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etition for next-generation battery development, lithium sulfur, lithium metal, all solid state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114

  • @임정훈-t6q
    @임정훈-t6q 4 роки тому +36

    정말 배터리 관련되서는 가장 유용한 채널이지 않나 생각됩니다^^

  • @alexlee3898
    @alexlee3898 4 роки тому +3

    오늘도 멘트속에 어마어마한 힌트와 정보가 숨겨져 있네요
    요즘은 선생님께서 해주신 멘트에 스스로 답을 달아보고 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꼬마돈까스
    @꼬마돈까스 4 роки тому +1

    유튜브의 알수없는 알고리즘이 저를 이곳으로 인도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구독추천박고갑니다 행복하세요 감사합니다

  • @이서-u3g
    @이서-u3g 4 роки тому +14

    가장 유용하게 보는 채널입니다
    감사합니다

  • @상설짱
    @상설짱 4 роки тому +6

    애써주시는 소중한 영상으로 흐름을 따라가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harveykim5231
    @harveykim5231 4 роки тому +3

    저도 엔지니어 입니다. 다른분야이긴 하지만 이렇게 기술적으로 깊은 내용을 계속해서 올려주시니 투자의 방향성을 잡는데 엄청난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 @서지니-t2z
    @서지니-t2z 4 роки тому +2

    감사히 잘들었습니다. 주말 잘 보내세요~

  • @suekang8699
    @suekang8699 4 роки тому

    신뢰가 가는 방송입니다. 저 같은 초보자도 여러번 들으니까 조금씩 이해가 되기시작하네요. 감사합니다.

  • @Sougemm
    @Sougemm 4 роки тому +5

    감사합니다 각도기TV와 많은 협업을 기대합니다 ^♡^

  • @xwarp7
    @xwarp7 4 роки тому

    정말 다양한 정보를 한번에 설명해주시는게 점점 깔끔해지고, 자연스럽습니다.
    이번에 보면서 저 많은걸 정리하시고 쉽게 풀어주시는데, 너무 고맙습니다. ^^

  • @willam518
    @willam518 4 роки тому

    항상 느끼는거지만 정말 수준높은 영상 입니다 최고십니다 감사합니다

  • @누리-t8n
    @누리-t8n 4 роки тому +8

    정보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 @공부는나의힘
    @공부는나의힘 4 роки тому +48

    2차전지는 기업의 미래도 좌우하지만 한국이란 지하자원매장량이 제로인 국가의 미래를 좌우합니다 꼭 성공해야합니다

    • @chriskim2958
      @chriskim2958 4 роки тому +1

      확실한 미래 먹거리중 하나죠. 활용될곳이 무궁무진할테니까요. 기존 가솔린, 디젤엔진으로 운용되던 적지않은 기계들을 전부 배터리와 모터 기반으로 바꿀수 있을테니까요.

  • @안선희-p7s
    @안선희-p7s 4 роки тому +5

    감사합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

  • @Ytter-9
    @Ytter-9 4 роки тому +3

    최고입니다 :)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 보고있습니다

  • @다블루빈
    @다블루빈 4 роки тому

    배터리 관련소식은 여기서 알아가네요. 좋은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 @강석범-n9q
    @강석범-n9q 4 роки тому +6

    이차전지 분야에 대해 아주 깊은 식견을 가지고 계셔서 항상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박원양-r6x
    @박원양-r6x 4 роки тому +6

    3사 모두 잘 성장하길 바랍니다.

  • @1.1m40
    @1.1m40 4 роки тому +1

    오늘 오후에 궁금했던내용을 바로 긁어주시는군요 감사합니다

  • @harudad
    @harudad 4 роки тому +10

    급 궁금했던 부분을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근 코나 화재도 기사화되어 좀 걱정스럽네요.

  • @JAEILLEE-j2l
    @JAEILLEE-j2l 4 роки тому

    매번 잘 보고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다른 분들께 채널 많이 소개하고 있습니다

  • @doubledouble5064
    @doubledouble5064 4 роки тому

    선생님의 배터리 영상을 보고 있으묜 꼭 배터리가 아니더라도 많은 도움이 되요. 아 정말 공부 많이 됩니다.

