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 왜 어떤 복서는 뛰고 왜 어떤 복서는 안 뛸까? -모든 영상은 유튜브 자막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영상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한 번만 부탁드립니다! 영상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멤버쉽] ua-cam.com/channels/SwAgGw0mLWlVfKc27iP9Sw.htmljoin [비즈니스 문의] boxing421425@gmail.com
첨언하자면 룰의 차이등(12라운드와 15라운드제, 계체후 다음날 시합과 당일 시합, 후두부가격등과 같은 반칙에 대한 레퍼리 제지유무, 클린치 싸움에 대한 개입 유무, 타격 허용 부위에 대한 차이등)도 스타일의 차이를 가져왔고 약물사용에 대한 제재, 컨디션닝 기술의 발전등 복싱 외적인 기술의 변화도 스타일에 영향을 미친 것 같습니다
복싱 클린치에 대해서 한번 다뤄주셨음 합니다. 참 보기 너무 답답합니다. 왜 예전엔 심판이 "fight to get out" 이러면서 알아서 빠져나오라고도 했는데, 데빈 헤이니같이 거의 프리허그 매니아같은 선수들이 인파이텅을 한 경기당 거의 30~50회 가까이 클린치로 피하고 또 그걸 용납해주는 분위기고. 듀란처럼 인파이팅하는 예술이 복싱에서 사라졌다고도 말하는데 슬프게도 맞는 것 같습니다. 또 왜 클린치 상황에서 인파이팅하는 선수가, 더구나 원거리에서 쳐맞고 지고 있는 선수가 기회가 왔는데 클린치를 가만히 받고 기절하는 염소처럼, 목덜미 잡힌 새끼고양이처럼 가만히 안겨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물론 지쳐 쉬고 싶은 상황도 많겠지만서두.
현대복싱 자체는 스포츠로 완성된게 아마추어 복싱 상업적으로 만들어진게 프로복싱 입니다 과거 복싱은 체계적인 룰도 없었고 도박성에 가까운 시합 상업성만 띄었지만 시간이 지나 영국 런던에서 퀸즈베리 규칙을 제정하였죠 아마추어 스포츠만이 절대적인 스포츠로 평가받는 이유중 하나는 제도적인 룰 스포츠에 어울리는 룰 국제스포츠인것에 있죠 그에비해 프로는 상업적이라서 더 자극적이고 표를 팔기위한 단순유희 특정ceo에 의한 사업으로이루어진게 많죠 그래서 프로를 위한 초중고 대학 복싱부는 존재하지않습니다 그저 상업성을 띄고 더 많은 돈을 벌수있는 기회가 있는 상업성을 가지고있죠 쉽게 말하면 아마추어 스포츠는 국제적스포츠로 더 안전하고 스포츠에 어울리게끔 룰을 설정하고 시합을 만드는것에있고 프로스포츠 같은경우 더 자극적이고 단순유희를 추구해서 룰을설정하죠 사람들이 아마추어 스포츠를 보고 노잼 이라면서 욕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건 프로스포츠가 아닌 국제적스포츠라 재미가 다소 없어도 스포츠적인 룰을 최대한 지키고 만드려는것이기 때문이죠 상업화가 되지않은 스포츠 중에는 수영 같은 스포츠가 있습니다 스포츠에서 말하는 상업성은 특정 스포츠를 더 자극적 유희로 바꿔서 프로스포츠로 만드는걸 말하는겁니다
1:41 왜 어떤 복서는 뛰고 왜 어떤 복서는 안 뛸까?
-모든 영상은 유튜브 자막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영상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한 번만 부탁드립니다! 영상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멤버쉽] ua-cam.com/channels/SwAgGw0mLWlVfKc27iP9Sw.htmljoin
[비즈니스 문의] boxing421425@gmail.com
헐.. 제 어리석은 질문에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시대 스타들의 영향이 이렇게 크군요 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자기 체격이나 스탈일에 맞는것뿐
정답은 없다
첨언하자면 룰의 차이등(12라운드와 15라운드제, 계체후 다음날 시합과 당일 시합, 후두부가격등과 같은 반칙에 대한 레퍼리 제지유무, 클린치 싸움에 대한 개입 유무, 타격 허용 부위에 대한 차이등)도 스타일의 차이를 가져왔고
약물사용에 대한 제재, 컨디션닝 기술의 발전등 복싱 외적인 기술의 변화도 스타일에 영향을 미친 것 같습니다
정확하고 통찰력 있는 분석입니다
와 내가 정말 궁금 했던거 ㅋㅋ
복싱 클린치에 대해서 한번 다뤄주셨음 합니다. 참 보기 너무 답답합니다. 왜 예전엔 심판이 "fight to get out" 이러면서 알아서 빠져나오라고도 했는데, 데빈 헤이니같이 거의 프리허그 매니아같은 선수들이 인파이텅을 한 경기당 거의 30~50회 가까이 클린치로 피하고 또 그걸 용납해주는 분위기고. 듀란처럼 인파이팅하는 예술이 복싱에서 사라졌다고도 말하는데 슬프게도 맞는 것 같습니다.
