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 굵기 찾는 법 올려봅니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영상에서 전선 단면적(굵기) 단위를 (제곱 m) 로 적었는데 (제곱 m) 가 아니고 (제곱 mm) 에요.
    전선 굵기를 어떤 방식으로 올려야 되나 여기저기 찾아보며 많은 날을 고민했는데 제가 현장에서 배우고 썼던 방식을 이용해서 동영상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혹시나 내용 중에 잘못된 점이나 틀린 거 있으면 언제든지 알려주세요. ^^

КОМЕНТАРІ • 20

  • @AllLookSoGood
    @AllLookSoGood 3 роки тому +8

    실제 현장에서보면, 일반의 수치와는 거리가 좀 있는 이유가, 선의 종류, 접촉/연결/결선의 방법, 선의 길이 그리고, 부하열 발산의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방법의 도출이 요구되어지지요.
    일예로 보통 흔히쓰는 콘센트의 결선에서 동일한 선일지라도 원터치 타입의 꼽아쓰는 방식과, 압착단자를 이용하여 결선하는 방식에따라 콘센트가 녹을수도 안전 할 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고주파와 달리 60Hz의 낮은 주파의 전류는 도체접촉면을 통하기때문에 원터치의 꼽아쓰는 방식은 도선에 닿은면적이 극히 제한적인라서 다리미,열풍기,난방히터,쿠커,커피포트,
    헤어드라이어같은 600~1.2Kw대의 제품들을 두개만 함께써도 콘센트가 녹아버리지요.
    그 이유는 실제 도체끼리 접촉되는 실제면적이 실제적으로는 전선은 2.5SQ라도 콘샌트내에서의 결선 원터치 접촉면은 거의 1.0SQ정도의 효율정도이기 때문 입니다.
    반면, 같은 선이라도 압착단자로물려 접촉면이 넓어지는경우는 도선의 허용전류 근처까지 다 사용이 가능해 지기도 하지요.
    게다가 선에 과부하가 걸려도 노출형의경우에는 대기중으로 열발산이 수월한반면, 벽속으로 매립의 경우는 과열로인한 열발산의 지속시 배관 자체가 뜨거워지며 열발산이 적어지는데 이때 도체에 온도가 상승하면 자체의 저항이 상승하며 기하급수적으로 온도도 동반상승하여 전선 피복이 녹으면서 합선이 발생하기도 하지요.
    따라서, 항상 그 계산공식에는 상황변수를 얼마로 잡느냐에따라서 달라지겠지요.
    저는 일반적으로 총 부하합의 1.5배를 최소로 잡는데 그게 편한밤 잠자리가 되겠지요.
    조금 아낀다고 하다가는 잠자리 뒤숭숭해서...
    물론, 현장의 상황마다 시방의 기준이 정해지거나 혹은 지금처럼 정해야 하거나겠지만...
    근데 어느 순간인가부터 시중에서 제조/판매되는 매립형 콘센트들이 작업의 편의성과 제조단가의 압박으로인해 과거에는 있던 나사결선방식에서 전부 원터치방식으로 바뀌어
    이제는 어찌 해보려 해도 별 방법이 없어, 소비자가 전열을 사용할 것으로 추정되는 콘센트 자리에는 가급적 나사식의 압착단자 체결이 가능한 노출형 콘센트를 안보이게 설치하기도 합니다.
    안전은 없고 편의성만 추구되는 아쉬움이.

    • @OK-no7ts
      @OK-no7ts  3 роки тому +1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무엇을 하나 하려면 참 신경 쓸게 많아요. ^^

  • @둥이2-r6b
    @둥이2-r6b 3 роки тому

    설명이 참 쉽고 이해하기 쉬워요. 영상 잘봤어요 응원합니다

    • @OK-no7ts
      @OK-no7ts  3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

  • @최해수-b2f
    @최해수-b2f 2 місяці тому

    회전하는 부하, 모터 부하, 일 경우는 역률이 또 들어가잖아요. 그땐 어떻게 되는 건가요?

  • @휘센0187
    @휘센0187 3 роки тому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 @OK-no7ts
      @OK-no7ts  3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

  • @skylegend12
    @skylegend12 2 роки тому

    삼상 전선 질문드려요...영상의 예제에서 삼삼 3마력이 대략 3A(암페어)면 전선을 1.5sq 을 실제로 쓰나요? 보통 못해도 2.5나 4sq을 쓰지 않는지? (1.5sq가 최대17a정도니 한참 많이 여유가 있어는 보이긴 하는데...)

    • @OK-no7ts
      @OK-no7ts  2 роки тому

      LS산전 기종선정 조견표(2013.12)를 참고하니 220V 3상은 3마력까지 전선단면적이 1.5 ㎟ 이고 380V 3상은 5.5 마력까지 1.5 ㎟ 를 쓸 수 있다고 나오네요. 그래도 안전하게 사용하고 싶다면 여유있게 2.5 ㎟ 하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저도 예전에 일할 때 380V 3상 3마력짜리 브로와 모터를 자주 결선했는데 2.5 ㎟ 로 배선했었습니다. ^^

  • @토왜척살멸굥
    @토왜척살멸굥 Рік тому

    기본적으로 옥내 배선은 전류의 대소와 관계없이 2.5sq가 최소 기준입니다.ㅎㅎ. 1.5sq는 전류가 적은 소방 배선 정도에나 씁니다.

    • @OK-no7ts
      @OK-no7ts  Рік тому

      그렇군요. 참고하겠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Parkjongnam
    @Parkjongnam Рік тому

    감사~^^

  • @고봉우-h1y
    @고봉우-h1y 3 роки тому

    늦으나마 답변드릴게요 현장 요건상 (길이) 또는 계절에따라 온도에 관련상 정확히 계산때려도 현장에서는 수치로 운영 잘 안됍니다 문제풀이로는 도움될 수 있지만... 정확한것은 어느 한 건물에 내가 배선을 깔아도 그게 4년 이상 버틸 수 있는가 (AS기간) 물른 20년동안 안정되면 좋지만 현실적인 전선답변

    • @OK-no7ts
      @OK-no7ts  3 роки тому

      건물 관련 전기에서는 그렇게 선택하시는군요.
      전 기계쪽 자동제어를 해서 선길이는 깊게 생각을 안해봤어요. 확실히 선 굵기 선택은 많이 어렵네요. 참~ 이 분야도 공부할게 많아요. ㅎㅎㅎ
      큰 도움 됐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

  • @sine__e4008
    @sine__e4008 3 роки тому

    만사 ok 님 안녕하세요...
    판넬 작업 여쭈어볼 게 있는데요..
    혹시 알려주실 수 있나요?

    • @OK-no7ts
      @OK-no7ts  3 роки тому

      네~ 어떤 부분이 궁금하신가요? ^^

    • @sine__e4008
      @sine__e4008 3 роки тому

      @만사 OK 매일 아려주심 사진 넣을 개요 초보라서 설명하기 어려워요

  • @sine__e4008
    @sine__e4008 3 роки тому

    초보라서요.. 선 연결을 잘 몰라서요^^

  • @sine__e4008
    @sine__e4008 3 роки тому

    매일 아려주심 사진 넣을 개요 초보라서 설명하기 어려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