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3년] 전기기능사 필기 이론 - 03강 전기회로의 법칙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2 жов 2022
  • 새로운 전기기능사필기 이론강의입니다.
    여러분의 자격증취득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다산에듀는 항상 여러분과 함께하겠습니다.
    다산에듀의 홈페이지와 커뮤니티에 오시면 더 많은
    무료 공개자료와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다산에듀 홈페이지에서는 이 영상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 교재구매 : 다산에듀 홈페이지
    www.e-dasan.net/
    ▶ 접속 ▶ 수강신청 ▶ 전기기능사필기
    www.e-dasan.net/shop-list.php...
    ■ 커뮤니티 : 네이버 다산에듀 공식카페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cafe.naver.com/dasanpass
    #전기기능사#전기기능사필기#다산에듀

КОМЕНТАРІ • 153

  • @user-jr6mj8kc6r
    @user-jr6mj8kc6r Рік тому +45

    참으로 고마우신 분입니다. 전 자격증이 목적이 아니라 전기 기초를 이해 할려고 하는 사람입니다.
    칠순을 바라보는 나이에 이해하고 감사하는 마음이 너무 많습니다. 전병칠 박사님 감사합니다

    • @mr_six305
      @mr_six305 Рік тому +6

      나이는 숫자에 불과합니다. 존경합니다. 선생님!

  • @user-zo7ne6wm1x
    @user-zo7ne6wm1x Рік тому +61

    일하고 육아하고 공부하고있어요 모두존중받아마땅하다 말씀에 울컥햇네요 항상감사합니다

    • @user-bb6vo4po8n
      @user-bb6vo4po8n 10 годин тому

      1년전 댓글이네요..
      모두 화이팅하세요 !

  • @abanghyun8342
    @abanghyun8342 Рік тому +2

    연습문제로 본문의 내용을 여러 각도에서 풀이하면서 넘어가니 헷갈리지 않고 너무 좋습니다.

  • @user-bs5ss3gu8v
    @user-bs5ss3gu8v Рік тому +5

    너무신기한게....멀뚱멀뚱 듣던 강의가...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 감사합니다. 교수님

    • @elec7
      @elec7  Рік тому +2

      조금 어렵더라도 같이 힘내서 가보죠!
      파이팅!!

  • @Lottie9292
    @Lottie9292 Рік тому +2

    감사합니다.
    1회째 강의완료

  • @user-wc5nd2my5t
    @user-wc5nd2my5t 3 місяці тому +2

    선생님 너무 감사합니다!!^^* 상세히 알려주셔 공부에 흥미을 느끼게 합니다❤최고!!😊

  • @jjk0369
    @jjk0369 4 місяці тому +4

    너무 감사합니다. 질좋은 강의를 무료로 올려주시다니..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 기가 막힙니다. 쉽게 가르쳐 주시는 스킬이

  • @user-mk1hj2kk1r
    @user-mk1hj2kk1r Рік тому +3

    2회차입니다. 재밌고 쉬워졌네요 ㅎㅎ

  • @jeongyeonkim66
    @jeongyeonkim66 4 місяці тому +1

    소장님 추천으로 듣게된 경리입니다
    열심히 듣고 자격증 따보겠습니다 스승님

  • @happytoday5426
    @happytoday5426 3 місяці тому +2

    옴의법칙 V=IR 배우고나니 너무 감동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qs7qw2xt4p
    @user-qs7qw2xt4p 4 місяці тому +1

    선생님의 말 한마디 한마디가 너무 가슴에 와닿네요.. 좋은 영상으로 열심히 공부해, 좋은 결과를 얻겠습니다!!