또 왜 클린치 상황에서 인파이팅하는 선수가, 더구나 원거리에서 쳐맞고 지고 있는 선수가 기회가 왔는데 클린치를 가만히 받고 기절하는 염소처럼, 목덜미 잡힌 새끼고양이처럼 가만히 안겨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물론 지쳐 쉬고 싶은 상황도 많겠지만서두.
요즘에는 진짜 기본적인 레슬링도 배워야할듯 클린치를 할줄 아는거랑 모르는거랑 차이가 너무 많이남..
콩콩이는 체력소모가 너무 큼. 그리고 빠따칠때는 바닥에 붙어야 파워가 실리고
가성비적인 측면에선 발붙이는게 조금 유리하긴함 10라운드 해야하니까
근데 스테미나 무한이면 뭐.,
단순한 질문하나에 이리 심도있는 대답을....채널장의 지식이 엿보이는 영상
다 필요없다.
무슨 짓을 하던 인간은 포먼 앞에서 평등하다
이 영상을 보고 정말 궁금했던 주제가
있는데 혹시 타이슨 vs 알리
리뷰 가능할까요 물론 둘다 헤비급 레전드고 많은 복서들에게 영향을
주기도 했지만 둘다 정점의
스워머와 아웃복서고 개인적으로
벅시님의 의견도 궁금해서ㅋㅋ 어떤지
리뷰 부탁드립니다.
2:06ㅋㅋㅋㅋㅋ
와 재밌겠다
복싱에서 각을 바꿔 상대를 타격 하는 기술들이 방대하다는 점을 잘 압니다.
그 기술들을 체계적으로 설명해 주신 다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ㅎㅎ🎉🎉
2:42 키야...
항상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트레이닝 중에 달리기를 많이 안한다는줄
현대복싱 자체는 스포츠로 완성된게 아마추어 복싱 상업적으로 만들어진게 프로복싱 입니다
과거 복싱은 체계적인 룰도 없었고 도박성에 가까운 시합 상업성만 띄었지만 시간이 지나 영국 런던에서 퀸즈베리 규칙을 제정하였죠
아마추어 스포츠만이 절대적인 스포츠로 평가받는 이유중 하나는 제도적인 룰 스포츠에 어울리는 룰 국제스포츠인것에 있죠 그에비해 프로는 상업적이라서 더 자극적이고 표를 팔기위한 단순유희 특정ceo에 의한 사업으로이루어진게 많죠 그래서 프로를 위한 초중고 대학 복싱부는 존재하지않습니다 그저 상업성을 띄고 더 많은 돈을 벌수있는 기회가 있는 상업성을 가지고있죠
쉽게 말하면 아마추어 스포츠는 국제적스포츠로 더 안전하고 스포츠에 어울리게끔 룰을 설정하고 시합을 만드는것에있고 프로스포츠 같은경우 더 자극적이고 단순유희를 추구해서 룰을설정하죠
사람들이 아마추어 스포츠를 보고 노잼 이라면서 욕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건 프로스포츠가 아닌 국제적스포츠라 재미가 다소 없어도 스포츠적인 룰을 최대한 지키고 만드려는것이기 때문이죠
상업화가 되지않은 스포츠 중에는 수영 같은 스포츠가 있습니다 스포츠에서 말하는 상업성은 특정 스포츠를 더 자극적 유희로 바꿔서 프로스포츠로 만드는걸 말하는겁니다
복싱팬이라면 반드시 봐야할 교과서 같은 경기들 추천도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프레이져&알리(1차전)
제임스토니&마이크매컬럼(1차전)
레너드&헌즈(1차전)
두란&헤글러
카를로스몬존&베니브리스코(2차전)
아르게요&에스카레라(2차전)
로빈슨&바실리오(2차전)
장정구&사파타(1차전)
산체스&넬슨
차베스&로저 메이웨더(2차전)
파퀴아오&마르퀘즈(2차전)
베테르비에프&비볼
등등
아저는. 러닝을안하는걸로 생각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