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1 통합사회](수정-설명참고)【23】 시장의 한계(ft.독과점, 공공재 공급 부족, 외부효과)(5단원 시장경제와 금융) ㅣ 통합사회 강의 ㅣ 통합사회 노트필기ㅣ통합사회 공부방법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3 лют 2021
  • (내용 수정)
    6:16 에서 A : 경합성(ㅇ)를 사례를 들어 설명하는 내용에서
    "내가 물고기를 잡아도 다른 사람이 못잡는게 아니다"라고 설명한 부분이 틀렸습니다.
    "내가 물고기를 잡으면 다른 사람이 잡을 물고기가 줄어든다"라고 설명해야 맞는 내용입니다.
    (수정할 내용 알려주신 'hwjhe zhs'님께 감사드립니다.^^)
    [강의 pdf 파일 링크]
    blog.naver.com/dksemfflgl/222...
    안녕하세요. 주호티쳐입니다.
    오늘 수업은 시장의 한계(독과점, 공공재 부족, 외부효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촬영
    iphone8
    편집
    windows10 비디오편집기

КОМЕНТАРІ • 62

  • @hwjhezhs7035
    @hwjhezhs7035 2 роки тому +22

    선생님 6:16 여기에 나오는
    A:경합성(o)
    배제성(x)
    이 부분에서 경합성이 있다는 것은 "내가 소비하면 다른사람은 소비하지 못한다"는 거라 하셨는데, 왜 바다속 물고기를 예로 들을 때 내가 물고기를 잡아도 다른사람이 못잡는게 아니라고 설명하셨나요??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15

      헉 그러네요!
      ‘내가 물고기를 잡으면 다른 사람이 잡을 물고기가 줄어들죠’ 라고 정정해야 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ㅠㅠㅠㅠㅠ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5

      지금 모바일이라 수정이 어려워서요ㅠㅠ
      나중에 컴퓨터로 수정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hwjhezhs7035
      @hwjhezhs7035 2 роки тому +4

      아하~!!넵 답변감사드립니다!! 답변이 엄청 빠르시네요👍👍😁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5

      마침 공부하다가 발견해서요 ㅎㅎㅎ

  • @JE-ty4iq
    @JE-ty4iq 2 роки тому +4

    역시 지리는 주호티쳐 시험기간에 아주 좋은 영상인거같아요 내일 시험인데 감사합니다.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당! 시험 화이팅입니닷!😆😆

  • @hwjhezhs7035
    @hwjhezhs7035 2 роки тому +10

    와..진짜 감사합니다ㅠㅠㅠ외부경제부분만 30분넘게 붙잡고 있었는데 이 영상 하나로 한번에 이해했어요 ㅠㅠ 좋은 일 가득하시길..❤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1

      도움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덕분에 저도 기운이 나네요! 감사합니다!
      우리 같이 공부 화이팅입니다!😆😆👍

    • @user-yb8rc8kq9r
      @user-yb8rc8kq9r Рік тому

      저도요 ㅋㅋㅋㅋ

  • @gijujeong-8630
    @gijujeong-8630 2 роки тому +4

    진짜 설명도 잘하시고 집중도 잘돼서 시간 가는줄 모르겟네여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너무 좋은 칭찬이네요. 감사합니다! ㅎㅎ 아직 부족해서 더 노력해보겠습니다.
      공부 화이팅!!^^

    • @gijujeong-8630
      @gijujeong-8630 2 роки тому +1

      @@ji_joo_tea 넵!!중간고사 잘 볼게요!!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gijujeong-8630 후회없이 화이팅!!!ㅎㅎ

  • @wonys10
    @wonys10 Рік тому

    사회 맨날 혼자보다가 조는게 일상이였는데 너무 설명잘해주시고 깔끔하게 해주셔서 이걸 왜 지금 발견했나 싶네요ㅠㅠ 완전 감사드려요!!! 앞으로 한국지리까지 잘 부탁드립니다😊😊

  • @hidoc000
    @hidoc000 2 роки тому +2

    사랑합니다ㅠㅠㅠㅠㅠㅠㅠㅠㅠ덕분에 끙끙대던가 이해됐어요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도움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시험공부 화이팅하십숑💪💪💪

  • @user-pc3ts5qc8x
    @user-pc3ts5qc8x 3 роки тому +6

    정말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ㅠㅠ 설명 엄청 잘 하세요🤭❤️ 집중도 잘 되고 정리 된 거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꼭 대박나세요!!

