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음악의 향연] 서도민요 수심가(Susimga, 愁心歌), 난봉가(Nanbongga) - 한국음악의 향연 제 2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4 січ 2025

КОМЕНТАРІ • 5

  • @jackson-gl8ih
    @jackson-gl8ih 5 років тому +4

    서도창은 소리떨리기가 넋이지요.

  • @가을구름-i7p
    @가을구름-i7p 5 років тому +4

    중학교는 연음,한배 고등학교는 엮음, 가곡 // 중학교 변주,론도, aba 고등은 푸가, 소나타 형식 노래 가사를 빠르게 촘촘히 엮어 부르는 가창 형식.【내용】긴 사설을 책을 읽듯이 주어 엮어 나가며, 이때 음높이의 변화는 거의 없다. 엮음 형식은 민요에 나타나는 형식으로 반드시 긴소리와 엮음 소리가 짝을 이룬다. 그 예를 들면 과 , 와 , 와 , 와 등이 있다. 또 잇대어 부르지 않는 와 의 관계, 와 의 관계도 긴소리와 엮음 소리의 짝에는 서도 민요의 음악적 특징이 모두 담겨 있기 때문에 서도 민요의 특징을 ‘수심가조(調)’ 또는 ‘수심가토리’라고 한다. 노래의 형식은 와 가 짝이 되어 부르는데, ‘엮음’은 노랫말을 빠르고 촘촘하게 부르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렇게 는 템포가 느리게 시작하여, 노랫말을 빠르고 촘촘하게 엮어 부르는 로 넘어간다. 즉, 이 노래는 ‘느리고 빠른 노래가 한 짝을 이루는’ 우리나라 민요의 전형적인 형식을 갖추고 있다.의 노랫말은 임을 그리워하고 기다리는 애틋한 심경을 읊은 것이다. 노랫말은 시조와 마찬가지로 초장·중장·종장의 3장 형식으로 되어있다. 예를 들어 “약사몽혼으로”로 시작되는 노랫말은 다음강원도 아리랑-여끙ㅁ 아리랑, 수심가-엮음수심가, 김난본가-사설난본가, 공명가-시설 공명가, 평시조-시설시조, 긴잡가-휘모리잡가

    • @Hahohohihi
      @Hahohohihi 5 років тому

      임용 보시는군용
      2차 화이팅이요ㅎㅎㅎ

    • @아진-m5e
      @아진-m5e 4 роки тому

      화이팅

  • @맑음둏다
    @맑음둏다 3 роки тому

    건방진말하여 恐縮하옵니다만,
    平安道愁心歌는 江山에~ 草木은~ 같이 나오는 도입부 음조가
    되게 수술적이면서 신비적이라 여겨집니다.
    이 음조는 金宗朝・金玉葉 대명창분이 하셨던 거 많이 참고가 될까 해요.
    그 음조가 내어서야… 진짜 수심가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