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us strix B760-g보드의 마이크로코드 언더볼팅에 관한 자문을 얻고자 합니다.. 0x104 마이크로코드 활성 화 후 (1) Global Core SVID Voltage 오프셋을 적용하면 HWiNFO64의 IA 전압 오프셋이 적용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2) Cache SVID Voltage 오프셋을 적용하면 HWiNFO64의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이 적용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아직은 엉성한 바이오스의 버전으로 번거로운 재부팅 후 (3) Uncore 배수를 다시한번 적용하여 배수가 새로히 적용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문제는 이 후 부터 나옵니다. 램클럭을 조정한다거나 avx2를 적용한다거나 ibt를 바꾼다거나 하는 잡다한 모든 바이오스 행위.. 를 할 경우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값이 다시 0으로 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또한. (1) (2) (3) 을 적용 후 pc를 off하고 수시간 휴식 후 다시 on하여 HWiNFO64를 실행 후 확인해보면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값이 다시 0으로 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또한. (3) 을 적용 후에는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값을 조정 해도 적용이 되지가 않더라구요.. (1. Uncore => auto 다시 적용 => 재부팅 2. (2) 다시 적용 => 재부팅 3. Uncore => 45 다시 적용 => 재부팅.... 해야 다시 돌아옵니다. 당연히 휴식 후 on하면 =>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값이 다시 0으로 바뀜) 어떠한 상관관계에 따라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값이 오작동 하는 문제가 세다리tv님의 영상에서도 번거롭게 두번 바이오스를 접근하여 Uncore값을 적용해야만 적용이 되는 문제와 일맥상통하는 문제가 아닐까.. CLR값과 Uncore배수값이 동시에 적용되지 않는 것에 근본적 문제가 있다 라는 추측을 해봅니다. 바이오스의 어떤 무언가의 property를 조정하는 잡다한 모든 바이오스 셋팅 행위를 하게되면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값이 다시 0으로 되는 것에 대한 문제점에 대한 궁금증을... 그리고 (1) (2) (3)을 완벽히 셋팅 완료 후 수시간 후 pc전원 on이후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값이 다시 0으로 되는 것에 대한 문제점에 대한 궁금증에 대한.. 자문을 부탁드립니다..
이 부분들 아직도 바이오스 펌웨어 업데이트 안되고 있나보네요. 저는 이 영상 만들때 14세대 엠바고와 메인보드 리뷰가 겹쳤고 cpu랑 메인보드랑 대여로 진행해서 영상 만들고 회수해갔거든요. 이 버그들은 아수스 대만 본사에서 바이오스 펌웨어 업데이트를 해줘야합니다. 유통사 코잇에 이야기하셔서 아수스 본사에 피드백이 들어가야 합니다.
1641 bios CEP 패치가 된 것 같습니다.. 리뷰 부탁드립니다.. Internal cpu power management에 IA CEP enabled disabled가 새로 생겼으나 switch microcode 에서 current microcode를 선택시에나 IA CEP 이 enabled되고 0x104 microcode 로 선택시는 IA CEP 를 enabled해도 먹히지가 않네요ㅎ 0x123 microcode이 새로 업데이트 되었다는데...
칠순 넘은 노인내가 한 말씀 남깁니다. 35년전 용산에서 조립pc로 부터 컴을 배웠는데 그동안 동내아이들 컴퓨터부터 시작하여 근 100여대 이상의 컴퓨터를 만졌고 대략 윈도우 95버젼부터 윈도우11까지 일천번이 넘게 윈도우셋업하다가 백발이 됐답니다. 내가 하고픈 말은 바로 컴퓨터를 만드는 제작자들 특히 메이커컴퓨터들은 일단 바이오스화면 부터가 촌티가 팍 나고 시원치 않고 또한 전원컨넥터 8핀의 연결 배열 방식이 일반 조립형 메인보드들과 다른 핀배열이 아주 불만인데 특히 리셋스위치 스피커 부저음이 없다는 치명적 결함이 존재합니다. 여기서 꼭 하고픈 말씀은 바로 요사이 14세대 시스템이고 12세대 컴이건 중요한 것은 엄청난 크기의 그래픽카드 그리고 수냉쿨러인가 공냉식 쿨러인가? 커다란 크기의 LED 등불이 들어오는 쿨러들을 달고 나온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데는 한 마디로 다들 돈 지랄들이라고 나는 감히 힘 주어서 강조하고 싶습니다. 아! 여기서 간과하지 못할 사항은 바로 OS 윈도우12가 이미 제작됐고 25년 가을철이면 윈도우 10의 업데이트 지원을 중단할 예정이랍니다. 