    • @ji_joo_tea
      @ji_joo_tea  3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열심히 준비했는데 조금이나마 도움된 것 같아 뿌듯하네욤~~ 시험 화이팅입니다!! 😆💪💪 (주변에 홍보 부탁드려욥! 흐흐흐흐흐)

  • @user-zt9og6er5z
    @user-zt9og6er5z 2 роки тому +1

    사랑합니다

  • @user-nn5ce7gx7i
    @user-nn5ce7gx7i Рік тому

    정말 감사합니다!!!!!

  • @user-gz8pq9ig5m
    @user-gz8pq9ig5m 7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짜 감사해요오오오오오오오오 ㅠㅠㅠ

  • @user-gd4dn5ss2h
    @user-gd4dn5ss2h 2 роки тому +2

    안녕하세요 선생님~ 혹시 외부경제와 긍정적 외부효과는 같은 말인가요??
    아니면 제3자에게 의도하지 않은 혜택을 발생하는 것이 긍정적 외부효과이고
    혜택 발생 이후 이에 대한 보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까지를 외부경제라고 보면 되나요?
    늘 도움받습니다 감사합니다~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예 처음에 말씀하신 것이 맞습니다.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외부효과’라고 부르구요. ‘긍정적인 외부효과’를 ‘외부경제(효과)’라고 부릅니다.
      ‘(의도하지 않았지만) 발생한 긍정적인 효과’ 까지만 외부경제(효과)로 보시면 되구요.
      그 이후 내용은 정부의 역할과 그(정부의 역할에 대한)결과에 대한 내용이라고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 @user-gd4dn5ss2h
      @user-gd4dn5ss2h 2 роки тому +1

      @@ji_joo_tea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늘 감사해요~☺️☺️

  • @number2025
    @number2025 7 місяців тому

    마지막에 노트필기하신거 전체로 한번 보여주시면 좋을거같아요 ㅜ

  • @user-eo1ol5pj5p
    @user-eo1ol5pj5p 2 роки тому +1

    선생님 감사해요 사회 1등급 받아올게요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옙!!! 화이팅입니더!!!😊😊💪💪💪

  • @user-bu7rq9yf4l
    @user-bu7rq9yf4l Рік тому

    생산 측면과 소비측면의 외부경제와 외부불경제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 @wonys10
    @wonys10 Рік тому

    외부경제는 그 자체만으로는 자원의 효율적 배분 아닌가요? 물론 거기에 대한 이익이나 보상이 없으면 외부경제가 줄긴 하겠지만 외부경제가 발생하는 그 상태만으로 보면 왜 시장 실패라 하는지 궁금해요

  • @user-vt3un4gd1z
    @user-vt3un4gd1z Рік тому

    오 .. 감사합니다 🤍🤍

  • @user-ttgur5gh8l
    @user-ttgur5gh8l 2 роки тому +3

    선생님 혹시 시장실패의 사례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해결방안이 있는지도 궁금해요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1

      시장 실패의 사례는 현재 급격한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경제가 망한 베네수엘라와 같은 경우를 들 수 있겠죠.
      시장경제의 학문적 이론은 이론일 뿐, 실제 세계의 모든 경우의 수를 다 담지 못할 뿐더러+인간은 꼭 합리적 선택을 하지 않습니다.(개인의 감정, 무지 등등때문에 비합리적선택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
      그렇게 되면 합리적 선택을 가장 기본으로 하는 경제학 원리에 의해 국가 경제를 운영하는 방법으로는 실제 세계와 이론 사이의 괴리(차이)를 해결할 수 없겠죠. 그럼 시장이 문제가 생기고 심하면 붕괴 또는 실패하는 것이죠.
      해결방안은 어렵습니다.
      이 해결방안에 따라서도 다시 두개로 갈립니다.
      1. 정부가 적극적으로 힘을 행사해야한다(왜?시장은 불완전한 개인들의 집합이므로 항상 문제가 나타나니까) by 수정경제주의(적극적 정부역할 주장)
      2. 정부가 어정쩡하게 개입하고 규제해서 지금 시장이 완벽하게 작동하는걸 방해했기때문에 문제가 발생한거다. 그러니까 이제 정부는 소극적으로 작은 정부로만 있어라. by신자유주의, 시장 자유주의(작은정부 주장)
      이렇게 볼수있지 않을까요?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1

