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으로 집 살 수 있다 생각해? 절대 불가능해.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5
  • 20대가 월급만으로 서울에 집을 살 수 있을까?
    🙋🏻‍♂️ 인스타그램 : @woominjoon
    🙋🏻‍♂️ 김민준 프로필 : creator.ly/ceo
    🙋🏻‍♂️ 칼럼 블로그 : brunch.co.kr/@...
    🚀 어웨이크코퍼레이션 소개 : creator.ly/team
    연출편집: 오리진플러스 ‪@ORIGNPLUS‬

КОМЕНТАРІ • 20

  • @흙회장
    @흙회장 2 роки тому +3

    구조를 쉽게 설명 해 주셔서 너무 재밌게 잘 봤어요

    • @woominjoon
      @woominjoon  2 роки тому +1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 @yi_namgi
    @yi_namgi Рік тому +6

    대표님은 병역 문제를 해결하셨나요? 사업을 병행하면서 군대를 다녀오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할지 궁금해서요! 무례한 질문일 수도 있지만,, 제가 관련 지식이 거의 없어서 순수한 궁금증에 여쭤봅니다 !!

  • @on-linemktclass
    @on-linemktclass 2 роки тому +1

    식품전문으로 포지셔닝하여, 대행업을 하고 있는 1인입니다.
    좋은영상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자극받아, 더 열심히 좋은 서비스를 만들어야겠습니다 :)

  • @sungwoo_hong
    @sungwoo_hong 2 роки тому

    또 한 번 배워갑니다.

  • @mocozzi
    @mocozzi 2 роки тому

    민준님 멋져요!

  • @유익한균튜버
    @유익한균튜버 2 роки тому

    화이팅!

    • @woominjoon
      @woominjoon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대표님!

  • @hamong6789
    @hamong6789 Рік тому +2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더 큰 성공(돈)을 위해 인력을 레버리지하는 것도 너무 동감합니다. 다만 초기 스타트업을 조인하려고 고민하는 중인 상황이라 레버리지 당하는 입장에서 생각해보게 되네요. 어떤 자세와 생각으로 일하면 좋을지 대표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창업가의 마인드는 필요하지만 보상은 (대표와 비교했을 때)낮은 것이 현실이니까요. 대표님의 회사 멤버들은 어떤 생각을 하고 일하고 있을지도 궁금하네요.

  • @정다니엘-y8p
    @정다니엘-y8p 2 роки тому

    사업가의 마인드를 잘 배워갑니다!

    • @woominjoon
      @woominjoon  2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hh-gx6tk
    @hh-gx6tk 2 роки тому +6

    사업가와 사기꾼은 종이한장차이

    • @woominjoon
      @woominjoon  2 роки тому +11

      사업가는 본인이 이야기 한 가치를 만들어내고, 그 가치를 제공하면 사업가라고 생각해요. 사기꾼은 본인이 뱉은 가치를 지켜내지 못하고, 제공하지 못한다면 사기꾼이 되는거겠죠? 리스크가 분명 있는 직업은 맞다고 생각합니다. 사업가는 책임을 갖고 있어야 하고, 훌륭한 방법으로 성공을 하기 위해 단기적으로 사기꾼이 되지 않으려고 늘 겸허한 자세를 갖고 갈 필요도 있을 것 같아요.

  • @김진성-x3y
    @김진성-x3y Рік тому

    고등학생 때 뷰티패스 초기 자본 1000만원은 어떻게 마련하셨나요?

    • @woominjoon
      @woominjoon  Рік тому

      직장+장사 = 월급 모으고
      투자 = 당시 이더리움 투자했어요

  • @이름-p4t5x
    @이름-p4t5x 2 роки тому

    내가 집을 사기 위해서 결국 바보같이 사업안하는 사람들을 데려다가 적은돈을 주고 일을 시켜야겠네요~

    • @woominjoon
      @woominjoon  2 роки тому +2

      바보같이 사업을 안하는 사람들은 아니겠지만, 사업이라는 것은 많은 요소들에서 어려움이 있지요. 통상적으로 말하는 8to6 일할 수 있는 것도 아니구요. 각자의 선택에 따라 사업을 할 것인지, 월급을 받을 것인지 Risk Taking을 하는 수준을 정한다고 생각이 드네요. 사업에 따른 실패를 감내하는 것도 사업을 시작한 본인일테니까요. :)

    • @찬희한-q1u
      @찬희한-q1u Рік тому +1

      각자의 선택이지 옳고 그른 건 아닌 듯

  • @BillionaireVS
    @BillionaireVS Рік тому

    항상 다음 영상기다리는 대학생입니다.
    먼저 취업해서 일을 하면서 사회를 배우고 30대 전에 기업에서 나와서 사업을 하는 건 어떻게 생각하세요?
    사업을 하고 싶지만, 떠오르는 아이템은 없고 그래서 일을 하다보면 인사이트도 생기고 시드도 모아질 것이니
    허송세월 사업 생각만하면서 젊은 20대 초반을 보내는 것보다 취업 후 사업 테크트리도 생각하게 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