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램덩크가 유일하게 실패한 나라, 미국. 왜?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401

  • @eoretaspace
    @eoretaspace Рік тому +388

    슬램덩크는 당시 던젼 취급 받던 코믹북스토어가 아닌 서점에서 "일본에서 베스트셀러" 같은 홍보들을 통해 팔았어야 했다....저당시는 지금의 한국처럼 원나블 같은 격투소년만화 아니면 일본 만화에 대한 편견이 쎄던 시절이라 스포츠 만화 + 이노우에 그림체 만큼 벽을 허물기 좋은게 없었을텐데...

    • @youtubeDwellEyday
      @youtubeDwellEyday Рік тому +14

      그게 제일 큰 이유인것 같네요

    • @쌍도너츠
      @쌍도너츠 Рік тому +3

      일본 만화 전성기였는데도 미국 시장은 안통했네..
      그런데 마지막 영상에는 현 미국 시장 만화는 일본이 잘나간다고??

    • @khans8188
      @khans8188 Рік тому +3

      @@쌍도너츠 슬램덩크 미국에서 많이 팔렸습니다 이런 뇌피셜이 돈게 예전 유튜브 댓글을 캡쳐해서 그걸로 영상 만든 애들 때문에 이런 오해가 퍼진거 같내요

    • @user-kq4jv9ef1g
      @user-kq4jv9ef1g Рік тому +2

      스포츠과학이 발달한 요즘도 아닌 30여년전에 동양인 학생이 그것도 농구에서 nba급 퍼포먼스를 보이는게 워낙 위화감이 들어서이기도 했을듯

    • @감나빗-26
      @감나빗-26 Рік тому

      @@khans8188 막 발매했을 당시 안팔렸단 얘기인 듯

  • @soullohen
    @soullohen Рік тому +73

    처음엔 만화 소비층이 너드라고 불리는 스포츠와 거리가 먼 사람들이다 보니 인기를 못 끈게 아니었을까? 생각이 들었는데 오히려 현실 스포츠의 인기가 워낙 강한 것도 큰 이유가 되는군요

  • @gemiman111
    @gemiman111 Рік тому +17

    근데 저는 일본 만화랑 미국 코믹스의 근본적인 차이점부터 문제가 아니었을까 싶어요.
    미국 히어로 코믹스보면 그래픽노블이라고 스스로 부르는거처럼 그림보다는 인물들의 대사가 중심이고, 그림은 인물의 대사를 중심으로 그 장면의 대표적인 컷만 그리죠. 예를들면 이전컷에서 장문으로 대사치던 주인공이 다음컷에서 갑자기 주먹을 날린다던가(그리고 주먹을 날리면서도 말풍선에 장문의 대사가 써져있고) 하는식으로 그림의 컷과 컷의 연결성이 거의 없습니다.
    반면 일본 만화는 인물들의 동작을 하나하나 다 표현합니다. 고개 흔드는걸 한 컷에 얼굴 여러개 그려서 표현한다던가, 칼 휘두르는 궤적을 표현한다던가 하는식으로 움직임을 최대한 생생하게 묘사하죠. 그래서 움직이지 않는 만화인데도 액션성이 느껴집니다. 또 인물들끼리 싸우는 컷을 그리기 전에 반드시 이전 컷에서 인물들이 싸움 준비자세를 취하고 있어요.
    그런식으로 인물들의 동작 하나하나를 상세하게 묘사하는 방식의 극단에 있는 만화중 하나가 바로 슬램덩크구요.
    일본 만화에 익숙한 한국 오타쿠들이 마블 때문에 미국 히어로만화에 손댔다가 적응 못하는 사례 많이 봤습니다. 미국만화와 일본만화의 표현이 서로 차이가 많이나거든요.
    미국에서 애니메이션을 거치지 않으면 일본 만화가 성공하기 힘든 것이 이와 같은 이유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kevingineman3745
      @kevingineman3745 Рік тому +1

      웃기는 소리 ㅋㅋㅋ 누가 지금 미국 만화와 일본만화 차이점 알려달랬나? 나루토 원피스는 인기많은데 왜 슬램덩크는 인기없냐는거야

    • @gemiman111
      @gemiman111 Рік тому +8

      @@kevingineman3745 영상에서도 그 이유는 애니메이션으로 먼저 접해서 그렇다고 설명하고 거기에 동의해서 댓글 마지막에 애니메이션을 거치지 않고 만화책으로만 성공하는게 힘든것 같다고 설명해놨는데 뭐래;
      애초에 영상 자체가 미국 코믹스 특징 중에 슈퍼히어로물에 집중된 특징과 그 특징이 만들어진 역사를 통해서 일본 만화와 미국 만화의 차이점으로 슬램덩크가 왜 성공 못하는지 설명하는 영상인데 영상이고 댓글이고 읽고 말하는거 맞음?