윈12 이상 버젼 부터는 더욱 상업적 마인드가 커져 윈도우 사용자들에게 매월이나 분기별 윈도우 사용비용을 물겠다고 하는 정보가 잡히니 마치 스마폰사용하는 것과 비스름한 양상으로 간다는 것이죠! 컴퓨터 만 35년 만지는 동안 가장 많이 사용한 버젼이 바로 윈도우 XP였고 윈도우 7 OS 였지만 그중에서 윈도우 8.1버젼처럼 윈도우11은 실패작이라고 나는 감히 말씀드립니다. 원드라이브 속에 숨겨진 상업적 꼼수 그리고 이미 제작되어 출시날만 기다리는 윈도우 12 그 이후는 더욱 보안이 강화된 버젼이고 터치스크린 아이콘에 인공지능이 곁드려 졌다고 하나 어디까지나 다 장사속들이 확연합니다. 컴퓨터속도가 빨라지면 문제는 바로 열이 난다는 것이고 이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큰 쿨러와 통풍장치가 필요한 것이지만 치수대로 그렇게 엄청난 고액의 돈을 들인 만큼 그닥 빠르지는 않습니다. 늙은이는 집안에 구형컴 시스템들 4대를 내다 버리고 2개월전 메이커 PC 6세대 것을 9만원 중반대에 구입하여 잘 활용하고 있답니다. 더 이상 컴퓨터사양은 올리지 않고 이런 종류의 컴을 딱 2대만 굴리고 시험용으로 구닥다리 775메인보드를 m.2 nvme 부팅 시험용으로 사용할 예정이랍니다.
이래서 나는 7800x3d에 a620보드 하이퍼620쿨러로갔음 게임 프레임은 13900k 모가지 따버림 14900보다도 높게나옴 게임시 온도가 60도 안넘어감 아이들 35~40도 풀로드 80도 안넘어감 왠만한작업도 빠르게 가능함 또한대는 작업 게임 같이하려고 7950x3d 작업 굉장히 빠르게 잘됨 게임시엔 바이오스에서 코어한쪽만 활성화시켜놓고 게임하고 물론 그냥해도 13900보다 높게나옴.. 이건. rc1800 공랭
■본 영상은 ASUS ROG STRIX B760-G 메인보드 'NO UVP 언더볼팅' 강의 영상입니다.
■컴퓨존 [ASUS] STRIX B760-G 메인보드+인텔 i5이상 CPU 결합할인 이벤트
www.compuzone.co.kr/event_zone/eventzone_view.htm?EventNo=44601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바이오스에서 모든설정이 똑같이 되었는데 인포센서창에서 IA전압오프셋은 -18로 되었는데 CLR 전압오프셋은 0000으로 되어있는데 괜찮은건가요? CLR도 -18로 바꿀려면 어떻게 해야는지요?
asus rog strix b760-g gaming wifi 코잇의 언더볼팅 설명과 테스트 정보 정말 유익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보드 비교 설명이 깔끔하네요.
매번 느끼는 부분이지만 목소리와 발성이 좋으셔서 설명이 귀에 잘 들어와서 너무 좋습니다 ㅠ.ㅠ 영상과 설명도 디테일해서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힘든 작업이실텐데 수고하셨습니다!!!
매번 칭찬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asus strix B760-g보드의 마이크로코드 언더볼팅에 관한 자문을 얻고자 합니다..
0x104 마이크로코드 활성 화 후
(1) Global Core SVID Voltage 오프셋을 적용하면
HWiNFO64의 IA 전압 오프셋이 적용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2) Cache SVID Voltage 오프셋을 적용하면
HWiNFO64의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이 적용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아직은 엉성한 바이오스의 버전으로 번거로운 재부팅 후
(3) Uncore 배수를 다시한번 적용하여 배수가 새로히 적용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문제는 이 후 부터 나옵니다.
램클럭을 조정한다거나 avx2를 적용한다거나 ibt를 바꾼다거나 하는 잡다한 모든 바이오스 행위..
를 할 경우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값이 다시 0으로 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또한. (1) (2) (3) 을 적용 후 pc를 off하고 수시간 휴식 후 다시 on하여 HWiNFO64를 실행 후 확인해보면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값이 다시 0으로 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또한. (3) 을 적용 후에는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값을 조정 해도 적용이 되지가 않더라구요..
(1. Uncore => auto 다시 적용 => 재부팅
2. (2) 다시 적용 => 재부팅
3. Uncore => 45 다시 적용 => 재부팅.... 해야 다시 돌아옵니다.
당연히 휴식 후 on하면 =>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값이 다시 0으로 바뀜)
어떠한 상관관계에 따라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값이 오작동 하는 문제가 세다리tv님의 영상에서도
번거롭게 두번 바이오스를 접근하여 Uncore값을 적용해야만 적용이 되는 문제와 일맥상통하는 문제가 아닐까..