  • @이주아-j1g
    @이주아-j1g 4 роки тому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우리나라 기업들도 화이팅!

  • @solidbattery9956
    @solidbattery9956 4 роки тому

    언제나 멋진 영상 감사드립니다👍👍

  • @방경민-e8m
    @방경민-e8m 4 роки тому

    늘 감사합니다

  • @지완이-k5h
    @지완이-k5h 4 роки тому +12

    국내 배터리3사가 미래 글로벌 배터리시장을 선도하는 시장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hanlee1891
    @hanlee1891 4 роки тому +9

    화재.이슈가
    결국 배터리 1차대전의 승패를.가를수도 있겠네요
    Ess화재로 절치부심 대책을 세웠던 sdi에게는.좋은 기회이기도 하겠네요

  • @iphunter95
    @iphunter95 3 роки тому

    배터리 관련지식을 이렇게 잘 설명하는 채널이 있는 줄 몰랐네요. 잘 보고 있습니다. 특허소송은 결국 협의로 끝내는 경우가 많은데 최대한 유리한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해 엔지니어가 보기에 좀 의미 없어 보이는 특허까지도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시간, 비용, 노력을 최대한 쓰게 만들죠.

  • @진검프
    @진검프 4 роки тому +1

    각도기tv보고 왔어용~~~^^

  • @박영사-i3c
    @박영사-i3c 4 роки тому

    깊이있는 강의 감사합니다

  • @Welcome2reply
    @Welcome2reply 4 роки тому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공부는나의힘
    @공부는나의힘 4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기사보고 궁금했어요

  • @견우직녀-d4p
    @견우직녀-d4p 4 роки тому +1

    최고에요~!! 감사합니다

  • @단단-s5f
    @단단-s5f 4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 @송선-l7b
    @송선-l7b 4 роки тому

    오늘 평소에는 요동이 적은 회사가 이것 때문인지 3퍼 이상 움직이더라고요 믾이 배우고 있습니다

  • @narikim5995
    @narikim5995 4 роки тому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zeropark9451
    @zeropark9451 4 роки тому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 @minjung4450
    @minjung4450 4 роки тому

    감사드립니다 ^^

  • @jump6747
    @jump6747 4 роки тому +3

    각도기 tv에서 잘 봤습니다~~^^
    저는 원래 두군데 다 구독자인데, 엔지니어는 첨부터 끝까지, 각도기는 띠엄띠엄

  • @김규열-p3i
    @김규열-p3i 4 роки тому

    정말 알찬정보 좋은 정보네요

  • @tylerlee4335
    @tylerlee4335 Рік тому

    리튬황 현재 2023 궁금합니다. LG 기술로드맵 예측 방송이 없어서 궁금하네요

  • @나리꽃-m2g
    @나리꽃-m2g 4 роки тому +2

    잘 봤습니다.

  • @김정민-w2e
    @김정민-w2e 4 роки тому +19

    영상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엘화 주주입장에서 배터리 데이가 걱정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리튬황 비행기 테스트를 엘화에서 발표해도 막 엄청난 반향을 일으킨건 아니지만..반대로 똑같은 내용을 테슬라에서 발표했으면 어떤 반응이었을까 궁금합니다. 막 혁신이라고 치켜세우진 않았을까요? 여튼 우리나라 배터리 3사들 꼭 성공했으면 합니다.

    • @paperboyhong9743
      @paperboyhong9743 4 роки тому +1

      예 맞습니다. 테슬라는 자신의 능력에 비해 과대평가 되어 있죠. 일론머스크의 홍보능력과 언론플레이능력이 가히 천재적입니다. 자율주행 성능도 평범한데 사람들 대부분이 최고인줄 알고 있죠 자동차 품질도 3류 메이커 수준인데 그런건 상관도 하지 않아요 현대차가 품질이 그렇게 나오면 아주 가루가 됐을거예요. 이젠 거의 뭐 테슬라교 종교 수준입니다. 정말 답답한 일이지요.