    • @Seika_park
      @Seika_park Рік тому +3

      ​@@kevingineman3745 영상을 제대로 안보셨네 미국은 만화책 수요층이 29세 이상 60대분들이 계셧고 이분들의 학창시절이 아시아와는 다르니 당연히 공감 못하지 원피스, 드래곤볼은 애니메이션으로 나오니 미국애기들 저연령층이 흡수한거고 ㅇㅋ?

    • @오민석-b2h
      @오민석-b2h Рік тому

      미국 만화는 적응 문제 때문이 아니라 그냥 씹노잼임
      그래서 미국 만화 시장이 일본 만화한테 완전 장악 당한지도 오래고

  • @jinw0n
    @jinw0n Рік тому +24

    1:00 포틀랜드 1라운드 1픽 그렉오든 정말 아픈 손가락이죠
    슬램덩크 영화로 개봉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애니메이션, 슬램덩크 만화책 순으로 보고 이번에 영화를 봤는데 농구를 사랑하시는 분은 꼭 슬램덩크를 접했으면좋겠네요 ! 낭만, 감동 , 뿌듯함

    • @TheLongNWindingRoad
      @TheLongNWindingRoad Рік тому +3

      컴패리즌 선수가 데이비드 로빈슨과 빌 러셀이었던 비운의 선수...ㅠ

    • @콩딱콩콩딱콩
      @콩딱콩콩딱콩 Рік тому

      그렉오든은 나올때는 잘했는데 나오기가 힘든선수...

  • @gabijohn5683
    @gabijohn5683 Рік тому +638

    슬램덩크보다 더 극적이고 쿠로코의 농구보다 더 비현실적인 NBA가 눈앞에 있는데, 뭣하러 슬램덩크를 보겠나.

    • @극한의유두핏
      @극한의유두핏 Рік тому +20

      이거지

    • @엔도르
      @엔도르 Рік тому +1

      ㅋㅋㅋㅋㅋㅋ

    • @체리피커-i6q
      @체리피커-i6q Рік тому +77

      메테오잼 초장거리슛을 실제로 하는인간들이다 죄다 김판석이고 신현철인 동네 키190넘는 정우성 신준섭이 흔한동네

    • @vill4860
      @vill4860 Рік тому +7

      정확한 팩트는 너무 아파요 ㅋㅋㅋㅋ

    • @Rogrin
      @Rogrin Рік тому +26

      2미터짜리 서태웅 그이상들이 즐비하니...

  • @리기-z1l
    @리기-z1l Рік тому +1

    3:57
    무분별 검열은 현시대에도 안맞고, 잘못된 것이지만,
    현시대가 멍 청 해진것도 사실임. 더욱더 부부빈빈이 된것도 사실임.
    무조건적인 표현의 자유라고?
    그딴 자유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그 자유에는 대가가 따르는 법
    110% 팩트
    그리고 부부는 더더욱 이것을 이용한다는 것도 사실임.

  • @redprisoner
    @redprisoner Рік тому +43

    이미 드래곤볼은 90년대부터 미국시장에서 꽤 인지도가 있었고 원피스 나루토는 너드문화였는데 반남의 꾸준한 마케팅이랑 미국 내의 입소문 덕분에 지금의 인지도를 얻게 되었고 지금은 미국인들이 최신 일본 만화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이전보다 많아지게 되었죠

  • @성이름-i9k5g
    @성이름-i9k5g Рік тому +79

    기다리다 숨 넘어가지만 돌아오면 꼭 챙겨보는 유투버 1위

  • @jshman
    @jshman Рік тому +10

    선생님 유튜브 비번 까먹으신줄 알았어요. 왜케 뜸하신건가요?
    늦었지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왕성한 활동 부탁드립니다!!

  • @jayhahn504
    @jayhahn504 Рік тому +391

    진짜 잊으면 돌아오는 유튜버

    • @castle_crab
      @castle_crab Рік тому +10

      미워할거야

    • @mj_brian_ock
      @mj_brian_ock Рік тому +9

      열심히 활동좀 해주세요!!

    • @끝-z6i
      @끝-z6i Рік тому +4

      2개월의 남자

    • @all_light
      @all_light Рік тому +8

      잊을만하면 돌아오는 게 아니라 잊으면 돌아옴 ㅋㅋㅋㅋㅋㅋ

    • @구름-y1l
      @구름-y1l Рік тому

      ㅇㅈ

  • @QVCM
    @QVCM Рік тому +136

    블루 록은 청춘 스포츠물의 어떤 정석적인 감성하고는 상반된 작품이라 오히려 미국시장에선 강점으로 작용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ㅎㅎ

    • @SangsooHong1
      @SangsooHong1 Рік тому +13

      두창 감성이 넘치다 보니 pc에 지배된 미국에서 인기가 넘치는 거 같아요

    • @강우주-c7e
      @강우주-c7e Рік тому +1

      ​@@SangsooHong1pc란 무엇인가요?

