 얻어가고 있슴다! 화이팅하십쇼 항상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7

      ㅋㅋㅋㅋ 저는 구매버튼을 대신 누르지 않았는데..... 저는 뽐뿌를 절대로 넣지 않았읍니다,,,^^

  • @떠다니는가필드
    @떠다니는가필드 2 роки тому

    무게만큼은 일부 윈도우 노트북들이 좋다고 봐요... 물론 성능은 좋긴 한데 가지고 다니는 용도인데 맥북은 많이 무거운 편인 것 같아요. 맥북 프로 m1 프로/맥스 14인치가 1.6kg, 16인치가 2.1kg 정도 되어서...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ㅎㅎ 맞습니다 무게가 마냥 가볍진 않네요

  • @깁슨-t3c
    @깁슨-t3c 2 роки тому +1

    도커 써볼려면 맥이나 윈이나 둘다 지원이 아쉽긴한데 맥이 더 좋아서 + 압도적 빌드속도때문에 솔직히 m1사는게 좋은거 같긴해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m1 넘 빠릿빠릿하고 좋더라구요 ㅎㅎ

    • @깁슨-t3c
      @깁슨-t3c 2 роки тому

      @@pan-ddu 윈도 노트북중에서 성능따질거면 너무비싸고 안그르면 빌드속도가 최악이라.. m1은 중고로 100이면 16기가인데 빌드가 너무너무빠릿하죠

  • @shan-255
    @shan-255 2 роки тому

    저는 nodejs로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맥 한번도 안써봤어요 ㅋㅋ
    주변에서 써보라는데 여유가 없어서요 ㅠ
    윈도우에서 개발하고 리눅스에서 돌리면 생기는 문제가 없는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불편하거나 그러진 않아요
    아니다 불편한 경우가 있긴해요 윈도우 미지원 하는 것들이 종종 있더라고요 지원하더라도 관리가 전혀안되서 구버전만 지원한다던가 그런식의 불편함이 있긴한데 그럴땐 뭐.. 슬픕니다 wsl로 하면 느려서... 흑흑
    하지만 맥은 정말 여유가 되면 사고 아니면 말아요
    아, 웹 백엔드만 해당이에요 다른건 잘모릅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저는 노드를 취미로 할때가 가끔 있는데 일단 문제점은 발견하지 못했네요 ㅎㅎ
      맥은 여유되시면.. 갈아타시면 신세계를 맛보실 수 있을겁니다 ㅎㅎ

  • @hdooaojt
    @hdooaojt 2 роки тому +1

    저는 m1pro 16 사용중인데 거의 문제 없이 다 돌아갑니다. 가끔 국비생들이나 특정기업에서 sts4 사용하시는 분 계신데 sts는 호환이 좀 애매하더라고요. 맥은 카카오톡만 버그 없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ㅠㅠ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자바 스프링 환경이면 다행히 기본적으론 잘 도는거 같네요 ㅎㅎ sts도 잘되고.. 저도 인텔리제이 잘 돌리고 있는거 보면 다행입니다

  • @윤유상-n8b
    @윤유상-n8b 2 роки тому

    램은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지금 M1프로 16기가로 쓰고 있는데 크롬이랑 파이참, 도커 등등 띄우다보면 남는 램이 모자라서 파이참이 너무 느려지는게 체감이 되요 ㅋㅋ 다른 개발자들이 바꿔달라고 해야되는거 아니냐고 할 정도..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그러면 16을 최소로 두고.. 32부터 적당하다고 선을 잡아야겠군요 ㅠㅠ