  • @민주공화국-u9g
    @민주공화국-u9g 4 роки тому

    덕분에 배터리 전문가 흉내를 낼수 있을 것 같아서 감사함다. 얼치기 무당수준으로 ^^

  • @MrVegasoul
    @MrVegasoul 4 роки тому +6

    리튬황 배터리를 전기차용으로 적용에 있어 2025년은 선행 연구의 꿈일 뿐 갈길이 멀게 느껴집니다. 최초 기사는 세부적인 케미스트리가 공개 되었는데 간략한 내용으로 변경되어 있네요.
    최초 기사에 따른 음극은 리튬 메탈이고 양극은 탄소 황 복합 소재인데 리튬 메탈의 덴드라이트 문제는 아직 뚜렷한 해결책이 등장한 것이 아닙니다. 결국 수명과 안전성에 있어 태생적 결함이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리튬황의 근원적 문제는 셀전압이 낮고 이온의 이동 속도가 떨어지는 점입니다. 단위 셀의 저항도 크고 팩을 구성하기 위한 직렬 연결하는 셀의 수도 1.9배가 되어 팩의 저항이 적어도 4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결국 배터리의 발열문제에 따른 냉각 문제 및 낮은 에너지 효율과 긴 충전시간 등의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중량 에너지 밀도는 개선 가능하나 부피 에너지 밀도가 개선되는지는 미지수입니다. 전기차는 제한된 공간에 배터리를 얼마나 탑재하는가의 경쟁이기 때문에 과연 리튬황이 어떤 메리트를 제공할런지 의문입니다. 무게 감소에 의한 연비 향상은 발열 증가에 따른 연비 손실로 상쇄될 것이구요. 무게가 중요한 드론같은 경우는 뚜렷한 차별성을 보일 수 있어 이를 타겟으로 개발한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리튬황 배터리는 낮은 전압과 높은 저항과 리튬 메탈에 의한 안전성 문제와 낮은 싸이클 수명 이슈로 인해서 전기차용으로 양산 적용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 보입니다.

    • @炒币学
      @炒币学 4 роки тому +1

      배터리 프로이군요 대단합니다

    • @라이너-p2s
      @라이너-p2s 4 роки тому +1

      전고체 배터리 넘어가명 동박 소멸한다는데 이런 부분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MrVegasoul
      @MrVegasoul 4 роки тому +2

      @@라이너-p2s 집전체는 필요합니다. 전고체 전지는 갈길 멀었습니다. 현재 돌아가는 상황 보면 자동차 용으로는 불가능할 수도 있어요.

    • @라이너-p2s
      @라이너-p2s 4 роки тому

      @@MrVegasoul 아 ㅎㅎ 삼성sdi 전고체 관련해서 nature 논문인가 거기에서는 동박 집전체가 없이 sus로 음극 집전체가 사용된것으로 보여서 동박이 소멸 된다는 엔지니어tv내용을 본적도 있고 그래서 사실인지 아닌지궁금했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동박은 20년 30년 그래도 계속 지금보다는 더 사용 하겠네요

  • @jhkim1522
    @jhkim1522 4 роки тому +9

    항상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비정질 재료를 이용한 음극제 개발 자료는 없을까요?

  • @좋은하루되세요-v1z
    @좋은하루되세요-v1z 4 роки тому

    잘 보았습니다

  • @좋은생각-j4s
    @좋은생각-j4s 4 роки тому

    좋은 구독자님들이
    천천히 가득 채워질 것입니다.

  • @hjlee391
    @hjlee391 4 роки тому +8

    엔지니어 tv 보면서 왜 화학 회사가 2차전지 관련된 사업을 하는지 알것 같습니다.
    테슬라가 배터리를 만드는 것은 좀 현실성이 없겠네요..