    • @SangsooHong1
      @SangsooHong1 Рік тому +1

      @@강우주-c7e political correctness

    • @cms4066
      @cms4066 Рік тому

      오히려 축구라서 안 좋아할 것 같은데

    • @SangsooHong1
      @SangsooHong1 Рік тому

      @@cms4066 대신 게이게이 감성이

  • @ReadPlayMilkTea
    @ReadPlayMilkTea Рік тому +5

    확실히 설득력 있는 영상이네요.
    미국의 mz세대와 함께 살아본 결과, 그들은 만화책 보다는 애니메이션을 더 자주, 많이, 사실 거의 대부분의 영상매체시간을 애니메이션으로 소비하는 경향이 짙었습니다.
    배급사의 시장조사실패와 전략의 부재가 슬램덩크의 부진을 만들었다고 보이는 설득력 있는 주장이네요.
    다만, 스포츠를 학교에서 쉽게 원하는 만큼 접할 수 있고
    몰입할 수 있을만큼의 풀뿌리(지역연고) 리그 기반도 충분하며
    세계 최고의 리그를 눈앞에서 실제로 보는 미국 학교에서 자라는 학생들이
    성장 스포츠 만화물에 과연 몰입할 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점이 영상의 주장보다는 더 강하게 듭니다.
    (feat.참고로 제가 있었던 곳은 유희왕 이 최고였습니다 ㅎㅎ)

  • @spesun2832
    @spesun2832 Рік тому +1

    만화라는게 실전에서 볼 수 없는 아름다운 기술을 보는 재미도 있는데 nba에 워낙 괴물들이 많아서 그대로 다 하니까 nba보는게 더 재밌어서 그런것도 있지않을까요?
    예전에 만화이름은 모르겠는데 야구만화에서 나오던거 그대로 MLB에서 하던데 댓글에 만화 볼 바에는 그냥 mlb 본다고 ㅋㅋㅋㅋ

  • @LE_SSERAFIM
    @LE_SSERAFIM Рік тому +9

    어릴 때 부터 TV나 현장에서 오랜기간 그리고 생생하게 즐길 수 있는 스포츠이기에
    스포츠물 장르의 창작물은 오히려 인기가 없다고 봐야겠네요.
    사람들에게 판타지를 충족시켜주는 슈퍼히어로물이나 환타지 장르가 그만큼 인기가 있는것이구요.

  • @hornet107
    @hornet107 Рік тому +33

    이건 AVGN이 게임은 환상의 세계 같은 비현실적인 체험을 하기 위해 즐기지만 스포츠는 밖에 나가서 하면 되지 게임으로 즐길 필요가 없다고 말했는데 미국인들 정서도 이와 비슷합니다.
    스포츠 게임은 실제 존재하는 리그의 IF 시나리오가 매력적이라 쭉 시리즈가 나오지만 그게 아니면 히트치기 힘들죠. 당장 스포츠 만화는 전부 가상인물을 바탕으로 스포츠를 하는 식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는데 미국인들은 실제 존재하는 선수면 몰라도 가상인물에게 감정이입을 하기가 힘들었을 겁니다. 슬램덩크가 미국에서 실패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 봅니다.

    • @kevingineman3745
      @kevingineman3745 Рік тому +1

      미국에서 nfl 게임 인기많아요

    • @mwjung00
      @mwjung00 Рік тому

      @@kevingineman3745밑에 문단도 읽어보세요

    • @yechan08
      @yechan08 11 місяців тому

      ​@@kevingineman3745가상 선수가 아니라 진짜 선수잖아요 거긴

  • @hongkim3855
    @hongkim3855 Рік тому +4

    오히려 미국에서 인기 있으면 그게 더 문제일텐데? 이노우에의 최대 흑역사가 슬램덩크 트레이싱 문제임. 왜 일본 고등학생이 NBA처럼 뛰냐? 당연했음. 모델도 NBA 선수고, 그림도 NBA 사진 보고 그대로 따라그렸으니까. 이노우에의 경우는 문제가 하나 둘이 아닌데 생각보다 엄청 잘 덮혔음.

  • @ehvlwkrma
    @ehvlwkrma Рік тому +1

    이 채널 진짜 수준 높다...