  • @despot8932
    @despot8932 2 роки тому

    결국 내가 하는 작업들이 CLI 가 필요한 환경이냐? 에서 출발하면 될거같네요.
    npm , yarm , pip , gem 등의 패키지 매니저 를 사용해야한다. 에서 yes 이면 다필요 없고 unix like 계열 의 os 를 가상머신으로 돌리던 , 멀티부팅 을 통해 돌리던 하시면됩니다.
    대표적으로 리눅스 기반의 우분투 , 레드헷 을 설치하시면 되고 , 경제적 여유가 되면 mac 구매하시면 됩니다.
    ios 또한 대표적인 unix like 기반 os 입니다.
    그렇다면 왜 window 는 안되냐? 되긴됩니다.
    window 또한 CLI 명령어 를 지원 하고 (c명령어 창이 바로 window 의 커널 즉 터미널 창입니다.)
    다만 호환성이 욕 나올정도로 x 같은경우가 생깁니다. 부가적으로 설치해줘야 하는것도 부지기수 이구요 .. 아예 개발할수 없다는게 아니라.. 어 할수는 있는데 x 같은경우가 많이 생기죠 ,
    unix 기반에선 잘만 돌아가던게 , window 환경에선 알수없는 에러가 터진다던지 , 이상한 결과물이 튀어나온다던지 하는 상황이 말이죠
    결론은 간단합니다.
    내가 CLI 환경 즉 터미널 같은 커널 이 필요하고 , 상요해야할 패키지 들이 unix 혹은 linux 가반에서 개발된것들이고 사용환경도 window 를 고려하지 않았다면 , linux 또는 mac 밖에 선택지가 없습니다. 불편을 감수할 자신이 있고 , 내가 원하는대로 커스텀 마이징 하고 싶다면 우분투 , 레드헷 설치하면되고 ,
    나는 그딴 귀찮은거 하기싫고 대신해줘 대신 돈을 지불할게 할정도로 경제적 여유가 되신다면 mac 북 지르시면 됩니다.
    우분투 와 mac os 는 개발환경에서 별 차이가 없습니다. 누가 unix 를 커스텀마이이징 했나의 차이입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ㅋㅋ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 @despot8932
      @despot8932 2 роки тому

      @@pan-ddu 아... 물론 저는 맥북 살예정입니다.. 역시 자본주의가 좋아요.. 버추얼 머신으로 우분투 를 만지작 거리고있지만 영롱한 맥북을 포기할수 없는거같아요

  • @A6rwnNL6GzgcJl4n
    @A6rwnNL6GzgcJl4n 2 роки тому

    프론트엔드 프로젝트 (nextjs) m1에서 아주 잘되고, 빌드속도 적응하고나면 못돌아갑니다... 최고... 단 nodejs 16 이상부터 애플실리콘 대응되서, 내가 해야 하는 프로젝트가 node14 또는 그 이하의 레거시 시스템이다? 서둘러 node 버전 마이그레이션 작업 하시길 바랍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어... 노드11로 플젝 비벼놓은게 있는데 큰일이군요 ㅎㅎ...

  • @derulotaser4751
    @derulotaser4751 2 роки тому

    WSL때문에 윈도우와 맥과의 차별점이 사라졌다? 이건 가벼운 것들만 돌려봐서 그런 얘기를 하는 것 같네요. 실제로 무거운 것 돌려보면 확실히 속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윈도우로 wsl 몇개월 써 봤고 개발자로 시작했을 때부터 윈도우로 하다가 최근에 맥으로 바꿨는데 개발자는 그냥 맥 쓰는게 무조건 좋습니다. 이제는 윈도우로는 개발 못할 것 같네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댓글들보니깐 wsl의 한계를 많이 알려주시더라구요 ㅎㅎ 저도 윈도우로는 못 돌아갈 거 같습니다

  • @SayMyName-qb6yi
    @SayMyName-qb6yi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판교님! 제가 정보보안겸 가상서버 공부용으로 맥을 생각중인데 괜찮을까요? M1 Pro 16g 1tb생각하고있습니당

    • @pan-ddu
      @pan-ddu  Рік тому

      가상서버와 정보보안에서 어떤걸 다루시는지를
      제가 잘 모르겠지만.. 선택하신 사양을 봤을때 예산이 매우 넉넉하신 거 같군요 👏👏👏
      맥북 프로면 그 어떤분야도 쾌적할 거 같습니다 🙂🙂
      다만.. 저라면 메모리 vs 스토리지.. 중에 골라야 한다면 메모리를 고를 거 같군요
      스토리지는 외장ssd로도 극복이 되지만 메모리는 극복이 안되거든요
      총알이 충분하신 거 같아서 의견드려보았습니다 🙂
      물론 학습용이라면 16g도 충분합니다