  • @원준-i2g
    @원준-i2g 4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 @노형철-c4h
    @노형철-c4h 3 роки тому

    0:38초의 배터리 기술 로드맵 자료는 어디서 구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피닉스-g5k
    @피닉스-g5k 4 роки тому

    엘지화학이 23년에 리튬황 상용화한다는 목표로 비행시험을 했다고 머니티비에 나온던데요

  • @gyungdoolee5994
    @gyungdoolee5994 4 роки тому

    코캄 배터리 개발현황 궁금합니다

  • @alphago410
    @alphago410 3 роки тому

    리튬전지도 건전지로 가네요.
    건전지 하면 1차전지에다 에너지 밀도가 낮은 사양전지는 옛말이 되는군요

  • @앙팡소
    @앙팡소 4 роки тому

    유익한정보 감사합니다
    질문인데요!! 2분22초에 나온 그래프에서
    리튬,리튬메탈,리튬에어을 이야기하셨는데
    이 얘기는 2025년뒤에서 리튬수요는 꾸줁히 증가한다는것인가요??ㅜㅜ

  • @보노보노-y9b
    @보노보노-y9b 4 роки тому +9

    아 니콜라 회장은 사기혐의로 기소된다 안된다 얘기가 많아서...GM도 말려들어서 손해봤다고 하고요...우리 배터리 업체들이 손해 안봤으면 좋겠네요

  • @diamolee559
    @diamolee559 4 роки тому

    보쉬가 니콜라에 공급한다는 수소 연료전지 스택은 자체 개발한 것이 아니라
    스웨덴 업체에서 받아서 조립만 한 것이라 합니다.
    이 스웨덴 업체가 당초 니콜라와 협업하기로 했다가 철회해서 보쉬가 대신 나섰는데...

  • @비비디바비디부-d4g
    @비비디바비디부-d4g 3 роки тому

    9:33 부분 참고 자료 출처 알 수 있을까요? 구매해서 공부하고 싶어서요!

    • @eng_tv
      @eng_tv  3 роки тому

      repository.kisti.re.kr/handle/10580/6560

  • @yonghochun7474
    @yonghochun7474 4 роки тому

    영상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근데 마지막 SDI 제품소개 영상은 어디에서 찾을수 있을까요?

    • @eng_tv
      @eng_tv  4 роки тому +1

      samsungsdibs.at/service/news/news-details/new-ways-are-established-through-action-49

  • @유장미-x6d
    @유장미-x6d 4 роки тому +1

    코나 전기차 화재는 왜 자주 나나요?
    엘지화학 밧데리래요...

    • @paperboyhong9743
      @paperboyhong9743 4 роки тому

      엔지니어 tv에서도 언급했듯이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가 원인이구요. 코나뿐만 아니라 모든 전기차의 공통된 현상입니다. 전기차를 가장 많이 만드는 중국이 확율적으로 화재사고가 많구요 catl제품이 화재에 취약하다는 설도 있습니다. 국내기업이라 좀더 화재보도를 더 접하다 보니 그렇게 느껴지는 것일 겁니다. 액체 전해질 자체가 화재에 취약해서 현재 상용차에 쓰이는 배터리는 상황에 따라서 화재 위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전고체 배터리가 더 좋은 배터리라는 거죠 액체 전해질 대신에 고체 전해질을 쓰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이 거의 없죠.

  • @inkoansong5909
    @inkoansong5909 4 роки тому

    배터리 기술의 종착지는 어디래요?

  • @임영훈-j3t
    @임영훈-j3t 4 роки тому

    좋아해서 구독하고 있지만 전공분야가 아니라 댓글을 달지 못했네요.
    수출로 먹고사는 대한민국인데도 우리나라 유튜버가 별루 없다는 건 공돌이(애칭으로 사용했어요)를 폄하하는 문화 때문인지 많지 않네요.
    실례될 수 있는 얘기지만 전 이와 같은 유튜버가 많이 생겼으면 합니다.
    직업에 귀천이 없는데 아직 우리는 편견이 많네요.
    국가의 문제라기 보단 결정권자의 나이가 많고 고리타분하기 때문이겠죠?!
    민주주의가 서서히 뿌리내린 것처럼 꼰대들도 시류를 잃는 슬기로움을 기대하며...

