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도적인 크기와 물량. 멸종위기 두점박이사슴벌레 이번엔 300마리입니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이 행사의 주최는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 두점박이사슴벌레의 서식지외보전기관인 "제주 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에서 주최했습니다.
    주 사육 : 생물종다양성연구소
    대량 사육 이론 기초 논문 작성 : 제주자연생태공원(제가 담당했습니다)
    사육 기술 설계 및 교육 : 더벅스
    두점박이사슴벌레는 제주도라는 한정된 서식지와 남획의 위험성으로 인해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운좋게 혹은 우연히 보셨더라도 절대 채집하지 마시고 관찰만 하시고
    도로변에 떨어진 개체들은 주변 참나무에만 살포시 놓아주세요.
    이곳을 찾아오신 주노준호님과 내용이 겹칠수밖에 없기 때문에
    저는 미리 Log촬영을 하여 색감을 조정하여 다른 느낌으로 영상을 제작했습니다.

КОМЕНТАРІ • 22

  • @godo_wildlife
    @godo_wildlife  7 місяців тому +9

    두점박이사슴벌레의 사육 난이도는 일반적인 사슴벌레류와 비교시에 쉬운편입니다. 이를 이유로 일반인에 대한 사육 합법화 등에 대한 이야기 등이 흘러나오고 있고 실제로 제 영상 댓글에도 몇몇 분들이 "어서 합법화가 되어서 나도 키웠으면 좋겠다" 등의 이야기를 하는 경우도 있을정도로 인기도 많은 종입니다. 이 종의 멸종위기 등재 이유는 한정된 서식지 그리고 제일 중요한 남획 우려입니다. 현재 제주도에서는 물장군을 포함하여 여전히 일부 생각이 일천한 학생과 곤충매니아, 심지어 일부 육지의 곤충샵 직원들의 불법포획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사업자를 통한 인공증식의 경우는 사업이익을 이유로 일정 범위의 크기 혹은 형태에 따라 개체를 분류하여 열등한 개체만을 야생을 방생하는 일도 허다합니다. 해외의 사례에도 종의 인기도와는 상관없이 종 보전을 위한 보호종 지정에는 갈수록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추세이며(가까운 일본에서도 물장군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습니다.)이는 각 개인과 대중들이 해당 곤충의 종과 서식지 보호에 대한 인식이 없을경우 단순 사육과 분양을 위한 합법화는 쉽게 진행되지 않으며 갈길이 매우 멉니다. 주변 인공증식 사육 성공 뉴스나 개인 분양 합법화 진행에 관한 이야기 등 자극적인 언론이나 브리핑 등을 통해 멸종위기종 곤충에 대해 너무 안일하게 "보호종의 자유로운 사육 합법화"라는 이야기를 믿거나 주장하는 일이 없도록 조심하시기를 당부드립니다. 멸종위기 동물은 최종적으로 복원가 멸종위기 해제가 목적이기 때문에 사육 등에 관한 바람과 목표는 우선 종 보전과 남획 우려 문제가 해결된 후 시행되는게 우선이라 생각합니다.

    • @빅인섹트
      @빅인섹트 7 місяців тому

      그래도 내년에 두점박이가 풀리는 건 기정사실인 만큼 잘 되면 좋겠네요 더 나아가 물장군과 물방개도 확대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물론 잘 검토해야겠지만요

    • @godo_wildlife
      @godo_wildlife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빅인섹트 일부 연구사들과 인공증식기관 등의 개인적인 소견과 언론을 통한 여론 조성일 뿐 환경부에서 멸종위기종의 자율적 사육을 단 한번도 기정사실화 한적이 없습니다. 보호종 인공증식 개체에 대한 사육허가서 등을 통한 분양은 현재도 제한적으로 가능하며 앞으로도 보호종의 개인의 자율증식 사육이 풀릴 일은 환경부가 로비를 먹었거나 정신이 나가지 않는한 대놓고 풀어준다고 하지 않습니다. 멸종위기종에서 해제를 위한 생태학적 연구와 보호장치 마련이 우선이며 단순히 애완용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해당 종이 멸종위기에서 유지된 채로 사육이 풀리는게 기정사실화된다 라는 비근거성 발언은 신중 또는 자제 하셔야 합니다.

