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놀이 동요 - 윷놀이 / 임병걸 작시, 정애련 작곡 지휘 전상철(Jeon, sang-cheol)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 한국의 고유의 명절에는 그 시기에 걸맞는 놀이문화가 있습니다.
    그중 가장 흔히 하는 놀이로 “윷놀이”가 있지요.
    민족명절인 설날이면 온가족 또는 온동네 사람들 둘러앉아 “도개걸윷모”라는 윷을 던져
    말을 옮겨가는 놀이입니다.
    정초부터 정월 대보름 사이에 가정이나 마을에서 여럿이 함께 즐기는 놀이로
    한 뼘 남짓한 길이의 곧고 둥근 막대기를 둘로 갈라서 만든 4개의 윷으로 즐깁니다.
    등과 배의 경계선을 얼마간 깎아내서 배를 약간 불룩하게 하여 윷이 굴러서 엎어질 듯하다가 젖혀지며, 젖혀질 듯하다가 엎어지는 변화를 가져오는데 윷가락은 엎어지거나 젖혀지는 두 가지의 가능성을 가지므로 4가락을 종합하면 5가지의 경우가 생깁니다.
    셋이 엎어지고 하나가 젖혀질 때 '도',
    둘이 엎어지고 둘이 젖혀질 때 '개',
    하나가 엎어지고 셋이 젖혀질 때 '걸',
    넷이 다 젖혀졌을 때 '윷',
    넷이 다 엎어졌을 때 '모'
    도·개·걸·윷·모는 가축의 이름을 딴 것으로 보기도 하는데,
    즉 도는 돼지[亥], 개는 개[犬], 걸은 양(羊), 윷은 소[牛], 모는 말[馬]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윷놀이의 역사는 무척 오래되었다고 합니다. 그 유래를 찾으면 고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부여시대의 관직명에 속하는 4출도를 뜻하는게 그 유래라고 하네요.
    윷놀이안에 동양사상인 삼라만상의 원리를 다 포함하고 있어 농경사회때의 사람들은 농사의 풍흉을 점치기도 하고
    개개인의 길흉을 알아보는 점술도구로 사용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동양에서 말하는 음양과 오행사상이 설날 때 주로 하는 윷놀이 안에 다 들어가 있다고 하니
    우리 민족의 지혜와 철학도 엿볼 수 있는 놀이입니다.
    [출처] 윷놀이- 3부합창곡/ 임병걸 작시, 정애련 작곡|작성자 정애련
    부산시립소년소녀합창단 2013 해외 공연 / 창단 40주년 기념
    (Busan Metropolitan Junior Chorus 2013 Overseas concert / Celebrate 40th Birthday)
    2013. 12. 15. 일. 일본 키타큐슈 히비키홀 (Japan Kitakyushu Hibiki Hall)
    / 히비키홀 초청 한일 공동 음악회 (Korea & Japan, Hibiki Hall Invitation Joint Concert)
    / 부산시립소년소녀합창단 & 키타큐슈시립소년소녀합창단 (Busan Metropolitan Junior Chorus & Kitakyushu Junior Chorus)
    우리 놀이 동요 - 윷놀이 / 정애련 곡
    (Korean Traditional Play Songs - Jutnori / Composer. Jung Ae-Lyun)
    부산시립소년소녀합창단 수석지휘자 전상철
    (Busan Metropolitan Junior Chorus Music Director. Jeon Sang-Cheol)
    Email : jscd114@hanmail.net
    피아노 반주자 이영옥 (Piano Accompanist. Lee Young-Ok)
    안무 지도자 노금선 (Choreography Director. No Keum-Seun)
    성악 지도자 김양자 (Vocal Leader. Kim Yang-Ja)
    부산시립소년소녀합창단원 (Busan Metropolitan Junior Chorus Members)
    전소정(Jeon So-Jung), 김효경(Kim Hyo-Kyung), 박소영(Park So-Young), 이유정(Lee Yu-Jung), 이주연(Lee Ju-Yeon), 임규비(Lim Gew-Bi), 공선연(Gong Sun-Yun), 박세미(Park Se-Mi), 안다빈(An Da-Been), 이수빈(Lee Soo-Been), 최하정(Choi Ha-Jeong), 김미선(Kim Mi-Seon), 박제현(Park Je-Hyun), 손보경(Son Bo-Kyeong), 유명석(Ryu Myung-Seok), 이세민(Lee Se-Min), 이지윤(Lee JI-Yun), 이지은(Lee Ji-Eun), 이현진(Lee Heun-Jin), 정예지(Joung Yae-Jee), 김정오(Kim Jung-Oh), 노유성(Noh Yu-Sung), 박상현(Park Sang-Hyun), 안록산나(An Rok-San-Na), 김선민(Kim Seon-Min), 김은지(Kim EUN-JI), 박보미(Park Bo-Mee), 변은빈(Byun Eun-Been), 서나희(Soe Na-Hui), 신예주(Shin Ye-Ju), 이민선(Lee Min-Seon), 이민혜(Lee Min-Hye), 한채연(Han Chae-Youn), 김현우(Kim Hyun-Woo), 박화평(Park Hwa-Pyeong), 서유진(Suh Yu-Jin), 성인준(Sung In-Jun), 안연우(Ahn Yoen-Woo), 정에스더(Jeong Esther), 정유진(Jung Yu-Jin), 최세린(Choi Se-Lin), 하채현(Ha Chae-Hyun)

КОМЕНТАР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