      완벽한 해결방안은 없습니다. 저 두개 중 중간지점 어딘가에서 각 국가의 정치인들의 힘겨루기로 어떤 식으로 국가를 운영할지 합의점을 찾을 뿐이죠.

    • @user-ttgur5gh8l
      @user-ttgur5gh8l 2 роки тому

      @@ji_joo_tea 헉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 @user-zu7lm1rf9s
    @user-zu7lm1rf9s 2 роки тому +4

    시장 경제랑 시장 불경제효과 모두 시장 실패의 결과가 맞나요..?시장 경제는 좋은 거 아닌가요??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2

      정확히는 시장의 한계라고 표현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외부효과 중 외부불경제는 안좋은 것이므로 이것을 통제하지 못하면 시장의 실패라는 결과가 나오게될테죠. 반대로 외부효과는 의도치않은 좋은 일인데, 이것을 많이하게하지 못한다고 실패하고 하긴 좀 애매하니까요. 약간의 한계가 있다 이정도로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외부경제 효과는 좋은 효과가 맞습니다.^^

  • @user-sz2ju2bm6u
    @user-sz2ju2bm6u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외부경제랑 긍정적외부효과랑 같은말인가요?

  • @user-jp7wo7to3h
    @user-jp7wo7to3h 2 роки тому +2

    1학기 사회 8등급 나왔는데 ㅋㅋㅋㅋ
    한번 해보고 내일 시험인데 결과 어떻게 나오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일단 한번 해보시는게 중요하죠~ 화이팅입니다💪

  • @maybee1411
    @maybee1411 3 роки тому +4

    무슨 펜 쓰시나요

    • @ji_joo_tea
      @ji_joo_tea  3 роки тому

      제트스트림 1.0 입니다.^^

  • @two_river
    @two_river 2 роки тому +3

    시험 2시간 전인데 진짜 많은 도움 받아갑니다..❤️❤️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시험 화이팅입니당~!!😆😆💪💪

  • @user-rh5cw1rj9d
    @user-rh5cw1rj9d 2 роки тому +2

    선생님 교과서에 외부효과가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을 초래한다고 되어있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교과서 사진이나 전문 문장을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채널아트 인스타 dm으로 질문 보내주셔도 됩니다^^

    • @user-rh5cw1rj9d
      @user-rh5cw1rj9d 2 роки тому +1

      “위 사례(마을에 공장이 들어와 주민들이 호흡기 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일이 잦아지고 옷을 더 자주 세탁해야 했으나 공장에서는 보상이 없음)에서 마을 주민들은 공장 가동으로 피해를 보았지만, 이에 아무런 배상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는 다른 사람 또는 사회전체에 의도하지 않은 혜택이나 손해를 가져다주면서도 어떤 대가를 받거나 지급하지 않는 외부호과 때문이다. 외부효과는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을 초래하여 시장의 한계를 가져올 수 있다.” 교과서 내용이에요!!!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user-rh5cw1rj9d 먼저, 효율적이라는건 경제학에서 볼 때 가장 이상적인 상황을 말하죠. 근데, 그건 일상 생활에서는 불가능한 말그대로 ‘가정’입니다.
      실제로는 이상적이지 않은 뜻하지 않은 일들이 일어나죠. 이것을 외부효과라고 부릅니다.
      이제 외부효과의 의미은 아시겠죠. 의도하지 않은 효과입니다.(그것이 좋든 나쁘든)
      그럼 질문하신 내용은
      의도하지 않은 효과로 인해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을 가져왔다 이렇게 되겠네요.
      지금 본문 상황을 보면, 공장의 입지로 인해서 주민들이 호흡기 질환에 시달리고 세탁을 또 해야하죠.
      여기서 호흡기 질환 치료비용과 세탁에 드는 비용이 바로 의도치 않은 비용, 즉 외부효과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자원이 비효율적 이용되는 것입니다. 왜 굳이 예상치 못했던 비용(자원)을 비효율적으로 써야하나요.
      그러니까 공장이 생겨서 여러모로 좋을수도 있지만, 그로 인해서 생기는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효과, 즉 주민치료비용과 세탁비용이라는 외부효과가 발생하는 겁니다.
      그리고 여기에 드는 비용운 자원이 비효율적 이용되는 거라고 봐야겠죠. 그 돈과 시간을 다른 곳에 투자할 수 있으니까요.(병원까지 가는 차에 들어가는 석유, 그리고 그 시간에 할 수 있을지 모르는 공부시간 자기계발 시간 이 모든것이 자원이고, 이것이 낭비되므로 비효율적인 것이죠.)
      (외부효과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을수있어요. 사례에 따라 다르지만 이런 사례는 부정적 외부효과입니다.)