    • @SayMyName-qb6yi
      @SayMyName-qb6yi Рік тому

      @@pan-ddu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

    • @정효신-k6x
      @정효신-k6x Рік тому

      저도 그쪽 분야에 관심 있는데 맥 괜찮나요?? 맥os, 실리콘 아키텍쳐가 윈도우에 비해 걸림돌이 되진 않을까 걱정입니다 ㅠ

  • @유-o4u
    @유-o4u 2 роки тому

    6:53 전에 한번 이번 영상 왤케 말이 빠르지 너무 급한느낌이 드는게 있었는데 이것 때문이었군요 ㅋㅋㅋㅋ 잘바꿨네용 ㅎㅎ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ㅋㅋㅋㅋㅋㅋ 앞으론 좀 천천히 할 수 있게 노력하겠습니다 ㅠㅠㅠ 사실 제가 원래 말이 빠르기도 해요 ㅎㅎ

  • @wantoroma
    @wantoroma Місяць тому

    컨테이너 같은거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서브 노트북이나 서브컴으로 그냥 os 없는거 렘 높은거 사서 리눅스 민트 같은거 깔아서 쓰시면 좋아요. os도 거벼워서 무리도 안가고 어지간한 툴은 리눅스로 다 있어서용

    • @pan-ddu
      @pan-ddu  Місяць тому

      좋은 팁 감사합니다! 😄😄

  • @kimchi_taco
    @kimchi_taco 2 роки тому

    리눅스에 크롬데탑으로 붙어서 작업할때마다 cmd키때문에 너무 빡쳐요. cmd키좀 어떻게 해줘ㅠㅠ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그런가요? 제가 리눅스를 안써서 머선 상황인지 ... ㅎㅎ

  • @PeaceKeepher
    @PeaceKeepher 2 роки тому

    솔직히 보면 별 무리는 없고.. 다만 3d 작업 등 블렌더를 돌리거나, 영상편집 걸어놓고 쓰고, 멀티태스킹 돌리면 렉은 안걸려도 열이 많이 나더군요.. 주로 쉬는시간에 겜을 좀 해가지고.. ㅎㅎ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게임은 참을 수 없죠 ㅎㅎ ㅋㅋㅋㅋ

  • @Wind_mill
    @Wind_mill 2 роки тому

    게임개발도 잘되나요, 언리얼이나 유니티을 통한 게임개발도 잘되는지 궁금합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제가 게임개발쪽은 잘 모르기 때문에.. ㅎㅎ 여기 댓글 보시면 그쪽 분야 분들이 남겨주신 글이 많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

  • @skory87
    @skory87 2 роки тому

    배터리깡패가 너무 좋아요. 저도 엠원 에어 사서 나갈땐 얘만 대리고 다니네요. 자주쓰진 않지만 윈도 필요하면 집에 리모트로 하나 열어둬서 그거쓰고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배터리 깡패더라구요 ㅎㅎ

  • @박진영-i4t9c
    @박진영-i4t9c 2 роки тому +1

    뭣하면 게임 둠 이터널을 완벽하게 상급 그래픽 옵션으로 구동할 수 있는 게이밍 노트북을 구입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뭘 좀 아는 분은 게이밍 노트북으로 코딩한다고 뭐라 안하더군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1

      엄청난 퍼포먼스를 발휘할것만 같은 기분입니다 ㅎㅎ

    • @박진영-i4t9c
      @박진영-i4t9c 2 роки тому

      @@pan-ddu 한가지 예로 게임 하우스 오브 더 데드 스칼렛 던을 에뮬로 플레이 할 때 어떠한 버퍼링 증상이나 프로그램 셧다운 증상 없이 완벽하게 최종보스 잡고 엔딩까지 감상할 정도의 퍼포먼스 성능을 가진 게이밍 노트북이면 코딩할 때 테스트 구동 때문에 스트레스 받을 일이 현저하게 적어집니다. 왜냐면 하우스 오브 더 데드 스칼렛 던에 사용된 기판이 SEGA가 독자개발한 ALLS UX라는 기판인데 딱 보면 아시겠지만 SEGA가 개발한 마이컴에 특화된 기판이라서 PC에서 에뮬레이터+전용 바이오스를 원큐 명령어를 이용해서 멀티구동해서 하우스 오브 더 데드 스칼렛 던을 실행->플레이한다고 해도 슈퍼마리오를 게임보이 에뮬로 돌리는 것과 차이가 심각하게 많이 나는 애로사항이 꽃을 피우게 됩니다.

