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김재영 (덕수궁 자수 박물관)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чер 2024
  • 한국 근현대 자수 :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바늘을 도구 삼아 다체로운 색실로 직물을 장식하는 자수는 인류의 오랜 문화유산 중 하나다.
    이천년 역사를 지닌 한국자수는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교류 속에서 시대마다 독특하고 아름다운 문화를 꽃피웠다. 훼손되기 쉬운 재료 특성상 현전하는 고대와 중세 유물은 지극히 적고, '전통자수' 라 불리는 유물은 대부분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제작되었다.
    '자수' 하면 이러한 전통자수, 특히 조선시대 여성들이 제작하고 향유한 규방공에 또는 이를 전승한 전통 공예로서의 자수가 떠오른다.
    근대기 이후에는 마치 자수가 역사를 가지고 있지않은 것처럼 근 현대 자수는 어딘가 낮설다. 19세기 이후 자수의 역사 즉 개항, 근대화, 서구화, 식민, 전쟁, 분단, 산업화, 세계화 등 격변의 시기를 거치면서 변화한 자수의 흐름은 주류 미술사의 관심밖에 놓여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번 전시는 19세기 ~20세 기초 제작된 자수로 시작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근현대기 자수 작가와 작품을 발굴해 소개하고 미술사에서 주변화 되었던 자수 실천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살펴본다.
    관람객은 섬세하고 아름답게 수놓은 듯한 자수의 역사 뒷면에 순수미술과 공예, 회화와 자수, 남성과 여성, 창조와 모방, 전통과 근대 서양과 동양, 공과 사, 구상과 추상, 수공예와 산업공예, 아마추어리즘과 프로 페셔널리즘 등 여러층의 실들이 엉커 있음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자수의 재료인 바늘과 실은 마치 세상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이러한 이분법적 경계에 의문을 던지듯, 바탕천의 표면을 뜷고 뒷면을 접촉하곤 다시 표면으로 돌아오기를 반복한다. 한국 근현대 자수의 계보와 불연속성을 고찰하는 이번 전시가 자수라는 바깥의 사유를 통해 순수미술 중심으로 서술되는 한국 근현대미술사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КОМЕНТАР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