    • @빅인섹트
      @빅인섹트 7 місяців тому

      @@godo_wildlife 네 알겠습니다 다만 전 애완용으로 많이 보급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말씀드린 겁니다 그래도 뭔가 대책이 있어야 일반인도 본격적인 합법적인 사육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환경부하고 계속 논의를 하면 좋을 것 같네요 좋은 일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hwb0785
      @hwb0785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역시 말 잘하십니다. 단편만 보고 간단하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없길 바랍니다

    • @빅인섹트
      @빅인섹트 7 місяців тому

      @@hwb0785 그래도 잘 풀려서 좋은 일이 있길 바라는 입장이네요 ㅠㅠ

  • @kjs37768
    @kjs37768 Місяць тому +1

    😲😲😲😲😲😲

  • @O_G-v4j
    @O_G-v4j 6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일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lzsto5033
    @lzsto5033 7 місяців тому

    좋은 영상들 감사해요

  • @hyeons6682
    @hyeons6682 7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짜 귀엽고, 또 뜻깊네요
    고도 채널을 알게 된 덕분에 이런 진귀한 영상도 보고 갑니다 ㅎㅎ

    • @godo_wildlife
      @godo_wildlife  7 місяців тому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이런 댓글 하나하나가 저에게 힘이 됩니다 🙂

  • @yesidtac7863
    @yesidtac7863 7 місяців тому

    Gran colección

    • @godo_wildlife
      @godo_wildlife  7 місяців тому

      Es un negocio para la reproducción artificial de insectos designados como especies protegidas en nuestro país.

  • @user_53217-l
    @user_53217-l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런 활동을 보니깐 뭔가 감격스럽네요

  • @greenism5528
    @greenism5528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사슴벌레가 역시 곤충중에서 제일 멋진거 같아요

    • @godo_wildlife
      @godo_wildlife  7 місяців тому

      대부분 반려곤충 산업에서 사슴벌레의 비율이 큰 이유가 있지요! 🙂

  • @JoonhoNat
    @JoonhoNat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운좋은 남자 나야 나!ㅋㅋㅋ 덕분에 너무 즐거웠습니당 :)

    • @godo_wildlife
      @godo_wildlife  7 місяців тому

      덕분에 저도 너무 재미있었습니다☺언제든 또 놀러오세요! ㅎㅎ

  • @ninna-352l
    @ninna-352l 4 місяці тому

    안녕하세요 고도님 궁금한게 있는데 제가 10년 전쯤 6월에 제주도에서 벌레에 물린적(추정)이 있습니다
    1 처음엔 어깨였고 지름 10~15센치 정도로 동그랗게 붉게 띵띵 부었습니다
    2 아프거나 가렵지 않았습니다
    띵띵 부은 것때매 피부가 당겨서 좀 불편했습니다
    3 며칠 뒤 다리에 비슷한게 또 생겼습니다. 어깨는 뒤쪽이라 자세히 보기 힘들었는데 다리를 살펴봤을때 물린 자국이 잘 보이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두 군데 다 일주일 내로 증상이 사라졌습니다
    당시 10일 정도 동안 사려니숲길 비자림 오름 등등 엄청 돌아다녔고 목재로 지어진 게스트하우스에서 잤습니다
    제가 뭐에 물리거나 접촉했던걸까요? 누가 남가뢰 아니냐고 하던데 남가뢰와 접촉해도 물집이 안 잡히기도 하나요

    • @godo_wildlife
      @godo_wildlife  4 місяці тому +1

      남가뢰나 화상벌레같은 곤충들은 흉터가 크게 남습니다. 숲모기 같은 곤충들에 대한 알러지 반응이 다른분들에 비해 더 크신듯 해요🥺

    • @ninna-352l
      @ninna-352l 4 місяці тому

      @@godo_wildlife 오 감사합니다
      찾아보니 제가 스키터 증후군인가보네요... 다음엔 병원에 가봐야겠습니다

  • @빅인섹트
    @빅인섹트 7 місяців тому +2

    개체수가 오랫동안 유지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