  • @이한승-w3t
    @이한승-w3t 2 роки тому +22

    게임쪽은 맥으로 개발이 가능은 합니다.
    대표적 상용엔진인 언리얼과 유니티 모두 맥환경에서 개발이 가능 한데...아직까진 윈도우 환경에서 개발을 합니다.
    이유는 하드웨어 스펙적으로 맥이 많이 좋아졌지만,
    아직 PC게임류 개발은 윈도우쪽이 개발 퍼포먼스가 더 좋기때문인점, 맥으로 개발시 윈도우 패키징이 안된다는 점
    또 이미 윈도우로의 개발이 굳혀진점이 크구요.
    맥으로 개발하게 되는 경우는 맥전용으로 패키징할때만
    프로젝트를 마이그레이션해서 개발하게됩니다.
    하지만 이런 개발사는 거의 없습니다...ㅎㅡㅎ
    오로지 모바일 게임 개발을 한다 하면 맥도 추천드릴순 있을 것 같습니다.
    사실 판뚜형이 이제 결혼하셔서 두분이서 it takes two 라는
    게임 한번 해보시라 추천드리고 싶은데 맥 지원이안되서
    추천못했습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4

      오.. 게임개발에 관심있는분들께 많은 도움이 될 거같은 댓글 감사합니다 ㅎㅎ
      그리고 it takes two는 플스로 해봤는데 진짜 갓겜이더라고요!!! 제 인생 최고의 게임이라고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츠바시
    @츠바시 2 роки тому +1

    뚜벅이는 그램이 최고...전공책 넣다보면 가벼운게 최곱니다 컴공이라고 해도 교양을 안듣는건 아니니까요.. 태블릿쓰는거 않좋아하시는 교수님이 있을 수 있기에..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그램이 가볍고 성능도 어느정도 괜찮아서 인기가 많더라구요 ㅎㅎ

  • @scy3765
    @scy3765 2 роки тому

    오늘 영상의 핵심은 마지막에 있네요. 오늘도 잘 봤습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ㅋㅋㅋㅋ 맞습니다 항상 감사해요^^ ㅋㅋ

  • @joonopen9557
    @joonopen9557 2 роки тому

    전 디자인분야를 시작으로 맥북을 접해봤는데 상당히 편하더라고요! 여유가 되면 개발공부도 하고싶어요 ㅎㅎㅎ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이참에 개발자가 되봅시다^^

  • @abcdefg-ne7sn
    @abcdefg-ne7sn 2 роки тому +2

    아직 취준생이라 현업은 아니지만 프로젝트하면서 포트폴리오도 점점 완성시키고 스펙 올리고 있는 예비 백엔드개발자 백수인데요…
    원래 델xps9510 램 16 사용 중이였다가 맥북프로14인치 램16으로 기기변경하여 사용 중인데 겁나 좋습니다… 윈도우 사용하며 제일 불편했던게 왜 그런진모르겠지만 전원연결을 안 하면 성능이 반토막 또는 그 이상 떨어지고 배터리는 길게 안 갔었는데
    맥북프로 충전기 안 들고 나가고 성능도 전원연결을 하던 안 하던 별로 차이가 없더라고요 그리고 아직까진 안되는거 없이 잘 사용 중입니다
    솔직히 윈도우나 맥이나 둘다 상관 없는데 저는 기분전환겸 마실 나가서 코딩을 좋아하는데 이럴땐 노트북하나만 댕강들고다니는게 너무 큰 장점이네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ㅋㅋ 맞습니다 그냥 요거만 딱 들고나가도 아주 쾌적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 @플라즈마엔진
    @플라즈마엔진 Рік тому

    모니터 3개 사용하는 개발자 입니다. 이동이 없고 대형화면이 필요한 환경이죠. m1 노트북은 외장 모니터가 1개 였고 m2 pro mac mini는 3개까지 늘어나서 mac mini 구입을 고려중인데 hidpi 지원 문제 때문에 사용중인 모니터를 모두 바꿔야 해서 고민중이네요ㅠㅠ 흐릿한 텍스를 하루종일 보는건 고역이니까요..