  • @user-bz8sd9hi7o
    @user-bz8sd9hi7o Рік тому +8

    1. 키리히호프 제 1법칙
    어떤 회로의 임의의 한 점에 들어간 전류와 나간 전류의 내수합은 같다
    2. 키리히호프 제 2법칙 전압법칙
    공급된 전압은 각 저항의 전압강하의 합과 같다
    3. 중첩의 정리
    전압원 단락 / 전류원 개방

  • @user-fj3ze3fg6x
    @user-fj3ze3fg6x 9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user-be4yz3vh2d
    @user-be4yz3vh2d Місяць тому

    잘 배웠 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cn9mz7dd6e
    @user-cn9mz7dd6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회차 들을때마다 너무재밌어요

  • @user-xc2nf8oj8b
    @user-xc2nf8oj8b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1회차강의2배속으로 전기가어떤건지 보고 2회차부터 정속주행하면서 공부하는데 동영상5분분량을 완벽히 이해하는데 몇시간씩 걸리네요 ..
    진짜 힘들긴했는데 나온내용 전부100프로이해했습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선생님

  • @user-bs5ss3gu8v
    @user-bs5ss3gu8v Рік тому

    엉덩이로 공부하는 것을 소망한다. 우리 전병칠 교수님의 말씀

  • @hoyoungjeong3491
    @hoyoungjeong3491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옴의 법칙 동그라미 그림에서 깜짝놀랐습니다.. 시간 지나면 까먹어서 다시 확인해보고 그랬었는데, 이제 안까먹겠네요. ㅋㅋㅋㅋㅋㅋㅋ

  • @peachfurfect2735
    @peachfurfect2735 Місяць тому

    1회독 정주행 중입니다!

  • @user-wz7hq3eh7y
    @user-wz7hq3eh7y Рік тому +2

    한번 더 들으니까 거의 옴의법칙 키르히호프1법칙2법칙 합성저항 직렬/병렬/직병렬 구하는법 병렬회로에서 전류구하는법 좀 알거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원장님

    • @elec7
      @elec7  Рік тому

      항상 즐거운 전기공부 되세요~

  • @user-le1vx6gb4q
    @user-le1vx6gb4q Рік тому

    교수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시험볼때 휴대폰에 설치된 계산기 어플로 사용가능 한가요?

    • @elec7
      @elec7  Рік тому

      휴대폰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계산기를 준비해 주세요.

  • @user-hj5ob8uf1x
    @user-hj5ob8uf1x Рік тому

    저항의 병렬연결과 병렬접속은 다른의미인가요??

  • @user-jt9xq7mf9b
    @user-jt9xq7mf9b Рік тому +4

    안녕하세요~ 오늘도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질문이 있습니다. 31번 문제를 풀어보면 11분의 12옴이 나오는데 갑자기 1.09옴 되는게 이해가 안갑니다. 혹시 공학용계산기로 계산해야지만 나올수 있는건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user-zf1hl4pr6q
    @user-zf1hl4pr6q Рік тому

    1회차 정독중인데 이론 설명해주실때는 대부분 다 이해가는데 문제풀때는 하나도 모르겠고 어지럽네요..정상인가요? 식과 기호가 암기가 안돼서 그런거겠죠??

  • @oldguystudy
    @oldguystudy 10 днів тому +1

    1회독할때 강의 문제풀이도 모두 보는게 맞을까요? 이론설명 까지만 듣고 넘어가는게 맞을까요?

  • @user-nd6wm1mo3t
    @user-nd6wm1mo3t 12 днів тому

    와 진짜 명강의다..........물로 비유한거는 소름돋네.......... 다른 기술 자격증 강의도 올려주세요!

  • @hope460
    @hope460 Рік тому +1

    저 할수 있을까요? 너무 어렵습니다 분자와 분모를 곱해서 아래 분자와 위에 분모는 분모로 옮기고 가운데 분자와 분모는 분자가 되는것까지는 이해했습니다 이제 파고들어볼려고요 ㅠㅠ

  • @user-en2ln8xz3k
    @user-en2ln8xz3k Рік тому +1

    3회독 완료

  • @user-ck3hu8pw9i
    @user-ck3hu8pw9i 4 місяці тому

    전병칠원장님은 우리나라 전기업계에서 구글 운영체제를 개발한 래리페이지와 같습니다. 존경합니다.