  • @손걸음
    @손걸음 Рік тому +3

    오프닝 정말 재치있네요ㅋㅋㅋ👍👍

  • @NuttyV2
    @NuttyV2 Рік тому +5

    언제 와도 최고의 영상을 보여주는 멋진 채널

  • @두봉-v3q
    @두봉-v3q Рік тому +3

    내가 생각하는 미국에서 슬램덩크가 안먹히는 이유.
    만화나 소설 영화의 가장 큰 목적은 대리만족임.
    인간을 초월한 히어로가 개같이 깽판 부리는 장면에서 대리만족을 느낌
    현실에서 불가능한 애뜻하고, 서글픈 로맨스 소설을 보면서 대리만족을 느낌
    내가 회를 못먹어도, 회를 먹으면서 느끼는 감정을 글로 표현한 것을 읽으며 대리만족을 느낌
    칼질 하는 만화, 기공포 쏘는 만화, 분신 만드는 만화 등등 다 똑같음.
    근데 슬램덩크는 아님.
    농구는 지들 직접 하면 되거든.
    동양인들이야 덩크 하는 애들이 손에 꼽을 정도인데 미국은 비교적 많은 사람들이 덩크를 함.
    nba선수의 기교를 따라하며 노는 애들이 수두룩함.
    만약 한국에서 한식 만화를 만들어서
    김치찌개에 참치캔을 넣었다고 놀라며, 꽁치를 넣자 찬사를 보내는 미식 만화가 있었다면 아무도 안보지 않았을거 같음.
    비빔밥에 참기름 넣었다고 그 고소함과 담백함을 표현해봤자 이미 다들 알고 있는 것이라 재미가 없고,
    만화적 허구로 비빔밥에 까나리 액젖을 넣고, 맛있다고 찬사를 보내면 공감을 못해서 재미가 없듯이..
    그냥 내 생각임 근거는 없음

  • @수포자문돌이
    @수포자문돌이 Рік тому +2

    아프리카인들이 태권도하는 영화를 한국에 론칭한다면 비슷한 느낌 아닐까 ㅋㅋ
    초딩 때부터 애들 절반이 태권 태권 거리며 자라고 발펜싱이라지만 태권도 종주국인 나라인데. 굳이 일상에 가까운 스포츠를 돈 내고 영화관에서 보고 싶진 않을듯 ㅋㅋ
    쿵후팬더같이 아예 판타지로 가면
    모를까

  • @지니어스송-m4k
    @지니어스송-m4k Рік тому +6

    슬램덩크 보다 더한 이야기들이 넘쳐나는 농구의 나라인데...슬램덩크가 먹힐리가 없음.

  • @이방인-y5c
    @이방인-y5c Рік тому +5

    다음 영상 바로 올릴 때까지 숨참음

  • @asdd2231
    @asdd2231 Рік тому +1

    제발 많이 올려주세요 제가 제일 애정하는 스포츠 채널입니다 진짜 너무 좋아요

  • @nayahun2
    @nayahun2 Рік тому

    선생님 이 이 영상처럼 한국이 다른 아시아와 비교해서도 농구에서 덩크나 피지컬이 부족한 이유를 털어주셨으면 합니다 선생님이 하시면 다를 것 같아요! ua-cam.com/video/buZyrdKM5mU/v-deo.html

  • @나이따-x3m
    @나이따-x3m Рік тому +3

    드디어떳다 비욘드님 자주자주업데이트 해주세요ㅜㅜ

  • @ChihyunLee422
    @ChihyunLee422 Рік тому

    미국인은 학업을 시작할 때 부터 여러 스포츠를 접하면서 커온 사람들이라
    특정 스포츠에는 리얼리티를 누구보다 더 아니까 볼 필요가 없는거지..
    리얼한 스포츠 세계를 맛본자가 픽션을 좋아하겠냐고...
    차라리 가볍게 볼수있는 만화라던가 아니면 SF나 판타지 요소가 짙은 만화가 더 잘팔리지...
    그리고 일본이랑 한국 만화 특징중에 교훈이 필수적으로 있다라는건데
    미국인은 만화 자체는 오락도구였기때문에 오히려 교훈은 기피대상이 되는거지..
    오락에 왠 교육을? 이런 마이느드니까 아무리 슈퍼스타가 대동을 한들 안보게 된거지

  • @miklac90
    @miklac90 Рік тому +1

    미국 살면서 일본 애니나 만화책 좋아하는 친구들 중 스포츠 좋아하는 사람 못 봄.
    문화적인 면에서도 스타, 롤 같은 컴퓨터 게임 (컨솔 X) + 일본 애니 및 만화책 좋아하면 찐따 편견 심했음.
    예외 드래곤볼. 흑친구들 엄청 좋아함

  • @pigdestroyer3132
    @pigdestroyer3132 Рік тому +10

    영상 보기전 제목만 보고 만화보다 NBA가 더 만화같이 화려해서 망한건가 했는데 했는데 전혀 다른 내용이었네요ㅋㅋㅋ 사실 슬램덩크 속 인물들 농구실력이면 미국 길거리 농구에도 발릴것 같기는 함.

    • @ashhole-b4c
      @ashhole-b4c Рік тому +7

      nba가 더 화려하다기보다 애초에 슬램덩크 장면 대부분이 nba화보 트레이싱한거임.

    • @pigdestroyer3132
      @pigdestroyer3132 Рік тому

      @roadto500kg6 덩크슛이나 아리후프는 슬램덩크 연재 당시 국내프로리그에서도 못보던 기술인데 그럴수도 있겠네요.