  • @jhk5426
    @jhk5426 4 роки тому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8:40에 나오는 pdf 자료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 @jhk5426
      @jhk5426 4 роки тому

      추가로, 15:15에 나오는 삼성SDI 관련 자료는 어디서 찾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ㅠㅠ

    • @eng_tv
      @eng_tv  4 роки тому +2

      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469%7C1%7C%EB%AF%B8%EB%9E%98%EC%9C%A0%EB%A7%9D%EA%B8%B0%EC%88%A0_%EB%A6%AC%ED%8A%AC%ED%99%A9%EC%A0%84%EC%A7%80(%EC%B5%9C%EC%A2%85).pdf

    • @eng_tv
      @eng_tv  4 роки тому +1

      samsungsdibs.at/service/news/news-details/new-ways-are-established-through-action-49

  • @jeffreyharrison1286
    @jeffreyharrison1286 4 роки тому

    흑연이 리튬황 배터리의 키가 될수도 있다?라고 봐도 되는건가요?
    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eng_tv
      @eng_tv  4 роки тому +1

      흑연에서 재가공 기술이 들어가야 합니다.

  • @jkim7879
    @jkim7879 4 роки тому

    이게 상용화 가능할까요 ㅋㅋ (개인적으론 어렵다고 봅니다만..)

  • @wonjoonsong7483
    @wonjoonsong7483 4 роки тому

    영상에 나온 논문 자료 레퍼런스가 어떻게 되나요? 따로 읽어보고 싶습니다

    • @eng_tv
      @eng_tv  4 роки тому

      sanhakdb.pusan.ac.kr/assets/download/file/?i=469%7C1%7C%EB%AF%B8%EB%9E%98%EC%9C%A0%EB%A7%9D%EA%B8%B0%EC%88%A0_%EB%A6%AC%ED%8A%AC%ED%99%A9%EC%A0%84%EC%A7%80(%EC%B5%9C%EC%A2%85).pdf

  • @지식빅뱅
    @지식빅뱅 4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혹시 기업별 특허 개수는 raw data는 어디서 찾을 수 있는 거에요?

    • @eng_tv
      @eng_tv  4 роки тому

      구글에서 lithium sulfur patent

    • @지식빅뱅
      @지식빅뱅 4 роки тому

      @@eng_tv 아항 감사합니다~

  • @Hoon_Pak
    @Hoon_Pak 4 роки тому

    전고체보다 황배터리가 먼저 양산될 수도 있나요?

    • @eng_tv
      @eng_tv  4 роки тому

      스타트업 숫자로 보면 전고체가 먼저 가능성이 높습니다.