  • @user-ko1ym4tc8w
    @user-ko1ym4tc8w 10 місяців тому

    이제 2회독 시작인데 봐도 귀가 뚫리는 느낌이 뭔지 알고싶네요 ㅋㅋ합격할수있을런지..아니면 일을 할지 ..2가지에 고민이되요..ㅋㅋ

  • @lwanha
    @lwanha 4 місяці тому

    궁금한게 있는데요?
    왜 전기기호를 헷갈리게 두가지를 사용하는지요?
    암페어 A 를 I 로 쓰기도하고
    전기량 Q 를 C 로도 쓰고
    일 에너지 W 를 J 줄 로도 쓰는지
    좀 궁금합니다

  • @user-zv1zv8gf3u
    @user-zv1zv8gf3u Рік тому +2

    전병칠 선생님 보고 계시면 제발 답변좀 주시겠어요? 16번 문제가 도저히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다른 합성저항을 구할때 병렬은 합분의곱인데 왜 이 문제는 그냥 4.6.8 합하고 4.6.8곱은 안하는걸까요? 이전 15번 문제는 4×6×8/(4×6)(6×8)(4×8) 이런식인데 16번은 같은 합성 저항을 구하는 공식인데 공식이 다른지 너무 궁금합니다. 답변좀 부탁드려요

    • @elec7
      @elec7  Рік тому +1

      아래 영상에 문의하신 내용이 있으시니, 확인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ua-cam.com/video/AjMNolx4ges/v-deo.html

  • @user-di5vu4ys9g
    @user-di5vu4ys9g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지금은 외계어로 들립니다.. 2회차로 볼때는 옹알이로 들리길 기도하며 멍때리고 봅니다...

  • @user-ec8mc4bw2y
    @user-ec8mc4bw2y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합성저항 병렬 설명중에 어느것은 합분의 곱으로 하고 어느것은 번분수로 계산하는 거 차이가 뭔가요??ㅠ 구분이 안되네요

    • @IVE46664
      @IVE46664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합분의 곱 공식도 병렬 저항이 2개일 때의 번분수의 공식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를 정리한 것입니다.
      즉, 병렬저항의 합성저항은 번분수로 계산합니다. 각 병렬저항의 역수를 더한 것의 역수를 계산하는 것이죠.
      그러므로 병렬 저항이 3개 이상일 시의 합성 저항은 번분수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 @user-zc7xw4bu6j
    @user-zc7xw4bu6j Рік тому +1

    병렬 저항이랑 병렬 합성 저항이랑 다른건가요?? 13:53 초에 분명 병렬 저항 3개 이상도 합분의 곱으로 풀수 있다고 설명하시는데 11번 문제를 그대로 풀면 100분의 10의 10제곱이 되어버리는데요

    • @user-uw5so5yk9j
      @user-uw5so5yk9j Рік тому +2

      저항이 2개일 경우는
      R1 * R2
      ㅡㅡㅡㅡㅡ
      R1 + R2
      이런씩으로 계산 되고
      저항이 3개이상 늘어나면
      R1 * R2 * R3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R1*R2 + R2*R3 + R1*R3
      이런씩으로 됩니다!

  • @gorgeous9593
    @gorgeous9593 7 місяців тому

    2회독 완료

  • @taemin_fafa7406
    @taemin_fafa7406 6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너무 많이 도움 받고있는데 질문좀 드릴깨여,,,,2회차 정주행중인데 혹시 같은 강의를 연속2번 재생해서 3회차를 하는건 의미 없을까요?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여전히 많아서 먼가 꺠우치고 넘어가고싶어서요

    • @elec7
      @elec7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전체적으로 반복시청하는 것이 더 도움될 것입니다.

    • @taemin_fafa7406
      @taemin_fafa7406 6 місяців тому +1

      @@elec7 넵 감사합니다 꾸벅~

  • @TV-ev4li
    @TV-ev4li 9 місяців тому

    원장님 합성저항에서 공학계산기 분에 1분 분에 1 계산기로 안돼요. 번분수 사용법좀 알려주세요.

