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영상 너무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드려요~~ 아래 질문에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4:30에 생산자잉여하실때, 왜 S1곡선이 아닌 S0곡선으로 설명을 하신건가요~~? 저는 S1곡선으로 생각해서 B+C의 반쪽 역삼각형이라고 생각했거든요~~ ㅠㅠ 감사합니다 !
선생님 근데 제가 소비자 조세부담에서 듣다가 어느 강의에서도 저 부분을 자세히 말해주시지않는데 소비자가 선생님이 설명하신 그래프대로 460원을 냈는데 실제 조세부담은 560원을 내서 기존 가격보다 60원을 더 부담한다는것에서 실제 낸 금액은 460인데 왜 560을 낸걸로 인식해야 하나요? 460을 냈으니 조세액 100은 사실 공급자가 내야되는것 아닌가 싶어서요 근데 그러면 소비 곡선이 수평선이여야 하는데 저 부분을 어떤 원리로 소비자에게 조세수취를 하는지 알려주실수있나요?
@@sunkujang 답변 감사합니다 교수님:) 저는 수학전공자&강사인데 경제학 지식을 쌓고 싶어 테셋 시험을 치려고 합니다. W사 테셋 강의 듣다가 당최 개념 자체가 무슨 말인지 몰라서 교수님 강의 듣고 힐링하고 있습니다. 혹시 교수님께서 테셋/매경 수준의 강의를 하는 타 사이트가 있으시면 여쭈어 봐도 되겠습니까?
2:43 조세부과
- 15:57 공급자에게
- 27:49 소비자에게
조세 문제풀다가 헷갈려서 들어왔는데 역시나.. 짱박사님 그저 빛...
아님다^^~
잘 하고 계십니다
계속 화팅하시죠~
감사합니다~
영상 덕분에 생산자 잉여와 소비자잉여, 그 밖에도 조세에 관련하여 제대로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질문이 있습니다, 34:30에 생산자잉여하실때, 왜 S1곡선이 아닌 S0곡선으로 설명을 하신건가요~~? 저는 S1곡선으로 생각해서 B+C의 반쪽 역삼각형이라고 생각했거든요~~ ㅠㅠ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탄력적일수록 조세부담을 크게 한다
시험기간마다 너무 유용해요...최고예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열공하세요~
소비자 세금 부과 27:35
생산자 세금 부과 15:14
전 너무 웃긴데 강의실 분위기는 심각한가봐요🤣🤣🤣🤣🤣🤣
만화책을 보는 것 같아요
너무 재밌고 이해가 잘 되요 감사합니다
ㅋ 감사합니다
저와 유머코드가 맞으시나봐요^^~
강의 감사드립니다..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선생님 영상 너무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드려요~~ 아래 질문에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4:30에 생산자잉여하실때, 왜 S1곡선이 아닌 S0곡선으로 설명을 하신건가요~~? 저는 S1곡선으로 생각해서 B+C의 반쪽 역삼각형이라고 생각했거든요~~ ㅠㅠ 감사합니다 !
아마 말씀하신것도 맞을껍니다. 제가 말씀드린것과 크기가 같지 않을까 싶은데요.
그런데 조세수입을 직사각형으로 하고 있느니 겹치지 않게 하려고 D라고 한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선생님 근데 제가 소비자 조세부담에서 듣다가 어느 강의에서도 저 부분을 자세히 말해주시지않는데 소비자가 선생님이 설명하신 그래프대로 460원을 냈는데 실제 조세부담은 560원을 내서
기존 가격보다 60원을 더 부담한다는것에서 실제 낸 금액은 460인데 왜 560을 낸걸로 인식해야 하나요? 460을 냈으니 조세액 100은 사실 공급자가 내야되는것 아닌가 싶어서요 근데 그러면 소비 곡선이 수평선이여야 하는데 저 부분을 어떤 원리로 소비자에게 조세수취를 하는지 알려주실수있나요?
질문을 잘 이해 못하겠어요 ㅠ
죄송해요
정부는 누가 내든 상관없이
그냥 100 원만 가져가면 되는데요
소비자는 460원 기업에 내고
정부에 100원 내야죠
총 낸금액이 560원 아닌가요^^~
박사님 취준생으로서 박사님 강의를 만난것이 행운이라 생각합니당ㅎㅎ저는 은행권이랑 금융공기업 준비중에 있는데 현재 이 강의 수준이면 공기업 시험(대부분 객관식)은 대비가 가능할까용? 궁금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넘치고 남죠~
소비자 tax 부과 27:36
강의 너무 유익해요 짱짱
감사합니다^^~
20.09.04 수강 완료
32:27 조세귀착 끝
30:00
선생님 우문한벌로 짱박사경제학 구매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열공하세요^^~
49:02 정도에 윗부분 소비자 잉여 아닌가여??
맞아요
소비자잉여죠
정신줄 놔 버렸네요 ㅠㅠ
감사합니다
잘 보셨어용^^~
계속 열공해주세요
@@sunkujang 답변 감사합니다 교수님:) 저는 수학전공자&강사인데 경제학 지식을 쌓고 싶어 테셋 시험을 치려고 합니다. W사 테셋 강의 듣다가 당최 개념 자체가 무슨 말인지 몰라서 교수님 강의 듣고 힐링하고 있습니다. 혹시 교수님께서 테셋/매경 수준의 강의를 하는 타 사이트가 있으시면 여쭈어 봐도 되겠습니까?
@@mathaddict8924 딱 테셋용은 아닌데
렛유인이란데서 공기업 관련 수업하는데
그거 듣고
혹은 이 강의 듣고
관련 문제집 구해서 푸시는게 제일 나을듯해요
테셋이나 한경 등 테스트는 어렵진 않아서 기초만 있으면 쉽게 독할하실수 있을듯합니다
화팅하시구요^^~
박사님 0,1,2 를 붙이시는 기준이 무엇인지 헷갈리는데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원래는 e0, e1, e2인데 그냥 간략하게 붙인 것이구요. 0에서 시작해서 2로 끝나는 것으로 하거나 교점을 표시하려고 그냥 0,1,2를 붙인 것입니다. ^^ 열공하세요.
@@sunkujang 우선 답변 감사합니다 박사님. 그건데 0은 가장 최초의 교점이고, 1은 세금이라는 폭탄을 맞아서 S가 상방이동 하여 새로이 생기는 교점 이라고 이해했습니다. 근데 2번 점은 어떤 기준으로 셍성되는지 궁금합니다,
14 4/7
2021-01-27
감사합니다^^~
세무사수험생입니다 재정학 강의 쭉 듣고 싶은데 재생목록가서 보니까 순서가 뒤죽박죽으로 되어있어서 순서만 고쳐주실수있나요?
그러네요
시간날때 바꿔볼께요
제가 해 본적은 없어서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