    • @pan-ddu
      @pan-ddu  Рік тому

      이참에 4k 모니터로 장만하시는게 어떨까요 ㅎㅎ

    • @플라즈마엔진
      @플라즈마엔진 Рік тому

      @@pan-ddu 맞습니다. hidpi 를 위해서 4k 는 필수죠.. 저는 눈이 좋지 않아서 모니터는 좀 까다로울수 밖에 없습니다… dell ultrasharp 27인치 4k 모니터 3대면 공홈 기준 190만원 조금 넘네요ㅠㅠ
      mac mini 가 탐이나긴 하지만 이 돈을 지출할 의미가 있는지 고민 스럽습니다.
      그리고 오래된 기가에 대해 mac os 와 xcode 업데이트가 제한되어서.. xcode 로 작업하시는 분들은 사양 선택시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오버하지 않길 바랍니다

    • @플라즈마엔진
      @플라즈마엔진 Рік тому

      @@pan-ddu 혹시 4k 한대만 쓰라고 제안 주시는 건가요? 텍스트를 위주로 보는 개발자 이고 눈이 건강하지 않아서 그건 무리인듯 싶습니다.
      4k 모니터에서 hidpi 를 적용하면 fhd 로 나오므로 적당한듯 합니다

  • @라나-b3q
    @라나-b3q 2 роки тому

    부캠 시작할때 윈도우 과정이었는대 집에 컴터가 맥뿐이라 애먹었던 경험이….
    나중에 익숙해지니까 윈도우보다 편한느낌입니다 ㅎㅎ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맥이 적응되면 매우 편하긴 합니다 ㅎㅎ

  • @ParkKingArea
    @ParkKingArea 2 роки тому +9

    우연히 알고리즘을 타고 보게되었는데 신기하네요! 소프트웨어쪽 개발은 맥이 좋다 라고 막연하게 알고있었는데 사실 왜 그런지는 이해를 못했었습니다 ㅋㅋ
    저는 외국에서 칩 안에 디지털 회로 만드는 회로쟁이인데 여기서는 다들 이상하리만큼 윈도우를 쓰더라구요. 회사에서 주는 랩탑에 맥북도 있어서 원하는 입맛대로 (Surface, Thinkpad 등등) 선택 가능한데 아직까지 맥을 쓰시는분을 못봤습니다. 저흰 해봐야 리눅스 서버에서 툴 가지고 회로 디자인하고 시뮬레이션 하고 하니까 윈도우나 맥이나 똑같다보니 다들 어릴때부터 익숙했던 윈도우를 선택하는거같더라구요. 저도 그렇습니다.
    아이폰 아이패드 때문에 맥북으로 신청해서 연동성이나 느껴볼까 했는데 다른 인터페이스 적응이 두려워서 ㅋㅋㅋ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회로 만드는 로우 레벨의 개발자분이라니 무척 생소한분야여서 그런지 반갑습니다 ㅎㅎ
      사실 뭐.. 굳이 맥일 필요는 없지만.. UI 적응은 몇시간 안에 다 되는 거 같으니 걱정은 안하셔도 될거 같아요 ㅋㅋ

    • @inkyou_lee
      @inkyou_lee 2 роки тому +1

      펌웨어개발자인데 회로개발자면 툴들이 대부분 윈도우만 지원해서 힘들어여ㅋㅋ

  • @hong6931
    @hong6931 2 роки тому

    마지막 표가 핵심이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ㅋ 마지막 표가 핵심.... 맞습니다 ㅎㅎ ㅋㅋㅋㅋㅋㅋㅋ

  • @あいうえお-y6d6l
    @あいうえお-y6d6l 2 роки тому

    저도 프론트쪽 퍼블리셔로 일하다가 자바 스프링 배우고 있는 예비 백엔드 개발자인데요! DB는 뭐 사용하시나요? 저는 학습 때 오라클을 사용하는데 m1 맥북 에어 깡통 모델을 갖고 있는데 오라클 제대로 사용할 방법이 없더라구요… 도커로도 해결 못 했고, 오라클 클라우드 사용하는 방법 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려서 개발용으로는 안 사용하고 있거든요 ㅠ 그래서 윈도우 환경에서만 하고 있습니다!! 아직 제가 학습 중이라 자세히 모르기도 하구요 ㅠㅠ 가르침 부탁 드립니다 ㅠㅠ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음.. 혹시 학습때 오라클을 사용하시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맥북에서 db서버를 띄우시는건지 아님 db접속 클라이언트만 사용하시는건지 잘은 모르겠지만 ㅎㅎ
      암튼 저는 회사에서도 거진 mysql만 사용한답니다