  • @user-bz8zc9lx1r
    @user-bz8zc9lx1r Рік тому +1

    저는 비전공자인 전기에 일자무식인 사람인데요. 10번 문제 궁금한게 있습니다. 10옴 쪽만 5A와 계산해서 50V라는 전체 전압을 구해냈는데, 이 방식에 작은 의문이 생겼어요. 저항이 여러개 있을 때에 각 저항 구간의 크기마다 걸리는 전압이 다 다르잖아요? 한쪽의 저항만 알고 다른 한쪽의 저항을 모르는데, 병렬 한쪽의 전압만으로 전체 전압이라고 결론낼 수 있는게 잘 이해가 안됩니다. 전류는 병렬일 때 몇갈래로 흩어졌다 모이지만, 전압은 그렇지않은건가요?
    11번 문제에도 병렬일 때 합성저항은 10/N으로 축약되는건지 조금이나마 설명을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12번 문제도 솔직히 앞에서 알려주신 강의에서 떠오르는 부분이 없네요.
    어떤 기기에 대한 문제나 설비에 대한 문제라면 알아보고 상황에 맞는 기능을 외우면 되는거지만, 수식이나 공식에 관한 부분은 생략되서 넘어간 후에 시험에 나오게 되면 맞출 자신이 없어요..

    • @chlee379
      @chlee379 4 місяці тому

      병렬접속일때는 전압은 일정하고 전류가 분배된다고 알고있습니다 10번문제에서 병렬접속이라고 되어있으니 10옴쪽 저항으로 전압을 구해도 될꺼같습니다

    • @chlee379
      @chlee379 4 місяці тому +1

      직렬접속일때는 반대로 전류일정하고 전압이분배고요..11번은 본문 합성저항구하는 식 영상 다시한번 보시면 이해되실꺼같습니다

  • @user-dm5nl9rj7k
    @user-dm5nl9rj7k 5 місяців тому +1

    키르히호프 1법칙에서 전류는 저항의 값에 따라 분배되어 흐르는데 전압도 그렇게 흐르나요?
    저항이 직류로 연결되어 있으면 전류는 저항값에 상관없이 똑같이 흐르나요?

    • @user-sj5ok8br2n
      @user-sj5ok8br2n 3 місяці тому

      병렬일때 전압이 동일(36p 10번문제)하고 직렬일때 전류가 동일합니다.

  • @user-hs8wf1ge1x
    @user-hs8wf1ge1x 3 дні тому

    안녕하세요 병칠 쌤,
    5번 문제에서 전압이 극성이 다른것이 2개 있으면 하나는 없는거나 마찬가지라고 하셨는데, 좀 이해가 안 갑니다.
    해설에서 왜 빼기를 했는지 궁금합니다

  • @user-ld8xu8jm7m
    @user-ld8xu8jm7m Рік тому +2

    1회째 듣고 있습니다.
    문제에 들어와서는 상당부분 모르겠는데 그래도 넘어가도 되나요??

    • @elec7
      @elec7  Рік тому +1

      네. 걱정하지마세요.
      넘어가셔도 됩니다.

    • @user-kb5ji2wi7b
      @user-kb5ji2wi7b Рік тому

      저도 1회째 정독중인데 몰라도 그래도 듣고는 넘어가고있어요 같이 화이팅해요 !

  • @chog999
    @chog999 13 днів тому +1

    안녕하세요 박사님
    혹 교재 어디서 구입할수 있는지요??
    공부 좀 해볼려고 하는데요~

    • @elec7
      @elec7  13 днів тому

      다산에듀 홈페이지(www.e-dasan.net)에서 수강신청-전기기능사필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 @elec7
      @elec7  13 днів тому

      다산에듀 홈페이지(www.e-dasan.net)에서 수강신청-전기기능사필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 @user-cl9xs3gb3f
    @user-cl9xs3gb3f 10 місяців тому

    전류의 분류에서 i전류는 병렬인데 왜 합인가요 합분의곱 돼야 되는거 아니가요?

  • @user-ss3cj8sf6p
    @user-ss3cj8sf6p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병렬회로에서는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같나요???

  • @user-wj9ho2cp5t
    @user-wj9ho2cp5t 9 місяців тому +1

    21,22번처럼 선을 잡아당길때 어느 방향으로 잡아당겨야 하는걸까요...ㅜ

  • @user-hc5fz6ju1g
    @user-hc5fz6ju1g Рік тому +2

    다산에듀 책이 없어 다른 책으로 대체하여 강의를 듣고있는데 문제 푸는 시간들은 넘어가도 될까요

    • @user-mk1hj2kk1r
      @user-mk1hj2kk1r Рік тому +15

      강의도 공짜인데 저라면 하나삽니다..

