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늦깍이 조경인입니다. 이십여년간 다른 일을 해오다 인생2막을 조경으로 정하고 올해초 조경기사 공부하며 도서관에서 각종 관련서적들 뒤져보고 공부해오며 조경설계쪽으로 방향을 정하고 참여정원도 해보고 스케치공부를 시작하고... 각종 정원박람회도 다니면서 작가정원들 보며 정원공부도 하고. 11윌 첫출근을 앞두고 있습니다. 짧은 10개월의 시간동안이지만 점점 조경인의 시각을 가지게 되면서 해왔던 고민들이 여기 푼쉬님의 영상에 다 들어있어서 깜짝 놀랐고, 정말 어디서도 들을 수 없는 조언들 잘 보고 있습니다. 아마도 지금 이해가 가지 않는 것들은 일을 배우면서 중간중간 떠올리게 될 것 같습니다. 이런 영상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될 것 같습니다.
조경을 배우고 조경일을 하다가 정원일을 하면서 어려웠던 부분은 식물이었어요. 조경을 배울때 건축과 다른것 중의 하나가 식물을 소재로 경관을 만드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학문이다라고 배웠지만 정작 식물은 교관목 위주로 수목학정도로만 배웠고 식물은 공간을 만드는 기능적 소재로만 생각했었어요. 생태를 다룬다고 하면서 곤충과 토양에 대한 스처지나감 정도였고 생태 또한 진심이 아니라 설득의 소재로 사용한다고 느껴왔어요. 예를들어 척박지에서는 토양을 이롭게 하는 콩과식물을 심어야해~ 박태기나무 등등 박태기나무의 진한분홍색 꽃과 수형을 예쁘게 보여줄 적절한 위치와 봄의 흰꽃과 조합이 예쁘다는 색감적인 이야기도 같이 해줄만한 깊이 있는 식재설계는 배움은 따로 공부하지 않으면 익히기 어려운 디테일일것이라 생각해요. 그러다 정원일을 하게되고 공부하게 되면서 식물소재 활용에 대해 더 디테일해지고 식물에 대한 환경적 이해가 넓어지면서 조경이 다루는 식물소재는 제한되어있고 정원이 다루는 정원식물이라 부르는 소재는 계속계속 만들어지고 찾아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정원교육을 하러 다니면서 공원과 정원의 차이를 꼭 설명하는데 공원은 공공기관이 관리를 하지만 정원은 주인이 관리를 해야한다고 강조를 해요. 공원은 지자체가 주인이고 관리해야하기에 관리의 용이성에 따라서 식물소재도 단순화되고 배식도 점점 쉬워졌다고 생각해요. 정원은 만드는 지자체, 마을정원 주민들에게 주인이 가꾸지 않으면 정원은 죽어 사라져 버린다고 생각하기에 계획설계 단계에서 가꿔줄수 있는 주인들이 참여를 해야한다고 하면 설계용역을 받은 설계사는 표정이 좋지는 않아요... 주인에 맞게 설계하고 그것을 주인이 관리해야하는 것이 기본이라 생각해요. 공원과 개인정원 사이에 있는 공공정원은 그래서 시민정원사의 역할들이 중요해지고 있어요. 애매한 사이에 있는 공공정원을 잘 관리해줄 분들이요. 조경회사는 관리용역을 받게되면 효율적으로 쳐내기 바빠 야생화 사이의 잡초를 뽑기보다는 예초기로 날려버리거나 혹은 심어놓은 야생화들을 뽑아버리는 경우들이 너무 많아요. 조경회사의 감독관이 지시를 잘 해야하지만 그만한 식물지식을 가지고 있지도 않고요. 그래서 지자체에서 모으고 공부를 한 시민정원사들은 지식을 가지고 봉사를 하고 있어요. 하지만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분들도 지쳐가고 있어요... 너무 공간이 많아지고 더 많은 지식을 요구하게 되었어요. 단순한 풀뽑기와 전지를 넘어 병충해에 대한 대응부족으로 시민정원사가 가진 관리의 한계점이 나오고 있어요.. 보식도 계속 해줘야 하고.. 무시되고 있어요... 길게 썼지만 조경과 정원은 밥그릇 뺏기가 아닌 서로의 장점을 뺏어야 하고 일의 양을 계속 늘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제가 처음시작 했을때보다 정원일이 엄청나게 늘어났고 정원을 하는 사람도 굉장히 많이 늘어났어요. 공공에서 정원일이 많이 늘었다고 하지만 민간에서 더 많이 일과 수요가 늘었어요. 카페.. 스테이.. 기획팝업 등등이요. 실상은 조경,원예를 배우지 않은 공간기획자들이 식물을 열심히 공부하고 식물을 소재로 더 많은 일을 하고 있어요. 저는 다시 조경이 좋아지고 있어요. 유행에 흔들리지 않는 편안함일까요.. 큰나무 그늘 아래 돗자리를 펴는 공간적인 편안함이요.
최근 조경 컨텐츠를 제 채널에 올리고 있는데..^^..관심있게 이 영상을 보았습니다.^^..설명을 잘 해주시니 좋네요..
안녕하세요. 늦깍이 조경인입니다. 이십여년간 다른 일을 해오다 인생2막을 조경으로 정하고
올해초 조경기사 공부하며 도서관에서 각종 관련서적들 뒤져보고 공부해오며 조경설계쪽으로 방향을 정하고 참여정원도 해보고 스케치공부를 시작하고... 각종 정원박람회도 다니면서 작가정원들 보며 정원공부도 하고.