    • @あいうえお-y6d6l
      @あいうえお-y6d6l 2 роки тому

      @@pan-ddu 학습하는 연수 기관에서 학습할 때 오라클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 서버를 띄우는 거랑 접속 클라이언트만 사용한다는게 무슨 말씀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 오라클 클라이언트 설치해서 이클립스 환경에서 서블릿에 코딩하면서 연동하면서 학습하고 있습니다! 뚜벅초 님께서 혹시 맥 환경에서 오라클 DB를 제대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계실까 싶어서 여쭤봤습니다!

  • @어다-s6b
    @어다-s6b Рік тому +1

    오.. 개발자 전공자로써 판교입성이 목표인데.. 선배님 가시는 길 따라가겠습니다.

    • @pan-ddu
      @pan-ddu  Рік тому

      ㅋㅋㅋㅋ 근데 굳이 맥북을 따르실 필요는 없습니다 ㅎㅎㅎ

  • @pocketoy
    @pocketoy 2 роки тому

    개발자는 맥북이라.. 솔직히 맥북을 개발용으로 구지 선택해야 하는 이유는 별거 없죠. 아이폰 개발이 맥북에 의존하니까... 아이폰을 쳐다도 안볼꺼면 모르겠는데 아이폰용으로 뭔가 해보려면 맥북이 필요하니까 맥북을 사는거지 그외의 경우에서 맥OS가 윈도우를 능가하는 경우가 존재한다고 생각치는 않습니다. 특히나 미국같은 경우에는 아이폰이 실질적으로 과점 상태니까 맥북이 강제된다고 할 수 있겠지만 뭐 우리나라에선 그정도까진 아니긴 하죠.
    맥에서 터미널 환경이 기본 지원되니까 좋다고 하는데 글쎄요? 이것저것 깔아서 테스트하다보면 금새 지저분해져서 다시 깔고 싶어지던데... 개발용 서버를 괜히 다들 따로 쓰는게 아니죠. 어차피 금새 개발용 서버를 따로 두게 될텐데 그런건 장점이 못된다고 봅니다. 구지 자기 컴퓨터에서 돌리고 싶으면 가상머신이나 WSL같은 방법도 충분히 좋고 말이죠...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ㅋㅋ 맞는말씀입니다 사실.. 맥이 뛰어나서 맥을 사야된다기 보다는..
      그냥 사고싶은데 이유를 부여하는게 많은거 같습니다 ㅋㅋ 말씀주신거처럼 요즘은 윈도우로도 쉽게 다 가능하니까요

  • @espins6411
    @espins6411 2 роки тому

    맥에서 동작하는 훌륭한 SSH 터미널을 찾고 있는데 iterm2 편리한가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맥에서는 iterm2가 국룰입니다 국룰 ㅎㅎ

  • @iliilililliili
    @iliilililliili 2 роки тому

    애플실리콘과 플러터로 앱개발을 하고 있는 프론트 개발자입니다. 아직까지는 m1이슈가 종종 나타납니다... 성능은 만족스럽지만 갑자기 빌드가 안되는 경우에는 스트레스 엄청 받아요 ㅠㅠ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오.. 요즘 플러터 진짜 많이들 하시는군요

  • @Olafbo2
    @Olafbo2 2 роки тому

    개발 입문하려하는데 맥북프로 m2터치바 있는거사용하면 불편한가요???

    • @pan-ddu
      @pan-ddu  2 роки тому

      F열을 이용한 단축키가 있는 ide로 입문하신다면 살짝 번거로울 순 있으나.. 입문 정도면 많이 불편하진 않을겁니다. 크게 상관 없다고 생각 하고요.
      다만 그거랑 상관없이 걍 터치바 없는게 모든면에서 더 편하긴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