  • @user-mg8kx2qj3s
    @user-mg8kx2qj3s Рік тому

    25:38 초에서요 저항이 작을수록 전류가 잘 흐르는건데 왜 상대가 클수록 전류가 더 커진다는거예요?

    • @user-co5vc7vr6r
      @user-co5vc7vr6r Рік тому

      저항이 병렬이면 저항이 작은쪽에 더 큰 전류가 흘러서 그렇습니다

  • @user-uq7fo7tm4r
    @user-uq7fo7tm4r 10 місяців тому

    하아...한달째 3강만 몇번을 보는건지 ㅠㅠ

  • @HTChoi-qo9ux
    @HTChoi-qo9ux 8 місяців тому +4

    2회차 알게된 것.
    1.저항을 병렬연결시 전압은 일정하다.
    저항을 직렬연결시 전류는 일정하다.
    2.극성이 같다면 상쇄된다.
    3. 병렬회로의 분배전류계산은 헷갈린다.
    4. 저항의 병렬접속은 합분의 곱.

    • @user-vy2dl2ng1y
      @user-vy2dl2ng1y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저항을 병렬연결시 전압은 일정하다 내용이 3강에 나오는건가요? 강의를 들어도 그런내용이 없어서 문의드립니다

    • @HTChoi-qo9ux
      @HTChoi-qo9ux 7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vy2dl2ng1y 문제를 풀다가 깨달은 것 입니다

  • @user-td6ht7zc9f
    @user-td6ht7zc9f 4 місяці тому +1

    문제 해설은 그냥 바로바로 넘어가 버려서 뭐라는지 모르겠어요 ㅠ

  • @cmh7920
    @cmh7920 Рік тому +1

    직렬의 저항계산 22년도 시험에 출제 되었습니다.

  • @aotearoapark
    @aotearoapark Рік тому +5

    머리에 쥐납니다...ㅠㅠ

  • @user-ru4xm2up1z
    @user-ru4xm2up1z 5 місяців тому

    병렬회로 전류분배법칙에서 옴의법칙을 유도해서 저 공식이 나오는 것 까진 이해가 되는데 상대방이 커질수록 내가 커지는 거니깐 이 말은 무슨 뜻이고 왜 중요한지 설명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 @user-sj5ok8br2n
      @user-sj5ok8br2n 3 місяці тому

      상대방 저항이 커지면 내쪽으로 흐르는 전류가 커진다인거죠.

  • @user-cx1wz8yp2d
    @user-cx1wz8yp2d 11 місяців тому

    전압의분배 16:13

  • @mtdsa8111
    @mtdsa8111 4 місяці тому

    5번 회로에서 5v쪽 플마가 바뀌면 20v인가요

  • @jaehyunlee5961
    @jaehyunlee5961 6 місяців тому +1

    2회차입니다. 2가지 문제가 저의 발목을 잡습니다. 5번문제 V = 15V-5V 왜 빼는지... 30번문제 저항값 R1은 왜 배제하는지요? 저항과 전류는 반비례하니까 R1에 답 아닌가요? 이유를 알고계시다면 도와주세요!!

    • @user-ml4gm4lj9z
      @user-ml4gm4lj9z 5 місяців тому

      5번은 극성이같아서 서로 저장이안되고 역효과나서 마이너스다 이해하시고
      30번은 전류는 길이 하나일때 크기가 큰데 선이 세개로 나눠지니까 전류도 분배가되서 전류의 크기도 작아진거입니다
      알원일때 전류크기는 알투 알쓰리 알포에 합과 같다 키르히호프 제1법칙

    • @user-ml4gm4lj9z
      @user-ml4gm4lj9z 5 місяців тому

      따라서 알원이 저항값이 젤 커도 전류가 최소로 흐르는건 병렬의 젤큰저항값

  • @user-ml4gm4lj9z
    @user-ml4gm4lj9z 5 місяців тому

    2회독완 기출4개오답

  • @songsong-
    @songsong- 9 місяців тому

    2회독입니다. 24번 문제는 풀이도 그렇고 문제 의도를 모르겠습니다.