11윌 첫출근을 앞두고 있습니다.
짧은 10개월의 시간동안이지만 점점 조경인의 시각을 가지게 되면서 해왔던 고민들이 여기 푼쉬님의 영상에 다 들어있어서 깜짝 놀랐고, 정말 어디서도 들을 수 없는 조언들 잘 보고 있습니다. 아마도 지금 이해가 가지 않는 것들은 일을 배우면서 중간중간 떠올리게 될 것 같습니다.
이런 영상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푼시님 저는 조경학과 편입을 생각중인 학생입니다!
혹시 조경학과로 편입하기전에
학교 수업을 따라가기 위해서나 공부를 위해서 어떤 준비를 하는 것이 좋을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조경을 배우고 조경일을 하다가 정원일을 하면서 어려웠던 부분은 식물이었어요.
조경을 배울때 건축과 다른것 중의 하나가 식물을 소재로 경관을 만드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학문이다라고 배웠지만
정작 식물은 교관목 위주로 수목학정도로만 배웠고 식물은 공간을 만드는 기능적 소재로만 생각했었어요.
생태를 다룬다고 하면서 곤충과 토양에 대한 스처지나감 정도였고 생태 또한 진심이 아니라 설득의 소재로 사용한다고 느껴왔어요.
예를들어 척박지에서는 토양을 이롭게 하는 콩과식물을 심어야해~ 박태기나무 등등
박태기나무의 진한분홍색 꽃과 수형을 예쁘게 보여줄 적절한 위치와 봄의 흰꽃과 조합이 예쁘다는 색감적인 이야기도 같이 해줄만한 깊이 있는 식재설계는
배움은 따로 공부하지 않으면 익히기 어려운 디테일일것이라 생각해요.
그러다 정원일을 하게되고 공부하게 되면서 식물소재 활용에 대해 더 디테일해지고 식물에 대한 환경적 이해가 넓어지면서
조경이 다루는 식물소재는 제한되어있고 정원이 다루는 정원식물이라 부르는 소재는 계속계속 만들어지고 찾아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정원교육을 하러 다니면서 공원과 정원의 차이를 꼭 설명하는데 공원은 공공기관이 관리를 하지만 정원은 주인이 관리를 해야한다고 강조를 해요.
공원은 지자체가 주인이고 관리해야하기에 관리의 용이성에 따라서 식물소재도 단순화되고 배식도 점점 쉬워졌다고 생각해요.
정원은 만드는 지자체, 마을정원 주민들에게 주인이 가꾸지 않으면 정원은 죽어 사라져 버린다고 생각하기에 계획설계 단계에서 가꿔줄수 있는 주인들이 참여를 해야한다고 하면
설계용역을 받은 설계사는 표정이 좋지는 않아요...
주인에 맞게 설계하고 그것을 주인이 관리해야하는 것이 기본이라 생각해요. 공원과 개인정원 사이에 있는 공공정원은 그래서 시민정원사의 역할들이 중요해지고 있어요.
애매한 사이에 있는 공공정원을 잘 관리해줄 분들이요. 조경회사는 관리용역을 받게되면 효율적으로 쳐내기 바빠 야생화 사이의 잡초를 뽑기보다는
예초기로 날려버리거나 혹은 심어놓은 야생화들을 뽑아버리는 경우들이 너무 많아요. 조경회사의 감독관이 지시를 잘 해야하지만 그만한 식물지식을 가지고 있지도 않고요.
그래서 지자체에서 모으고 공부를 한 시민정원사들은 지식을 가지고 봉사를 하고 있어요. 하지만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분들도 지쳐가고 있어요...
너무 공간이 많아지고 더 많은 지식을 요구하게 되었어요.
단순한 풀뽑기와 전지를 넘어 병충해에 대한 대응부족으로 시민정원사가 가진 관리의 한계점이 나오고 있어요.. 보식도 계속 해줘야 하고.. 무시되고 있어요...
길게 썼지만 조경과 정원은 밥그릇 뺏기가 아닌 서로의 장점을 뺏어야 하고 일의 양을 계속 늘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제가 처음시작 했을때보다 정원일이 엄청나게 늘어났고 정원을 하는 사람도 굉장히 많이 늘어났어요. 공공에서 정원일이 많이 늘었다고 하지만 민간에서 더 많이 일과 수요가 늘었어요.
카페.. 스테이.. 기획팝업 등등이요. 실상은 조경,원예를 배우지 않은 공간기획자들이 식물을 열심히 공부하고 식물을 소재로 더 많은 일을 하고 있어요.
저는 다시 조경이 좋아지고 있어요. 유행에 흔들리지 않는 편안함일까요.. 큰나무 그늘 아래 돗자리를 펴는 공간적인 편안함이요.
읽을때마다 너무 좋은 내용의 댓글에 감사합니다 실제 현장에서 느끼는 정원의 생동감을 전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많은 부분 공감합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외국사진 들이밀고 설계 해달라는 의욕(?)만 반짝이는 공무원 그리고 그러면서 저관리를 외치고. 관리자신없음 공공정원은 말아야...
좋은 애기 잘들었습니다
저도 정원채널 있는데 접을까봐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