  • @2only237
    @2only237 4 роки тому +12

    아...
    엔지니어TV... 배터리에 대해 엔지니어링적인 얘기만 하면 좋겠는데..., 학문적인 얘기는 자칫 큰 오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마치 곧 새로운 차세대 배터리 기술이 상용화 될 것 마냥 회사가, 연구소가, 교수가 하는 얘기를 기사로 받아 쓰는 것은 위험해요. 전지 회사에서 기술력 자랑 때문에 발표하는 자료를 그대로 받아서 게시를 하면, 마치 그 회사가 순식간에 주가가 올라갈 것 같이 보이게 되고... 전지 회사는 기술에 혹해서 주식을 사거나 하면 위험합니다. 확실한 매출 실적을 보고 ROE 같은 가치를 보고 들어가도 늦지 않아요... 미리 들어가면 안됩니다. 특히 스타트업들 얘기는 100% 블러핑 입니다...
    2차 전지, 특히 리튬이온 전지는 엔지니어링이 99%이고, 이 분야에서 강점은 우리나라와 일본입니다. 그래서 전세계에 우리와 일본이 센겁니다. 중국계 호주인 연구원????(특히 중국계 애들 논문 조심해야 합니다)이나, Dahn 박사 family???(이 집안은 시뮬레이션 쪽으로 유명하죠... 배터리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리화학 반응에 대한 시뮬레이션) 같은 이론적으로만 말하는 사람들 얘기는 대부분 허상입니다.
    리튬황, 전고체 모두 리튬 메탈을 음극으로 하는 시스템입니다. 저가격, 안전성 때문에 개발한다고 하는 시스템에 리튬 메탈이라니... 그래서 리튬-황 전지에도 또 다시 리튬 메탈 대신 Si나, Mn을 섞은 음극 재료를 넣으려 하는 겁니다. 전도도가 리튬이온보다 낮은데, 양극만/전해질만 바꾼다고 되는게 아닙니다. 이미 옛날에도 많은 시도를 했었고요... 리튬 메탈을 2차 전지에 사용하는 것은 아주 먼 얘기입니다. 연금술과 다름 없어요... 리튬 메탈... 2차 전지에는 안됩니다...
    리튬-황 전지, 공기전지(리튬 공기전지 포함)... 이미 위성용, 군용 처럼 특수 분야에서는 사용을 했던 것들입니다. 상업적으로 되지가 않은 이유는, 엄밀히 말해서 지금의 리튬이온전지 시스템에 가성비로 상업용 시장에서 상대가 되지 않은 시스템들입니다. 리튬이온전지보다 역사가 더 긴 전지들이예요... 그런데 갑툭튀처럼 넘사벽의 리튬이온이 91년도에 나오니 그 후론 시장이나 연구개발에서 외면 받은겁니다.. 이제 뭐 더 해 먹을게 없으니 예전에 해 봤던 것들 다시 꺼내서 보는 거고... 거의 죽은 자식 xx 만지는 거나 다름 없는.. 사실 리튬이온도 50~60년대부터 이런 저런 시도를 하다가 소니에서 하드카본 음극이란것을 도입해서 안전성이 그나마 확보 가능성이 가시적이니까 시장에 나왔고, 지금은 하드카본 보다는 좀 위험하지만 그라파이트가 워낙 발전하니 작금의 시스템이 된 거고...
    하여간, 공기전지 중, 아연 공기전지(Zn-Air battery) 같은 것은 보청기에 1960년대 이전부터 사용되던 시스템입니다. 지금도 많은 보청기에 사용하고요.. 알루미늄 에어전지도 있지만 Zn가 워낙 싸니까... 그런데 공기전지는 충전이 안되는 1차 전지 얘기고... 리튬-황 전지는 50~60년대 부터 특수 목적으로 일부 적용 했었고...
    엔지니어링이 아닌 학문적인 얘기를 하려면 리튬-황 전지에 대한 구글 검색해서 최신 논문을 하나라도 찾아서, 충방전 그래프와 전도성, 특히 Over potential 그래프 같은 실용적인 데이터를 하나라도 보시고 이해가 되면 학문적인 얘기를 썼으면 합니다...그냥 남들이 배포하는 선전용 자료나 로드맵만 가지고 얘기만 나열할게 아니라...
    이 영상을 보시는 대부분 분들이 주식에 관심이 있으실텐데, 전지 관련 주식은 실적을 보시고 들어가세요.
    이쪽 기술은 발전이 매우 더딥니다. 기술이 있어도 엔지니어링이 수반되지 않으면 실적으로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엔지니어링이 너무 힘든 분야예요. 소니가 다른 유수의 전지 회사를 제치고 갑작스레 리튬이온전지를 상업화하게된 배경도, 강력한 비디오 테이프 생산 기술(전극 코팅 기술 보다 더 하이테크임)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전에 댓글에도 썼었는데, 반도체는 통신사 같고, 전지는 전력회사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없으면 절대 안되지만 화려하지 않은 산업입니다. 수익을 내기도 어렵고... 70, 80년 부터 2000년대 까지 날았던 굴지의 일본 전지 회사들이 왜 줄줄이 리튬이온전지사업을 접게 되었냐면 기술적으로 치고 나가지지가 않는 기술 분야였기 때문이예요, 제조 공정이나 엔지니어링만 갖고 경쟁을 해야 했으니 우리나라에 잡히고, 중국에 밀리고... 전지는 반도체가 아닙니다. 전고체 전지도 반도체처럼 공정(다층구조? 블럭구조?)을 하면 될 것 같지만, 절대 그렇게 가면 안되요... 되지도 않고.... 전자들끼리 노는게 아니라, 이온들이 움직여야하기 때문에...