    • @pigdestroyer3132
      @pigdestroyer3132 Рік тому +1

      @@ashhole-b4c 트레이싱은 좀 예민한 부분인거 같기도 합니다. 레퍼런스를 뒤지다 진짜 묘사하고 싶었던 멋진 장면을 보면 참기 힘들것 같기도 해요. 물론 한국 트레이싱의 대가 김성모 화백처럼 자기자신의 그림조차 복붙해버리면 심각한 문제지만ㅋㅋㅋ

    • @가을밤-r8p
      @가을밤-r8p Рік тому

      @@pigdestroyer3132 슬램덩크 좋아한다고 슬램덩크는 관대하고, 김성모는 그냥 무작정 까버리는 건 좀...

    • @koreanmessiLeeseungwoo
      @koreanmessiLeeseungwoo Рік тому

      ​@@가을밤-r8p네다음김화백

  • @Iwilltakeyourheart
    @Iwilltakeyourheart Рік тому +1

    애니에서의 플레이보다 nba가 더 ㄹㅈㄷ거든ㅋㅋ
    현실판에서 더 쩌는게 나오는데 굳이 애니를?
    물론 다른 요인들도 있었겠지만 위 이유가 클거 같네요 제 개인적 생각임
    반박시 님 말이 맞음

  • @youngboss7859
    @youngboss7859 Рік тому +12

    아시아의 고교생들이 NBA 수준으로 플레이 하는 게 비현실적이라 생각하지 않았을까. 문화적인 요소들도 미국에서는 공감하기 어려웠었을듯.

    • @감나빗-26
      @감나빗-26 Рік тому +1

      고등학교 갈 때까지 농구를 안해봤다는 게 비현실적으로 느껴졌을 듯 농구 한다는 애들이 키가 너무 작은 거랑 ㅋ

  • @ooy9427
    @ooy9427 Рік тому +5

    nba가 있는데 미국인들이 동양인 농구만화를 왜 보겠냐고 하시는 분들 있는데 일본의 축구만화 캡틴 츠바사는 축구의 본고장 유럽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죠

  • @Eridu1215
    @Eridu1215 Рік тому +4

    아 이런 채널도 구독했었지

  • @lune2164
    @lune2164 Рік тому +2

    밖 나가면 슬램덩크를 실제로 볼 수 있는데 왜 보겠냐고 ㅋㅋㅋㅋㅋㅋ

  • @kampange
    @kampange Рік тому

    항상 영상이 너무 깜끌합니당 잘봤습니다.ㅇ

  • @retromac3092
    @retromac3092 Рік тому +2

    주제 선정이 예술이여 👨‍🎨👨‍🎨👨‍🎨

  • @KoreaHoop
    @KoreaHoop Рік тому

    오...선 애니메이션 후 만화책❤

  • @웱
    @웱 Рік тому +1

    근데 한국도 일본만화를 훨씬 많이 보지 미국만화책은 잘 안보지 않나..? 미국도 마찬가지일듯.. 예전에 마블 만화책 몇권 읽었었는데 확실히 내가 알던 만화 스타일이랑 많이 달라서 재밌진 않았음

  • @DanielChoi-j1o
    @DanielChoi-j1o Рік тому +1

    미국은 일본이나 한국보다 더 애니를 보는 사람들을 사회 부적응자로 보는 시선이 더 강함. 양덕 뭐 이런 세대는 지금 세대보단 더 오래된 전세대고, 현재 세대는 한국처럼 약간 오타쿠보듯이 보는 문화가 있어서 그런거 같음. 더 나아가 슈퍼히어로 장르의 만화를 보는 사람들도 비슷한 취급을 받음. 철들지 못한 사람이라는 인식?

  • @박서준-u3e
    @박서준-u3e Рік тому +11

    업로드 주기만 빼면 모든게 완벽한 채널..

  • @kevingineman3745
    @kevingineman3745 Рік тому +1

    그냥 미국에 대체재가 있으면 별 흥미를 못느낀다 봐야함. 미국에 트랜스포머가 있으면 건담이 흥행을 못하고 nba가 있으면 슬램덩크가 흥행을 못하지. 무슨 ‘진출’을 하고 마케팅을 못해서가 아님. 미국에서 유명한 일본만화는 주로 닌자를 다룬 특이한 얘기들임.

  • @정현우-n5v
    @정현우-n5v Рік тому +1

    영상 퀄리티... 😍

  • @swk6585
    @swk6585 Рік тому +2

    애초에 스포츠가 곧 문화이자 역사인 미국에서 피지컬로는 쨉도 안 되는 아시아 애들(일본)이 무슨 세계 진출이네 세계 최강이네 거리면서 미국식 플레이를 선보이는데 좋아할리가 ㅋㅋㅋ 나 역시 슬램덩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지만 미국 같은 서양권에서 일본식 스포츠 만화가 안 통하는 건 다 저런 이유가 있는거지 뭐

    • @무지개맛크레페
      @무지개맛크레페 Рік тому +4

      캡틴츠바사는 서구권에서 축구문화의 역사를 바꿧음.

    • @user-tu9yj8vt4j
      @user-tu9yj8vt4j Рік тому +1

      @@무지개맛크레페 그거는 유럽아님? 유럽만화시장은 또 미국이랑은 다르게 가서...