    • @user-rh5cw1rj9d
      @user-rh5cw1rj9d 2 роки тому

      @@ji_joo_tea 헉 완전 확실하게 이해했어요!! 늦은밤에 이렇게 정성스럽게 답변해주시다니 정말 감동이고 감사합니다…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선생님!!!❤️❤️❤️❤️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user-rh5cw1rj9d 아니에요 주말이라 늦게잡니다 ㅋㅋ그리고 이렇게 질문하고 답변드리는 과정에서 저도 부족한 거 많이 느끼고 보충하고있어욥~ 앞으로도 단어 하나라도 사소한거 궁금하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공부 화이팅!💪😊

  • @arim9691
    @arim9691 3 роки тому +2

    자습서로도 이해안된거 잘 됬어요~감사합니다 🤭

    • @ji_joo_tea
      @ji_joo_tea  3 роки тому

      와우 혼자 공부하는게 원래 힘들죠… 대단하십니다! 그리고 도움 되었다니 뿌듯하네요! 😊
      공부 화이팅!!💪💪

  • @user-xf2qy6kp2q
    @user-xf2qy6kp2q Рік тому

    시장 실패의 원인에서 불완정경쟁이 아니라 불완전경쟁 아닌가요?

  • @graggeo9287
    @graggeo9287 9 місяців тому

    양봉업자는 개인의 소득을 위해서 벌을 키우는 것이지 과수원의 좋은 일을 하려고 키우는 것이 아니잖아요. 그럼 자기 소득을 위해서 최대한 늘리려하지 않을까요? 굳이 사회적 필요보다 적게 생산할 이유가 있나요? 벌이 많아질 수록 소득이 커지지 않나요?

    • @user-db3hq4uw2f
      @user-db3hq4uw2f 8 місяців тому

      님의 질문을 양봉업자가 현재보다 좋은 소득을 위해 양봉사업장을 더 확장하여 양봉업 양을 늘리는 것을 할지말지 고민하는 것 으로 예를 들자면(이것도 양봉업자의 소득 증가를 위한일중 하나니깐) 양봉업자가 소득을 위해 양봉사업장을 더 늘릴까 하는 마음이 있지만 양봉사업장 확장 비용으로 인해 손해의 값을 같이 고민중이라면 쉽게 양봉사업장 확장 여부를 쉽게 정하지 못 할 것 인데 만약 사회가 양봉업자의 활동으로 인해 긍정적인 외부효과를 보고, 그에대한 대가 겸 긍정적 외부효과 촉진을 위해 그 양봉업자의 양봉업 확장을 금전적으로든 무엇으로든 도와준다면 양봉업자는 자신의 양봉업장을 늘릴지 말지 하는 고민이 그나마 나아지겠죠.

  • @user-ej7ml5zh3t
    @user-ej7ml5zh3t 2 роки тому +1

    9:32 감사합니다 ㅠ

  • @user-xr6uo3qw8w
    @user-xr6uo3qw8w 3 роки тому +2

    잘가르키시네여 ㅎㅎ

    • @ji_joo_tea
      @ji_joo_tea  3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닷! 허허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