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구치소청문회 불발...곧 윤 대통령 신문 시도 / YTN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앵커]
    윤석열 정부 내란 혐의 국정조사특위가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을 상대로 현장조사 하기 위해 직접 구치소를 찾았습니다.
    조금 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본인 거부로 현장 청문회가 불발됐는데, 여당은 일방적 진행이라 반발하며 불참했습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박정현 기자!
    현장 청문회,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기자]
    네, 먼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있는 서울동부구치소에서 일정을 시작했는데요,
    김 전 장관은 재판 준비로 바쁘고 변호인 접견을 해야 한다며, 출석을 완강히 거부했습니다.
    이에 특위가 보안구역 안으로 들어가 접견을 시도했지만, 역시 김 전 장관은 응하지 않았고, 특위는 김 전 장관을 국회 모욕죄로 고발 조치했습니다.
    야당 위원들은 김 전 장관이 탄핵심판에서 윤 대통령과 거의 동창회 말장난 수준의 입 맞추기를 자행하고 어제도 반국가 세력 척결을 위해 계엄을 했다는 식의 입장을 발표했다고 규탄했습니다.
    증인채택에 반대했던 여당 위원들은 현장 청문회에 불참했는데, 야당 위원들은 이에 두고서도 계엄에 동조하는 거냐며 반발했습니다.
    윤 대통령이 있는 서울구치소,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있는 수방사 미결수용소까지, 차례로 방문해 이들을 상대로 현장 조사한다는 건데요,
    윤 대통령도 조사에 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어제 탄핵심판에서 계엄 사태를 두고 '실제 아무런 일도 없었다'는 윤 대통령 진술을 두고도 여야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렸습니다.
    이재명 대표는 아침회의에서 내란 사태를 달그림자라느니 하면서 한 여름밤 꿈 정도에 빗대 희화화하려는 게 아닌가 싶다며,
    국민의힘도 이런 심각한 상황에서 본인들 권력만 유지하면 되느냐고 날을 세웠습니다.
    여당은 기본적으로 윤 대통령 탄핵심판과 거리를 두며 말을 아끼는 기류인데,
    다만 여당 소속 국조특위 위원은 통화에서, 홍장원 차장의 경우 국회, 헌재, 수사기관 조사에서 각각 진술이 조금씩 다르다며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또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이 계엄 당시 체포조 관련 지시를 받지 않았다는 진술에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앵커]
    최근엔 여야 모두 민생 행보에도 공을 들이는 분위기죠?
    [기자]
    네, 이재명 대표는 아침 회의에서 지금은 추경편성을 망설일 때가 아니라며, 필요한 정도가 아니라 즉각 추진해야 할 긴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정부가 먼저 추경을 할 테니 야당에 도와달라고 해도 부족할 판에 조건을 붙이며 거래하자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고 질타했습니다.
    동시에 국민의힘에도 민주당이 민생예산을 삭감했다는 주장대로면 복구를 위해 추경을 빨리 활용하는 게 책임 있는 여당의 자세 아니겠냐고 꼬집었습니다.
    지금 국민의힘은 야당 발목을 잡고 뒤통수를 치며 골탕먹일 생각에만 매진한다며, 여당이 아니라 산 위에 가끔 출몰해 사람을 괴롭히는, '산당'이라고 비꼬았습니다.
    이에 국민의힘은 이 대표의 발언은 지난 연말 민주당의 일방적 예산 처리 사실을 자인하는 격 아니겠냐고 반문했습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기본적으로 예산의 조기 집행이 먼저라는 입장을 밝히며, 올해 예산의 75%가량이 상반기 집행되면 어느 정도 경기부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표가 민생지원금 등 여러 조건을 걸며 추경을 말하는데, 진정성 있다면 국정협의회에서 반도체특별법이 등 다른 민생법안과 함께 모든 의제에 문을 열어두고 얘기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여당 핵심 관계자는 통화에서,... (중략)
    YTN 박정현 (miaint3120@ytn.co.kr)
    ▶ 기사 원문 : www.ytn.co.kr/...
    ▶ 제보 하기 : mj.ytn.co.kr/m...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КОМЕНТАРІ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