  • @코리아키라
    @코리아키라 Рік тому +2

    슬램덩크가 성공하지 못한건 이미 만화책보다 훨씬 넘사벽의 실력을 가진 NBA가 있기 때문이지
    TV로 쉽게 접하는 NBA급 넘사벽의 실력이 현실적이니까
    미국 고교 농구리그보다 못하는 일본 고교 농구만화를 현실적이라고 느끼지 못할 듯
    블루락은 판타지 능력축구물이고 ㅋㅋㅋ초월시야 ㅇㅈㄹ ㅋㅋㅋ

  • @soondaegukbap25
    @soondaegukbap25 Рік тому

    좋은영상 잘 봅니다. 오랜만이에요~👍

  • @장진수-b1z
    @장진수-b1z Рік тому +1

    자주자주 영상올려주셔요 ㅠㅠ

  • @banoh6644
    @banoh6644 Рік тому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 @Jb-xi7gh
    @Jb-xi7gh Рік тому +1

    알람 뜨자마자 바로 달려왔어요 진짜 정말 엄청 기다렸습니다 ㅠㅠㅠ

  • @latenight5865
    @latenight5865 Рік тому +10

    한국에서도 만화책을 불태우던 시절이 있었죠. 미국에서 코믹코드가 만들어지던 시기보다 약간 뒤의 이야기긴 하지만..

  • @Pilot-pe9io
    @Pilot-pe9io Рік тому

    잊을만 하면 올라오네 ㅜㅜ 내 최애 채널..

  • @홍태원-t4x
    @홍태원-t4x Рік тому

    너무 재밌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만들어주십쇼

  • @SHYoons
    @SHYoons Рік тому

    알람 뜨자마자 달려왔습니다 벌써 재밌어요

  • @안석훈-w3d
    @안석훈-w3d Рік тому

    소중한 영상 1분씩 8번 나눠먹겠습니다

  • @모순-n8n
    @모순-n8n Рік тому +2

    어떻게 보면 미국에서 실패한 게 오히려 작가 입장에서 다행일걸요. 왜냐면 슬램덩크는 대고 그린 트레이싱 작화가 한둘이 아닙니다. 게다가 트레이싱 대상이 당시 현역으로 뛰던 NBA 선수들이었고요. 슬램덩크의 거의 모든 플레이 작화가 트레이싱된 거라는 의혹까지 있어요. 슬램덩크가 미국에서 히트쳤다면 트레이싱 논란은 지금과 비교도 안될 정도로 커졌을 겁니다. 국제적인 스캔들이 됐을 수도..

  • @today_what
    @today_what Рік тому +1

    근데 아시아권에서 고등학생이 덩크슛을 하면 ' 오 개쩌는데?' 하겠지만
    미국 고교에서는 드문일도 아니지 않을까 하는

  • @루라라-l5l
    @루라라-l5l Рік тому +1

    그냥 스포츠를 좋아하고 즐겨 하는 층고 만화를 즐겨 있는 층이 완벽하게 나뉘어있어서 그래
    미국은
    스포츠 좋아하는 애들은 만화 얘기하면 바로 오타쿠 소리 나오고
    만화 좋아하는 애들은 내성적인 애들이 대다수라

  • @올드양키
    @올드양키 Рік тому

    와😂😂 얼마나 기다린 새영상인가… ㅜㅜ 기다렸습니다.

  • @길벗-i8s
    @길벗-i8s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를 포함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미 만화보다 더한 실제가 눈앞에 존재 하는데 당연히 슬램덩크를 보지않을꺼다 라고 추측 하고 있는데 새로운 관점으로 분석한게 흥미롭습니다 역시 아는게 힘이네요

  • @Kang_Signature
    @Kang_Signature Рік тому +2

    미국뿐만 아니라, 제가 거주하고 있는 독일이나 유럽에서도 1권만 정식발매하고 안팔려서 절판됐습니다.

  • @카레너무좋아
    @카레너무좋아 Рік тому

    Bgm 선택 너무 좋아용

  • @wiggd1125
    @wiggd1125 Рік тому +49

    이렇게 완벽한 채널이 과연 있을까
    주제에 대해 취향이 안맞을 수는 있어도 관심있는 주제라면 싫을 수 없는 완벽한 영상을 만든다

    • @ehvlwkrma
      @ehvlwkrma Рік тому +2

      저도 이런 수준의 채널이 있는 줄 몰랐네요.. 감탄하고 갑니다

  • @안녕-n9z1h
    @안녕-n9z1h Рік тому

    영상 자주 올려주세요ㅜㅜ

  • @b_bsik
    @b_bsik Рік тому

    기다렸어요!!

  • @수리수리마수리-j5n
    @수리수리마수리-j5n Рік тому +2

    우리나라로 따지면 아프리카에서 쇼트트랙하는 애니메이션인데 인기가 있겠냐?