  • @heavenprinces
    @heavenprinces 6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 좋은강의 너무감사합니다.
    전기기능사 교재는 어디서 검색해야 하나요?

    • @elec7
      @elec7  6 місяців тому

      다산에듀 홈페이지(www.e-dasan.net)에서 수강신청-전기기능사필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 @user-xw3wu7yv7c
    @user-xw3wu7yv7c Рік тому +2

    Shiba 우리는 2년만에 산업기사 따라는데

  • @Kasaonohoshi
    @Kasaonohoshi 11 місяців тому

    선생님 이 강의의 문제집은 어디서 얻을수 있나요..

    • @elec7
      @elec7  11 місяців тому

      다산에듀 홈페이지(www.e-dasan.net)에서 수강신청-전기기능사필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 @Kasaonohoshi
      @Kasaonohoshi 11 місяців тому

      @@elec7 기능사필기이론 책하고,기출문제가 있는데 어떤것인가요 책을 구매해야하나요?

  • @sungminjin6936
    @sungminjin6936 Рік тому +1

    29번 이해가 안갑니다.
    합성저항 ..합분의 곱 해야하는거아닌가요 ??
    2옴 두개고 3옴 3개 병렬이니까..
    1옴 + 2+2분의 2x2 + 3+3+3분의 3x3x3 이렇게 해야하는것 아닌가요 ...해설에는 1+ 2분의2+3분의3 으로 되어있던데 왜 그런건지를 모르겠네요..

    • @elec7
      @elec7  Рік тому

      3개일때의 원리를 이용해서 2개일때 곱/합이 되는 것입니다.
      제 영상중에 ‘저항 3개의 병렬계산’이라는 제목의 유튜브 영상을 찾으셔서 보시면 이해가 쉽게 되실것입니다.

  • @user-xe7xk1on8u
    @user-xe7xk1on8u Рік тому +2

    선생님 정말 진지하게 고민이 있습니다.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진로문제인데 댓글로 상담드려도 되나요??
    잡코@@ 공무원 카페 등등 고민 상담을 했었는데 제각각이어서 혼란스럽습니다...

  • @user-rh2hp7qt1y
    @user-rh2hp7qt1y Рік тому

    전대표님 감사합니다 밥이라도 대접하고싶내요

  • @yulmu1225
    @yulmu1225 26 днів тому

    3회독인데 이제 좀 나아졌네용

  • @user-ou5df8lq4p
    @user-ou5df8lq4p Рік тому

    선생님 병렬연결의 합성저항은 앞에 내용에서 합분의 곱이라고 나와있는데 11번 문제 해설때는 전체저항 나누기 개수라고 하셔서요. 뭐가 맞는건지 어떻게 되는건지 전혀 이해가 안됩니다. 바쁘시겠지만 답변 꼭 부탁드립니다!

    • @elec7
      @elec7  Рік тому +1

      같은 용량의 콘덴서가 여러개 병렬로 있을때는 저항값을 갯수로 나누면 합성저항이 됩니다.

    • @user-hj5ob8uf1x
      @user-hj5ob8uf1x Рік тому

      @@elec7 무슨말씀인지 이해가 안됩니다.. 아무튼 저 11번 문제도 합분의곱 공식으로 풀면 1이 나와야하는거 아닌가요...??? 콘덴서가 저항인가요?? 너무 헷갈리게 만듭니다..

    • @user-js1go1jn3e
      @user-js1go1jn3e Рік тому

      @@user-hj5ob8uf1x 같은 저항의 병렬연결시 하나의 저항 R분의 N개수를 하면되구요
      같은 저항의 직렬연결시에는 하나의 저항R 곱하기 N개수하면 됩니다.
      이건 4강에서의 1-32와 1-35식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 @IVE46664
      @IVE46664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hj5ob8uf1x합분의 곱 공식 이전에, 병렬 회로에서의 합성저항은 각 저항의 역수의 합의 역수라는 것을 기억하시면 쉽게 해결됩니다.