CLR값과 Uncore배수값이 동시에 적용되지 않는 것에 근본적 문제가 있다 라는 추측을 해봅니다.
바이오스의 어떤 무언가의 property를 조정하는 잡다한 모든 바이오스 셋팅 행위를 하게되면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값이 다시 0으로 되는 것에 대한 문제점에 대한 궁금증을...
그리고 (1) (2) (3)을 완벽히 셋팅 완료 후 수시간 후 pc전원 on이후
"CLR(CBo/LLC/Ring) 전압 오프셋"값이 다시 0으로 되는 것에 대한 문제점에 대한 궁금증에 대한..
자문을 부탁드립니다..
이 부분들 아직도 바이오스 펌웨어 업데이트 안되고 있나보네요. 저는 이 영상 만들때 14세대 엠바고와 메인보드 리뷰가 겹쳤고 cpu랑 메인보드랑 대여로 진행해서 영상 만들고 회수해갔거든요. 이 버그들은 아수스 대만 본사에서 바이오스 펌웨어 업데이트를 해줘야합니다. 유통사 코잇에 이야기하셔서 아수스 본사에 피드백이 들어가야 합니다.
@@3daritv 네.. 1604bios가 나와서 기대를 하였는데 쓸데없는것만 업데이트 된것 같습니다..답변 감사합니다
구독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no uvp 언더볼팅 강의 영상 잘봤습니다. 잘하시네요^^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14700K 구매했는데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 같습니다.
영상이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보드가 참 어려웠는데 잘 설명해주어서 감사합니다
아하 발령이랑 성능 관련 스펙 잘 확인하고 갑니다!
실험정신은 존중~
허나 b보드 쓰겠다고 언더볼팅하는건 취향이 아니라 cpu뽑기도 필요하고 기타등등 너무 귀찮죠
돈아껴야 하는분들에겐 유용한 정보일수는 있겠네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보드 비교가 깔끔하고 잘되어있어서 잘봤어요
칭찬 감사합니다!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바이오스에서 모든설정이 똑같이 되었는데 인포센서창에서 IA전압오프셋은 -18로 되었는데 CLR 전압오프셋은 0000으로 되어있는데 괜찮은건가요? CLR도 -18로 바꿀려면 어떻게 해야는지요?
어려운 분야 보기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좋은정보감사합니다 천천히 알아갈게요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제가 찾던자료네요
인텔은 액회질소 차력쇼를 기준으로 설계한다 그게 아니고서는 어버이없는 발열량과 전력소모량은 설명이되지않는다
msi b760사용중인데 오늘 바이오스 정식업데이트 되었네요. 순정상태, cep끄고 씨네23, 10분(79도, 235w, 클럭 하락X)로 잡아주세요..짭수3열, 14700kf입니다.
1641 bios CEP 패치가 된 것 같습니다.. 리뷰 부탁드립니다..
Internal cpu power management에 IA CEP enabled disabled가 새로 생겼으나
switch microcode 에서 current microcode를 선택시에나 IA CEP 이 enabled되고
0x104 microcode 로 선택시는 IA CEP 를 enabled해도 먹히지가 않네요ㅎ
0x123 microcode이 새로 업데이트 되었다는데...
제가 코잇에 대여받고 대여기한이 지나 반납되어 실험을 할수 있는 상황이 아닙니다 ㅠㅠ 죄송합니다.
재밌게봤습니다
재미있게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차라리 그냥 12700K 풀파워~로 쓰겠쥬!!
프리미어프로 쓰는사람인데 공랭 쓰기 빡세진게 좀 아쉬움 강제 수냉행,..ㅜ 그래도 언더볼팅 배워가요 감사합니다
저도 프리미어로 작업하는데 정말 공감합니다. 인코딩할때 발열이 ㅠㅠ
이 제품 이슈있던 인텔랜이라 꺼려지던데 지금은 이슈없나요?
저는 와이파이만 씁니다.ㅠㅠ
세다리님~~~
항상 잘보고 갑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정말 이번 14세대는....발열떄문에 좀 암울하네요,...힘들게 리뷰하시느라 정말 고생많으셨습니다
속기형님 누추한곳에 오셔서 댓글까지 달아주시고 영광입니다. ^^ ㅠㅠ 15세대는 저전압 저발열 잘 나오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3daritv 자주 영상을 보는대 댓긁을 잘 못달았네요 항상 응원합니다 세다리님 화이팅~!!!!