  • @palemank
    @palemank Рік тому

    미국에서 원피스보다 나루토가 인기있는 이유 같은거 같은데 어설픈 자국문화 흉내는 어줍잖게 보이지 않았을까 사실 지금은 nba에서 일본선수가 뛰고 하지만 당시 일본 고교 농구는 아시아중에서도 최악의 실력인데 만화에선 무슨 판타지 같은 플레이를 하고있으니 사실상 테니스의 왕자나 아이실드21 이나 슬램덩크나 한끗차이 인정하기 싫겠지만 현실적으로 슬램덩크 에서 보이는 플레이는 고교농구 수준이 아님 그것도 아시아 최악 고로 세계최악인 일본농구 가 말이지

    • @김정현-j8p
      @김정현-j8p Рік тому

      나루토는 그냥 오리엔탈리즘 때문에 원피스보다 인기있는 거지 우주스킨무협인 스타워즈가 동양에서 서양보다 인기없는 이유랑 같음

  • @jibagmyo
    @jibagmyo Рік тому

    잘 보고 갑니당 :>

  • @홍교최
    @홍교최 Рік тому +1

    정보력 하나는 원탑이네

  • @하하-j3e
    @하하-j3e Рік тому +1

    솔직히 스포츠물 애니가 우리 입장에서야 주인공이 성장하고 스토리도 좋고 한데 미국은 애니보다 현실이 더 스토리도 있고 재미 있는데 왜 스포츠를 애니로 봄

  • @njerky
    @njerky Рік тому

    원래 양덕들이 진짜 상태 안 좋은 애들이라 취향이 좀 맛이 가 있음.
    걍 무조건 치고박고 싸우고 부숴야하고.. 조금이라도 어렵다 싶으면 못 보고..
    남들 다 욕하는 보루토 끝까지 빨아제끼는 애들임.

  • @bycut
    @bycut Рік тому

    그래도 슬램덩크를 일단 보기만 한다면 그 엄청난 매력을 알텐데, 라고 배급사도 생각하지 않았을까? 학창시절이고 30살이고 뭐고 이해가안간다. 저급한 미국의 만화책 인식때문이 제일 클듯

  • @miketysul3023
    @miketysul3023 Рік тому +1

    이건 이유가 당연하죠 농구 최고의 무대가 NBA인데 NBA 기준으로 보다가 일본인 학생들이 농구하는 게 눈에 들어올 리가...

    • @justchill1016
      @justchill1016 Рік тому +2

      ㅇㅇ 지네 동네 앞 코트에서 길거리 농구하는 흑인 애들한테도 개털릴 놈들이 최강 산왕이니 넘버원 가드니 거리고 있는 거 보면 비웃음만 나오지

  • @남구에삽니다
    @남구에삽니다 Рік тому +3

    존나 재밌네 다음 껀 언제올라오지 기대하다 까먹으면 올라오는 채널

  • @pradavuitton
    @pradavuitton Рік тому +7

    미국에선 현실성 스포츠만화 자체가 성공하기힘들지 미국스포츠자체가 더 현실성넘는 경우가많으니 이번슈퍼볼만봐도 결승전인데 형제가 서로 다른팀ㅋㅋ

  • @eogn-u8i
    @eogn-u8i Рік тому +1

    간만에 유튜브에서 상당히 유익한 영상이였네요. 감사합니다.

  • @jdnd8HKndjd56
    @jdnd8HKndjd56 Рік тому

    걍 미국에서 만화독자층은 널디한 애들이고 스포츠 즐기는사람은 교집합이 별로 없어서 그런거 같은뎁
    이거랑 별개로 원피스가 왜 미국에서 안먹혔는지 궁금하다 나루토블리치는 먹혔는데..

    • @dorianfa4209
      @dorianfa4209 Рік тому

      카리브 해적의 본고장이 미국인데. 일본작가가 그린 이상한 해적물이 먹힐리가.. ㅋ

  • @구조-u2v
    @구조-u2v Рік тому +1

    매일 밤마다 미친 덩크 꽃고 극적인 상황이 티비에 나오는데 굳이 만화를?

  • @ph7.549
    @ph7.549 Рік тому

    좋은 분석입니다. 다만 소년기 학교문화의 차이도 간과할수 없을것같아요.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하기도 전에 흥미를 잃을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owowcon
    @owowcon Рік тому

    슬램덩크가 실패한 이유 너무 현실적이고 스포츠물은 미국 기준에선 흔한 일임 반대로 죠죠 나루토 등 판타지 물로 갈수록 일뽕이 늘어남 비현실적인걸 추구하는 면모가 큼

  • @우왕-y3d
    @우왕-y3d Рік тому

    진짜 너무 오랜만입니다 ㅜ

  • @레몬라임-s8g
    @레몬라임-s8g Рік тому +2

    다음은 언제인가요? 😂

  • @슘드라도르6세
    @슘드라도르6세 Рік тому +1

    형님 영상좀 자주 올리십시요

  • @폭주한호랑이
    @폭주한호랑이 Рік тому +1

    정대만이 던진3점슛을 팔팔하게쓰는놈들이 수두룩하거든 ㅋㅋ

  • @chaem838
    @chaem838 Рік тому +1

    누군가 잠깐 까먹었는데 인트로 보고 알았읍니다

  • @Solitudelayora
    @Solitudelayora Рік тому +2

    아니 거 한달에 한번은 좀 옵시다.