    • @crazysungh
      @crazysungh 10 місяців тому

      ​이 풀이가 이해가 되네요😊

  • @ttungwoo
    @ttungwoo Рік тому

    26:01

  • @user-gt6rw4sq2q
    @user-gt6rw4sq2q 4 місяці тому +3

    병렬저항 구하는거 강의에서는 2개저항만 있는거 간단히 설명하고 연습문제 5개 10개 나온는거는 뭐 당연하다는듯이 답을 말씀하시고 끝내는군요...

  • @DUCK-bb4hr
    @DUCK-bb4hr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직렬과 병렬의 합성저항을 구할 때 직렬은 이해가 되는데 왜 병렬은 1/R(1)로 표현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무슨 이유로 분수가 나오게 되는건가요

  • @junohwang3385
    @junohwang3385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문제5번에서 극성이 같으면, 15-5=10V가 된다고 말씀하셨는데 이해가 안되네요.ㅠㅠㅠ

    • @imghost180
      @imghost180 4 місяці тому

      저도요 강의에서 안가르친 내용이 좀 있는데 그냥 스킵하시는부분이있음

  • @user-oz9fp1gl9t
    @user-oz9fp1gl9t Рік тому

    병렬에서 합의곱은 2개일때만 적용하나요...?

    • @elec7
      @elec7  Рік тому +1

      네. 그렇습니다.
      아래 영상은 2개, 3개 일때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ua-cam.com/video/AjMNolx4ges/v-deo.html

  • @kkang5618
    @kkang5618 Рік тому

    22:57

  • @user-ld8xu8jm7m
    @user-ld8xu8jm7m Рік тому

    13:42 병렬계산 시 곱/합이 당연한 것은 반대가 되면 병렬저항은 모두 소수점이 되어버리겠어요

    • @user-yv9rf6dd1g
      @user-yv9rf6dd1g Рік тому

      반대가 된다는게 무슨 말이죠?

    • @user-ld8xu8jm7m
      @user-ld8xu8jm7m Рік тому

      @@user-yv9rf6dd1g 합/곱

    • @lip9847
      @lip9847 Рік тому

      혹시 정수나 1보다 큰 수들만 생각하신건 아닌지?

  • @user-qc5nh2mo5e
    @user-qc5nh2mo5e 10 місяців тому

    문제풀이 26:34

  • @sun12758
    @sun12758 Рік тому

    2:00

  • @user-vg7bl8cx8h
    @user-vg7bl8cx8h Рік тому

    선생님 문제풀이하실때 제가 교재가 없어서 무슨말인지 잘 모르겠어요

    • @elec7
      @elec7  Рік тому

      교재 구입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다산에듀 홈페이지(www.e-dasan.net)에 접속
      2. 수강신청 [클릭!]
      3. 전기기능사필기 [클릭!]
      4. 전기기능사필기 이론서를 선택하시면됩니다.

    • @user-wj9ho2cp5t
      @user-wj9ho2cp5t 9 місяців тому +1

      강의 공짜인데 교재는 사서 하시는게 어떠세요.

  • @anyway_i_did_it
    @anyway_i_did_it 10 днів тому

    2024.05.30

  • @user-wz7hq3eh7y
    @user-wz7hq3eh7y Рік тому

    수강완료 머리가 슬슬 아프네

    • @elec7
      @elec7  Рік тому

      조금씩 복잡해지기는 합니다. 그래도 계속 정진해주세요!!

    • @user-wz7hq3eh7y
      @user-wz7hq3eh7y Рік тому +1

      @@elec7 감사합니다 병칠선생님... 그래도 살짝 적응되네요 필기 꼭 따서 실기도 치루겠습니다

  • @oldguystudy
    @oldguystudy 4 дні тому

    42:29 이게 왜..이렇게 되는걸까요ㅠ

  • @user-fq7eq5pw3x
    @user-fq7eq5pw3x 8 місяців тому

    00:01

  • @user-kb5ji2wi7b
    @user-kb5ji2wi7b Рік тому +4

    4회째 보는데 개인적으로 32번 문제 설명 들을 때마다 정말 ... 교제 해설과도 다르게 설명 주시고 영상에서도 1.5배 이야길 하시는데 처음 보시는 분들은 뭐가 1.5배인지도 모르고 10옴에서 1.5배 해서 15옴이니까 전류는 왜 2암페어가 된 건지 이해가 안돼요 설명이 너무 간략해서 등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병렬회로 전압 특징만 설명해줬어도 스트레스 덜 받았을 겁니다...
    비전공자 수포자들은 물음표만 띄웁니다..