감사합니다. 속기 형님! 반대쪽 팔 수술도 잘 되셨고 안정적으로 치유중이시지요?
@@3daritv 반대쪽은 11월초에하고 받은쪽은 많이 좋아졌습니다.걱정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잘보고 갑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칠순 넘은 노인내가 한 말씀 남깁니다. 35년전 용산에서 조립pc로 부터 컴을 배웠는데 그동안 동내아이들 컴퓨터부터 시작하여 근 100여대 이상의 컴퓨터를 만졌고 대략 윈도우 95버젼부터 윈도우11까지 일천번이 넘게 윈도우셋업하다가 백발이 됐답니다. 내가 하고픈 말은 바로 컴퓨터를 만드는 제작자들 특히 메이커컴퓨터들은 일단 바이오스화면 부터가 촌티가 팍 나고 시원치 않고 또한 전원컨넥터 8핀의 연결 배열 방식이 일반 조립형 메인보드들과 다른 핀배열이 아주 불만인데 특히 리셋스위치 스피커 부저음이 없다는 치명적 결함이 존재합니다. 여기서 꼭 하고픈 말씀은 바로 요사이 14세대 시스템이고 12세대 컴이건 중요한 것은 엄청난 크기의 그래픽카드 그리고 수냉쿨러인가 공냉식 쿨러인가? 커다란 크기의 LED 등불이 들어오는 쿨러들을 달고 나온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데는 한 마디로 다들 돈 지랄들이라고 나는 감히 힘 주어서 강조하고 싶습니다. 아! 여기서 간과하지 못할 사항은 바로 OS 윈도우12가 이미 제작됐고 25년 가을철이면 윈도우 10의 업데이트 지원을 중단할 예정이랍니다.
윈12 이상 버젼 부터는 더욱 상업적 마인드가 커져 윈도우 사용자들에게 매월이나 분기별 윈도우 사용비용을 물겠다고 하는 정보가 잡히니 마치 스마폰사용하는 것과 비스름한 양상으로 간다는 것이죠! 컴퓨터 만 35년 만지는 동안 가장 많이 사용한 버젼이 바로 윈도우 XP였고 윈도우 7 OS 였지만 그중에서 윈도우 8.1버젼처럼 윈도우11은 실패작이라고 나는 감히 말씀드립니다. 원드라이브 속에 숨겨진 상업적 꼼수 그리고 이미 제작되어 출시날만 기다리는 윈도우 12 그 이후는 더욱 보안이 강화된 버젼이고 터치스크린 아이콘에 인공지능이 곁드려 졌다고 하나 어디까지나 다 장사속들이 확연합니다. 컴퓨터속도가 빨라지면 문제는 바로 열이 난다는 것이고 이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큰 쿨러와 통풍장치가 필요한 것이지만 치수대로 그렇게 엄청난 고액의 돈을 들인 만큼 그닥 빠르지는 않습니다. 늙은이는 집안에 구형컴 시스템들 4대를 내다 버리고 2개월전 메이커 PC 6세대 것을 9만원 중반대에 구입하여 잘 활용하고 있답니다. 더 이상 컴퓨터사양은 올리지 않고 이런 종류의 컴을 딱 2대만 굴리고 시험용으로 구닥다리 775메인보드를 m.2 nvme 부팅 시험용으로 사용할 예정이랍니다.
감사합니다. 선배님! 열심히 정독하였으며 긴 세월의 경험이 글에서 묻어나와 몇번을 더 읽어봤습니다. 좋은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세다리형~ ㅋㅋㅋ 왜 cpu-z부터 말이 없어?????
너무 화를 많이 내서 제 목소리 삭제했습니다... ㅠㅠ
@@3daritv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B760 박격포를 사용할 예정인데 이 영상을 따라해도 되는걸까요? ASUS보드이신거 같아서요~
MSI B760 박격포 언더볼팅 강의 영상은 데일리컴님 유튜브 채널에 있습니다. ^^
잘봤어요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능은 살짝 올랐지만 온도도 올랐군요
다른 유튜버분들 리뷰보면 13700K나 13900K가 사펑2077,포르자5같은 게임 테스트할때 1~2% 더 잘나오는 (???) 경우도 있었습니다.
10나노에서 발열 이따우면 15700이나 16700나오면 뭐 얼음찜질이라도 해야하는건가
나노가 올라도 발열이 무친듯이 오르네... 우짜누~~~~~
영상 도움 많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독도한국김치대마도코리아님! ㅎㅎ 얼음찜질이라뇨! 너무 재미있는 표현이라 빵 터졌습니다. 제 영상이 도움이 되셨다니 정말 감사합니다. 꾸벅~!