  • @317yoon8
    @317yoon8 Рік тому +1

    아저씨 올때까지 매번 숨참는데 덕분에 21번 정도 죽었네요 다음영상은 좀 더 빠르게 부탁 드려요

  • @Soleiaaaz
    @Soleiaaaz Рік тому +1

    슬램덩크가 nba선수들 실제 모션이나 사진들을 표절한건데 굳이 현실이 눈앞에 있는데 만화로 볼필요가 있을까요 ㅋㅋ 플옵들어가면 슬램덩크보다 더 드라마틱한 승부와 비하인드스토리들이 펼쳐집니다.

  • @DCoconilla
    @DCoconilla Рік тому

    미국인들은 역동적인 실제 스포츠 경기를 좋아하니 오히려 만화에 공감을 못한것 같은데.. 저도 슬램덩크 만화책 정주행으로 12번은 읽고 너무 팬이지만, 애니는 지루했어요

  • @여지하
    @여지하 Рік тому +1

    만화보다 현실이 더 기가 믹히는 플레이인데 뭐하러 만화를 보겠냐?
    농구도 못하는 난쟁이국가인데....

  • @Dowan_Gim
    @Dowan_Gim Рік тому

    잘 봤습니다.

  • @carlosj8637
    @carlosj8637 Рік тому +1

    ㅋㅋㅋ 슬램덩크에서 나오는 이상의 플레이를 현실에서 볼수 있는데, 그걸 뭐하러 보겠어 ㅋㅋㅋ

  • @Teredal
    @Teredal Рік тому

    슬램덩크가 영혼을 쥐어짜서 연출한 장면들이 nba에서는 하루가 멀다하고 튀어나옴. 미국애들은 nba 보니까, 라는 말에 몇몇 저능아들이 '우리나라나 일본은 nba 안 보냐'라고 지껄이는데 접할 수 있는거랑 애정을 갖고 맨날 보는거랑은 전혀 다른 차원의 이야기임 ㅋㅋ 막말로 아프리카에서 롤 하는 만화 그려갖고 세체미니 뭐니 떠들어 대면 누가 그거 봐줌? 걍 T1 경기 한번 보느니만 못할텐데 ㅋㅋㅋ

  • @duxkkim724
    @duxkkim724 Рік тому

    영상 좀 자주올려주세요

  • @leejuil
    @leejuil Рік тому

    미국 코믹북은 woke culture 때문에 demon slayer 등 일본 망가에 완전히 밀렸습니다. 이는 의심이나 추론이 아니라 자명한 바에요. 슈퍼히어로 이름이 snowflake이고 트렌스젠더 흑인. 또 임산부 히어로. 비만 여고생 히어로. 이런 것 내다보니 궤멸적으로 쫄딱 망했습니다. 다시 말씀드립다만 이는 비약이 아닙니다.

  • @아리오치니
    @아리오치니 Рік тому +1

    그들은 이미 만화 같은 플레이를 실제로하고 있으니까~!

  • @SengokuYugio
    @SengokuYugio Рік тому +3

    그 뒤로 나루토 침공으로 미국 코믹스 주류가 바뀌기 시작했고 그 나이대 애들이 포켓몬 세대라 애니랑 코믹스쪽에서는 마블이나 DC 잘 안 보기 시작함. 그래서 시작한게 영화나 다른 미디어 사업을 시작했던 것이고... 요즘 미국 마블이나 DC는 더욱더 맛이 가서 그들만의 리그로도 모자라서 LGBTS까지 버무려진 맛이간 코믹스

  • @ksmb2333
    @ksmb2333 Рік тому +1

    한종예대 무용학과 애들이 일본 발레만화 보면 현실감 없어서 냉소하는 거랑 비슷한 심리 때문일 듯...
    미국애들은 직접 몸으로 뛰며 운동하고 일본애들은 머릿속으로 운동하니까...

  • @beraerkkk
    @beraerkkk Рік тому +1

    자유! 자유! 를 외치던 미국도 학부모의 입김으로 만화책이 규제당하던 시절이 있었군요...
    한국도 차츰 인식이 나아지길 바랄 뿐입니다

  • @050574100
    @050574100 Рік тому

    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 @판타스틱소년
    @판타스틱소년 Рік тому +1

    그냥 미국 입장에선 아가들 재롱잔치를 뭣하러 봐

  • @Steve-zo2zt
    @Steve-zo2zt Рік тому

    애초에 스포츠장르는 인기별로 없을것같은데... 미국은 스포츠가 너무 대중화되서 어릴때부터 학교에서 꾸준히 하는거기도 하고 학교문화도 일본이랑은 많이 달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