    • @user-lf4bu5li4e
      @user-lf4bu5li4e Рік тому

      저도 32번...공감합니다..

    • @minio6436
      @minio6436 Рік тому +1

      비전공자인 저는 이해가 됐습니다. 전류와 저항은 반비례 관계이기에 병렬 회로에서 10옴일 때 3A의 전류가 흐르니 15옴에 흐르는 전류의 값은 3/1.5가 되어 2가 되는 게 맞지요. 그리하여 총 전류량은 5가 되는 게 맞습니다.

    • @user-kb5ji2wi7b
      @user-kb5ji2wi7b Рік тому

      @@minio6436 네 잘하셨어요

    • @user-th1oj6sm3i
      @user-th1oj6sm3i Рік тому +1

      솔직히 설명 너무 대충함 인정

    • @user-co5vc7vr6r
      @user-co5vc7vr6r Рік тому

      ​@@user-th1oj6sm3i 이렇게 쉬운걸 얼마나 더 설명을 하라는건지..

  • @user-mh6vb4tm7c
    @user-mh6vb4tm7c Рік тому

    5범문제와 13번문제가 동일한 문제로 보이는데 5번문제는 전압을 빼서 계산하고 13번문제는 합으로 계산하는데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 @user-lf4bu5li4e
      @user-lf4bu5li4e Рік тому

      5번 문제에서 전압은 서로 극성이 같기 때문에 직렬이 아니어서 전압을 빼고 계산을 해야 하고 13번 문제는 직렬이기 때문에 전압을 합해서 계산 하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직렬은 (-+ -+)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5번처럼 ( -+ +- ) 이건 직렬이 아닙니다!

    • @user-mh6vb4tm7c
      @user-mh6vb4tm7c Рік тому

      @@user-lf4bu5li4e 답변 감사드립니다. 회로도를 다시 그려가면서 이해 했습니다.건강하시고 복 받으세요~~

  • @malo0221
    @malo0221 Рік тому

    2

  • @heesunlee5859
    @heesunlee5859 5 місяців тому

    2023-12-16 1회독

  • @user-jv9hz3ll3m
    @user-jv9hz3ll3m Рік тому +1

    하이티비

  • @user-gt2jm3tl3t
    @user-gt2jm3tl3t Рік тому +1

    10번문제 이상해요~~~4옴 아닌가요?

    • @elec7
      @elec7  Рік тому

      혹시 그렇게 생각하시는 이유를 여쭤봐도 될까요?

  • @FF-gv9zb
    @FF-gv9zb Рік тому

    1 230524

  • @rookaking3429
    @rookaking3429 Рік тому

    화나내

  • @osilsgasil9130
    @osilsgasil9130 9 місяців тому +1

    합분의곱이라고 가르쳐주시는건 저항 2개일 경우만 가능한데 그거에 대한 언급이 없어서 헷갈려가지고 챗지피티에 물어보고 난리를 피웠습니다 ㅋㅋ 그냥 2개든 3개 이상이든 합분의곱 공식보다 저항 역수를 더하는 방식을 외워버리는게 낫지 않나요?

  • @user-th1oj6sm3i
    @user-th1oj6sm3i Рік тому +2

    설명이 너무 부실합니다. 문제풀이 시 자세하게 해주시면 수험생들에 시간과 에너지 낭비가 줄어들고 강의도 발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elec7
      @elec7  Рік тому

      소중한 의견감사합니다.
      자격증 강의의 한계상 충분하게 학문적이나 이론적으로 접근하지 못하고, 적절한 선에서 설명의 수준을 양보한 것도 있습니다. 이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 @user-ti2yw5zo4v
    @user-ti2yw5zo4v 3 місяці тому

    26:50

  • @user-fq7eq5pw3x
    @user-fq7eq5pw3x 8 місяців тому

    11:30

  • @LOL_Sommelier
    @LOL_Sommelier 8 місяців тому

    20:23