    • @alexlee3898
      @alexlee3898 4 роки тому

      매출실적보고 roe. 봤으면 작년에 LGC 살수 있었나 ㅋㅋㅋ 영상이나 보고 댓글을 다시는건지

    • @2only237
      @2only237 4 роки тому +1

      @@alexlee3898 판단은 본인이..ㅎㅎ
      이제 회계 공부를좀시작하시는모양인데,유투브로..
      전지산업에서는 실적을 봐야지 어설픈 기술얘기에 혹해서 투자하지 말라는 조언을 얘기한거니 알아서해석하시길..lgc가전지만하는회사도아닌데..

    • @hhlee-ce7ze
      @hhlee-ce7ze 4 роки тому

      @@name3545 테슬라 이상하게 국내에서 종교화 되어서 개인들이 묻지마 투자를 하는데 현재 2차 전지는 코스피 역사내에서 그저 무난한 밸류입니다. 테슬라 per1000배 pbr100배이상 .. 전기차를 테슬라만 만드는것도 아니고 향후 3년에 걸쳐서 1/10 토막나도 이상할것이 없습니다. 인테넷은 플랫폼 초기 점유율이 유지되는 경향이 강해서 높은 밸류가 안정되는 반면 제조 제품은 경쟁이 심합니다 다 같이 양산 들오가면 세계 자동차 평균 per 8에서 12배 입니다
      반면 배터리 소재기업은 엄청난 특수를 누리게 됩니다 결국 테슬라가 차세대 소재 기술력 없으면 단타로 접근해야 되는 주식이 테슬라입니다

    • @라이너-p2s
      @라이너-p2s 4 роки тому

      @@2only237 진짜 고수분이 나타나셨네요 ㅠㅠ 동박 소멸에 관련하여 엔지니어tv에서 나온적 있는데 동박이 전고체에서는 필요 없을것으로 예상 하시나요??

  • @tktop11
    @tktop11 4 роки тому

    배터리 발전은 더뎠다?
    반도체는 빨라?
    결국은 이익실현 빠른곳으로 집중 투자연구한다.
    지금은 배터리이며 테슬라,또는 기초과학 튼튼한 나라야.
    기초과학????? 우리나란 아니자나요 ㅠ.ㅠ

  • @wenhaobai7137
    @wenhaobai7137 4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니콜라가 진짜로 배터리기술이 없는건가요 . Bosch 하고 협력햇다고 나오는데..

    • @eng_tv
      @eng_tv  4 роки тому

      보쉬에게서 수소 스택 부품을 받습니다.

    • @wenhaobai7137
      @wenhaobai7137 4 роки тому

      답변감사합니다.

  • @김차우-z4o
    @김차우-z4o 4 роки тому

    현우산업..열배 간다-수소전기차 전지 배터리BMS 전자제어 자율주행#송도 바이오사 인수#대주주 변경#이낙연#매출 1,700억 이익 100억.시총 500억.우량 성장주

  • @markswanson4967
    @markswanson4967 4 роки тому +3

    외부로 알려진것과 다르게 LG-SK 미국 소송전은 LG쪽이 안심할 수준이 아닌것 같습니다. 최근 LG에서 과민하게 반응하는 이유겠지요.

  • @김만던-i8i
    @김만던-i8i 4 роки тому

    혹시 참고하신 서적(?)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eng_tv
      @eng_tv  4 роки тому

      대부분 검색 자료입니다.

  • @rhkdauddls
    @rhkdauddls 4 роки тому +1

    니콜라로 LG 손해가 막심할듯

  • @세노테
    @세노테 4 роки тому +4

    선추천 후정독

  • @라조장
    @라조장 4 роки тому

    비전공자가 보기 좋은 베터리 관련 서적, 추천 부탁드려도 될까요?!

    • @운동님
      @운동님 4 роки тому

      그냥증권사 산업리포트 몇개구해서보세요 유튜브보시고

  • @joeleo9623
    @joeleo9623 4 роки тому

    Sk 이노는 아무겄도 없네

  • @metal28
    @metal28 4 роки тому

    LG 망했습니다.

  • @윤여사-j7i
    @윤여사-j7i 4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 @이재욱-o2r4o
    @이재욱-o2r4o 4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 @포포-z3n
    @포포-z3n 4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