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17】 한반도의 지체구조(ft.조선누층군, 평안누층군)(2단원 지형 환경과 인간생활)ㅣ한국지리 강의ㅣ한국지리 노트필기ㅣ한국지리 개념ㅣ한국지리 공부ㅣ지리는 주호티쳐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 лют 2025
  • (오타 수정) 1:38 부근 '영남지도'(X) '영남지괴' (ㅇ)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수업은 수능 한국지리 한반도의 지체구조에 대한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КОМЕНТАРІ • 22

  • @방문정-j6c
    @방문정-j6c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양치식물이 탄화된 석탄은 혹시 무연탄인가요?? 고생대 지층에 나오는건가요?? 내신 문제인데ㅜ 답을 찾기가 어려워서요ㅠㅠ

  • @안방-r6m
    @안방-r6m 4 місяці тому

    평남 분지와 옥천 습곡대는 어떻게 형성 된 것인가요??
    조선 누층군이 평남 분지가 된 것이고 평안 누층군이 옥천 습곡대가 된 것인가요???

  • @another__user
    @another__user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 @OriNeoGuLee
    @OriNeoGuLee 2 роки тому +7

    진짜 감사합니다. 이런 양질의 교육을.....이게 바로 유튜브의 선기능!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1

      아이구 너무 좋은 칭찬 감사합니다. 공부하시는데 도움되었다니 뿌듯하네용! 공부 화이팅입니다^^

  • @손승은-y2k
    @손승은-y2k 3 роки тому +5

    누층군이 퇴적층을 말하는 거라고 하셨어서, 경상분지같은 이름들은 그 지역의 이름을 말하는 거고 무슨 누층군 같은 이름들은 그 땅의 명칭을 말하는 거라고 이해했는데 맞는 건가요??

    • @ji_joo_tea
      @ji_joo_tea  3 роки тому +1

      엄… 정확히는 누층군이란, 암석의 층을 구분할 때 사용하는 커다란 단위입니다. 영어로는 supergruop이라고하죠. 층>층군>누층군 요런식으로 커집니다. 그리고 보통 처음 발견된 지역의 이름을 따서 ㅇㅇ누층군 요런식으로 부릅니다. 경상분지에 형성된 퇴적암들을 통틀어 경상누층군이라고합니다.
      퇴적암에 많이 사용되어서 그렇게 말했지만, 변성암 등 다른 암석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 @손승은-y2k
      @손승은-y2k 3 роки тому +1

      그러면 평남분지와 옥천습곡대에 형성된 석회암층을 통틀어서 조선누층군이라고 하는게 맞나요? (누층군)과 (지괴,습곡대,분지)의 개념이 이해,정리가 잘 안되네요ㅠㅠㅠ

    • @ji_joo_tea
      @ji_joo_tea  3 роки тому +1

      @@손승은-y2k 예 맞습니다. 평남분지와 옥천 습곡대에 고생대 전기에 형성된 암석이 주로 석회암이고 그 고대한 퇴적층의 단위를 조선누층군이라고 부르는겁니다. 분지, 습곡대, 지괴는 땅의 모양이나 형태를 설명하는 말입니다.
      평안남도 부근에 주변이 산지로 둘러쌓인 곳이있는데 그래서 평남분지라고 부르구요. 거기에 퇴적된 고생대 초기의 퇴적층의 큰 단위를 조선누층군이라고 말하는거구요. 그 퇴적층에 있는 암석의 종류가 석회암이구요. 옥천습곡대도 마찬가지로 습곡작용을 받은 땅을 말하는거고 거기에서 고생대 초기에 석회암이 퇴적되었는데 그 거대한 퇴적층 단위를 조선누층군이라고 부르는거죠~

    • @ji_joo_tea
      @ji_joo_tea  3 роки тому +1

      @@손승은-y2k 땅덩어리를 바라볼 때 그 퇴적층의 단위를 부를 땐 ㅇㅇ누층군이라 부르고 그 형태를 볼땐 지괴, 분지, 습곡대라고 부르는겁니다^^

    • @손승은-y2k
      @손승은-y2k 3 роки тому +1

      친절하게 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ㅠㅠㅠㅠ❤

  • @임덕만-h3m
    @임덕만-h3m 3 роки тому +5

    대동누층군에서도 공룡화석이나오나요?

    • @ji_joo_tea
      @ji_joo_tea  3 роки тому +2

      주로 식물화석이 발견됩니다. 곤충, 담수 조개, 절지동물, 어류 등의 화석이 발견되기도 하지만 공룡화석이 발견된다는 곳은 찾기 힘드네요.^^

    • @임덕만-h3m
      @임덕만-h3m 3 роки тому +1

      @@ji_joo_tea 아하 감사합니다! 그러면 공룡화석은 경상누층군에서만 나온다고 생각해도 되나요?

    • @ji_joo_tea
      @ji_joo_tea  3 роки тому +1

      @@임덕만-h3m 그렇진 않습니다. 경기 화성, 전남 해남, 여수, 화순 등 우리나라엔 공룡화석이 꽤 많은데요. 그중에서 발자국이 선명하게 딱 보여서 경남 고성(경상누층군)의 공룡 화석이 유명하구요. 그래서 교과서에서는 유명한 곳 중심으로 언급된거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ji_joo_tea
      @ji_joo_tea  3 роки тому +3

      @@임덕만-h3m 그리고 전국적으로 공룡화석은 많지만 대동누층군에(면적 좁음) 특별히 공룡화석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 @kazuha0809_
    @kazuha0809_ 2 роки тому +3

    학교에선 경상분지에 무연탄이 분포한다고 배웠는데 문제집에는 아니래서 어떤게 맞는거죠?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1

      문제집 내용이 일반적 내용이긴 하지만, 시험에는 학교수업 내용이 중요합니다.
      학교 선생님에게 정확하게 다시 질문해서 확인하는게 가장 정확하실 것 같습니다!^^

  • @주디-o5k
    @주디-o5k 2 роки тому +5

    1:38 영남지괴인데 지도라고 쓰셨어요..!!

    • @ji_joo_tea
      @ji_joo_tea  2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내용 수정해야겠어요!!

  • @Mind-de7xw
    @Mind-de7xw Рік тому

    좋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