이래서 나는 7800x3d에 a620보드 하이퍼620쿨러로갔음 게임 프레임은 13900k 모가지 따버림 14900보다도 높게나옴 게임시 온도가 60도 안넘어감 아이들 35~40도 풀로드 80도 안넘어감 왠만한작업도 빠르게 가능함 또한대는 작업 게임 같이하려고 7950x3d 작업 굉장히 빠르게 잘됨 게임시엔 바이오스에서 코어한쪽만 활성화시켜놓고 게임하고 물론 그냥해도 13900보다 높게나옴.. 이건. rc1800 공랭
전력제한 253만 준거랑 언더볼팅한거랑은 차이가 많이 날까요?
언더볼팅한게 성능이 더 좋게 나옵니다.
@@3daritv 147전력제한253해도 146순정보단 성능이 좋겠죠?
앞으로 온도를 못 잡는다면
새로운 씨피유 의미 없다!!!!!!!!!!!!!!!!!!!!!!!!!!!!!!!!!!!!!!!!!!!!!!
5600x쓰고 있는데 13세대때 안 넘어가고 14세대 기다렸네요. 14세대로 넘어가야될까요?(게임만해요)
5800x3D로 넘어가세요.
마이크로언더볼팅은 ASUS 저 보드만 되나요?
타사 보드도 됩니다.
오호ㅋㅋㅋ B760이 언더볼팅이 되네요. 미리해주지ㅡㅡ 쩝
Z790처럼 디테일하게 언더볼팅은 안되지만 B760 No uvp 언더볼팅 방법도 굉장히 잘 되서 놀랬습니다.
기가바이트인데 따라해도 되나요?
저는 베틀그라운드 그리고 과부하 주지않는데 이보드 쓰면 안되나요? 보드 사야하는데...너무 비사서....걱정이에요
아주 적당한 선택이십니다.
혹시 z690 어로스 엘리트 ddr5 는.어떤가요ㅠ사장님??
재고있고 싸면 즉시 구입하십시오!!
@@3daritv 사장님 z690 하나만 추천해주셔요 가성비로요 와이파이 있는걸로 요 부탁드려요
인텔을 사랑하십니까???
네...진심으로 인텔을 사랑합니다....
이번 인텔 14세대는 실패작임 13세대보다 더 ㅋㅋㅋ 얻는거보다 발열로 인해 잃는게 더 많음
사골국물이죠😂😂😂
잘 보고 갑니다 ~ 역시 승자는 78삼디!
이거 쓰느라 3열 수랭 끼우고 상급 보드 가고, 메모리 A다이 가고 방열판달고 ... 케이스 커지고 ...
어휴.
78삼디는 a620m에 z06d 하나 달아놓으면 된다던데...
790보드는 상관없죠?
14700K 기준으로 Z790 보드도 언더볼팅 안한 순정으로 사용하시면 90도 이상 찍는데 거의 100도 찍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3daritv 전력제한해지와
언더불팅셋팅했어요
이럴때 온도하락하겠죠?
CPU소켓가이드설치함
소켓가이드 필수이겠네
소켓가이드 실험은 빠졌네
소켓가이드는 순정으로는 소용없어요ㅜㅜ 소켓가이드가 수냉쿨러들 마다 편차가 너무 틀려서 뺐습니다.
보일러인가!!!!
아니요 핵발전소인데요.
전압 낮추었더니 부팅중에 다운 되고 생쇼 하던데 ..
왜 그래픽 기능도 없는 kf가 발열이 더 심하지....? 신기하네
b660m arous elite도 언더볼팅으로 사용가능 할까요? 3열 수냉 사용 중 입니다.
기가바이트 공식 홈페이지 가셔서 최신 바이오스로 업데이트 해주시면 마이크로 코드 언더볼팅 가능합니다!!
Cpu 수율에 따라 다르기도 한것 같아요
13700kf에 b보드 쓰는데 언더볼팅으로 안잡혀서 cpu as로 교체 받고 온도 쓰로틀링 전압 다 잡았습니다
오! 수율 안좋은 초뿔딱도 AS 교체가 되는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배그 프레임이 왜144밖에안나오시지 ㄷㄷ
글게요 ㅠㅠ
11세대때랑 똑같네요;;;;
그때는 메인보드라도 저렴했죠...
사지마 돈주고 난로를사고있냐
보드 비교가 깔끔하고 설명 너무 쉽게 해주네요
잘 보고 갑니다~~~~
브라더님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보드 비교 설명이 자세하고 너무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